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736

나카야 우키치로(中谷宇吉郎) - 수표(小切手)

수표(小切手)나카야 우키치로 돈이라고 하면 어쩐지 자본주의의 도구 중 하나처럼 들린다. 하지만 ‘제니’에는 전혀 그런 냄새가 없다.‘제니’라고 들으면 바로 연상되는 것은 5센 백동화이다. 어릴 적, 1년에 한 번 있는 마을 축제 날에 이 백동화를 받는 풍습이 있었다. 그 하얗고 차가운 백동화를 손바닥 안에 꼭 쥐고 번화가까지 간다. 도착할 즈음에는 손바닥 안이 온통 땀으로 축축해져 백동화는 미지근해진다. 50년이 지난 오늘까지 이런 일을 기억하는 것을 보면 어린 마음에 정말로 기뻤던 것이 틀림없다.제니의 정의는 이렇게 생각해 보면 손안에 쥘 수 있는 것이 된다. 그렇다면 돈은 제니와는 다른 의미로 쥘 수 없는 것, 즉 허(虛)한 것이 될 것 같다.정말로 묘한 정의 같지만 또 그것으로 괜찮을지도 모른다는 ..

모리 오토(森於菟) - 해부수필초(解剖随筆抄)

해부 수필 초 (解剖随筆抄) 모리 오토 (森於菟)+ 목차1. 킨스트레이키 (キンストレーキ)옛날 이야기이다.메이지 (明治) 초기, 우리나라에서 해부학이 교수되기 시작했을 무렵에는 어디든 교재가 부족했다. 도쿄 대학 해부학 교실에서도, 쇼와 (昭和) 19년 86세로 돌아가신 고 (故) 고가네이 요시치카 (小金井良精) 박사 (나의 스승이자 동시에 나의 아버지 여동생 키미코 (喜美子) 의 남편, 즉 나의 외삼촌. 일본 해부학회의 오랜 회장이자 일본 해부학자 및 체질 인류학자의 창시자 대표자이기도 했던 도쿄 대학 명예 교수)의 기록에 따르면, 메이지 2년 도쿄 대학 의학부의 전신인 대학 동교 (大学東校) 에는 도키 요리노리 (土岐頼徳) 씨가 미노 (美濃) 국에서 발굴했다고 전해지는 두개골 안면부 외에는 아무것도 ..

루쉰 - 중국소설사략 《中國小說史略》

이 책은 원래 저자가 베이징 대학에서 강의할 때 사용했던 강의록으로, 이후 수정과 보완을 거쳐 1923년과 1924년에 베이징 대학 신조사에서 《중국소설사략》이라는 제목으로 상하 두 권으로 출판되었고, 1925년에는 베이징 북신서국에서 한 권으로 합쳐져 출판되었습니다. 1931년에는 북신서국에서 개정 초판을 출판했습니다. 1935년 제10판에는 일부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이후의 모든 판은 제10판과 동일합니다. 서문중국의 소설은 예로부터 제대로 된 역사가 없었다. 있다고는 하지만 외국인이 지은 중국 문학사[1]에서 처음 보이고, 그 후에 중국인이 지은 것 중에도 있지만, 그 양은 모두 책 전체의 십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므로 소설에 대해서는 여전히 상세하지 않다.이 원고는 비록 전문 역사서이지만 또한 대..

AI번역 2024.12.23

동파전집(東坡前集) 권25(卷二十五) 표장 33수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밀주사상표(密州謝上表)"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소식이 밀주(密州)의 지주(知州)로 임명받은 후 황제에게 올린 사은표(謝恩表), 즉 감사를 표하는 글입니다.현대 한국어 번역:신(臣) 소식(軾)은 아뢰옵니다. 어제 조칙을 받들어 밀주 군주사(密州軍州事)를 맡게 되었고, 이미 이번 달 3일에 임지에 도착하였습니다. 풀과 같은 미천한 신이 감히 넓고 큰 은혜를 입었으니, 하늘과 땅처럼 넓으신 은덕으로 사사로운 소망까지 이루어주셨습니다. 명을 받아 몸을 돌이켜보니, 이미 스스로 부덕함을 알고 있었으나, 고을에 들어와 풍속을 물어보니, 또한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낫습니다. 신 소식은 삼가 생각하옵니다. 신의 가문은 대대로 가난하고, ..

AI번역 2024.12.23

동파전집(東坡前集) 권24(卷二十四) 서 15수, 자설 3수

소식(蘇軾)의 남행전집서(南行前集敘)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분석 및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소식이 남쪽으로 가는 여정 이전에 쓴 글로, 문장을 짓는 행위와 그의 문학관을 설명하고 있습니다.현대 한국어 번역:무릇 옛날에 글을 짓는 사람들은 능히 잘 지으려고 해서 잘 지은 것이 아니라, 능히 짓지 않을 수 없어서 잘 짓게 된 것이다. 산천에 구름이 있고 초목에 꽃과 열매가 있는 것처럼, 충만하고 왕성한 기운이 밖으로 드러나는 것이니, 비록 없애려 한들 어찌 가능하겠는가! 젊었을 때부터 아버님의 논문(論文, 문장에 대한 논의)을 들어왔다. 옛날의 성인들은 스스로 어찌할 수 없어서 글을 지었다고 생각하셨다. 그러므로 나와 아우 철(轍)이 글을 지은 것이 매우 많지만, 일찍이 감히 글을 지으려는 의도..

AI번역 2024.12.23

동파전집(東坡前集) 권23(卷二十三) 잡문 22수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잡문(雜文) 중 "명정(明正) - 우급(于伋)의 실관 후 동쪽으로 돌아감을 보내며(送于伋失官東歸)"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세상 사람들이 슬픔과 즐거움을 올바르게 여기지 못하는 현상을 비판하며, 진정한 슬픔과 즐거움의 의미, 즉 "정(正)"을 밝히고자 합니다. 특히, 우급의 실관(失官, 벼슬을 잃음)이라는 상황을 통해, 겉으로 드러나는 상황에 매몰되지 않고 내면의 가치를 중시해야 함을 강조합니다.현대 한국어 번역:세상의 근심은, 슬픔과 즐거움을 그 올바름으로써 여기지 않는 데 있으니, 올바름으로써 여기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 취하여 올바르다고 여기는 것이 올바르지 않기 때문이다. 청컨대 그대를 빌려 그 올바..

AI번역 2024.12.23

동파전집(東坡前集) 권22(卷二十二) 책문 18수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사시책문(私試策問)" 여덟 편 중 첫 번째 질문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과 분석 및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질문은 군주가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 우려하는 바와 실제 나라의 위태로움이 발생하는 원인이 어긋나는 현상에 대한 고찰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한(漢)나라의 역사를 예로 들어 논지를 전개하고 있습니다.현대 한국어 번역:군주로서 나라를 편안히 보존하고 싶어 하지, 위태롭게 하고 멸망시키고 싶어 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 나라는 항상 어찌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니, 어째서인가? 우려하는 바는, 어지러움과 멸망의 원인이 되는 것이 아니며, 어지러움과 멸망의 원인이 되는 것은, 항상 우려하지 않는 곳에서 나오는 것이다. 청컨대 한나라를 빌려 말해 보겠..

AI번역 2024.12.23

동파전집(東坡前集) 권21(卷二十一) 논 8수

소식의 동파집에 실린 「형상충후지론(刑賞忠厚之至論)」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인 것입니다. 이 글은 형벌과 상벌의 시행에 있어 인(仁)과 의(義)의 균형, 특히 인(仁)에 무게를 두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현대 한국어 번역:논(論)하여 말한다. 요(堯), 순(舜), 우(禹), 탕(湯), 문(文), 무(武), 성(成), 강(康)의 시대에는 어찌 백성을 이토록 깊이 사랑하고, 백성을 이토록 간절히 염려하며, 천하를 군자와 덕망 높은 어른의 도리로 대하였던가! 한 가지 선행이 있으면 그에 따라 상을 주고, 또 그에 따라 칭송하고 감탄하였으니, 그 시작을 즐겁게 하고 그 마침을 힘쓰게 하려 함이었다. 한 가지 불선이 있으면 그에 따라 벌을 주고, 또 그에 따라..

AI번역 2024.12.23

동파전집(東坡前集) 권20(卷二十) 명 20수, 송 1수, 찬 17수

이 시는 소식(蘇軾)의 「서도명(卻鼠刀銘)」으로, 쥐를 쫓는 칼에 대한 명문입니다. 단순히 쥐를 쫓는 칼을 묘사하는 것을 넘어, 세상의 이치와 부조리, 그리고 자신의 처신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현대 한국어 번역:시골 사람이 칼을 가지고 있는데, 다른 사람에게 주려고 남겨두려 하지 않네. 길이는 한 자도 못 되니, 검이나 큰 도끼의 자투리로 만든 것이겠지. 무늬는 고리처럼 이어져, 위아래로 얽혀 있네. 자세히 보아야 보이고, 대충 보면 없는 듯하네. 옛날에 얻은 것으로, 항상 몸에 지니라고 일러주었네. 간직해도 해롭지 않고, 사나운 쥐들을 없애준다네. 담장에 구멍을 내어, 집 안까지 침입하고, 침상에서 뛰어다니고 휘장을..

AI번역 2024.12.22

동파전집(東坡前集) 권19(卷十九) 시 3수, 사 13수, 부 7수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시 "식양시(息壤詩) 병서(並序)"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분석 및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서문과 시가 함께 있는 형태입니다.현대 한국어 번역:(서문)『회남자(淮南子)』에 이르기를, 곤(鯀)이 홍수를 막으면서 천제의 식양(息壤)을 훔쳤으므로, 천제가 축융(祝融)을 시켜 우연(羽淵)에서 그를 죽였다고 한다. 지금 형주(荊州) 남문 밖에, 집이 땅속에 빠진 듯한 모양을 하고서도 그 용마루가 보이는 것이 있다. 그 옆에는 돌에 새긴 기록이 있는데, 범해서는 안 된다고 쓰여 있다. 삼태기와 삽이 닿는 곳은 번번이 다시 원래대로 돌아간다. 또한 자주 우레와 비를 불러오기도 하는데, 큰 가뭄이 들면 여러 차례 효험이 있었다. 나는 이를 느끼고 이에 시를 지었다. 그 내용은 다음..

AI번역 2024.12.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