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번역

동파전집(東坡前集) 권20(卷二十) 명 20수, 송 1수, 찬 17수

集賢堂 2024. 12. 22. 23:00
반응형

이 시는 소식(蘇軾)의 「서도명(卻鼠刀銘)」으로, 쥐를 쫓는 칼에 대한 명문입니다. 단순히 쥐를 쫓는 칼을 묘사하는 것을 넘어, 세상의 이치와 부조리, 그리고 자신의 처신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시골 사람이 칼을 가지고 있는데, 다른 사람에게 주려고 남겨두려 하지 않네. 길이는 한 자도 못 되니, 검이나 큰 도끼의 자투리로 만든 것이겠지. 무늬는 고리처럼 이어져, 위아래로 얽혀 있네. 자세히 보아야 보이고, 대충 보면 없는 듯하네. 옛날에 얻은 것으로, 항상 몸에 지니라고 일러주었네. 간직해도 해롭지 않고, 사나운 쥐들을 없애준다네. 담장에 구멍을 내어, 집 안까지 침입하고, 침상에서 뛰어다니고 휘장을 흔드니, 밤새도록 소리가 나네. 소리쳐 쫓아도 가지 않고, 대추와 밤을 갉아먹네. 잔을 엎고 항아리를 핥으니, 남긴 것이 하나도 없네. 길을 가리지 않고, 위로 다니고 벽을 밟고 다니네. 집에 두 개의 문을 만들어, 궁하면 옆으로 도망치네. 가볍고 날쌔고 교활하여, 갑자기 잡을 수가 없네. 내 칼이 문에 들어서자, 어디론가 흔적도 없이 사라지네. 더 심한 놈들은, 무리를 지어 괴이한 요물이 되네. 낮에는 떼를 지어 싸우고, 서로 쳐다보며 기세등등하네. 대문의 앞에서 춤을 추니, 임금과 함께 사는 듯하네. 고양이가 보아도 잡아먹지 않고, 또 집에서 새끼를 낳네. 영씨(永氏)의 집에 익숙해져서, 세상이 모두 그런 줄 여기네. 나는 내 칼을 갈고 또 갈아, 물을 담은 쟁반을 앞에 놓네. 밥이 채 익기도 전에, 깨끗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네. 사물이 어찌 이럴 수 있는가, 믿을 수 없다고 여겼네. 열흘 동안 시험해보니, 두려움에 놀라게 되네. 무릇 고양이는 사나운 짐승으로, 낮에는 순찰하고 밤에는 엿보네. 허리를 구부리고 귀를 기울이며, 눈길조차 주지 않네. 수염이 구멍에서 흔들리자, 안개처럼 달려드네. 머리를 부수고 창자를 도려내어도, 끝내 쫓아낼 수 없네. 이것은 어찌 된 일인가? 조그만 칼 하나가, 칼집에 넣어 쓰지 않으니, 발톱과 이빨이 없네. 저들은 무엇을 두려워하여, 서로 이끌고 도망치는가? 아, 슬프다! 내게 진실로 그것이 있다면, 말하지 않아도 알게 되니, 또한 무엇을 수고롭게 하겠는가?

분석 및 설명:

  • 쥐의 형상화: 시에서 묘사된 쥐는 단순히 곡식을 훔쳐 먹는 동물이 아니라, 권세를 등에 업고 횡포를 부리는 부패한 관리나 세력을 상징합니다. 집안을 어지럽히고, 임금과 함께 산다는 표현은 이들의 권세가 얼마나 막강한지를 보여줍니다. 고양이조차 이들을 두려워한다는 것은, 감시와 견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을 비판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칼의 상징성: 칼은 본래 쥐를 쫓는 도구이지만, 시에서는 '진실', '정의', '올바른 도리'를 상징하는 것으로 확장됩니다. 칼이 칼집에 들어있어 '발톱과 이빨'이 없다는 것은, 진실과 정의가 제대로 쓰이지 못하고 억눌려 있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쥐들이 칼을 두려워하여 도망치는 것은, 진실과 정의의 존재 자체가 악에게는 두려움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소식의 메시지: 소식은 이 시를 통해, 부패한 세력이 득세하는 현실을 비판하고, 진실과 정의가 언젠가는 승리할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진실과 정의는 억지로 드러내려 하지 않아도 그 존재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마지막 구절 "내게 진실로 그것이 있다면, 말하지 않아도 알게 되니, 또한 무엇을 수고롭게 하겠는가?"는 이러한 메시지를 함축적으로 드러내는 부분입니다. 즉, 진실된 마음과 올바른 행동은 억지로 포장하거나 드러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드러나며, 그 자체로 큰 힘을 가진다는 의미입니다.
  • 동파집(東坡集)의 맥락: 소식의 문집인 동파집을 살펴보면, 그는 현실 정치의 부조리에 대한 비판과 이상적인 사회에 대한 갈망을 여러 작품에서 드러냈습니다. 「서도명」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그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시는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심오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소식의 뛰어난 문학적 재능과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이 글은 소식(蘇軾)이 문동(文同, 자는 與可)을 위해 지은 「옥당연명(玉堂硯銘)」과 그 서문입니다. 문동이 능주(陵州)로 떠나게 되자, 손수(孫洙, 자는 巨源)가 옥당(玉堂)의 큰 벼루를 선물했고, 문동은 소식에게 명문을 부탁했습니다. 소식은 이를 흔쾌히 받아들여 벼루와 문동의 재능을 칭송하는 명문을 지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문:

문동 여가가 능주로 떠나려 할 때, 손수 거원이 옥당의 큰 벼루를 주었다. 여가가 소식 자첨에게 명문을 부탁하여 다음과 같이 썼다.

명문:

비탈지고 넓고 멀리 퍼져 있으니, 하늘은 넓고 바다는 얕은 듯, 거원의 벼루로다. 흠뻑 적시고 넘쳐흐르니, 신령이 숨고 귀신이 나올 듯, 여가의 붓으로다. 남산의 소나무를 태워, 재로 남김이 없고, 능양의 물을 말려, 오로지 그것으로 적시네. [능양은 높은 산에 있어, 물을 얻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이로써 희롱한 것이다.]

분석 및 설명:

  • 배경: 문동은 소식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그림에 특히 뛰어났습니다. 특히 대나무 그림으로 유명했습니다. 손수는 이들에게 귀한 벼루를 선물하며 두 사람의 우정을 돈독히 하려 했습니다. 능주는 지금의 쓰촨성(四川省) 쯔양시(資陽市) 안악현(安岳縣) 일대로, 당시에는 벽지였습니다. 문동의 부임을 앞두고 그의 앞날을 축복하는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
  • 옥당(玉堂): 옥당은 한나라 때 학사들이 모여 있던 곳으로, 후대에는 학문과 예술의 전당을 의미하는 단어로 쓰였습니다. 옥당의 벼루라는 것은 매우 귀하고 가치 있는 벼루임을 나타냅니다.
  • 명문의 표현: 명문은 대구와 과장법을 사용하여 벼루와 붓의 뛰어남을 극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 "비탈지고 넓고 멀리 퍼져 있으니, 하늘은 넓고 바다는 얕은 듯, 거원의 벼루로다."는 벼루의 크고 웅장함을 묘사하며, 손수의 후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 "흠뻑 적시고 넘쳐흐르니, 신령이 숨고 귀신이 나올 듯, 여가의 붓으로다."는 문동의 뛰어난 필력을 신묘한 경지에 비유한 것입니다. 붓에서 나오는 그림이 마치 신령과 귀신을 불러내는 듯한 신비로운 힘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남산의 소나무를 태워, 재로 남김이 없고, 능양의 물을 말려, 오로지 그것으로 적시네."는 문동의 그림에 필요한 먹과 물의 양이 엄청나다는 과장법을 사용하여 그의 창작 활동이 얼마나 왕성한지를 강조합니다. 남산은 예로부터 소나무가 많기로 유명했고, 능양은 높은 산에 있어 물을 구하기 어려운 곳입니다. 이러한 배경을 활용하여 문장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습니다. 특히 마지막 주석에서 "능양은 높은 산에 있어, 물을 얻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이로써 희롱한 것이다."라고 덧붙여 과장법임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 소식의 의도: 소식은 이 명문을 통해 친구의 앞날을 축복하고, 그의 재능을 칭송하는 동시에, 선물을 준 손수의 마음까지 기리는 세심함을 보여줍니다. 또한, 과장과 비유를 적절히 사용하여 명문을 더욱 인상 깊게 만들었습니다.

이 「옥당연명」은 소식의 뛰어난 문장력과 재치를 보여주는 작품이며, 친구와의 우정을 소중히 여기는 그의 마음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입니다. 특히 문동이라는 당대 최고의 화가에 대한 찬사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정연명(鼎硯銘)」으로, 솥 모양의 벼루에 대한 명문입니다. 솥의 형상을 빌려 천지 창조의 신화와 자연의 이치를 담고 있으며, 심오한 철학적 사유를 보여줍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솥에는 귀가 없고, 쟁반에는 발이 있네. 어두움을 비추나 기대앉을 책상조차 볼 수 없네. 해를 먹는 벌레는 떨어져 예(羿)에게 부리를 잃었고, 깃털 연못의 변화는 제(帝)가 축복한 꼬리로다. 부주산이 무너져 동남쪽이 기울어지니, 검푸르뎅뎅 깊으니 오직 물길의 끝이로다. 누가 이것을 만들었는가, 옛적 시작도 없을 때부터. 장난스레 그 엉덩이라 이름 붙이니, 기이하고 요사스럽구나.

분석 및 설명:

  • 鼎無耳,槃有趾 (솥에는 귀가 없고, 쟁반에는 발이 있네): 실제 솥에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귀가 있고, 쟁반에는 받침 역할을 하는 발이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이 벼루는 솥 모양을 하고 있지만 귀가 없고, 쟁반처럼 발이 달려있다는 독특한 외형을 묘사하며 시를 시작합니다. 이는 벼루의 안정적인 형태를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鑑幽無見几不倚 (어두움을 비추나 기대앉을 책상조차 볼 수 없네): 벼루는 먹을 갈아 글씨를 쓰게 해줌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지혜를 밝히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벼루 자체는 사물을 볼 수 없으며, 책상에 기대어 있지 않고 홀로 존재합니다. 이는 벼루의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속성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 暘蟲隕羿喪厥喙,羽淵之化帝祝尾 (해를 먹는 벌레는 떨어져 예에게 부리를 잃었고, 깃털 연못의 변화는 제(帝)가 축복한 꼬리로다): 이 구절은 신화적인 상상력을 동원하여 벼루의 기원을 신비롭게 묘사합니다.
    • 暘蟲(양충): 해 속에 산다는 전설 속의 새로, 삼족오(三足烏)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예(羿)는 활을 잘 쏘는 신화 속 인물로, 태양이 열 개나 떠올라 백성들이 고통받자 활로 아홉 개의 태양을 쏘아 떨어뜨렸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그 과정에서 해를 먹던 새가 떨어져 부리를 잃었다는 상상을 펼칩니다.
    • 羽淵(우연): 깃털 연못은 상상 속의 공간으로, 떨어진 해의 새로 인해 깃털이 가득한 연못을 의미하는 듯합니다.
    • 帝祝尾(제축미): 제(帝)는 천상의 신, 즉 상제(上帝)를 의미합니다. 깃털 연못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 상제의 축복을 받은 꼬리가 되었다는 것은 벼루의 범상치 않은 기원을 암시합니다. 이러한 신화적 묘사는 벼루를 단순한 문방구가 아닌, 신성하고 특별한 존재로 격상시키는 효과를 냅니다.
  • 不周僨裂東南圮,黝然而深維水委 (부주산이 무너져 동남쪽이 기울어지니, 검푸르뎅뎅 깊으니 오직 물길의 끝이로다): 부주산(不周山)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산으로, 하늘을 받치고 있는 기둥으로 여겨집니다. 이 산이 무너져 동남쪽 하늘이 기울어졌다는 것은 천지개벽과 같은 거대한 사건을 의미합니다. 벼루의 검고 깊은 먹물을 담는 공간을 이러한 신화적 사건에 비유하여 벼루의 깊이와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維水委(유수위)'는 물길이 모이는 곳, 즉 벼루의 먹물이 담기는 곳을 의미합니다.
  • 誰乎為此昔未始,戲名其臀加幻詭 (누가 이것을 만들었는가, 옛적 시작도 없을 때부터. 장난스레 그 엉덩이라 이름 붙이니, 기이하고 요사스럽구나): 벼루의 기원을 알 수 없는 옛날부터 존재했던 것처럼 묘사하며 신비감을 더합니다. 마지막 구절에서는 벼루의 밑부분을 '엉덩이'라고 익살스럽게 표현하며, 그 모습이 기이하고 요사스럽다고 덧붙입니다. 이는 벼루의 독특한 형태에 대한 작가의 재치 있는 감상을 드러내는 부분입니다.

소식의 <정연명>은 단순히 벼루의 외형을 묘사하는 것을 넘어, 신화적인 상상력과 익살스러운 표현을 통해 벼루를 특별하고 흥미로운 존재로 그려내고 있습니다. 벼루의 안정적인 형태, 묵묵히 지혜를 밝히는 기능, 그리고 범상치 않은 기원을 신화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벼루에 대한 경외감을 드러냅니다. 마지막 구절의 유머러스한 표현은 시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독자로 하여금 미소짓게 만듭니다. 이 시는 사물을 통해 작가의 풍부한 상상력과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이 왕평보(王平甫)의 벼루에 대해 지은 「왕평보연명(王平甫硯銘)」입니다. 짧은 구절 속에 벼루의 고귀함과 왕평보의 인품을 함께 담아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옥의 덕과 쇠의 소리를, 이에 담았네. 중화(中和)의 기운이 스며들어, 물이 없어도 윤택하고, 정직한 기운이 서려, 차갑지 않아도 맑고 깨끗하네. 평보의 벼루를, 소식이 명하노라.

분석 및 설명:

  • 옥덕금성(玉德金聲): "옥의 덕과 쇠의 소리"는 벼루의 재질과 그 가치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옥은 예로부터 귀하고 고결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쇠는 단단하고 굳건한 성질을 지니고 있습니다. 벼루가 옥과 같은 덕과 쇠와 같은 굳건함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특히 '금성(金聲)'은 벼루를 갈 때 나는 소리를 묘사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맑고 청아한 소리가 마치 쇠붙이가 부딪히는 소리처럼 들린다는 의미입니다.
  • 중화(中和): "중화의 기운"은 유교의 중요한 개념으로, 치우침이 없이 조화로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벼루에 중화의 기운이 스며들어 있다는 것은 벼루가 균형과 조화를 상징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중화의 기운은 벼루를 사용하는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쳐 정신을 맑게 하고 조화로운 생각을 하게 한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불수이자(不水而滋): "물이 없어도 윤택하고"라는 구절은 벼루의 뛰어난 품질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좋은 벼루는 먹을 갈 때 물을 많이 쓰지 않아도 먹이 잘 갈리고 윤기가 흐릅니다. 이러한 벼루의 특성을 "물이 없어도 윤택하다"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 정직소빙(正直所冰): "정직한 기운이 서려, 차갑지 않아도 맑고 깨끗하네"라는 구절은 벼루에 서린 정직한 기운을 묘사한 것입니다. 벼루는 먹을 갈아 글을 쓰는 도구이므로, 정직하고 바른 마음으로 글을 써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빙(冰)'은 얼음처럼 맑고 깨끗함을 의미하며, 정직한 기운이 벼루를 맑고 깨끗하게 만든다는 비유적인 표현입니다.
  • 평보(平甫): 왕평보는 소식의 지인으로 추정되지만, 구체적인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 명문은 왕평보에게 벼루를 선물하거나 그가 소장한 벼루에 대해 지은 것으로 보입니다.
  • 소식(軾) 명지(銘之): 마지막 구절 "평보의 벼루를, 소식이 명하노라"는 이 명문을 소식이 지었다는 것을 명확히 밝히는 부분입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벼루의 물성을 묘사하는 동시에, 벼루에 담긴 상징적인 의미를 통해 왕평보의 인품을 칭송하고 있습니다. 옥과 같은 고결함, 쇠와 같은 굳건함, 중화의 조화로움, 정직하고 맑은 마음 등 긍정적인 덕목들을 벼루에 투영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짧지만 함축적인 표현을 통해 벼루와 인물을 동시에 칭찬하는 소식의 뛰어난 문장력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글은 소식(蘇軾)이 등공(鄧公)의 벼루에 대해 지은 「등공연명(鄧公硯銘)」과 그 서문입니다. 왕공(王鞏)이라는 사람이 외조부인 장등공(張鄧公)의 벼루를 얻고 소식에게 명문을 부탁한 것에 대한 화답입니다. 짧지만 간결한 문장 속에 두 가문의 명성과 벼루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문:

왕공은 위국 문정공(魏國文正公)의 손자이다. 그의 외조부인 장등공의 벼루를 얻고, 소식에게 명문을 구하였다. 명문은 다음과 같다.

명문:

등공의 벼루, 위공의 손자로다. 진실로 그 물건이 합당하고, 펼쳐보니 그 사람이로다. 우리 위공의 문장을 생각하니 두텁고, 우리 등공의 덕을 생각하니 장수하셨네. 세 번이나 내 명문을 되새기니, 아름다운 이름을 연구하게 되네.

분석 및 설명:

  • 배경: 왕공은 북송의 명신 왕단(王旦, 시호는 문정공)의 손자입니다. 그의 외조부인 장등공의 벼루를 소장하게 되어, 소식에게 명문을 부탁했습니다. 소식은 왕단과도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인연으로 명문을 지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 등공(鄧公)과 위공(魏公): 등공은 왕공의 외조부인 장씨 성을 가진 분으로, 시호가 등공입니다. 위공은 왕공의 조부인 왕단을 가리킵니다. 명문에서는 두 사람의 덕과 업적을 기리고 있습니다.
  • 윤야기물(允也其物), 전야기인(展也其人): "진실로 그 물건이 합당하고, 펼쳐보니 그 사람이로다"라는 구절은 벼루와 왕공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훌륭한 가문의 유물인 벼루가 그 후손인 왕공에게 돌아간 것은 당연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한, 벼루를 펼쳐보니 외조부의 인품이 보이는 듯하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사아위공문이후(思我魏公文而厚), 사아등공덕이수(思我鄧公德而壽): "우리 위공의 문장을 생각하니 두텁고, 우리 등공의 덕을 생각하니 장수하셨네"라는 구절은 두 사람의 업적을 기리는 내용입니다. 왕단의 문장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등공은 장수를 누렸다고 합니다. 소식은 이 두 가지 특징을 통해 두 사람을 칭송하고 있습니다. '후(厚)'는 문장의 깊이와 풍부함을, '수(壽)'는 장수를 의미합니다.
  • 삼복오명(三復吾銘), 이구령명(以究令名): "세 번이나 내 명문을 되새기니, 아름다운 이름을 연구하게 되네"라는 구절은 명문을 통해 두 가문의 명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삼복(三復)'은 여러 번 반복하여 읽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두 사람의 업적과 명성을 기리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령명(令名)'은 아름다운 이름, 즉 명성을 의미합니다.
  • 간결하고 함축적인 표현: 이 명문은 비교적 짧은 구절로 이루어져 있지만, 두 가문의 내력과 인물들의 특징을 간결하게 잘 담아내고 있습니다. 특히 대구법을 사용하여 문장의 운율과 의미를 더욱 강조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벼루라는 사물을 통해 두 가문의 명성과 그 후손인 왕공을 칭송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외조부의 유물을 소중히 여기는 왕공의 마음과, 그를 통해 두 가문의 명성을 기리는 소식의 마음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또한, 짧지만 함축적인 표현을 통해 명문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사물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속에 인물에 대한 평가와 역사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단연명(端硯銘)」으로, 단주(端州)에서 생산되는 유명한 벼루인 단연(端硯)에 대한 명문입니다. 단연의 채취 과정과 뛰어난 품질을 묘사하며, 이러한 훌륭한 벼루를 만든 사람들을 기리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천 명의 인부가 밧줄을 당기고, 백 명의 인부가 도끼를 휘두르네. 횃불을 밝혀 아래로 내려가, 이 보물을 캐내네. 한 번 숨을 쉬니 물방울이 맺히고, 세월이 오래될수록 더욱 새로워지네. 누가 이와 같을까, 나는 이 사람들을 그리워하네.

분석 및 설명:

  • 단연(端硯): 단연은 중국 광둥성(廣東省) 단주(端州, 지금의 자오칭 시[肇慶市])에서 생산되는 유명한 벼루입니다. 질이 좋고 먹이 잘 갈리는 것으로 유명하며, 예로부터 귀하게 여겨졌습니다. 소식 역시 단연을 매우 아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채취 과정의 묘사: 시의 전반부는 단연의 채취 과정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 천부만경(千夫挽綆), 백부운근(百夫運斤): "천 명의 인부가 밧줄을 당기고, 백 명의 인부가 도끼를 휘두르네"라는 구절은 단연을 채취하는 일이 얼마나 어렵고 힘든 작업인지를 과장법을 사용하여 강조하고 있습니다.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할 정도로 채취가 어려운 귀한 돌임을 나타냅니다. '경(綆)'은 두레박줄, '근(斤)'은 도끼를 의미합니다.
    • 구화하추(篝火下縋): "횃불을 밝혀 아래로 내려가"라는 구절은 동굴 속 깊은 곳에서 단연을 채취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어두운 동굴 속에서 횃불에 의지하여 작업을 해야 할 정도로 채취 환경이 험난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구화(篝火)'는 횃불, '추(縋)'는 밧줄에 매달아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 뛰어난 품질의 묘사: 시의 후반부는 단연의 뛰어난 품질을 간결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 일휴이현(一噓而泫): "한 번 숨을 쉬니 물방울이 맺히고"라는 구절은 단연의 뛰어난 보습성(保濕性)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좋은 단연은 숨을 불면 습기가 맺힐 정도로 물기를 잘 머금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는 먹을 갈 때 물이 적게 들어도 잘 갈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泫)'은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의미합니다.
    • 세구유신(歲久愈新): "세월이 오래될수록 더욱 새로워지네"라는 구절은 단연의 내구성과 가치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단연은 오래 사용해도 변질되지 않고 오히려 그 가치가 더해진다고 합니다.
  • 만든 사람들에 대한 존경: 마지막 구절 "누가 이와 같을까, 나는 이 사람들을 그리워하네"는 이러한 귀한 벼루를 만들어낸 사람들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훌륭한 벼루를 만들어낸 그들의 노력과 장인 정신을 기리는 것입니다. '사인(斯人)'은 이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단연이라는 벼루의 채취 과정과 뛰어난 품질을 묘사하는 동시에, 이를 만들어낸 사람들에 대한 존경을 표하고 있습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 귀한 보물을 캐내고, 뛰어난 기술로 훌륭한 벼루를 만들어낸 사람들의 노고를 기리는 소식의 마음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또한, 간결하면서도 함축적인 표현을 통해 단연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그 속에 담긴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게 하는 소식 문학의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이 공의보(孔毅甫)의 용미연(龍尾硯)에 대해 지은 「공의보용미연명(孔毅甫龍尾硯銘)」입니다. 용미연은 흡주(歙州)에서 나는 질 좋은 벼루로, 특히 그 품질이 뛰어나 명문가에서 귀하게 여겼습니다. 소식은 이 명문을 통해 용미연의 특징을 간결하고 함축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까칠하지만 붓을 붙잡지 않고, 매끄럽지만 먹을 거부하지 않네. 손톱 같은 표면이지만 비단 같은 결이 있고, 쇳소리가 나지만 옥의 덕을 지녔네. 두텁고 단단하여, 예나 지금의 사람들을 두루 만족시킬 만하고, 소박하고 묵직하여, 사람을 따라 남북으로 옮겨 다니지 않네.

분석 및 설명:

  • 용미연(龍尾硯): 용미연은 안후이성(安徽省) 흡현(歙縣)에서 나는 벼루로, 돌의 무늬가 용의 꼬리처럼 생겼다고 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습니다. 돌의 질이 단단하고 곱기 때문에 먹이 잘 갈리고, 묵색이 아름답게 나타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 섭불유필(澀不留筆), 활불거묵(滑不拒墨): "까칠하지만 붓을 붙잡지 않고, 매끄럽지만 먹을 거부하지 않네"라는 구절은 용미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을 대조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좋은 벼루는 적당히 까칠하여 붓이 미끄러지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매끄러워 먹이 잘 갈려야 합니다. 용미연은 이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훌륭한 벼루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섭(澀)'은 까칠함을, '활(滑)'은 매끄러움을 의미합니다.
  • 조부이곡리(爪膚而縠理): "손톱 같은 표면이지만 비단 같은 결이 있고"라는 구절은 용미연의 섬세한 질감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손톱처럼 매끄럽고 단단한 표면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비단처럼 섬세하고 부드러운 결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조부(爪膚)'는 손톱 표면, '곡리(縠理)'는 얇은 비단의 결을 의미합니다.
  • 금성이옥덕(金聲而玉德): "쇳소리가 나지만 옥의 덕을 지녔네"라는 구절은 용미연의 단단함과 고귀함을 동시에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돌을 두드렸을 때 쇳소리처럼 맑고 단단한 소리가 나지만, 그 속에는 옥과 같은 고귀하고 아름다운 덕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금성(金聲)'은 쇳소리, '옥덕(玉德)'은 옥의 맑고 고귀한 덕을 의미합니다.
  • 후이견(厚而堅), 족이열인어고금(足以閱人於古今): "두텁고 단단하여, 예나 지금의 사람들을 두루 만족시킬 만하고"라는 구절은 용미연의 내구성과 보편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두껍고 단단하여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예나 지금이나 모든 사람들에게 사랑받을 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열인(閱人)'은 사람들을 두루 만족시킨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박이중(朴而重), 불능수인이남북(不能隨人以南北): "소박하고 묵직하여, 사람을 따라 남북으로 옮겨 다니지 않네"라는 구절은 용미연의 변치 않는 가치와 본질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겉모습은 화려하지 않고 소박하지만, 그 본질은 묵직하고 변하지 않아 사람의 뜻에 따라 이리저리 옮겨 다니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용미연의 변치 않는 가치와 본질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해석됩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용미연의 뛰어난 품질과 변치 않는 가치를 간결하고 함축적인 언어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소식은 대조적인 표현과 비유를 사용하여 용미연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으며, 짧은 구절 속에 용미연의 모든 장점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그 속에 담긴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게 하는 소식 문학의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특히 이 명문은 벼루에 대한 묘사 중에서도 매우 유명한 구절들을 포함하고 있어, 후대 문인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이 지은 「봉취연명(鳳咮硯銘)」으로, 봉취연(鳳咮硯)이라는 벼루에 대한 명문입니다. 봉취연은 흡주(歙州)에서 나는 벼루 중에서도 특히 귀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그 독특한 형태와 뛰어난 품질로 인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소식은 이 명문을 통해 봉취연의 기원과 특징, 그리고 그 가치를 찬미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상제(上帝)가 무이산(武夷山)을 다원으로 만들 때, 산은 외로운 봉황이 날아다니며 향기를 맡는 모습이 되었네. 아래로는 지초 밭에 내려앉아 아름다운 옥돌을 쪼고, 옥 같은 젖과 금빛 모래가 신령한 구멍에서 솟아나네. 부서진 옥 조각과 깨진 옥벽이 윤택하고 검으니, 다듬어 서예용 벼루로 만드니 아름다움이 비할 데 없네. 지극히 귀한 보물이라 세상을 놀라게 하여 처음에는 팔리지 않았으나, 검은 눈썹과 누런 눈을 가진 것들이 아름다움과 추함을 다투네. 소자가 한 번 보고 봉취(鳳咮)라 이름 붙이니, 앉은 자리에서 용미(龍尾)를 소의 꼬리 뒤로 부끄럽게 하네.

분석 및 설명:

  • 봉취(鳳咮): 봉취는 봉황의 부리라는 뜻으로, 벼루의 형태가 봉황의 부리와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흡주에서 나는 벼루 중에서도 특히 희귀하고 귀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 기원과 형태의 묘사: 시의 전반부는 봉취연의 기원과 독특한 형태를 신화적인 상상력을 동원하여 묘사하고 있습니다.
    • 제규무이작다유(帝規武夷作茶囿): "상제가 무이산을 다원으로 만들 때"라는 구절은 봉취연의 기원을 신화적인 이야기로 설명하려는 시도입니다. 무이산은 중국의 유명한 명산으로, 차 생산지로도 유명합니다. 이 구절은 봉취연이 하늘의 뜻에 의해 만들어진 신령한 물건임을 암시합니다.
    • 산위고봉상차후(山為孤鳳翔且嗅): "산은 외로운 봉황이 날아다니며 향기를 맡는 모습이 되었네"라는 구절은 봉취연이 만들어진 산의 형상을 봉황에 비유하여 묘사한 것입니다. 봉황은 상서로운 새로 여겨지므로, 봉취연의 신성함을 더욱 강조하는 효과를 줍니다.
    • 하지지전탁경구(下集芝田啄瓊玖): "아래로는 지초 밭에 내려앉아 아름다운 옥돌을 쪼고"라는 구절은 봉취연의 재료가 되는 돌이 매우 귀한 것임을 나타냅니다. 지초는 영지버섯으로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여겨졌으며, 경구는 아름다운 옥돌을 의미합니다.
    • 옥유금사발영두(玉乳金沙發靈竇): "옥 같은 젖과 금빛 모래가 신령한 구멍에서 솟아나네"라는 구절은 봉취연의 돌에서 나오는 독특한 광택과 질감을 묘사한 것입니다. 옥의 젖과 금빛 모래는 돌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영두(靈竇)'는 신령한 구멍, 즉 돌이 채취되는 곳을 의미합니다.
  • 뛰어난 품질과 가치의 묘사: 시의 후반부는 봉취연의 뛰어난 품질과 그로 인한 높은 가치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 잔장단벽택이유(殘璋斷璧澤而黝): "부서진 옥 조각과 깨진 옥벽이 윤택하고 검으니"라는 구절은 봉취연의 돌이 원래 옥과 같은 귀한 재료였음을 나타냅니다. '잔장(殘璋)'과 '단벽(斷璧)'은 부서진 옥 조각과 깨진 옥벽을 의미하며, '유(黝)'는 검은색을 의미합니다.
    • 치위서연미무유(治為書硯美無有): "다듬어 서예용 벼루로 만드니 아름다움이 비할 데 없네"라는 구절은 봉취연의 뛰어난 품질과 예술성을 극찬하는 표현입니다.
    • 지진경세초막수(至珍驚世初莫售): "지극히 귀한 보물이라 세상을 놀라게 하여 처음에는 팔리지 않았으나"라는 구절은 봉취연의 가치를 몰라 처음에는 팔리지 않았지만, 그 진가를 알아보는 사람이 나타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음을 암시합니다.
    • 흑미황안쟁연루(黑眉黃眼爭妍陋): "검은 눈썹과 누런 눈을 가진 것들이 아름다움과 추함을 다투네"라는 구절은 다른 벼루들이 봉취연과 아름다움을 비교하려 하지만, 봉취연의 뛰어난 아름다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흑미황안(黑眉黃眼)'은 평범한 벼루들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해석됩니다.
    • 소자일견명봉취(蘇子一見名鳳咮), 좌령용미수우후(坐令龍尾羞牛後): "소자가 한 번 보고 봉취라 이름 붙이니, 앉은 자리에서 용미를 소의 꼬리 뒤로 부끄럽게 하네"라는 구절은 소식이 봉취연의 이름을 지어주고 그 가치를 인정함으로써, 다른 유명한 벼루인 용미연조차 부끄럽게 만들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봉취연의 뛰어난 가치를 극적으로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봉취연의 신비로운 기원과 독특한 형태, 뛰어난 품질과 예술성을 찬미하고 있습니다. 소식은 신화적인 상상력과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봉취연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으며,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자신의 이름을 언급하며 봉취연의 가치를 더욱 높이는 효과를 주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그 속에 담긴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게 하는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이 미불(米黻)이 종산(鍾山)에서 얻은 돌로 만든 벼루에 대해 지은 「미불석종산연명(米黻石鍾山硯銘)」입니다. 미불은 북송의 유명한 서화가이자 감식가로, 기이한 것을 탐하고 수집하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이 명문은 미불이 종산에서 돌을 얻어 벼루를 만든 일화를 소재로 하여, 그의 독특한 성격과 예술적 감각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도둑질을 막지 않고, 기이함을 탐하여 보물을 찾아내네. 팽려호(彭蠡湖)에서 가져와, 종산을 깎아 쫓아 만들었네. 미씨 집안의 미친 사람, 오직 도둑질의 은밀함을 행하네. 산을 인하여 벼루를 만드니, 그 말이 구름과 같네.

분석 및 설명:

  • 배경: 미불은 기이한 돌이나 골동품 등을 수집하는 것을 매우 좋아했습니다. 종산은 지금의 장쑤성(江蘇省) 난징시(南京市)에 있는 산으로, 예로부터 명승지로 유명했습니다. 미불은 이곳에서 마음에 드는 돌을 발견하고 그것을 가져와 벼루를 만들었는데, 소식은 이 일화를 듣고 이 명문을 지은 것으로 보입니다.
  • 유도불어(有盜不禦), 탐기발괴(探奇發瑰): "도둑질을 막지 않고, 기이함을 탐하여 보물을 찾아내네"라는 구절은 미불의 독특한 행동을 묘사한 것입니다. '도(盜)'는 단순히 물건을 훔치는 행위뿐만 아니라, 남들이 가지지 못한 귀한 것을 얻는 행위, 즉 미불의 수집벽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기(奇)'는 기이한 것, '괴(瑰)'는 아름다운 보물을 의미합니다. 즉, 남들이 주목하지 않는 곳에서 귀한 것을 찾아내는 미불의 안목을 칭찬하는 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양우팽려(攘于彭蠡), 착종취추(斲鍾取追): "팽려호에서 가져와, 종산을 깎아 쫓아 만들었네"라는 구절은 미불이 돌을 얻어 벼루를 만든 과정을 간략하게 묘사한 것입니다. 팽려호는 지금의 장시성(江西省)에 있는 큰 호수로, 종산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이 구절은 미불이 먼 곳에서 돌을 가져왔음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양(攘)'은 가져오는 것을, '착(斲)'은 깎는 것을, '추(追)'는 (모양을) 쫓아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 유미초광(有米楚狂), 유도지은(惟盜之隱): "미씨 집안의 미친 사람, 오직 도둑질의 은밀함을 행하네"라는 구절은 미불의 괴팍한 성격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초광(楚狂)'은 초나라의 미친 사람, 즉 광인을 의미하며, 미불의 자유분방하고 예측 불가능한 성격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도지은(盜之隱)'은 도둑질의 은밀함, 즉 남들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귀한 것을 얻는 미불의 행위를 의미합니다.
  • 인산작연(因山作研), 기사여운(其詞如雲): "산을 인하여 벼루를 만드니, 그 말이 구름과 같네"라는 구절은 미불이 돌을 얻어 벼루를 만든 행위와 그의 뛰어난 문장력을 연결시킨 것입니다. '인산(因山)'은 산에서 얻은 돌을 이용하여, 즉 돌의 본래 형태를 살려 벼루를 만들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기사여운(其詞如雲)'은 그의 문장이 구름처럼 풍부하고 변화무쌍하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미불의 예술적 재능을 칭찬하는 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미불의 독특한 성격과 예술적 감각을 익살스럽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소식은 미불의 기행(奇行)을 '도둑질'에 비유하면서도, 그의 뛰어난 안목과 예술적 재능을 칭찬하고 있습니다. 또한, 짧은 구절 속에 미불의 개성을 효과적으로 담아내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인물에 대한 평가와 흥미로운 일화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글은 소식(蘇軾)이 지은 「부연명(黼硯銘)」과 그 서문입니다. 부연(黼硯)은 용미석(龍尾石)으로 만든 벼루의 일종으로, 장성황제(章聖皇帝, 송 진종)가 사용했던 것을 외척인 유씨에게 하사했고, 이후 여러 사람을 거쳐 소식의 종친인 소종맹(蘇宗孟)에게 전해지게 되었습니다. 소식은 이 벼루에 대한 내력을 서문에 적고, 명문을 지어 그 가치를 기리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문:

용미 부연은, 장성황제께서 일찍이 사용하시던 것이다. 건흥 연간에 승하하신 후, 외척인 유씨에게 하사되었고, 영년을 거쳐 그의 외삼촌인 왕제유에게 전해졌으며, 신 소식이 그것을 얻어 신의 종친인 소종맹에게 주었다. 이에 명하여 이르노라.

명문:

의주(黟州)와 흡주(歙州)의 보물은, 이 돌이 아니면 없다. 부(黼)의 형상에 비단결 무늬를 지녔고, 쇳소리에 옥빛을 띠었네. 구름이 피어오르고 이슬이 촉촉이 젖은 듯하니, 상서로운 기운이 감도는 듯하네. 두 신하가 번갈아 가며 보배로 여기니, 보는 자는 반드시 감탄하리라.

분석 및 설명:

  • 배경: 이 명문은 황제가 사용하던 귀한 벼루가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소식의 종친에게 이르게 된 내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벼루의 역사적 가치와 희소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부(黼): 부는 도끼 무늬를 뜻합니다. 벼루의 모양이 도끼 무늬와 비슷하다고 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입니다.
  • 의주(黟州)와 흡주(歙州): 의주와 흡주는 모두 안후이성(安徽省)에 위치한 지역으로, 특히 흡주는 용미석의 산지로 유명합니다. 용미석은 벼루의 재료로 매우 귀하게 여겨졌습니다. "의주와 흡주의 보물은, 이 돌이 아니면 없다"라는 구절은 용미석, 즉 이 벼루의 재료가 얼마나 귀한지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부형이곡리(黼形而縠理), 금성이옥색(金聲而玉色): "부의 형상에 비단결 무늬를 지녔고, 쇳소리에 옥빛을 띠었네"라는 구절은 벼루의 외형적 특징을 묘사한 것입니다. 도끼 모양의 형태에 비단결처럼 섬세한 무늬가 있고, 두드렸을 때 쇳소리가 나면서도 옥과 같은 아름다운 빛깔을 띠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벼루의 재질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칭찬하는 표현입니다.
  • 운증로담(雲蒸露湛), 상부지택(祥符之澤): "구름이 피어오르고 이슬이 촉촉이 젖은 듯하니, 상서로운 기운이 감도는 듯하네"라는 구절은 벼루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묘사한 것입니다. '상부(祥符)'는 송 진종의 연호로, 황제가 사용했던 벼루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동시에, 상서로운 기운이 깃들어 있다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이는 벼루의 신성함과 권위를 높이는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이신경보지(二臣更寶之), 견자필작야(見者必作也): "두 신하가 번갈아 가며 보배로 여기니, 보는 자는 반드시 감탄하리라"라는 구절은 이 벼루를 소유했던 사람들의 높은 안목과 벼루의 뛰어난 가치를 동시에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황제와 소식을 포함한 여러 사람들이 이 벼루를 소중하게 여겼다는 사실을 통해, 벼루의 가치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작(作)'은 감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황제가 사용했던 귀한 벼루가 여러 사람을 거쳐 소식의 종친에게 전해진 내력과 그 뛰어난 가치를 찬미하고 있습니다. 소식은 벼루의 재질, 형태, 역사적 배경 등을 묘사하며, 이 벼루가 단순한 문방사우가 아닌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가치를 지닌 보물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역사적 사실과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이 지은 「금성동명(金星洞銘)」으로, 금성동(金星洞)이라는 동굴에 대한 명문입니다. 금성동은 보산(寶山) 남쪽 기슭에 위치하며, 독특한 지형과 그곳에서 발견되는 특이한 형상의 돌들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소식은 이 명문을 통해 자연의 신비로움과 그 안에 담긴 의미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보산 남쪽 기슭 봉황의 왼쪽 날개, 놀라운 우레가 돌을 갈라 올챙이 모양이 솟아났네. 응축된 음기가 굳어져 기이하고 신비한 것을 낳으니, 이것이 신령한 풀이 되어 푸른 큰 뱀을 닮았네. 무성한 붉은 지초가 등줄기와 꼬리를 끼고, 흐르는 물과 붉은 돌이 종기를 터뜨리네. 금성은 실제가 아니라 단지 비유를 취한 것이니, 산과 돌에까지 미쳐 또한 일컬어지니, 무릇 이름이 서로 인하는 것이 모두 이와 같네.

분석 및 설명:

  • 배경: 소식은 자연을 관찰하고 그 속에서 의미를 찾는 것을 즐겼습니다. 이 명문은 금성동이라는 특이한 동굴의 모습과 그곳에서 발견되는 돌들을 묘사하며, 자연의 신비로움과 그 안에 담긴 의미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 보산남록봉좌시(寶山南麓鳳左翅): "보산 남쪽 기슭 봉황의 왼쪽 날개"라는 구절은 금성동의 위치를 비유적으로 묘사한 것입니다. 보산을 봉황에 비유하고, 금성동을 그 봉황의 왼쪽 날개에 비유하여, 동굴의 지리적 위치와 형상을 시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록(麓)'은 산기슭을, '시(翅)'는 날개를 의미합니다.
  • 경뢰획석포두기(驚雷劃石逋蚪起): "놀라운 우레가 돌을 갈라 올챙이 모양이 솟아났네"라는 구절은 동굴의 형성이 마치 우레가 돌을 갈라놓은 것처럼 보인다는 의미입니다. '포두(逋蚪)'는 올챙이를 의미하며, 갈라진 돌의 모양이 올챙이와 비슷하다고 표현한 것입니다. 이는 자연의 힘에 의해 만들어진 동굴의 신비로움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응음허견출괴위(凝陰噓堅出怪瑋): "응축된 음기가 굳어져 기이하고 신비한 것을 낳으니"라는 구절은 동굴 안에서 발견되는 특이한 형상의 돌들이 음기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응음(凝陰)'은 응축된 음기를, '괴위(怪瑋)'는 기이하고 신비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연의 신비로운 조화 능력을 보여주는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시생신초초창훼(是生神草肖蒼虺): "이것이 신령한 풀이 되어 푸른 큰 뱀을 닮았네"라는 구절은 동굴에서 발견되는 특이한 형상의 돌들이 마치 신령한 풀이 푸른 큰 뱀을 닮은 것처럼 보인다는 의미입니다. '창훼(蒼虺)'는 푸른 큰 뱀을 의미하며, 돌의 형상을 뱀에 비유하여 신비로운 분위기를 더하고 있습니다.
  • 리리적지협척미(離離赤志挾脊尾), 비류단석결옹위(飛流丹石決癰痏): "무성한 붉은 지초가 등줄기와 꼬리를 끼고, 흐르는 물과 붉은 돌이 종기를 터뜨리네"라는 구절은 동굴 주변의 자연 환경을 묘사한 것입니다. 붉은 지초와 흐르는 물, 붉은 돌 등이 어우러진 풍경을 통해, 동굴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더욱 강조하고 있습니다. '적지(赤志)'는 붉은 지초, '옹위(癰痏)'는 종기를 의미합니다.
  • 금성비실특취사(金星非實特取似), 시급산석역견위(施及山石亦見謂), 범명상인개차비(凡名相因皆此比): "금성은 실제가 아니라 단지 비유를 취한 것이니, 산과 돌에까지 미쳐 또한 일컬어지니, 무릇 이름이 서로 인하는 것이 모두 이와 같네"라는 구절은 '금성'이라는 이름이 실제 금성(金星)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비유적인 표현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비유가 산과 돌과 같은 자연물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세상의 모든 이름들이 이러한 비유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름의 본질과 의미에 대한 소식의 생각을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금성동이라는 특이한 동굴의 모습과 그 주변의 자연 환경을 묘사하며, 자연의 신비로움과 그 안에 담긴 의미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소식은 비유와 상상력을 통해 동굴의 형상과 그곳에서 발견되는 돌들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으며, 마지막 구절에서는 이름의 본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이름의 의미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글은 소식(蘇軾)이 지은 「산당명(山堂銘)」과 그 서문입니다. 희녕(熙寧) 9년 여름 큰 비로 인해 동무성(東武城)의 도랑이 무너지고 많은 돌이 쏟아져 나오자, 그 돌들을 모아 집 북쪽 담장에 작은 산을 쌓고 그 위에 나무를 심었으며, 북쪽으로 새로운 당(堂)을 지어 마음을 쉬고 뜻을 담고자 했던 일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문:

희녕 9년 여름 6월에 큰 비가 내려, 시골 사람이 와서 옛 동무성 가운데 도랑이 무너져 부서지고, 무수한 돌이 쏟아져 나왔다고 알렸다. 그 돌들을 가져와 쌓아 두었다가, 이에 거처하는 곳의 북쪽 담장을 따라 다섯 겹으로 산을 만들고, 그 위에 소나무, 측백나무, 복숭아나무, 오얏나무를 심었으며, 또한 새로운 당을 북쪽으로 내어 지어 마음을 놀리고 뜻을 부치고자 하였다. 그 명에 이르기를,

명문:

누가 이 단단한 것을 모았는가, 토백(土伯)이 쌓아 둔 것이로다. 큰물에 흘러나오니, 신이 나에게 준 것이로다. 집채를 인하여 당을 만들고, 성터를 밟아 산을 만들었네. 높고 푸르른 나무들이 있으니, 백 년을 굽어보고 우러르리라.

분석 및 설명:

  • 배경: 소식은 자연을 사랑하고 그 속에서 의미를 찾는 것을 즐겼습니다. 이 글은 큰 비로 인해 우연히 얻게 된 돌들을 이용하여 집 안에 작은 산과 당을 만들고, 그곳에서 마음의 평안을 찾고자 했던 소식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 서문의 내용: 서문은 이 명문을 짓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큰 비로 인해 성의 도랑이 무너지고 돌이 쏟아져 나온 일, 그 돌들을 모아 작은 산을 만든 일, 그리고 새로운 당을 지은 일 등을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명문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 토백(土伯): 토백은 땅을 다스리는 신입니다. "누가 이 단단한 것을 모았는가, 토백이 쌓아 둔 것이로다"라는 구절은 쏟아져 나온 돌들이 마치 토백이 쌓아 놓은 것처럼 보인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자연의 힘을 신의 작용에 비유하여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요류발지(潦流發之), 신이비여(神以畀予): "큰물에 흘러나오니, 신이 나에게 준 것이로다"라는 구절은 우연히 얻게 된 돌들을 신의 선물로 여기는 소식의 마음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는 자연과의 조화와 순리에 따르는 소식의 사상을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요(潦)'는 큰물을, '비(畀)'는 주다라는 뜻입니다.
  • 인무위당(因廡為堂), 천성위산(踐城為山): "집채를 인하여 당을 만들고, 성터를 밟아 산을 만들었네"라는 구절은 기존의 집과 성터를 이용하여 당과 산을 만들었음을 간략하게 표현한 것입니다. 이는 자연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려는 소식의 의도를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무(廡)'는 집채, 행랑채를 의미합니다.
  • 유교창창(有喬蒼蒼), 부앙백년(俯仰百年): "높고 푸르른 나무들이 있으니, 백 년을 굽어보고 우러르리라"라는 구절은 작은 산 위에 심은 나무들을 묘사한 것입니다. 나무들이 오랜 세월 동안 그 자리를 지키며 사람들을 굽어보고 우러러볼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의 영원성과 인간의 유한함을 대비시키는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교(喬)'는 높은 나무를, '창창(蒼蒼)'은 푸르고 무성한 모양을 의미합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우연한 기회에 얻게 된 돌들을 이용하여 작은 산과 당을 만들고, 그곳에서 마음의 평안을 찾고자 했던 소식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소식은 자연의 힘을 신의 작용에 비유하고, 우연을 필연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또한, 자연과의 조화와 순리에 따르는 삶의 자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자연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삶의 의미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글은 소식(蘇軾)이 오복고(吳復古) 자야(子野)라는 인물의 암자, 즉 원유암(遠遊庵)에 대해 지은 명(銘)과 서(序)입니다. 소식은 오복고라는 인물의 행적과 사상을 묘사하며, 굴원(屈原)의 「원유(遠遊)」와 사마상여(司馬相如)의 「대인부(大人賦)」를 인용하여 그의 삶을 비유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문:

오복고 자야는, 나는 그가 어떤 사람인지 알지 못한다. 다만 그가 인간 세상에 출입하는 것을 보니, 마치 구하는 것이 있는 듯하지만, 그가 무엇을 구하는지는 보이지 않는다. 기뻐하지도 근심하지도 않고, 강하지도 유하지도 않으며, 게으르지도 힘쓰지도 않으니, 나는 그가 어떤 사람인지 알지 못한다. 옛날 사마상여가 말하기를, “신선과 같은 유학자들이 산과 물 사이에서 사니, 모습이 매우 수척하다.”라고 하였다. 이에 굴원의 「원유」를 취하여 「대인부」를 지었으니, 그 말이 웅장하고 심오하여, 억제하지 않고 방일하다. 지금 자야가 사방을 십여 년 동안 돌아다니다가, 남해 가에 돌아왔으니, 반드시 장차 백 세를 굽어보고, 만 리를 순식간에 지나며, 굴원의 원유에서 얻은 바가 있을 것이므로, 그 암자의 이름으로 삼고 명하여 이르노라.

명문:

슬프다, 세속의 좁고 답답함이여, 그대를 따라 멀리 유람하기를 원하네. 그대는 돌아오지 않고, 나는 가지 않으니, 아득히 서로를 구하게 하네. 굴원에게 도를 묻고, 상여에게 수레를 빌려, 홀연히 자신을 알지 못하고, 구의산을 지나 숭구에 이르렀네. 아득히 남해 가에서 서로 만나니, 거북 껍데기에 앉아 대합을 먹는 자는 반드시 그대이리라. 바라건대 나를 위해 한 번 웃어 주어 잠시 머물러 주겠는가?

분석 및 설명:

  • 배경: 소식은 이 글에서 오복고라는 인물을 통해 세속을 초탈한 삶의 자세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오복고의 행적을 굴원의 「원유」에 비유하며, 자유로운 삶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 서문의 내용: 서문은 소식이 오복고라는 인물에 대해 느낀 점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그의 행적을 관찰했지만 그가 무엇을 추구하는지 알 수 없었고, 그의 초연한 태도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마상여와 굴원의 이야기를 인용하여 오복고의 삶을 비유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 사마상여(司馬相如)와 굴원(屈原)의 인용: 소식은 사마상여의 “열선지유(列仙之儒)”라는 표현과 굴원의 「원유」를 인용하여 오복고의 삶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오복고가 세속적인 가치관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인물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특히 굴원의 「원유」는 신선 세계를 동경하며 자유롭게 유람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오복고의 행적과 연결됩니다.
  • 비재세속지박애야(悲哉世俗之迫隘也), 원종자이원유(願從子而遠遊): "슬프다, 세속의 좁고 답답함이여, 그대를 따라 멀리 유람하기를 원하네"라는 구절은 세속의 굴레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삶을 갈망하는 소식의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오복고의 삶을 통해 세속의 답답함을 비판하고, 자유로운 삶을 동경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 자귀불래(子歸不來), 이오불왕(而吾不往), 사망상호상구(使罔象乎相求): "그대는 돌아오지 않고, 나는 가지 않으니, 아득히 서로를 구하게 하네"라는 구절은 오복고와 소식의 관계를 나타낸 것입니다. 오복고는 세속을 떠나 자유로운 삶을 살고, 소식은 세속에 남아 있지만 그의 삶을 동경하며 멀리서나마 그를 찾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망상(罔象)'은 아득하고 분명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 문도어굴원(問道於屈原), 차거어상여(借車於相如), 홀언부자지(忽焉不自知), 역구의이과숭구(歷九疑而過崇丘): "굴원에게 도를 묻고, 상여에게 수레를 빌려, 홀연히 자신을 알지 못하고, 구의산을 지나 숭구에 이르렀네"라는 구절은 굴원과 사마상여의 이야기를 인용하여 자유로운 유람의 모습을 묘사한 것입니다. 이는 오복고의 삶을 더욱 신비롭고 이상적인 것으로 표현하는 효과를 줍니다. 구의산과 숭구는 모두 전설 속의 명산입니다.
  • 완혜상봉호남해지상(宛兮相逢乎南海之上), 거구각이식합려자필자야(踞龜殼而食蛤蜊者必子也): "아득히 남해 가에서 서로 만나니, 거북 껍데기에 앉아 대합을 먹는 자는 반드시 그대이리라"라는 구절은 오복고의 자유로운 삶의 모습을 상상하여 묘사한 것입니다. 남해 가에서 거북 껍데기에 앉아 대합을 먹는 모습은 세속적인 가치관에서 완전히 벗어난 자유로운 삶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 서기위아일소이소류호(庶幾為我一笑而少留乎): "바라건대 나를 위해 한 번 웃어 주어 잠시 머물러 주겠는가?"라는 구절은 소식이 오복고에게 보내는 간절한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비록 세속에 남아 있지만, 오복고의 자유로운 삶을 동경하며 잠시라도 머물러 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오복고라는 인물을 통해 세속을 초탈한 자유로운 삶의 가치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소식은 굴원의 「원유」와 사마상여의 「대인부」를 인용하여 오복고의 삶을 비유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세속의 답답함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삶을 갈망하는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인물 묘사를 넘어 삶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글은 소식(蘇軾)이 지은 「서주연화루명(徐州蓮華漏銘)」과 그 서문입니다. 연화루(蓮華漏)는 물시계의 일종으로, 원래 연공숙(燕公肅)이 만든 정교한 기계였으나, 서주(徐州)에서는 눈먼 사람 위박(衛朴)이 만든 것을 사용하여 원래의 방식에서 벗어난 채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이후 부씨(傅氏)라는 사람이 원래의 방식을 되살려 개량하였고, 소식에게 명문을 부탁하여 이 글이 지어지게 되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문:

옛 용도각직학사 예부시랑 연공 숙은 창조하는 지혜로 천하에 이름이 알려졌는데, 연화루를 만들어 세상 사람들이 그 정교함에 탄복하였다. 무릇 공이 다스리는 곳에는 반드시 이것을 만들었다. 지금 여러 주와 군에 흔히 있지만, 비록 솜씨 좋은 자가 있어도 감히 더하거나 빼는 자가 없다. 그러나 서주만 홀로 눈먼 사람 위박이 만든 것을 사용하여, 정해진 법을 폐하고 제멋대로 하니, 병은 있으되 화살이 없다. 스스로 눈이 없으므로 천하의 보는 것을 폐하였다고 여기니, 지키는 자로 하여금 그 가득 참을 기다리게 하여, 이에 터뜨려 다시 물을 붓게 하니, 사람들이 모두 비웃는다. 국자박사 부군은 양공의 외증손인데, 그 법을 얻어 자세히 살펴보니 이 고을을 다스릴 때, 비로소 고쳐 만들었으며, 나 소식에게 명문을 청하였다. 명에 이르기를,

명문:

사람이 믿는 것은, 손과 발과 귀와 눈이다. 눈은 많고 적음을 분별하고, 손은 무겁고 가벼움을 안다. 그러나 사람이 손으로 헤아리고 눈으로 계산하는 자는 있지 않으니, 반드시 도량형과 저울에 맡긴다. 어찌 자신을 믿지 않고 사물을 믿는 것이겠는가? 대개 무심(無心)하고 무아(無我)한 뒤에 만물의 이치를 얻는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천지의 춥고 더움과, 해와 달의 밝고 어두움도, 곤륜산이 삼십팔만 칠천 리 밖에서 넓게 펼쳐져 있어도, 삼 척의 화살과 다섯 말의 병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비록 빠른 우레와 짙은 바람, 비와 눈이 낮에도 어둡게 하여도, 빠르고 느림에 정도가 있어, 더하거나 덜함이 없다. 무릇 벼슬아치가 되는 자로 하여금, 병이 물을 받는 것과 같이, 그 양을 넘지 않게 하고, 물에 뜬 화살과 같이, 그 평형을 잃지 않게 하라. 화살의 오르내림과 같이, 때의 오르내림을 보아, 내려감을 욕되게 여기지 않고, 올라감을 영화롭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들이 장차 저절로 마음으로 복종하고, 나에게 생사를 맡기리라.

분석 및 설명:

  • 배경: 이 명문은 원래 정교하게 만들어진 연화루가 서주에서 잘못 운영되고 있는 상황을 지적하고, 이후 개량을 통해 원래의 기능을 회복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졌습니다.
  • 서문의 내용: 서문은 연화루의 기원과 서주에서의 잘못된 운영 방식, 그리고 개량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눈먼 사람이 만든 엉성한 물시계를 사용했던 서주의 상황을 비판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 인소신자(人所信者), 수족이목야(手足耳目也): "사람이 믿는 것은, 손과 발과 귀와 눈이다"라는 구절은 인간의 기본적인 감각 기관을 언급하며, 이러한 감각만으로는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함을 암시합니다.
  • 필부지어도량여권형(必付之於度量與權衡): "반드시 도량형과 저울에 맡긴다"라는 구절은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객관적인 도구, 즉 도량형과 저울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이는 물시계와 같은 기계 장치의 중요성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 개이위무의무아(蓋以為無意無我), 연후득만물지정(然後得萬物之情): "대개 무심하고 무아한 뒤에 만물의 이치를 얻는다고 여기기 때문이다"라는 구절은 객관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는 물시계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규칙을 따라야 함을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 곤륜방박(崑崙旁薄) ... 불가피어(不可避於): 곤륜산의 광대함에도 불구하고 작은 물시계의 원리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비유는, 천지의 이치와 인간의 도리가 작은 기계의 원리에도 담겨 있음을 보여줍니다.
  • 사범위리자(使凡為吏者) ... 기아이사이생의(寄我以死生矣): 이 부분은 관리들이 물시계처럼 정확하고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해야 백성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물시계의 정확성이 시간의 흐름을 정확하게 알려주는 것처럼, 관리의 공정성은 백성들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특히 "강불위욕(降不為辱), 승불위영(升不為榮)"이라는 구절은 지위의 높낮이에 연연하지 않고 오직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물시계라는 사물을 통해 관리의 올바른 자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소식은 물시계의 정확성과 공정성을 관리의 덕목에 비유하며, 객관적이고 공정한 자세로 직무에 임해야 백성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음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정치적인 교훈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글은 소식(蘇軾)이 지은 「삼괴당명(三槐堂銘)」과 그 서문입니다. 삼괴당은 왕씨 집안의 정원에 세 그루의 홰나무(槐樹)를 심은 것에서 유래하며, 왕씨 집안의 덕행과 그 후손들의 번영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소식은 이 글에서 인과응보와 하늘의 도리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히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문:

하늘을 가히 믿을 수 있는가? 현명한 자가 반드시 귀하게 되는 것은 아니고, 어진 자가 반드시 오래 사는 것은 아니다. 하늘을 가히 믿을 수 없는가? 어진 자는 반드시 후손이 있다. 이 두 가지 중에서 장차 어디에 중심을 두어야 하는가! 내가 신포서(申包胥)의 말을 들으니, “사람이 많으면 하늘을 이기고, 하늘이 정해져도 또한 능히 사람을 이긴다.”라고 하였다. 세상에서 하늘을 논하는 자는, 모두 하늘이 정해지기를 기다리지 않고 그것을 구하므로, 하늘을 아득하다고 여긴다. 선한 자는 게을러지고, 악한 자는 방자해지니, 도척(盜蹠)의 장수(長壽)와 공자(孔子)와 안회(顏回)의 재앙이, 이는 모두 하늘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이다.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산림에서 나니, 처음에는 쑥과 사위풀에 곤란을 겪고, 소와 양에게 재앙을 당하지만, 그 마침내는 사계절을 꿰뚫고 천 년을 지나도 변하지 않는 것은, 하늘이 정해진 것이다. 선악의 보응이 자손에게 이르러, 그 정해짐이 오래되었다. 내가 보고 듣고 전해 들은 것으로 그것을 살펴보니, 가히 믿을 만함이 분명하다. 나라가 장차 흥성하려 할 때, 반드시 대대로 덕을 쌓은 신하가 있어, 후하게 베풀고 그 보답을 먹지 않은 뒤에, 그 자손이 능히 문벌을 지키고, 태평한 임금과 함께 천하의 복을 누린다. 그러므로 병부시랑 진국 왕공(晉國王公)이 한나라와 주나라 사이에 드러나, 태조와 태종을 섬기며, 문무충효로 천하가 재상이 되기를 바랐으나, 공은 마침내 곧은 도 때문에 세상에 용납되지 못하였다. 일찍이 손수 세 그루의 홰나무를 뜰에 심고 말하기를, “내 자손 중에 반드시 삼공(三公)이 될 자가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윽고 그 아들 위국 문정공(魏國文正公)이 진종 황제를 경덕(景德)과 상부(祥符) 사이에 보좌하니, 조정이 맑고 밝으며, 천하가 무사한 때에, 그 복록과 영예로운 이름을 누린 것이 18년이었다. 지금 물건을 사람에게 맡겼다가, 다음 날 그것을 가져오면, 얻을 수도 있고 얻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진공은 몸소 덕을 닦고, 보답을 하늘에 맡기니, 반드시 정해진 수에서 취하였다. 십 년 뒤에는, 마치 좌계(左契)를 가진 것과 같이, 손에서 손으로 서로 건네주었다. 나는 이로써 하늘이 과연 믿을 만함을 안다. 내가 위공을 보지 못하고, 그 아들 의민공(懿敏公)을 보니, 곧은 간언으로 인종 황제를 섬기며, 출입하며 시종하고 장수를 지낸 것이 30여 년이었으나, 지위가 그 덕에 미치지 못하였다. 하늘이 장차 왕씨를 다시 일으키려 하는가? 어찌 그 자손이 이토록 현명한가. 세상에서 진공을 이서근(李栖筠)에 비유하는 자가 있으니, 그 웅장한 재능과 곧은 기개가, 참으로 서로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이서근의 아들 길보(吉甫)와, 그 손자 덕유(德裕)는, 공명과 부귀가 왕씨와 거의 같으나, 충성심과 신의, 인후함이 위공 부자에게 미치지 못한다. 이로써 살펴보면, 왕씨의 복은 대개 다하지 않았다. 의민공의 아들 공(鞏)이 나와 함께 노니, 덕을 좋아하고 문장이 뛰어나, 그 가문을 이었다. 나는 이로써 기록한다. 명에 이르기를,

명문:

아, 아름답도다! 위공의 업적이, 홰나무와 함께 싹텄네. 심고 가꾼 부지런함이, 반드시 대를 이어 이루어지네. 이미 진종을 보좌하니, 사방이 평안하네. 돌아와 그 집을 보니, 홰나무 그늘이 뜰에 가득하네. 우리 같은 소인들은, 아침을 미처 마치지 못하네. 때를 보아 이익을 꾀하니, 하늘이 그 덕을 돌보지 않네. 혹시나 요행을 바라니, 심지 않고 얻으려 하네. 군자가 있지 않다면, 어찌 나라를 다스릴 수 있으랴. 왕성(王城)의 동쪽은, 진공이 살던 곳. 울창한 세 그루의 홰나무는, 오직 덕의 상징. 아, 아름답도다!

분석 및 설명:

  • 배경: 이 명문은 왕씨 집안의 번영이 조상들의 덕행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진공(晉公)이 심은 세 그루의 홰나무가 후손들의 번영을 예견하는 상징으로 제시됩니다.
  • 서문의 내용: 서문은 하늘의 도리와 인과응보에 대한 소식의 생각을 밝히고 있습니다. 신포서의 말을 인용하여 인간의 노력과 하늘의 뜻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 왕씨 집안의 사례를 통해 덕행을 쌓으면 반드시 후손에게 복이 미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하늘의 도리와 인과응보: 소식은 서문에서 하늘의 도리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을 제시하고, 결국 덕행을 쌓으면 반드시 후손에게 복이 미친다는 결론을 내립니다. 이는 유교적인 인과응보 사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삼괴(三槐): 세 그루의 홰나무는 왕씨 집안의 번영을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진공이 심은 홰나무는 후손들이 삼공(三公, 높은 벼슬)에 오를 것을 예견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실제로 그의 아들 위공이 재상이 되면서 그 예언이 실현됩니다.
  • 소인(小人)과 군자(君子)의 대비: 명문에서는 소인과 군자를 대비하여 덕행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소인은 눈앞의 이익만 쫓지만, 군자는 덕을 쌓아 후손에게 복을 남깁니다. 이는 왕씨 집안의 덕행을 더욱 부각시키는 효과를 줍니다.
  • 왕씨 집안의 번영: 명문은 왕씨 집안의 번영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위공이 재상이 되어 나라를 평안하게 다스린 공적과, 홰나무 그늘이 뜰에 가득한 풍경을 통해 왕씨 집안의 번영을 시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왕씨 집안의 사례를 통해 덕행의 중요성과 인과응보의 도리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소식은 홰나무를 매개로 하여 조상의 덕행이 후손의 번영으로 이어진다는 유교적인 가르침을 설파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세상 사람들에게 덕을 쌓을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도덕적인 교훈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글은 소식(蘇軾)이 지은 「보살천명(菩薩泉銘)」과 그 서문입니다. 보살천(菩薩泉)은 서산사(西山寺) 근처에 있는 샘으로, 전설에 따르면 아육왕(阿育王)이 만들었다는 문수사리(文殊師利) 금상이 한때 이 근처에 모셔져 있었다고 합니다. 소식은 이 명문을 통해 샘의 유래와 전설을 기록하고, 문수보살의 가피를 기리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문:

도간(陶侃)이 광주(廣州) 자사로 있을 때, 어부가 매일 밤 바다 위에서 신령한 빛을 보고, 이를 도간에게 알렸다. 도간이 사람을 시켜 그 흔적을 쫓으니, 금상을 얻었다. 그 명문을 살펴보니, 아육왕이 주조한 것으로, 문수사리상이었다. 처음에는 무창(武昌) 한계사(寒溪寺)로 보냈다. 도간이 형주(荊州)로 옮겨 가게 되자, 상을 가지고 가려 하였으나, 사람의 힘으로는 움직일 수 없었다. 소가 끄는 수레 30승을 더하여, 이에 배에 실을 수 있었다. 배가 다시 가라앉아, 마침내 절로 되돌려 보냈다. 그 후 혜원(慧遠) 법사가 상을 맞이하여 여산(廬山)으로 돌아가니, 조금도 어려움이 없었다. 산중에서는 대대로 두 명의 승려가 지켰다. 회창(會昌) 연간에, 조칙으로 천하의 절을 헐게 하였는데, 두 승려가 상을 금수곡(錦繡谷)에 숨겼다. 불교가 다시 흥성하게 되자, 상을 찾았으나 얻을 수 없었고, 골짜기 안에는 지금도 광경(光景)이 있어, 이따금 나타나니, 마치 아미산(峨眉山)과 오대산(五臺山)에서 보이는 것과 같다. 대개 혜원 법사의 문집에 처사 장문일(張文逸)의 글이 실려 있고, 산중의 노인들이 전하는 바가 이와 같다. 지금 한계사에서 서쪽으로 수백 보 떨어진 곳에, 따로 서산사(西山寺)가 있는데, 샘이 바위 틈에서 솟아나니, 빛깔은 희고 맛은 달아, 보살천(菩薩泉)이라 부르는데, 사람들이 그 내력을 알지 못한다. 건창(建昌)의 이항(李常)이 나에게 말하기를, 어찌 옛날 상이 있던 곳이 아니겠는가? 하며, 또한 나에게 명문을 부탁하였다. 명에 이르기를,

명문:

상은 여산에 있고, 밤의 빛은 하늘에 속하였네. 새벽에 바라보니, 쓸쓸한 빈 산이로다. 누가 한계사에, 오히려 이 샘이 있다고 하였는가. 어찌 가서 살펴보지 않으리오, 문수보살이 분명히 나타나리라.

분석 및 설명:

  • 배경: 이 명문은 문수보살 금상과 관련된 전설과, 그 근처에 있는 보살천이라는 샘의 유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도간, 혜원 법사 등 역사적 인물과 사건을 언급하며, 전설의 신빙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 서문의 내용: 서문은 문수보살 금상의 내력과, 한계사에서 여산으로 옮겨진 과정, 그리고 회창의 폐불 사건으로 인해 상이 사라진 이야기를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살천의 존재와 그 유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명문을 짓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도간(陶侃)과 혜원(慧遠) 법사: 도간은 동진(東晉) 시대의 명장이고, 혜원 법사는 동진 시대의 고승으로, 여산 동림사(東林寺)를 창건한 인물입니다. 이들의 이야기가 전설에 등장함으로써, 전설의 역사적 깊이를 더하고 있습니다.
  • 회창의 폐불(會昌의 廢佛): 회창 연간은 당 무종(唐武宗)의 연호로, 당시 국가의 재정 문제와 도교의 융성 등의 이유로 대대적인 폐불 정책이 시행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불교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 전설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 금수곡(錦繡谷): 금수곡은 여산에 있는 골짜기로, 아름다운 경치로 유명합니다. 전설에 따르면 문수보살 금상이 이곳에 숨겨졌다고 합니다.
  • 아미산(峨眉山)과 오대산(五臺山): 아미산과 오대산은 중국의 대표적인 불교 성지로, 문수보살의 성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두 산에서 보이는 신령한 빛과 보살천에서 보이는 빛을 연결지어, 보살천의 신성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상은 여산에 있고, 밤의 빛은 하늘에 속하였네(像在廬阜,宵光屬天): 이 구절은 문수보살 금상이 여산에 모셔져 있고, 그 신령한 빛은 하늘에서 내려오는 것임을 의미합니다. 이는 문수보살의 가피를 찬양하는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새벽에 바라보니, 쓸쓸한 빈 산이로다(旦朝視之,寥寥空山): 이 구절은 금상이 사라진 후의 쓸쓸한 풍경을 묘사한 것입니다. 이는 전설의 비극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동시에, 보살천이라는 샘이 그 빈자리를 채우고 있음을 암시합니다.
  • 어찌 가서 살펴보지 않으리오, 문수보살이 분명히 나타나리라(盍往鑒之,文殊了然): 이 구절은 보살천을 찾아가면 문수보살의 가피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표현한 것입니다. 이는 사람들에게 보살천을 찾아가 참배할 것을 권유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문수보살 금상과 관련된 전설과 보살천의 유래를 통해 불교적인 신앙심을 고취하고 있습니다. 소식은 역사적 사실과 전설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야기를 구성하고 있으며, 시적인 표현을 통해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종교적인 의미와 교훈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글은 소식(蘇軾)이 지은 「석정명(石鼎銘)」과 그 서문입니다. 석정(石鼎)은 돌로 만든 솥을 의미하며, 장안도(張安道)가 소식의 동생 소철(蘇轍)에게 주었고, 소철이 다시 소식의 생일 선물로 전해준 물건입니다. 소식은 이 명문을 통해 돌의 여러 가지 속성과 용도를 설명하며, 석정의 가치를 기리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문:

장안도가 소철에게 주었고, 소철이 소식의 생일 선물로 여겼다. 명에 이르기를,

명문:

돌은 낙서(洛書)에 있고, 대개 변혁을 따르네. 화살촉과 침과 돌침은, 모두 쇠의 직분이네. 굳세고 참을성이 있으니, 솥이 되고 솥의 일종인 격(鬲)이 되네. 불 속에 있어도 뜨겁지 않으니, 진실로 세 가지 덕이 있네.

분석 및 설명:

  • 배경: 이 명문은 장안도라는 인물이 소철에게 준 석정을 소식이 생일 선물로 받게 된 경위를 서문에서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명문을 통해 석정, 즉 돌로 만든 솥의 여러 가지 속성과 가치를 찬양하고 있습니다.
  • 낙서(洛書): 낙서는 중국 고대의 점술서로, 우주와 자연의 이치를 담고 있다고 전해집니다. "돌은 낙서에 있고"라는 구절은 돌이 자연의 일부이며, 우주의 질서와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 이종혁(隸從革): "대개 변혁을 따르네"라는 구절은 돌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풍화 작용 등을 통해 형태가 변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혁(革)'은 변혁, 변화를 의미합니다.
  • 시노의폄(矢砮醫砭), 개금지직(皆金之職): "화살촉과 침과 돌침은, 모두 쇠의 직분이네"라는 구절은 돌이 무기나 의료 도구로 사용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노(砮)'는 화살촉, '폄(砭)'은 돌침을 의미하며, 고대에는 돌을 이용하여 이러한 도구들을 만들었습니다. 여기서 '금(金)'은 오행의 금(金)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쇠붙이로 만든 도구 전반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돌이 쇠붙이와 같은 용도로 쓰였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유견이인(有堅而忍), 위부위격(為釜為鬲): "굳세고 참을성이 있으니, 솥이 되고 솥의 일종인 격이 되네"라는 구절은 돌의 단단함과 내열성을 강조하며, 솥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부(釜)'는 솥, '격(鬲)'은 다리가 달린 솥의 일종입니다.
  • 거분불염(居焚不炎), 윤유삼덕(允有三德): "불 속에 있어도 뜨겁지 않으니, 진실로 세 가지 덕이 있네"라는 구절은 돌의 내열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이를 세 가지 덕으로 비유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세 가지 덕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명확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단단함, 참을성, 내열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혹은, 앞서 언급된 '낙서에 있음', '변혁을 따름', '여러 도구로 쓰임'을 세 가지 덕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돌로 만든 솥, 즉 석정의 여러 가지 속성과 가치를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소식은 돌의 단단함, 내열성, 다양한 용도 등을 언급하며, 석정이 단순한 솥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의 "불 속에 있어도 뜨겁지 않으니, 진실로 세 가지 덕이 있네"라는 표현은 돌의 뛰어난 속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군자의 덕목에 비유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사물의 본질과 의미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글은 소식(蘇軾)이 지은 「육일천명(六一泉銘)」과 그 서문입니다. 육일천은 구양수(歐陽脩)의 호인 육일거사(六一居士)에서 따온 이름으로, 구양수 사후 18년 뒤 소식이 항주(杭州) 태수로 부임했을 때 절 뒤에서 새로 솟아난 샘입니다. 소식은 이 명문을 통해 구양수의 인품과 업적을 기리고, 그가 남긴 정신이 샘물에 깃들어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문:

구양 문충공(歐陽文忠公)이 장차 늙으면서 스스로를 육일거사라고 불렀다. 내가 옛날에 항주 태수로 있을 때, 여음(汝陰) 남쪽에서 공을 만났다. 공이 말씀하시기를, “서호(西湖)의 승려 혜근(惠勤)은 매우 문장력이 뛰어나고 시에 능하다. 내가 옛날에 ‘산중의 즐거움(山中樂)’ 세 편을 지어 그에게 주었다. 그대가 민사(民事)에 한가하여, 호수와 산 사이에서 사람을 구하여 얻을 수 없다면, 어찌 혜근에게 가지 않겠는가?”라고 하셨다. 내가 부임한 지 사흘 만에, 고산(孤山) 아래에서 혜근을 찾아, 마주 앉아 인물에 대해 논하며 말하기를, “공은 하늘의 사람이십니다. 사람들이 그가 잠시 인간 세상에 머무는 것만 보고, 그가 구름을 타고 바람을 몰아, 오악(五嶽)을 지나고 넓은 바다를 건너는 것을 알지 못합니다. 이 고을의 사람들은, 공이 한 번도 오지 않음을 한스럽게 여깁니다. 공이 온 세상을 호령하시니, 이르지 못하는 곳이 어디 있겠습니까? 비록 강산의 뛰어남이, 마땅히 주인이 될 만한 곳이 없지만, 기이하고 아름다우며 빼어난 기운이, 항상 글 잘하는 자에게 쓰이므로, 나는 서호가 대개 공의 책상 위 한 물건이라고 여깁니다.”라고 하였다. 혜근의 말이 비록 허황하지만, 이치에 실제 그러한 것이 있었다. 다음 해에, 공이 돌아가시니, 내가 혜근의 거처에서 곡하였다. 또 18년 뒤에, 내가 항주 태수가 되니, 혜근 또한 세상을 떠난 지 오래되었다. 그 옛 거처를 찾아보니, 제자 두 중(二仲)이 있었는데, 공과 혜근의 초상을 그려, 살아 있는 듯이 섬기고 있었다. 거처 아래에는 옛날에는 샘이 없었는데, 내가 부임하기 몇 달 전에, 샘이 강당 뒤, 고산의 기슭에서 솟아나, 넓게 흘러넘치니, 매우 희고 달았다. 그곳에 바위를 뚫고 돌을 쌓아 방을 만들었다. 두 중이 나에게 말하기를, “스승께서 공이 오신다는 소식을 듣고, 샘을 내어 수고로움을 위로하셨으니, 공께서 말씀이 없으시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이에 혜근의 옛 말을 취하여, 그 뜻을 미루어, 이름을 육일천이라 하고, 또 명하여 이르기를,

명문:

샘이 솟아난 것이, 공을 떠난 지 수천 리. 공이 돌아가신 후, 18년 만에, 이름을 육일이라 하니, 거의 허탄하지 않은가? 말하기를, 군자의 은택이, 어찌 오대에 그치겠는가? 대개 그 사람을 얻으면, 백대에 이를 수 있다. 시험 삼아 그대와 함께 고산에 올라 오월(吳越)을 바라보고, ‘산중의 즐거움’을 노래하고 이 물을 마시면, 공의 남긴 풍모와 남은 업적이, 또한 혹 이 샘에서 보이리라.

분석 및 설명:

  • 배경: 이 명문은 구양수의 사후 18년 뒤, 소식이 항주 태수로 부임했을 때 절 뒤에서 새로 솟아난 샘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소식은 구양수와의 인연을 회상하며, 새로 솟아난 샘을 통해 구양수의 정신이 영원히 이어질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 육일거사(六一居士): 육일은 구양수의 호로, 그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습니다. 장서(藏書) 1만 권, 금석문(金石文) 1천 권, 술 1호(壺), 거문고 1개, 바둑판 1개, 그리고 자신까지 합하여 여섯 가지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 혜근(惠勤): 혜근은 서호의 승려로, 구양수와 교류가 있었습니다. 소식은 구양수로부터 혜근을 찾아가라는 권유를 받았고, 실제로 그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 고산(孤山): 고산은 서호에 있는 작은 산으로, 경치가 아름답습니다. 혜근이 머물던 절이 이 산 아래에 있었고, 육일천 또한 이 산기슭에서 솟아났습니다.
  • 군자(君子)의 은택: 소식은 명문에서 "군자의 은택이 어찌 오대에 그치겠는가? 대개 그 사람을 얻으면 백대에 이를 수 있다"라고 말합니다. 이는 구양수와 같은 훌륭한 인물의 영향력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고, 후세에까지 이어진다는 의미입니다.
  • 유풍여렬(遺風餘烈): "남긴 풍모와 남은 업적"이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구양수가 남긴 정신적인 유산을 의미합니다. 소식은 육일천의 샘물을 마시면서 구양수의 유풍여렬을 느낄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 샘의 신비로운 출현: 소식이 부임하기 몇 달 전에 갑자기 샘이 솟아났다는 이야기는, 마치 구양수의 영혼이 샘의 형태로 나타난 것처럼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이는 소식이 구양수를 얼마나 존경했는지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단순히 샘의 유래를 기록하는 것을 넘어, 구양수라는 인물의 훌륭한 인품과 업적을 기리고, 그가 남긴 정신적인 유산이 영원히 이어질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소식은 샘의 신비로운 출현과 구양수와의 개인적인 인연을 연결시켜,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과 여운을 남기고 있습니다. 동파집에 실린 다른 명문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물 묘사를 넘어 인간의 삶과 가치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글은 소식(蘇軾)이 지은 「대각정명(大覺鼎銘)」입니다. 대각정(大覺鼎)은 솥의 일종으로, 낙전선생(樂全先生)이 소식에게 주었고, 소식은 다시 대각사(大覺寺)의 노승에게 보시한 물건입니다. 소식은 이 명문을 통해 솥의 유래와 의미를 설명하며, 낙전선생과의 인연과 불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간략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낙전 선생이 나에게 정과 언(鼎甗)을 주었고, 나는 다시 그것으로 대각사의 노승에게 보시하였다. 옛날 송나라와 노나라에서는, 그것을 전쟁으로 취하였다. 서경(書經)에 이르기를 ‘고정(郜鼎)’이라 하였으니, 그릇의 이름으로 이름을 따랐다. 낙전과 동파는, 의로써 주었다. 서경에 이르기를 ‘대각의 정’이라 하였으니, 이름으로 그릇을 따랐다. 산의 샘물을 퍼내어, 그 나무로 끓인다. 쓰기도 하고 달기도 하니, 그대 배우는 사람들이여.

분석 및 설명:

  • 배경: 이 명문은 낙전선생에게 받은 솥을 대각사의 노승에게 보시한 일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소식은 솥의 유래를 언급하며, 전쟁으로 획득하는 것이 아닌 의로써 솥을 주고받는 상황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솥으로 음식을 만들어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정과 언(鼎甗): 정(鼎)은 세 발 달린 솥, 언(甗)은 구멍 뚫린 시루와 같은 솥을 의미합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정이 권력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 송(宋)나라와 노(魯)나라, 전쟁으로 취함: 춘추전국시대에 송나라와 노나라에서 정을 전쟁의 전리품으로 획득한 역사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솥이 단순한 조리 도구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 서경(書經) 고정(郜鼎): 서경에는 주나라가 고나라를 멸망시키고 얻은 정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이를 인용하여 옛날에는 솥을 전쟁의 전리품으로 얻었음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기종명(以器從名)’은 그릇의 이름으로 이름을 지었다는 뜻입니다. 즉, 고나라에서 얻은 솥이기 때문에 ‘고정’이라고 이름 붙였다는 의미입니다.
  • 낙전(樂全)과 동파(東坡), 의로써 줌: 낙전선생과 소식은 전쟁이 아닌 의로운 관계에서 솥을 주고받았습니다. 이는 앞서 언급된 전쟁으로 솥을 획득하는 방식과 대조를 이루며, 솥의 의미가 변화했음을 보여줍니다. ‘이 명종기(以名從器)’는 이름으로 그릇을 지었다는 뜻입니다. 즉, 대각사에서 사용하는 솥이기 때문에 ‘대각의 정’이라고 이름 붙였다는 의미입니다.
  • 읍산지천(挹山之泉), 팽이기신(烹以其薪): 산의 샘물을 퍼내어 나무로 끓인다는 것은, 자연에서 얻은 재료로 음식을 만든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수행하는 사람들의 소박한 생활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위고위감(為苦為甘), 자이학인(咨爾學人): 쓰기도 하고 달기도 하다는 것은, 수행의 과정이 고통과 즐거움을 모두 포함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咨)’는 ‘아!’ 또는 ‘그대들!’ 하는 감탄사 또는 지시대사로 쓰이며, 여기서는 배우는 사람들을 향해 하는 말임을 나타냅니다. 즉,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이 솥으로 만든 음식을 먹으며 수행의 의미를 되새기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해석:

이 명문은 솥이라는 사물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가치관 변화를 보여주고, 수행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소식은 전쟁의 전리품이었던 솥이 이제는 의로써 주고받는 물건이 되었음을 강조하며, 이 솥으로 만든 음식을 통해 수행자들이 더욱 정진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간결한 문장 속에서 깊은 의미를 담아내는 소식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인종황제어서송 병서(仁宗皇帝御書頌 并敘)"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분석 및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변합니다.

배경 설명 (병서, 并敘):

천희(天禧) 연간에 인종 황제(仁宗皇帝)가 동궁(東宮, 황태자 시절)에 있을 때, 태부(太傅)였던 등국공(鄧國公) 장문의공(張文懿公) 사손(士遜)이 태자유덕(太子諭德, 태자를 보좌하는 관직)을 맡고 있었습니다. 이때 인종 황제는 직접 열두 글자를 써서 그에게 하사하였는데, 그 내용은 "인량천지(寅亮天地), 필여일인(弼余一人)"과 "일신기덕(日新其德)"이었습니다. 장문의공의 증손자인 가승무랑(假承務郎) 신(欽)이 한림학사(翰林學士)였던 소식에게 부탁하여 이 내용을 기리는 송(頌, 찬양하는 글) 두 편을 짓게 하였습니다.

첫 번째 송 (頌 其一):

현대 한국어 번역:

천지는 말이 없지만, 그 뜻을 임금에게 맡기네. 덕과 형벌을 밝히면, 만물은 저절로 가을과 봄처럼 순환하리. 임금은 사심 없이, 보필하는 신하에게 일을 맡기네. 상과 벌을 신뢰하면, 몸소 저울의 추가 되리. 오직 하늘과 임금, 그리고 신하가 함께 삼자가 되니, 누가 감히 우러러보고 굽어보겠는가? 그 덕에 부끄러움이 없네. 아아, 인종 황제시여, 공손히 몸을 낮추고 함이 없으시니, 하늘을 마음으로 삼고, 백성을 스승으로 삼으셨네. 그 재상 등공은, 믿음을 행하고 순리에 따르려 생각하였네. 천하가 그를 칭송하니, 물러남으로써 나아감을 삼았네. 높은 수명 백 년을 누리고, 온전한 몸으로 세상을 떠나셨으니, 아아, 아름답도다! 천지를 공경히 밝히고, 나 한 사람을 보필하셨네.

분석 및 설명:

  • 천지불언, 부지인군(天地不言,付之人君): 하늘은 말이 없지만 그 뜻은 인간 세상의 통치자인 임금에게 맡겨져 있다는 뜻입니다. 즉, 임금은 하늘의 뜻을 받들어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는 천명사상을 나타냅니다.
  • 명기덕형, 물자추춘(明其德刑,物自秋春): 임금이 덕으로 백성을 교화하고 형벌로 다스리면 만물은 자연의 순환처럼 질서 있게 돌아간다는 의미입니다.
  • 인군무심, 속지보필(人君無心,屬之輔弼): 임금은 사심 없이 현명한 신하에게 정사를 맡겨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 유천유군, 여상위삼(惟天惟君,與相為三): 하늘, 임금, 신하 이 세 가지 요소가 조화를 이루어야 이상적인 정치가 실현된다는 의미입니다.
  • 어황인종, 공기무위(於皇仁宗,恭己無為): 인종 황제의 겸손함과 무위(無為, 자연의 흐름에 따르는 통치)의 덕을 칭송하는 부분입니다.
  • 이천위심, 이민위사(以天為心,以民為師): 하늘의 뜻을 따르고 백성의 의견을 존중하는 인종의 통치 철학을 나타냅니다.
  • 기상등공, 이신사순(其相鄧公,履信思順): 등공의 충실함과 순리에 따르는 자세를 칭찬하는 부분입니다.
  • 천하송지, 이퇴위진(天下頌之,以退為進): 등공이 물러남으로써 오히려 더 큰 공을 이루었다는 의미로, 겸손과 덕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인량천지, 필여일인(寅亮天地,弼余一人): 인종 황제가 등공의 공적을 기리며 하사한 "인량천지, 필여일인"이라는 문구를 다시 언급하며 송을 마무리합니다.

이 송은 인종 황제의 덕과 등공의 충성심을 칭송하며, 이상적인 군신 관계와 통치 이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천명 사상, 무위의 통치, 겸손의 덕 등 유교적인 가치관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요약:

이 글은 인종 황제가 태자 시절 스승이었던 등공에게 내린 글귀를 기리기 위해 소식이 지은 찬양시입니다. 인종의 현명함과 겸손, 그리고 등공의 충성심을 칭송하며, 이상적인 군신 관계와 통치 이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인종황제어서송(仁宗皇帝御書頌)" 중 두 번째 송(頌 其二)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분석 및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변합니다.

두 번째 송 (頌 其二):

현대 한국어 번역:

성인은 하늘과 같아, 때로는 죽이고 때로는 살리네. 군자는 물과 같아, 사물에 따라 모습을 부여받네. 하늘은 인(仁)을 어기지 않고, 물은 평정(平靜)을 잃지 않네. 오직 하나이므로 새로워지고, 새로워지므로 오직 하나이네. 하나이므로 흘러가지 않고, 새로워지므로 싫증남이 없네. 이윤과 탕왕은, 모두 하나의 덕을 지녔네. 주나라는 비록 오랜 나라이지만, 그 명은 새로웠네. 누가 이 말을 알겠는가, 마치 한 사람에게서 나온 듯하네. 소신이 머리 숙여, 남기신 글씨를 공경히 칭송합니다. 아아, 아름답도다! 날마다 그 덕을 새롭게 하시네.

분석 및 설명:

이 두 번째 송은 첫 번째 송에 비해 더욱 추상적인 비유와 철학적인 사유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성인(聖人)과 군자(君子)를 각각 하늘과 물에 비유하여 그 덕을 칭송하는 부분이 핵심입니다.

  • 성인여천, 시살시생(聖人如天,時殺時生): 성인을 하늘에 비유하여, 하늘의 변화무쌍함처럼 때로는 엄격하게 다스리고 때로는 은혜를 베푸는 성인의 통치 행위를 묘사합니다. '살(殺)'은 단순히 죽이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엄격한 법과 질서 유지를 통한 다스림을, '생(生)'은 백성을 어루만지고 은혜를 베푸는 다스림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군자여수, 인물부형(君子如水,因物賦形): 군자를 물에 비유하여, 물이 그릇의 모양에 따라 형태를 바꾸듯이, 군자는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대처하는 지혜를 지녔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도가(道家)의 사상과도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 천불위인, 수불실평(天不違仁,水不失平): 하늘은 인(仁)의 도리를 어기지 않고, 물은 항상 평정(平靜)함을 유지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성인과 군자의 덕이 자연의 이치와 부합함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유일고신, 유신고일(惟一故新,惟新故一): 오직 하나이므로 새로워지고, 새로워지므로 오직 하나라는 역설적인 표현은, 근본적인 도(道)는 변하지 않지만 그 현상은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즉, 인종 황제의 덕은 근본적으로 변하지 않는 고귀한 것이지만, 날마다 새로워지는 모습을 보인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일고불류, 신고무우(一故不流,新故無斁): 하나이므로 흘러가지 않고, 새로워지므로 싫증남이 없다는 의미는, 변하지 않는 근본을 지키면서도 끊임없이 새로워지는 덕의 영원성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이윤기탕, 함유일덕(伊尹暨湯,咸有一德): 이윤과 탕왕을 언급하며, 이들 역시 하나의 덕을 지녔음을 강조합니다. 이는 인종 황제의 덕이 고대의 성현들과 비견될 만함을 나타내는 부분입니다. 이윤은 은나라 탕왕을 보좌하여 하나라를 멸망시키고 은나라를 건국하는 데 큰 공을 세운 명신이며, 탕왕은 하나라의 폭정을 종식시키고 백성을 구한 성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주수구방, 기명유신(周雖舊邦,其命維新): 주나라가 비록 오랜 역사를 가진 나라지만, 그 명은 새로웠다는 고사를 인용하여, 인종 황제의 통치가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 숙지차언, 약출일인(孰知此言,若出一人): 누가 이 말을 알겠는가, 마치 한 사람에게서 나온 듯하다는 표현은, 이 모든 이치가 하나의 근원에서 비롯된 것임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일신기덕(日新其德): "날마다 그 덕을 새롭게 한다"는 표현으로 송을 마무리하며, 인종 황제의 끊임없는 자기 수양을 칭송합니다. 이는 앞서 언급된 "일신기덕(日新其德)"이라는 황제의 말씀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요약:

이 두 번째 송은 성인과 군자를 각각 하늘과 물에 비유하여 그 덕을 칭송하고, 변하지 않는 근본과 끊임없이 새로워지는 현상의 조화를 강조하며, 인종 황제의 덕이 고대의 성현들과 비견될 만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일신기덕"이라는 황제의 말씀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송을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공북해찬(孔北海贊) 병서(并敘)"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후한 말의 명사 공융(孔融)을 찬양하고 조조(曹操)를 비판하는 내용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찬(贊)과 서(敘)

문거(文舉, 공융의 자)는 뛰어난 자질로 세상에 으뜸가는 인물이었고, 온 세상의 스승이 될 만한 인물이었다. 그의 뜻이 향하는 바에 온 세상이 따랐으니, 이는 사람 중의 용이라 할 만하다. 그러나 조조는 음험하고 간사하며 흉악하니, 그저 간사한 무리 중의 우두머리일 뿐이다. 그 둘은 결코 함께 설 수 없으니, 공이 조조를 주살하지 않으면 조조가 공을 해할 것이니, 이는 이치의 당연함이다. 그런데 이전의 역사에서는 공이 높은 기개를 지녔으나 뜻은 어지러운 세상을 바로잡는 데 있었지만 재능이 부족하고 뜻만 넓어 끝내 성공하지 못했다고 하니, 이는 아마도 당시의 비천한 사람들이 공을 논한 말일 것이다. 공의 성공하지 못함은 하늘의 뜻이다. 만약 하늘이 아직 한나라를 망하게 하려 하지 않았다면, 공이 조조를 주살하는 것은 여우나 토끼를 죽이는 것과 같았을 것이니, 어찌 말할 것이 있겠는가! 세상에서 호걸이라 일컫는 사람들은 재능과 기개가 각각 높고 낮음이 있으나, 모두 어려움을 당하여 두려워하지 않고 웃으며 죽음을 맞는 것을 영웅으로 여긴다. 조조는 병으로 죽어 자손들이 눈앞에 가득한데도 흐느껴 울며, 첩들을 붙잡고 슬퍼하고, 향을 나누어 주고 신발을 팔며, 옷가지를 처리하는 모습을 보였으니, 평생의 간사함과 거짓됨이 죽음에 이르러서야 본성을 드러낸 것이다. 세상은 성공과 실패로 인물을 논하기 때문에 조조가 영웅의 반열에 들게 된 것이다. 그런데 공은 재능이 부족하고 뜻만 넓다고 일컬어지니, 어찌 슬프지 않겠는가! 조조는 평생 유비(劉備)를 두려워했고, 유비는 공이 천하 사람들이 자신을 알아주는 것을 기뻐했으니, 하늘이 만약 한나라를 도왔다면, 공이 유비를 부리고 유비가 조조를 주살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내가 공이 지은 "양사공찬(楊四公贊)"을 읽고 탄식하며 말하기를, "조조가 공을 해할 때, 다시 노(魯)나라의 한 남자가 있어 의롭게 그를 변호하니, 공은 거의 죽지 않을 뻔했다." 이에 "공북해찬(孔北海贊)"을 지어 말한다.

진(晉)나라에는 오랑캐 노예가 있었으니, 도둑의 무리였다. 외로운 이를 속이는 것이 조조와 같으니, 또한 오랑캐조차 부끄러워하는 바이다. 내가 춘추(春秋)를 쓰듯이 그를 비난하리라. 문거(文舉)는 하늘에 있으니, 비록 죽었으나 죽지 않은 것이다. 나는 이 사람을 존경하며, 천 년을 사귀리라. 공을 용으로 보고, 조조를 귀신으로 본다.

정밀 분석 및 설명:

  • 공융에 대한 찬양과 조조에 대한 비판: 글의 핵심은 공융을 숭고한 인격과 뛰어난 재능을 지닌 인물로 찬양하고, 조조를 간사하고 흉악한 인물로 비판하는 것입니다. 소식은 기존의 역사 서술에서 공융이 '재능이 부족하고 뜻만 넓었다'고 평가받는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박하며, 이는 비천한 사람들의 잘못된 평가라고 주장합니다.
  • 성공과 실패에 대한 비판적 시각: 소식은 세상 사람들이 성공과 실패로 인물을 평가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냅니다. 조조가 비록 간사한 인물이었지만 성공했기 때문에 영웅으로 평가받는 반면, 공융은 뜻을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과소평가받는 현실을 안타까워합니다.
  • 유비와의 관계: 소식은 공융과 유비의 관계에 주목합니다. 공융이 유비를 알아보고 그를 천하에 추천한 것을 높이 평가하며, 만약 하늘이 한나라를 도왔다면 공융의 도움을 받은 유비가 조조를 쉽게 제거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가정합니다. 이는 공융의 안목과 식견을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 "양사공찬"의 언급: 소식은 자신이 지은 "양사공찬"을 언급하며, 공융이 위기에 처했을 때 그를 변호한 의로운 사람이 있었음을 강조합니다. 이는 공융이 비록 죽임을 당했지만 그의 인덕을 기리는 사람들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공북해찬"의 내용: 마지막 부분에 제시된 찬시는 조조를 오랑캐 노예에 비유하며 그의 간사함을 비판하고, 공융을 영원히 존경할 만한 인물로 칭송합니다. "공을 용으로 보고, 조조를 귀신으로 본다"는 구절은 두 사람의 대비되는 성격을 극명하게 드러냅니다.

중요 내용 요약:

  • 공융은 뛰어난 인격과 재능을 지닌 인물이었으나, 시대의 불운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 조조는 간사하고 흉악한 인물이며, 성공에 의해 과대평가되었다.
  • 세상의 성공 중심적인 인물 평가 방식은 잘못되었다.
  • 공융은 유비를 알아본 안목과 식견을 지녔다.
  • 공융은 후세 사람들에게 존경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인물이다.

이 글을 통해 소식은 공융의 인격과 재능을 재평가하고, 조조를 비판함으로써 역사적 인물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성공과 실패라는 결과에 치우친 당시의 가치관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왕원지 화상찬(王元之畫像贊) 병서(并敘)"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송나라의 명신 왕원지(王元之)의 화상에 대한 찬문으로, 그의 강직한 성품과 불우한 처지를 안타까워하는 내용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찬(贊)과 서(敘)

전(傳, 춘추좌씨전)에 이르기를 “군자가 없으면 나라를 다스릴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으니, 나는 항상 이 말을 세 번이나 되새기며 일찍이 눈물을 흘리며 탄식하지 않은 적이 없다. 한나라의 급암(汲黯), 소망지(蕭望之), 이고(李固), 오나라의 장소(張昭), 당나라의 위징(魏徵), 적인걸(狄仁傑)과 같은 이들은 모두 몸으로써 의를 지켜 부르려 해도 오지 않고, 물리치려 해도 가지 않았다. 바른 얼굴로 조정에 서 있으면, 승냥이와 여우 같은 간신들이 저절로 서로 잡아먹으니, 그러므로 화가 생기기 전에 없애고 위태로움이 닥치기 전에 구할 수 있었다. 만약 모두 공손승상(公孫丞相), 장우(張禹), 호광(胡廣)과 같다면, 비록 수백 수천 명이 있다 하더라도 위급한 때에 어찌 그들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한림(翰林) 왕공 원지는 웅장한 문장과 곧은 도로 세상에 홀로 서 있었으니, 족히 이 여섯 군자와 어깨를 나란히 할 만하다. 당시 조정은 청명하여 큰 간신은 없었다. 그러나 공은 오히려 세상에 용납되지 못하고, 굳세기가 가을 서리와 여름의 뜨거운 햇볕과 같아 함부로 가까이할 수 없었으니, 마침내 세 번이나 쫓겨나 죽음에 이르렀다. 만약 불행히 많은 간신들 사이에 처하여 국가의 안위가 위태로운 때를 만났다면, 공의 행동은 반드시 세상을 놀라게 하고 속된 무리를 놀라게 하여, 좁은 소견을 가진 좀도둑 같은 무리들이 간담이 서늘하게 하였을 것이니, 어찌 이뿐이겠는가! 처음 내가 소주(蘇州) 호구사(虎丘寺)를 지나다가 공의 화상을 보고 그 남긴 풍모와 남은 업적을 생각하며, 채찍을 잡는 하인이라도 되고 싶었으나 그렇게 할 수 없었다. 그 후 서주(徐州)의 태수가 되었는데, 공의 증손 분(汾)이 연주(兗州)의 태수가 되어 공의 묘비(墓碑)를 나에게 보여주었으므로, 이에 그를 추모하여 찬(贊)을 지어 그 가문에 전하는 글에 붙인다.

옛날의 성현들은 자신을 알아주지 못하는 것을 걱정하였다. 공은 태종(太宗, 송 태종)을 만났으니, 진실로 좋은 때였다. 황제가 공을 쓰려고 하였으나, 공은 조금도 자신을 낮추지 않았다. 세 번이나 쫓겨나 궁벽한 곳에서 죽었으나, 조금도 후회하지 않았다. 함평(咸平) 연간(송 진종의 연호) 이후로, 홀로 명신으로 일컬어졌다. 한때의 억울함이 만세의 믿음이 되었다. 시끄럽게 떠드는 비루한 무리들도 또한 공의 화상에 절을 한다. 무엇으로 이를 증명할 수 있는가? 이마를 적시는 눈물로써이다. 공은 눈물을 흘리게 할 수는 있었으나, 그만두게 할 수는 없었다. 아득한 저승에서, 슬픔에 사무쳐 어찌 그를 다시 일으킬 수 있겠는가!

정밀 분석 및 설명:

  • 군자의 중요성 강조: 서두에서 "군자가 없으면 나라를 다스릴 수 있겠는가?"라는 말을 인용하여,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 현명하고 강직한 신하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역사적 인물과의 비교: 급암, 소망지, 이고, 장소, 위징, 적인걸 등 역사적으로 강직하고 의로운 신하로 이름난 인물들을 언급하며, 왕원지를 이들과 비견합니다. 이를 통해 왕원지의 인품과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반면 공손홍, 장우, 호광과 같은 간신들과 대비시켜 왕원지의 고결함을 더욱 부각합니다.
  • 왕원지의 강직한 성품과 불우한 처지: 왕원지는 청명한 시대에도 세상에 용납되지 못하고 세 번이나 쫓겨나는 불운을 겪었습니다. 소식은 그의 강직한 성품이 오히려 화를 불러온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만약 혼탁한 시대에 있었다면 그의 행동이 세상을 놀라게 했을 것이라고 가정합니다.
  • 화상에 대한 감회: 소식은 호구사에서 왕원지의 화상을 보고 느꼈던 존경심과 추모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합니다. 이후 왕원지의 후손을 만나 묘비를 보고 찬문을 짓게 된 경위를 설명합니다.
  • 찬문의 내용: 찬문에서는 왕원지가 태종과 같은 현명한 군주를 만났음에도 불구하고 뜻을 펼치지 못하고 불우하게 생을 마감한 것을 안타까워합니다. 그러나 그의 강직함과 고결함은 후세에까지 전해져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특히 "한때의 억울함이 만세의 믿음이 되었다(一時之屈,萬世之信)"라는 구절은 왕원지의 삶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요약하고 있습니다. "이마를 적시는 눈물(有沘其顙)"이라는 표현은 왕원지를 추모하는 사람들의 슬픔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중요 내용 요약:

  • 왕원지는 급암, 위징 등과 비견될 만한 강직하고 의로운 신하였다.
  • 그는 청명한 시대에도 세상에 용납되지 못하고 불우한 삶을 살았다.
  • 소식은 그의 강직함과 고결함을 높이 평가하며 그의 불운을 안타까워한다.
  • 찬문을 통해 왕원지의 삶과 정신을 기리고 후세에 전하고자 한다.

이 글을 통해 소식은 왕원지의 강직한 성품과 불우한 처지를 안타까워하며, 그의 삶과 정신을 기리고 있습니다. 또한, 군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시대와 상관없이 고결한 삶을 살았던 인물을 추모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왕중의진찬(王仲儀真贊) 병서(并敘)"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북송의 명신 왕중의(王仲儀)를 찬양하는 내용으로, 특히 그의 오랜 경험과 덕망이 국가의 위기 상황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찬(贊)과 서(敘)

맹자(孟子)가 말하기를 “이른바 옛 나라라는 것은, 큰 나무가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대대로 섬기는 신하가 있는 것을 말한다.”라고 하였고, 또 말하기를 “정치를 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니, 권세 있는 집안에 죄를 얻지 않는 것이다. 권세 있는 집안이 숭상하는 것을 온 나라가 숭상하고, 온 나라가 숭상하는 것을 천하가 숭상한다.”라고 하였다. 이른바 대대로 섬기는 신하라는 것은 어찌 단지 대대로 녹봉을 받는 사람만을 말하는 것이며, 권세 있는 집안이라는 것은 어찌 단지 사치스럽고 부유한 집안만을 말하는 것이겠는가? 대개 공훈이 이미 세상에 드러나고 덕망이 이미 사람들에게 신임을 얻은 것은, 비유하자면 큰 나무와 같아서, 심고 가꾸고 사랑하며 보살펴, 한 아름에서부터 여러 아름에 이르기까지는 하루아침의 일이 아니다. 평소에 일이 없을 때, 공리(功利)를 논하고 근무 성적을 평가하는 것은 진실로 새로 등용된 선비만 못하다. 그러나 위급한 때에, 큰 계책을 결정하고, 많은 백성을 안정시키며, 부르면 오고, 휘두르면 흩어지는 것은, 오직 대대로 섬기는 신하와 권세 있는 집안만이 능히 할 수 있다. 내가 가우(嘉祐) 연간(송 인종의 연호)에 비로소 의민(懿敏) 왕공(왕중의)을 성도(成都)에서 알게 되었고, 그 후 기주(岐州)에서 일을 하였는데, 공은 허주(許州)에서 평량(平涼)으로 옮겨 진을 지키고 있었다. 이때 마침 오랑캐가 크게 변경을 침범하여, 전운사(轉運使)가 원수의 일을 겸임하였는데, 부총관(副總管)과 의논이 맞지 않아, 군대는 기강이 없고, 변방 사람들이 크게 두려워하여, 소문이 삼보(三輔, 장안 일대)까지 흔들렸다. 공이 온다는 소식을 듣자, 관리와 군사들이 기뻐하며 외쳐 전하고, 깃발은 정비되고, 북소리와 나팔 소리는 우렁차니, 오랑캐는 즉시 물러갔다. 공은 도착하여 장수와 부관들을 위로하였을 뿐이다. 나는 그제야 노신(老臣)과 숙장(宿將)의 공용(功用)이 이와 같음을 알았다. 만약 새로 등용된 선비가 이를 맡았다면, 비록 한신(韓信)과 백기(白起)의 용맹과 장량(張良)과 진평(陳平)의 기묘한 계책이 있다 하더라도, 어찌 앉아서 승리하고 말없이 이와 같은 빠른 승리를 이룰 수 있었겠는가? 희녕(熙寧) 4년 가을, 내가 장차 전당(錢塘)으로 가려 할 때, 공의 사저(私第) 일로당(佚老堂)에서 공을 뵙고, 술을 마시며 저물도록 이야기하였다. 당시의 일을 논하다가, 말씀하시기를 “나는 늙었으니, 다시 보지 못할까 두려우니, 자후(子厚, 소식의 자)는 스스로를 아끼고, 내 말을 잊지 말라.”라고 하셨다. 가신 지 2년 만에 공이 돌아가셨다. 또 6년이 지나서, 이에 공의 진찬(真贊)을 지어 그 아들 공(鞏)에게 남긴다. 그 말은 다음과 같다.

당당한 위공(魏公), 천명을 받아 조상을 불렀네. 밝고 진실한 의민(懿敏), 주(周)나라의 호랑이로다. 위공이 조정에 있을 때, 모든 법도가 바르게 되었네. 의민이 밖에 있을 때, 소문은 있었으나 소리는 없었네. 높고 밝고 넓고 크니, 마땅히 공이 되고 재상이 될 만하네. 백 아름이나 되는 나무와 같으니, 마땅히 궁궐이 되고 사당이 될 만하네. 하늘이 이미 그를 두터이 하였으니, 또 귀하고 부유하게 하였네. 산과 같고 강과 같으니, 편안함이 그에게 있네. 저 가난한 집 아이는, 이미 누추하고 또 가난하네. 마침내 수고롭고 영원히 근심하니, 그 현명함을 알지 못하네. 어찌 이를 보지 않으리오, 패옥과 칼과 신을 차고 있는 것을. 진공(晉公)의 손자요, 위공의 아들이로다.

정밀 분석 및 설명:

  • 세신(世臣)의 중요성 강조: 맹자의 말을 인용하여 나라에는 큰 나무(喬木)보다 대대로 나라를 섬긴 신하(世臣)가 더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이는 오랜 경험과 덕망을 갖춘 신하가 국가의 안정과 발전에 필수적임을 의미합니다.
  • 왕중의의 공적 부각: 왕중의가 변경의 위기 상황에서 보여준 뛰어난 리더십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제시합니다. 오랑캐의 침입으로 혼란에 빠진 상황에서 왕중의가 부임하자마자 상황이 안정된 것을 통해 그의 능력을 입증합니다. 이는 오랜 경험과 덕망이 위기 상황에서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지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신진 세력과의 대비: 경험이 부족한 신진 세력은 평소에는 유능해 보일 수 있지만, 위기 상황에서는 큰 역할을 하기 어렵다고 지적합니다. 이는 왕중의와 같은 노신(老臣)의 가치를 더욱 부각하는 효과를 냅니다. 한신, 백기, 장량, 진평 등 뛰어난 능력을 가진 역사적 인물들을 언급하면서도, 왕중의처럼 조용히 상황을 해결하는 능력은 그들조차 쉽게 갖추지 못했을 것이라고 평가합니다.
  • 소식과 왕중의의 인연: 소식이 왕중의를 처음 만났을 때의 상황과 이후의 만남을 회상하며, 왕중의의 인품과 가르침을 기립니다. 특히 왕중의가 소식에게 남긴 “나는 늙었으니, 다시 보지 못할까 두려우니, 자후는 스스로를 아끼고, 내 말을 잊지 말라.”라는 말은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 찬문의 내용: 찬문에서는 왕중의의 가문과 그의 업적을 기리고 그의 고귀한 인품을 칭송합니다. "위공(魏公)", "의민(懿敏)" 등의 시호를 언급하며 그의 높은 지위와 덕망을 나타내고, 그를 주나라의 호랑이에 비유하며 그의 용맹과 충성심을 강조합니다. 또한 그의 풍요로운 삶과 대비되는 가난한 사람들의 고통을 언급하며, 왕중의의 삶이 더욱 가치 있음을 부각합니다.

중요 내용 요약:

  • 오랜 경험과 덕망을 갖춘 신하(世臣)는 국가의 안정에 매우 중요하다.
  • 왕중의는 위기 상황에서 뛰어난 리더십을 발휘한 명신이다.
  • 소식은 왕중의의 인품과 가르침을 존경하며, 그의 삶을 기리는 찬문을 지었다.

이 글을 통해 소식은 왕중의의 삶과 업적을 기리는 동시에, 국가의 안정과 발전에 있어 오랜 경험과 덕망을 갖춘 신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위기 상황에서 진정으로 필요한 인재가 누구인지를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왕정국진찬(王定國真贊)"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짧은 찬문은 왕정국(王定國)이라는 인물의 진면목을 간결하면서도 심오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온화하고 윤택한 것은, 도를 닦는 사람의 풍만함이다. 차갑고 맑은 것은, 시인의 마른 모습이다. 너그럽고 유연한 것은, 고귀한 집안의 자제이다. 작고 날렵하고 용감한 것은, 협객의 무리이다. 사람이 어찌 족히 그를 알 수 있겠는가? 이것들은 모두 그의 겉모습일 뿐이다. 이 사람과 같은 이는, 태평해도 교만하지 않고, 곤궁해도 굽히지 않으며, 늙어도 시들지 않는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찬문은 여러 가지 인간 유형의 외적인 특징을 제시하며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외적인 특징만으로는 한 사람의 진정한 모습을 파악할 수 없다고 지적합니다. 왕정국이라는 인물은 이러한 외적인 범주에 쉽게 포섭되지 않는, 내면의 강인함과 고결함을 지닌 인물로 묘사됩니다.

  • 다양한 인간 유형의 외적 묘사:
    • 온화하고 윤택한 자: 도를 닦는 사람의 풍만하고 여유로운 모습을 나타냅니다. 내면의 수양이 외적으로 드러난 상태를 의미합니다.
    • 차갑고 맑은 자: 시인의 마르고 고독한 모습을 나타냅니다. 예술가의 예민함과 고뇌를 표현합니다.
    • 너그럽고 유연한 자: 고귀한 집안 자제의 품위 있고 여유로운 모습을 나타냅니다. 사회적 지위와 환경이 사람의 외모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줍니다.
    • 작고 날렵하고 용감한 자: 협객의 용맹하고 민첩한 모습을 나타냅니다. 무력과 정의감을 중시하는 사람들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 외적 모습의 한계 지적: "사람이 어찌 족히 그를 알 수 있겠는가? 이것들은 모두 그의 겉모습일 뿐이다(人何足以知之?此皆其膚也)."라는 문장은 이러한 외적인 묘사만으로는 한 사람의 진정한 내면을 알 수 없음을 강조합니다. 즉, 겉모습은 단지 피상적인 정보일 뿐이며, 그 사람의 본질을 드러내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 왕정국의 진면목: 찬문의 핵심은 왕정국이라는 인물의 진정한 모습은 외적인 특징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내면의 덕성을 지닌 인물로 묘사됩니다.
    • 태불교(泰不驕): 태평한 상황에서도 교만하지 않는 겸손함을 의미합니다. 성공이나 번영에 도취되지 않고 항상 겸허한 자세를 유지하는 인품을 나타냅니다.
    • 곤불요(困不撓): 곤궁한 상황에서도 굽히지 않는 강인함을 의미합니다. 어려움과 역경에 굴하지 않고 꿋꿋하게 자신의 신념을 지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 노불고(老不枯): 늙어도 시들지 않는 불변함을 의미합니다. 나이가 들어도 정신력이 쇠퇴하지 않고 젊음과 같은 활력을 유지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이는 단순히 육체적인 젊음이 아니라, 정신적인 젊음, 즉 지혜와 덕성을 잃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요 내용 요약:

  • 외적인 특징만으로는 한 사람의 진정한 모습을 알 수 없다.
  • 왕정국은 겸손함, 강인함, 불변함이라는 내면의 덕성을 지닌 인물이다.
  • 이 찬문은 외적인 묘사를 통해 오히려 내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짧은 찬문을 통해 소식은 왕정국의 깊이 있는 인품을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는 외적인 모습에 현혹되지 않고 내면의 덕성을 중시하는 가치관을 드러내고 있으며, 왕정국이라는 인물을 통해 이러한 가치관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진소유진찬(秦少游真贊)"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진소유(秦少游, 본명은 진관(秦觀))라는 인물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그의 자유로운 삶의 태도와 본질적인 모습을 간결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그대를 장차 벼슬할 사람으로 보면, 그 복장은 소박하고, 그 행동은 바르다. 그대를 장차 은둔할 사람으로 보면, 그 말은 문학적이고, 그 정신은 왕성하다. 내버려 두고 찾지 않으면 그대는 다가오지 않고, 다가가서 찾으면 그대는 숨지 않는다. 장차 벼슬할 사람, 장차 은둔할 사람으로 여기는 것은, 모두 그대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 대개 가진 바를 모두 이끌고 만나는 바를 타고, 세상에서 노닐다가, 마침내 고향으로 돌아가는 사람이로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찬문은 진소유라는 인물을 단정적으로 규정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며 시작합니다. 겉으로 보이는 모습만으로는 그의 진정한 모습을 파악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벼슬을 지향하는 사람처럼 보이기도 하고, 은둔을 지향하는 사람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어느 한쪽으로 단정 지을 수 없는 복합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 대조적인 묘사:
    • 장차 벼슬할 사람으로 볼 때: "그 복장은 소박하고, 그 행동은 바르다(其服野,其行方)."라는 구절은 진소유가 겉으로는 검소하고 단정한 모습으로, 마치 벼슬을 지향하는 사람처럼 보임을 나타냅니다.
    • 장차 은둔할 사람으로 볼 때: "그 말은 문학적이고, 그 정신은 왕성하다(其言文,其神昌)."라는 구절은 진소유의 내면에는 풍부한 문학적 재능과 왕성한 정신력이 있으며, 이는 마치 은둔을 지향하는 사람의 모습과 같음을 나타냅니다.
  • 규정의 어려움: "내버려 두고 찾지 않으면 그대는 다가오지 않고, 다가가서 찾으면 그대는 숨지 않는다(置而不求君不即,即而求之君不藏)."라는 구절은 진소유의 자유로운 태도를 보여줍니다. 그는 억지로 세상에 나서려 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세상을 완전히 등지지도 않습니다. 상황에 따라 자연스럽게 대처하는 유연함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진소유의 본질: "장차 벼슬할 사람, 장차 은둔할 사람으로 여기는 것은, 모두 그대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以為將仕將隱者,皆不知君者也)."라는 구절은 앞서 제시된 대조적인 묘사만으로는 진소유의 진정한 모습을 파악할 수 없음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 결론: "대개 가진 바를 모두 이끌고 만나는 바를 타고, 세상에서 노닐다가, 마침내 고향으로 돌아가는 사람이로다(蓋將挈所有而乘所遇,以游於世,而卒反於其鄉者乎)."라는 구절은 진소유의 삶의 방식을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그는 자신의 재능과 능력을 가지고 세상의 흐름에 따라 자유롭게 살아가지만, 결국에는 본래의 자리, 즉 고향으로 돌아가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이는 진소유가 세상의 명리에 집착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삶을 추구하는 인물임을 보여줍니다.

중요 내용 요약:

  • 진소유는 벼슬과 은둔이라는 이분법적인 틀로 규정할 수 없는 복합적인 인물이다.
  • 그는 세상의 흐름에 따라 자유롭게 살아가지만, 결국에는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는 자연스러운 삶을 추구한다.
  • 이 찬문은 진소유의 자유로운 삶의 태도와 본질적인 모습을 간결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 짧은 찬문을 통해 소식은 진소유의 독특한 인품과 삶의 방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는 겉으로 보이는 모습에 현혹되지 않고, 내면의 본질을 파악하려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진소유라는 인물을 통해 자유로운 삶의 가치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참료자진찬(參寥子真贊)"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참료자(參寥子)라는 인물에 대한 소식의 관찰과 평가를 담고 있습니다. 참료자는 송나라의 승려이자 시인인 도잠(道潛)의 호입니다. 소식은 그를 깊이 이해하려 했지만, 다섯 가지 점에서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동파거사(東坡居士, 소식의 호)가 말하기를, “오직 참료자는, 몸은 차갑지만 도는 풍부하다. 글에는 능하지만 말에는 어눌하다. 겉은 약하고 부드러우나 속은 강하고 굳세다. 남과 다투는 일이 없지만, 친구의 잘못을 비평하고 비난하기를 좋아한다. 마른 몸에 재와 같은 마음을 가졌으면서도, 시대의 감회를 노래하고 사물을 완상하며 정을 잊지 못하는 말을 하기를 좋아한다. 이것이 내가 이른바 참료자에게 이해할 수 없는 다섯 가지이다.”

정밀 분석 및 설명:

소식은 참료자를 다섯 가지 대조적인 특징으로 묘사하며, 이러한 모순적인 면모 때문에 그를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이는 참료자의 복잡하고 다면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동시에, 인간의 내면을 단편적으로 파악하는 것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다섯 가지 이해할 수 없는 점 (오불가효(五不可曉))
    1. 신한이도부(身寒而道富): 몸은 차갑지만 도는 풍부하다는 것은, 외모는 초라하고 허약해 보이지만 내면에는 깊은 깨달음과 풍부한 지혜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외적인 모습과 내적인 깊이의 괴리를 보여줍니다.
    2. 변어문이눌어구(辯於文而訥於口): 글에는 능하지만 말에는 어눌하다는 것은, 문장력은 뛰어나지만 언어 표현에는 서툴다는 의미입니다. 내면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데는 능숙하지만, 구두로 전달하는 데는 어려움을 느끼는 성격을 나타냅니다.
    3. 외왕유이중건무(外尪柔而中健武): 겉은 약하고 부드러우나 속은 강하고 굳세다는 것은, 외모는 유약해 보이지만 내면에는 강인한 의지와 굳센 기개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외유내강(外柔內剛)의 성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4. 여인무경이호자기붕우지과(與人無競,而好刺譏朋友之過): 남과 다투는 일이 없지만, 친구의 잘못을 비평하고 비난하기를 좋아한다는 것은, 평소에는 온화하고 다툼을 싫어하지만,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일에 대해서는 비판을 서슴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부드러움 속에 숨겨진 강직함을 보여줍니다.
    5. 고형회심이희위감시완물불능망정지어(枯形灰心,而喜為感時玩物不能忘情之語): 마른 몸에 재와 같은 마음을 가졌으면서도, 시대의 감회를 노래하고 사물을 완상하며 정을 잊지 못하는 말을 하기를 좋아한다는 것은, 외적으로는 모든 것을 초탈한 것처럼 보이지만, 내면에는 여전히 세상과 사물에 대한 깊은 애정과 감성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초탈과 애착이라는 모순된 감정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복잡한 내면을 보여줍니다.

중요 내용 요약:

  • 참료자는 외적인 모습과 내면의 모습이 일치하지 않는 모순적인 면모를 지닌 인물이다.
  • 소식은 이러한 모순성 때문에 참료자를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 이 글은 인간의 내면을 단편적으로 파악하는 것의 한계를 보여준다.
  • 소식은 참료자를 통해 인간의 복잡하고 다면적인 본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 짧은 찬문을 통해 소식은 참료자라는 한 인물을 깊이 있게 조명하는 동시에, 인간 본성의 복잡성과 다양성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는 단순한 칭찬이나 비판을 넘어, 인간 내면의 모순과 갈등을 섬세하게 포착하여 독자들에게 깊은 사유의 여지를 남기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대정진찬(徐大正真贊)"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서대정(徐大正)이라는 인물을 찬양하는 짧은 글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어진 서자여, 온화하고 문학적이면서도 굳세도다. 유학자이면서 법도를 어지럽히지 않고, 협객이면서 금기를 범하지 않는다. 옛사람에게서 구하면, 그 시대를 숭상하여 논한다. 당나라를 올라가고 한나라를 낮추며, 삼국시대의 선비를 논한다. 나는 북해(北海, 공융)가 아니니, 어찌 자의(子義, 변양)를 알겠는가. 원컨대 백부(伯符, 손책)를 보니, 창을 잡고 희롱하는구나.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찬문은 서대정이라는 인물의 인품과 학문적 경향을 간결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학자와 협객이라는 다소 대조적인 이미지를 동시에 지니고 있으면서도 균형을 이루는 그의 모습을 강조합니다. 또한 역사적 인물들을 언급하며 서대정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 인품에 대한 묘사:
    • 온문이의(溫文而毅): 온화하고 문학적이면서도 굳세다는 것은, 부드러움과 강인함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유학자의 학문적 깊이와 함께 협객의 용기를 겸비한 인물임을 보여줍니다.
    • 유불란법(儒不亂法), 협불범기(俠不犯忌): 유학자이면서 법도를 어지럽히지 않고, 협객이면서 금기를 범하지 않는다는 것은, 자신의 신념을 지키면서도 사회의 질서를 존중하는 균형 잡힌 태도를 의미합니다. 무모하거나 과격하지 않고, 이성적인 판단과 절제를 중시하는 인물임을 나타냅니다.
  • 학문적 경향:
    • 구지고인(求之古人), 상론기세(尚論其世): 옛사람에게서 구하면, 그 시대를 숭상하여 논한다는 것은, 과거의 역사와 인물을 연구하고 평가하는 데 힘썼음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과거의 것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적 태도를 보여줍니다.
    • 등당감한(登唐減漢), 삼국지사(三國之士): 당나라를 올라가고 한나라를 낮추며, 삼국시대의 선비를 논한다는 것은, 역사적 인물과 시대를 평가하는 그의 독자적인 관점을 드러냅니다. 당나라를 높이 평가하고 한나라를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며, 특히 삼국시대의 인물들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음을 나타냅니다.
  • 역사적 인물과의 비교:
    • 아비북해(我非北海), 안식자의(安識子義): 나는 북해(공융)가 아니니, 어찌 자의(변양)를 알겠는가라는 구절은, 자신을 공융에 비유하고 서대정을 변양에 비유함으로써, 서대정의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공융은 후한 말의 명사로, 변양은 그의 친구이자 역시 명사였습니다. 소식은 자신과 서대정의 관계를 공융과 변양의 관계에 비유하며, 서대정의 뛰어난 인품과 학식을 칭찬하고 있습니다.
    • 원관백부(願觀伯符), 남극위희(擥戟為戲): 원컨대 백부(손책)를 보니, 창을 잡고 희롱하는구나라는 구절은, 서대정의 활기 넘치고 용맹한 기개를 손책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손책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창업자로, 용맹하고 과감한 성격으로 유명합니다. 소식은 서대정에게서 손책과 같은 영웅적인 면모를 발견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요 내용 요약:

  • 서대정은 온화하고 문학적이면서도 굳센 인품을 지닌 인물이다.
  • 유학자와 협객의 이미지를 조화롭게 갖추고 있으며, 균형 감각이 뛰어난 인물이다.
  • 역사 연구에 힘썼으며, 자신만의 독자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 소식은 서대정을 공융과 변양, 손책과 같은 역사적 인물에 비유하며 그의 뛰어남을 칭찬하고 있다.

이 짧은 찬문을 통해 소식은 서대정의 다면적인 매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는 역사적 인물과의 비교를 통해 서대정의 가치를 부각시키고 있으며, 그의 인품과 학문적 경향을 간결하면서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문여가화묵죽병풍찬(文與可畫墨竹屛風贊)"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문여가(文與可, 본명은 문동(文同))가 그린 묵죽 병풍에 대한 찬문으로, 그의 인품과 예술의 관계에 대한 소식의 생각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여가의 문장은, 그의 덕의 찌꺼기이다. 여가의 시는, 그의 문장의 아주 작은 부분이다. 시로 다 표현할 수 없어, 넘쳐 흘러서 글로 나타나고, 변하여 그림이 되었으니, 모두 시의 남은 것이다. 그의 시와 문장을 좋아하는 사람은 더욱 적다. 그의 덕을 그의 그림을 좋아하는 것처럼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가? 슬프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짧은 찬문은 문여가의 예술, 특히 그림의 근원을 그의 인품(덕)과 문학(문장과 시)에서 찾고 있습니다. 소식은 문여가의 그림을 단순한 기교의 산물이 아닌, 그의 내면세계의 발현으로 보고 있습니다.

  • 예술의 근원: 소식은 문여가의 문장을 그의 덕의 "찌꺼기(糟粕)"라고 표현하고, 시는 문장의 "아주 작은 부분(毫末)"이라고 표현합니다. 이러한 표현은 다소 과격하게 보일 수 있지만, 문여가의 예술의 근원이 그의 깊은 인품에 있음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됩니다. 즉, 그의 인품이 가장 중요한 본질이고, 문장과 시는 그 본질의 일부를 드러내는 것이며, 그림은 그 남은 기운이 형상화된 것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마치 술을 빚고 남은 찌꺼기에서 술의 향기를 맡을 수 있듯이, 문여가의 문장과 시, 특히 그림에는 그의 고결한 인품의 향기가 배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시의 중요성: 소식은 "시로 다 표현할 수 없어, 넘쳐 흘러서 글로 나타나고, 변하여 그림이 되었으니, 모두 시의 남은 것이다(詩不能盡,溢而為書,變而為畫,皆詩之餘)."라고 말합니다. 이는 문여가의 예술 활동의 중심에 시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시가 그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었고, 문장과 그림은 시에서 미처 다 표현하지 못한 감정과 사상을 보완하는 역할을 했다고 보는 것입니다.
  • 인품과 예술의 관계: 소식은 "그의 시와 문장을 좋아하는 사람은 더욱 적다. 그의 덕을 그의 그림을 좋아하는 것처럼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가? 슬프다!(其詩與文,好者益寡。有好其德如好其畫者乎?悲夫!)"라고 말하며 안타까워합니다. 이는 사람들이 문여가의 그림의 뛰어난 기교에만 주목하고, 그 그림에 담긴 그의 고결한 인품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탄식입니다. 소식은 진정으로 문여가의 예술을 이해하려면, 그의 인품, 즉 내면세계까지 함께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중요 내용 요약:

  • 문여가의 예술, 특히 그림은 그의 인품과 문학의 발현이다.
  • 시가 그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었다.
  • 소식은 사람들이 문여가의 그림의 기교에만 주목하고, 그 안에 담긴 인품을 이해하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한다.
  • 이 찬문은 예술 감상에 있어 작가의 인품, 즉 내면세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짧은 찬문을 통해 소식은 문여가의 예술을 단순히 외적인 기교로 평가하는 것을 경계하고, 그의 인품과 내면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예술을 감상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는 예술과 인품의 불가분한 관계를 역설하며, 진정한 예술 감상의 의미를 되새기게 합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계단원문여가화묵죽찬(戒壇院文與可畫墨竹贊)"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문여가(文與可)가 계단원(戒壇院)에 그린 묵죽(墨竹) 그림에 대한 찬문입니다. 간결한 문장 속에 대나무의 강인한 생명력과 문여가의 예술적 경지를 칭송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바람에 흔들리는 가지와 비에 젖은 대나무 껍질은, 위로는 빙박(氷雹, 우박)에도 거만하다. 서리 맞은 뿌리와 눈 덮인 마디는, 아래로는 금철(金鐵, 쇠붙이)을 꿰뚫는다. 누가 이 군자인가? 성은 문씨요 이름은 여가이다. 오직 그가 이러한 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처럼 잘 그리는 것이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찬문은 대나무의 강인한 생명력과 고결한 품성을 묘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대나무의 특성이 화가인 문여가의 내면과 일치하기 때문에, 그가 훌륭한 묵죽화를 그릴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 대나무의 강인함:
    • 풍초우탁(風梢雨籜), 상오빙박(上傲冰雹): 바람에 흔들리는 가지와 비에 젖은 대나무 껍질은 위로는 우박에도 굴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모진 비바람과 우박에도 꺾이지 않고 꿋꿋하게 서 있는 대나무의 강인함을 표현합니다. "오(傲)"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마치 대나무가 자연의 시련을 업신여기는 듯한 기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상근설절(霜根雪節), 하관금철(下貫金鐵): 서리 맞은 뿌리와 눈 덮인 마디는 아래로는 쇠붙이까지 꿰뚫는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땅속 깊이 뿌리를 내리고 굳건하게 자라는 대나무의 생명력을 강조합니다. 차가운 서리와 눈 속에서도 굳건히 뿌리를 내리고, 심지어 단단한 쇠붙이까지 뚫고 자라는 강인함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 문여가와의 연결:
    • 수위차군(誰為此君)? 여가성문(與可姓文): 누가 이 군자인가? 성은 문씨요 이름은 여가이다라는 구절은, 앞에서 묘사한 대나무의 고결한 품성을 "군자(君子)"에 비유하며, 이러한 군자와 같은 풍모를 지닌 사람이 바로 문여가임을 밝히고 있습니다.
    • 유기유지(惟其有之), 시이호지(是以好之): 오직 그가 이러한 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처럼 잘 그리는 것이다라는 구절은, 문여가가 대나무의 이러한 특성을 내면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즉 대나무와 같은 고결한 인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훌륭한 묵죽화를 그릴 수 있었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그림이 단순히 기술적인 숙련만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화가의 내면세계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음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중요 내용 요약:

  • 이 찬문은 대나무의 강인한 생명력과 고결한 품성을 묘사하고 있다.
  • 문여가는 대나무와 같은 고결한 인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훌륭한 묵죽화를 그릴 수 있었다.
  • 이 글은 예술 작품이 작가의 내면세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짧은 찬문을 통해 소식은 문여가의 묵죽화에 담긴 정신적인 깊이를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는 대나무의 이미지를 통해 문여가의 고결한 인품을 찬양하고 있으며, 예술 작품 감상에 있어 작가의 내면세계를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앞서 번역한 "문여가화묵죽병풍찬"과 함께 읽으면 소식이 문여가의 예술 세계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두 찬문을 통해 소식은 문여가의 예술이 단순히 기교적인 묘사를 넘어, 그의 인품과 사상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석실선생화죽찬병서(石室先生畫竹贊并敘)"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문여가(文與可)의 묵죽화에 대한 찬문과 함께 그에 대한 짧은 소개를 담고 있습니다. "석실선생(石室先生)"은 문여가의 집안을 가리키는 명칭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여가는, 문옹(文翁)의 후손이다. 촉(蜀)나라 사람들은 여전히 석실로 그의 집안을 일컫고, 여가는 스스로를 소소선생(笑笑先生)이라고 불렀다. 대개 도(道)와 함께 모두 사라져, 사물에 머무르지 않는 사람이라고 할 만하다. 돌아보건대 일찍이 대나무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였는데, 손님 중에 그를 칭찬하는 사람이 있어 말하기를,

“선생은 한가로이 거처하며, 홀로 웃음을 그치지 않으시니. 어디에서 웃으시는지 여쭈니, 나를 네가 아니라고 웃으시는구려. 사물이 사물을 대하는 것은, 나와 너는 하나이거늘.”

선생이 또 웃으시니, 웃는 바를 웃으시는 것이다. 웃고 웃는 여가에, 대나무로 묘한 경지를 드러내셨다. 대나무 또한 바람을 만나, 자연스럽게 웃는구나.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문여가의 인품과 예술 세계를 "웃음"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연결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가 세속적인 것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과 하나 되는 경지를 추구했음을 강조합니다.

  • 문여가에 대한 소개:
    • 문옹지후(文翁之後): 문옹은 한나라 때 촉군의 태수로, 교육을 진흥시켜 촉나라의 문화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인물입니다. 문여가가 그의 후손이라는 것은, 그가 명문가의 후예임을 나타냅니다.
    • 촉인유이석실명기가(蜀人猶以石室名其家): 촉나라 사람들이 여전히 석실로 그의 집안을 일컫는다는 것은, 그의 집안이 지역 사회에서 오랫동안 명망을 유지해 왔음을 보여줍니다.
    • 여가자위소소선생(與可自謂笑笑先生): 여가가 스스로를 소소선생이라고 불렀다는 것은, 그의 호가 "웃음"과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그의 인품을 드러내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 개가위여도개서(蓋可謂與道皆逝), 불류어물자야(不留於物者也): 대개 도와 함께 모두 사라져, 사물에 머무르지 않는 사람이라고 할 만하다는 구절은, 문여가가 도가적인 사상에 심취하여 세속적인 명리에 초연한 삶을 살았음을 나타냅니다. "도와 함께 사라진다"는 것은 세상의 변화와 흐름에 순응하며 집착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 손님의 칭찬과 문여가의 웃음:
    • 손님의 말은 만물은 하나라는 도가적인 사상을 담고 있습니다. 나와 너, 사물과 사물의 구별은 본질적으로 무의미하며, 모든 것은 하나의 근원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입니다.
    • 문여가가 두 번 웃는 것은 이러한 손님의 말을 긍정하는 동시에, 그 말에 담긴 의미를 더욱 깊이 깨닫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첫 번째 웃음은 손님의 말을 듣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웃음이고, 두 번째 웃음은 그 의미를 넘어선 더 깊은 깨달음에 이르는 웃음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대나무 그림과의 연결:
    • 소소지여(笑笑之餘), 이죽발묘(以竹發妙): 웃고 웃는 여가에, 대나무로 묘한 경지를 드러내셨다는 구절은, 문여가의 예술 창작이 그의 내면세계, 특히 "웃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의 그림은 단순한 기교의 산물이 아니라, 그의 깨달음과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수단이었던 것입니다.
    • 죽역득풍(竹亦得風), 천연이소(天然而笑): 대나무 또한 바람을 만나, 자연스럽게 웃는다는 구절은, 문여가가 그린 대나무 그림이 자연의 이치와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바람에 흔들리는 대나무의 모습은 마치 웃는 모습과 같으며, 이는 문여가의 그림이 자연의 본성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중요 내용 요약:

  • 문여가는 도가적인 사상에 심취하여 세속적인 것에 초연한 삶을 살았다.
  • "웃음"은 그의 인품과 예술 세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 그의 그림은 단순한 기교의 산물이 아니라, 그의 깨달음과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수단이었다.
  • 그의 그림은 자연의 이치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자연의 본성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다.

이 글을 통해 소식은 문여가의 삶과 예술을 깊이 있게 조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웃음"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그의 초탈한 인품과 자연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예술 세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문여가의 묵죽화가 단순히 대나무를 그린 그림이 아니라, 그의 내면세계와 철학을 담고 있는 심오한 예술 작품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문여가비백찬(文與可飛白贊)"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문여가(文與可)의 비백(飛白)이라는 서체에 대한 찬문으로, 그의 다재다능함과 예술적 깊이에 대한 소식의 감탄과 애도를 담고 있습니다. 비백은 붓을 마르게 하여 쓰는 서체로, 갈필(渴筆)의 효과를 통해 독특한 질감과 속도감을 표현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아, 슬프도다! 여가가 어찌 그리 많은 것을 좋아했던가, 기이한 것을 좋아했던 것인가! 아니면 그의 뜻을 펼치지 못했기 때문에 예술에 몰두했던 것인가. 처음 내가 그의 시와 문장을 보았고, 또 그의 행서, 초서, 전서, 예서를 보았을 때, 이것이 전부라고 생각하였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 1년이 지나서, 다시 그의 비백을 보게 되었다. 아름답고도 많도다, 만물의 모습을 다 담아내었구나! 부슬부슬함은 마치 가벼운 구름이 달을 가리는 듯하고, 펄럭거림은 마치 긴 바람이 깃발을 휘감는 듯하다. 하늘하늘함은 마치 가는 실이 버들 꽃씨를 감싸는 듯하고, 나풀나풀함은 마치 흐르는 물이 마름의 잎사귀를 춤추게 하는 듯하다. 듬성듬성함은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도 서로 이어져 있고, 오므라들음은 가까이 있으면서도 좁지 않다. 그 솜씨가 이 지경에 이르렀는데, 나는 이제야 그것을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내가 여가를 아는 것은 진실로 얼마 되지 않고, 내가 알지 못하는 것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아, 슬프도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찬문은 문여가의 예술적 재능의 다양성과 깊이에 대한 소식의 놀라움과, 그를 뒤늦게야 제대로 알게 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백이라는 서체를 통해 드러나는 그의 예술적 경지를 극찬하며, 자연의 다양한 모습을 비유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 문여가의 다재다능함: 소식은 처음 문여가의 시와 문장을 보았고, 이후 다양한 서체를 보았을 때 그것이 전부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사후에 그의 비백을 보고는 그의 예술적 재능이 훨씬 더 광범위하고 깊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이는 문여가가 문학, 서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음을 나타냅니다. "다호(多好)"와 "기호(好奇)"라는 표현은 그의 다재다능함을 강조하는 동시에, 그의 예술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 정신을 암시합니다. 또한 "불시(不試)"라는 표현은 그의 재능이 세상에 제대로 알려지지 못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비백의 묘사: 소식은 다양한 비유를 사용하여 비백의 특징을 생동감 넘치게 묘사합니다.
    • 경운폐월(輕雲蔽月): 가벼운 구름이 달을 가리는 듯한 부슬부슬함은, 비백의 섬세하고 흐릿한 질감을 표현합니다.
    • 장풍권패(長風卷旆): 긴 바람이 깃발을 휘감는 듯한 펄럭거림은, 비백의 역동적이고 힘찬 기세를 표현합니다.
    • 유사영유서(遊絲縈柳絮): 가는 실이 버들 꽃씨를 감싸는 듯한 하늘하늘함은, 비백의 가늘고 섬세한 선의 움직임을 표현합니다.
    • 유수무행대(流水舞荇帶): 흐르는 물이 마름의 잎사귀를 춤추게 하는 듯한 나풀나풀함은, 비백의 유려하고 자연스러운 흐름을 표현합니다.
    • 이리상속(離離相屬), 축축불애(縮縮不隘): 듬성듬성하면서도 이어져 있고, 오므라들면서도 좁지 않다는 것은, 비백의 공간 구성의 특징을 나타냅니다. 여백을 활용하면서도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는 비백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표현한 것입니다.
  • 뒤늦은 깨달음과 애도: 소식은 "그 솜씨가 이 지경에 이르렀는데, 나는 이제야 그것을 알게 되었다(其工至於如此,而余乃今知之)."라고 탄식하며, 문여가의 진정한 가치를 사후에야 깨닫게 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합니다. "내가 여가를 아는 것은 진실로 얼마 되지 않고, 내가 알지 못하는 것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則余之知與可者固無幾,而其所不知者,蓋不可勝計也)."라는 구절은 이러한 안타까움을 더욱 심화시키는 표현입니다. 마지막의 "아, 슬프도다!(嗚呼哀哉!)"라는 탄식은 문여가의 예술적 재능을 뒤늦게 알게 된 것에 대한 깊은 슬픔과 애도를 나타냅니다.

중요 내용 요약:

  • 문여가는 문학, 서예 등 다방면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예술가였다.
  • 소식은 사후에 그의 비백을 보고 그의 예술적 깊이에 감탄하고 안타까워한다.
  • 다양한 비유를 통해 비백의 특징을 생동감 넘치게 묘사하고 있다.
  • 이 찬문은 예술가의 진정한 가치를 알아보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글을 통해 소식은 문여가의 예술 세계를 재조명하고, 그의 다재다능함과 예술적 깊이를 기리고 있습니다. 특히 비백이라는 서체를 통해 드러나는 그의 예술적 경지를 극찬하며, 자연의 다양한 모습을 비유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또한 예술가의 진정한 가치를 사후에야 깨닫게 되는 안타까움을 통해, 생전에 예술가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고 존중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곽충서화찬병서(郭忠恕畫贊并敘)"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장몽득(張夢得)이 소장한 곽충서(郭忠恕)의 산수옥목화(山水屋木畫)에 대한 찬문과 함께 그의 생애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습니다. 곽충서는 괴팍한 성격과 뛰어난 그림 실력으로 유명한 화가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오른쪽은 장몽득이 소장한 곽충서의 산수옥목 그림 한 폭이다. 충서의 자는 서선(恕先)이고, 자로 행세하였으며, 낙양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글 짓는 것을 잘 하였고, 역사서와 소학(小學, 문자학)에 이르러서는 구경(九經)에 통달하였다. 일곱 살에 동자과(童子科)에 급제하였다. 한(漢)나라 상음공(湘陰公)이 종사(從事)로 그를 천거하였으나, 기록 담당 관리인 동예(董裔)와 일을 다투다가 벼슬을 버리고 떠났다. 주(周)나라 태조가 불러들여 주역 박사(周易博士)로 삼았다. 나라 초기에 감찰어사(監察御史) 부소문(符昭文)과 조정에서 다투다가 화가 나서 건주(乾州) 사호(司戶)로 좌천되었다. 임기가 차자 마침내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기(岐), 옹(雍), 섬(陜), 낙(洛) 사이를 방랑하며, 사람을 만나면 귀천을 가리지 않고 입으로 "고양이"라고 불렀다. 좋은 산수를 만나면, 곧 열흘씩 머물렀다. 혹은 곡식을 끊고 먹지 않기도 하였고, 한여름 땡볕 아래에서도 땀을 흘리지 않았으며, 대한(大寒)에는 얼음을 깨고 목욕하였다. 특히 그림을 잘 그렸는데, 산수와 집, 나무를 그리는 데 뛰어났다. 그림을 청하는 사람이 있으면, 반드시 화를 내며 가 버렸다. 그리고 싶은 마음이 생기면, 곧 스스로 그렸다. 곽종의(郭從義)가 기(岐) 아래에 진을 치고 있을 때 그를 산정(山亭)에 머물게 하고, 비단과 흰 종이, 분과 먹을 자리에 마련해 두었다. 몇 달이 지나, 갑자기 술에 취해 그림 한 귀퉁이에 먼 산 몇 봉우리만을 그렸을 뿐인데, 곽씨 또한 그것을 보물로 여겼다. 기에 부유한 집 아들이 있었는데,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여 날마다 좋은 술을 제공하며 매우 후하게 대접하였다. 오래 지나서야 속마음을 이야기하며 비단을 선물하자, 서선은 어린아이를 그려 연줄을 잡고 바람에 날리는 연을 그렸는데, 연줄을 수십 자나 가득 채웠다. 부잣집 아들은 크게 화를 내며 마침내 관계를 끊었다. 때때로 역부(役夫)나 평민들과 함께 저잣거리에서 음식을 먹으며 말하기를, “내가 함께 어울리는 사람들은 모두 너희 같은 부류이다.”라고 하였다. 태종이 그의 명성을 듣고, 서울로 불러들여 내시성(內侍省) 압반(押班) 두신흥(竇神興)의 집에 머물게 하였다. 서선은 긴 수염이 아름다웠는데, 갑자기 모두 잘라 버렸다. 두신흥이 놀라 그 이유를 묻자. 말하기를, “애써 흉내 내 본 것이오.”라고 하였다. 두신흥이 크게 화를 냈다. 국자감 주부(國子監主簿)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서는 태학(太學)에 머물며 더욱 술을 마시고 함부로 시정의 정사를 말하여, 비방하는 말이 많았다. 이 말이 알려지자, 곤장을 맞고 등주(登州)로 유배되었다. 제(齊)주 임청(臨清)에 이르러, 호송하는 관리에게 말하기를, “나는 이제 가는구나.”라고 하였다. 이에 땅을 파서 구멍을 만들고, 얼굴이 들어갈 만한지 헤아려 보고는, 엎드려 들여다보다가 죽으니, 길가에 거적에 싸서 장사지냈다. 몇 달 후, 옛 친구가 개장하려 하였으나, 옷과 이불만 남아 있었으니, 아마도 시해(尸解, 도교에서 육신을 벗고 신선이 되는 것)한 것이리라. 찬(贊)하여 말한다.

하늘을 찌르는 키 큰 소나무, 물에 꽂힌 푸른 절벽. 난간에 기대어 바라보는 높은 누각, 아득히 누가 있는가. 텅 비고 아득하며 고요하고 쓸쓸하니, 안개비에 사라져 보이지 않네. 서선이 그곳에 있으니, 부르면 혹 나타나리라.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곽충서라는 인물의 기이한 행적과 뛰어난 그림 실력을 대비시켜 보여줍니다. 그의 괴팍한 성격과 세속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분방한 삶, 그리고 그 속에서 발현된 예술적 재능을 소식 특유의 필치로 그려내고 있습니다.

  • 곽충서의 생애:
    • 뛰어난 재능에도 불구하고 벼슬길에 순탄치 않았으며, 여러 차례 관직을 버리거나 좌천당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습니다.
    • 세속적인 명리에 초연하여 자유분방하게 살았으며, 기이한 행동을 많이 하였습니다. 사람을 만나면 귀천을 가리지 않고 "고양이"라고 불렀다는 일화, 음식을 끊고도 태연했다는 일화, 수염을 갑자기 잘라 버린 일화 등에서 그의 괴팍한 성격을 엿볼 수 있습니다.
    • 그림에 대한 고집이 강하여, 청탁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스스로 그리고 싶은 마음이 생기면 뛰어난 그림을 그렸습니다. 부잣집 아들과의 일화는 그의 이러한 성격을 잘 보여줍니다.
    • 마지막에는 유배지에서 죽음을 맞이하는데, 그의 시신이 사라진 것으로 보아 시해(尸解)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는 그의 신비로운 면모를 더욱 부각시키는 요소입니다.
  • 그림에 대한 평가:
    • 산수와 집, 나무를 그리는 데 특히 뛰어났다고 묘사하고 있습니다.
    • 곽종의가 그에게 그림을 그리도록 하였으나, 술에 취해 그림 한 귀퉁이에 몇 봉우리만 그렸을 뿐인데도 곽종의가 그것을 보물로 여겼다는 일화는, 그의 그림이 얼마나 뛰어난 경지에 이르렀는지를 보여줍니다.
  • 찬문의 내용:
    • 찬문은 곽충서가 그린 그림의 분위기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웅장한 자연 풍경과 그 속에 숨어 있는 듯한 인물의 모습을 간결하면서도 시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 "서선이 그곳에 있으니, 부르면 혹 나타나리라(恕先在焉,呼之或出)."라는 마지막 구절은, 그림 속에 곽충서의 정신이 살아 숨 쉬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중요 내용 요약:

  • 곽충서는 뛰어난 재능을 가졌지만, 괴팍한 성격과 세속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분방한 삶을 살았다.
  • 그림에 대한 고집이 강했으며, 뛰어난 그림 실력을 가지고 있었다.
  • 그의 삶은 신비로운 면모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그의 예술 세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 찬문은 그의 그림의 분위기를 시적으로 묘사하며, 그의 정신이 그림 속에 살아 숨 쉬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글을 통해 소식은 곽충서라는 특이한 인물의 삶과 예술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의 기이한 행적과 뛰어난 그림 실력을 대비시켜 보여줌으로써, 독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또한 찬문을 통해 그의 그림 속에 담긴 정신적인 깊이를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황정경찬병서(黃庭經贊并敘)"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소식이 쓴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을 포광도사(葆光道師)에게 선물한 것에 대해, 이공린(李公麟, 호는 용면거사(龍眠居士))이 경의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소식과 포광도사의 초상화를 함께 그린 것에 대한 찬문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내가 이미 황정내경경을 써서 포광 도사에게 주었는데, 용면 거사가 다시 경의 형상을 그 앞에 만들고, 우리 두 사람의 초상화를 그 뒤에 그렸다. 필치가 뛰어나고 묘하여, 마침내 희세의 보물이 되었으니, 감탄하여 마지않아, 다시 찬하여 말한다.

태상의 허황(虛皇)께서 신령한 글을 내시니, 황정 진인이 태선(胎仙)을 춤추네. 수염이 하얀 두 명의 높은 신하가 앞뒤에 있고, 어리고 묘한 동자들이 맑고 아름답게 모시고 있네. 열두 신이 예리하고 굳건하게 복종하니, 높고 당당하여 사람 가운데 하늘이로다. 나에게 무엇을 닦아 이러한 인연을 맺었는지 물으니, 이 마음은 아침에는 비어 있고 저녁에는 뚜렷하네. 그 사람이 아니면 세상에 전해지지 못할까 두렵네. 맨 뒤에는 두 선비가 푸른 학처럼 날아오르네. 남쪽으로 도사를 따라 산과 깊은 물을 두루 다니네. 산사람이 맞이하며 웃으며 내가 돌아온 것을 기뻐하니, 누가 변화를 보냈는지 물으니 늙은 용면이로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찬문은 소식이 쓴 경전, 이공린의 그림, 그리고 두 사람의 만남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연결하여, 도교적인 이상향과 예술의 가치를 찬양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공린의 그림 솜씨를 극찬하며, 도교적인 신선 세계를 생동감 넘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 배경 설명: 소식이 직접 쓴 "황정내경경"을 포광 도사에게 선물했고, 이공린이 그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두 사람의 초상화까지 함께 그렸다는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 작품이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소식, 이공린, 포광 도사 세 사람의 교류와 정신세계를 담고 있는 특별한 작품임을 강조합니다.
  • 그림에 대한 찬양:
    • 필세준묘(筆勢雋妙): 이공린의 필치가 뛰어나고 묘하다고 극찬하고 있습니다. 이는 그의 그림 실력이 매우 뛰어났음을 의미합니다.
    • 희세지보(希世之寶): 이 작품을 희세의 보물이라고 칭송하며, 그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 도교적 세계의 묘사:
    • 태상허황출령편(太上虛皇出靈篇), 황정진인무태선(黃庭真人舞胎仙): 태상의 허황께서 신령한 글을 내리시고, 황정 진인이 태선을 춤춘다는 구절은, 도교의 최고신인 태상노군과 황정경의 내용을 의인화하여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 염기양경상후전(髯耆兩卿相後前), 관묘협시청차연(丱妙夾侍清且妍): 수염이 하얀 두 명의 높은 신하가 앞뒤에 있고, 어리고 묘한 동자들이 맑고 아름답게 모시고 있다는 구절은, 신선 세계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 십유이신복예견(十有二神服銳堅), 외외당당인중천(巍巍堂堂人中天): 열두 신이 예리하고 굳건하게 복종하니, 높고 당당하여 사람 가운데 하늘이라는 구절은, 신들의 위엄과 권위를 강조하며, 그들이 인간 세계를 초월한 존재임을 나타냅니다.
  • 소식의 깨달음과 기원:
    • 시심조공석요연(是心朝空夕了然): 이 마음은 아침에는 비어 있고 저녁에는 뚜렷하다는 구절은, 소식 자신의 수행과 깨달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마음을 비우고 진리를 깨닫는 도교적인 수행의 경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공비기인세막전(恐非其人世莫傳): 그 사람이 아니면 세상에 전해지지 못할까 두렵다는 구절은, 이러한 깨달음과 예술 작품의 가치를 알아볼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음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 전이이사장곡건(殿以二士蒼鵠騫): 맨 뒤에는 두 선비가 푸른 학처럼 날아오른다는 구절은, 소식과 포광 도사가 신선처럼 자유롭게 세상을 살아가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 남수도사력산연(南隨道師歷山淵), 산인영소희아환(山人迎笑喜我還), 문수견화노룡면(問誰遣化老龍眠): 남쪽으로 도사를 따라 산과 깊은 물을 두루 다니고, 산사람이 맞이하며 웃으며 내가 돌아온 것을 기뻐하니, 누가 변화를 보냈는지 물으니 늙은 용면이라는 구절은, 소식과 포광 도사의 여정과, 이공린과의 만남을 신선 세계의 이야기처럼 묘사하고 있습니다.

중요 내용 요약:

  • 이 작품은 소식의 경전, 이공린의 그림, 그리고 두 사람의 만남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결합된 특별한 작품이다.
  • 이공린의 뛰어난 그림 솜씨와 도교적인 세계관을 찬양하고 있다.
  • 소식 자신의 수행과 깨달음을 표현하고 있다.
  • 신선 세계의 이야기처럼 묘사하여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소식은 이공린의 그림에 대한 감탄과 함께, 도교적인 이상향과 예술의 가치를 찬양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공린의 그림을 통해 표현된 신선 세계의 모습은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또한 소식 자신의 수행과 깨달음을 함께 언급함으로써, 이 작품이 단순한 그림 찬문이 아니라, 그의 정신세계를 반영하는 중요한 작품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흥국사욕실원육조화찬병서(興國寺浴室院六祖畫贊并敘)"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소식이 젊은 시절 흥국사(興國寺) 욕실원에 머물렀을 때 보았던 육조(六祖)의 초상화에 대한 기록입니다. 시간이 흘러 다시 그곳을 방문했을 때의 감회와 함께, 그림에 대한 찬사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내가 가우(嘉祐) 초년에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흥국사 욕실의 노승 덕향(德香)의 원(院)에 머물렀다. 욕실 남쪽에 오래된 집이 있었는데, 동쪽과 서쪽 벽에 육조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었다. 그 동쪽에는 나무를 조각하여 누각과 당우(堂宇)를 만들어 그것을 가려, 그 전부를 볼 수 없었고, 서쪽 벽의 세 스님은 모두 신령한 모습이 고요하고 깊으며, 가운데는 비어 있고 바깥은 평탄하니, 도를 아는 사람이 아니면 이렇게 그릴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위에 쓰여 있기를 “촉나라 승려 영종(令宗)의 붓”이라고 하였다. 내가 처음에는 영종의 이름을 듣지 못했는데, 집에 가짜 촉나라 대조(待詔) 구문파(丘文播)의 그림이 있었는데, 필치가 비슷하여 거의 분별할 수 없었다. “영종이 혹시 문파의 스승인가?”라고 하였다. 이윽고 촉나라 원로들에게 물어보니. 말하기를 “문파는 한주(漢州) 사람이고, 동생은 문효(文曉)이며, 영종은 그의 이복동생이거나 혹은 외사촌 동생이다.”라고 하였다. 모두 산수, 인물, 죽석(竹石)을 잘 그렸는데, 그 품격은 황전(黃筌)과 구룡상(句龍爽) 사이에 있었다. 문파의 아들 인경(仁慶)은, 특히 화훼, 과실, 조류를 잘 그렸는데, 촉나라 사람 조창(趙昌)이 스승으로 섬긴 사람이다. 내가 떠난 지 31년이 지나서, 중서사인(中書舍人) 팽기자(彭君器資) 또한 이곳에 머물렀다. 내가 가서 보니, 원 안의 사람들은 다시 나를 알아보는 사람이 없었다. 오직 주지승 혜문(惠汶)만이, 아마 당시 당상(堂上)의 시자(侍者)였던 듯한데, 역시 늙었다. 나를 인도하여 영종의 그림을 보니, 세 조상은 여전히 그늘진 곳에 있었다. 나와 기자가 서로 마주 보고 탄식하였다. 문이 말하기를 “아, 이것이 없어진 지가 얼마나 되었던가.”라고 하였다. 이에 이른바 누각과 당우라는 것을 옮겨 북쪽으로 향하게 하여 그것을 드러내니, 여섯 조사가 서로 마주 보며, 말하는 듯 웃는 듯, 법을 서로 전수하는 듯하였다. 도성 사람들이 이 소식을 듣고, 보러 오는 사람이 날마다 많아지자, 문이 이에 난간을 만들어 그것을 보호하였다. 기자가 나에게 찬을 지어 달라고 청하여, 말한다.

소림(少林)에서 벽을 마주하고 있었으나, 그것을 거리끼다고 여기지 않았네. 온 세상을 같은 수레를 타고 다니지만, 그것을 크다고 여기지 않았네. 머리 숙여 여섯 조상에게 절하니, 옛날에는 어두웠으나 지금은 밝네. 가지도 않고 오지도 않으니, 무엇이 손실되고 무엇이 더해지겠는가. 굽어보고 펴는 것이, 31년이로다. 나는 비록 날마다 변하지만, 누가 능히 그것을 옮길 수 있겠는가.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시간의 흐름과 변화 속에서도 변치 않는 진리의 모습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소년 시절 보았던 그림이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그 자리에 있는 것을 보고, 시간의 무상함과 진리의 영원함을 동시에 느끼는 소식의 감회가 잘 드러나 있습니다.

  • 과거 회상: 소식은 젊은 시절 흥국사에 머물렀던 때를 회상하며, 그곳에서 보았던 육조의 초상화에 대한 인상을 자세하게 묘사합니다. 특히 화가 영종과 구문파의 관계에 대한 의문, 그림의 뛰어난 솜씨에 대한 감탄 등을 이야기합니다. 또한 당시 함께 있었던 노승 덕향과, 31년 후 다시 만난 주지승 혜문에 대한 기억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부각합니다.
  • 재방문과 그림의 변화: 31년 만에 다시 흥국사를 방문했을 때, 그림이 가려져 있던 것을 옮겨서 볼 수 있게 된 것을 알게 됩니다. 가려져 있을 때는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웠지만, 완전히 드러난 후에는 마치 여섯 조사가 서로 마주 보며 이야기하고 웃는 듯한, 법을 전수하는 듯한 모습으로 느껴졌다고 합니다. 이는 진리가 가려져 있을 때는 그 모습을 제대로 알 수 없지만, 드러나면 명확하게 깨달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찬문의 내용:
    • 소림서벽(少林傃壁), 불이위애(不以為礙): 소림에서 벽을 마주하고 있었으나, 그것을 거리끼다고 여기지 않았다는 구절은, 달마대사가 소림사에서 벽을 보고 수행한 고사를 인용한 것으로, 진리를 깨닫기 위해서는 외적인 환경에 구애받지 않아야 함을 의미합니다.
    • 미천동련(彌天同輦), 불이위태(不以為泰): 온 세상을 같은 수레를 타고 다니지만, 그것을 크다고 여기지 않았다는 구절은, 진리는 온 세상에 두루 퍼져 있지만, 그것에 집착하지 않고 초연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 계수육사(稽首六師), 석회금명(昔晦今明): 머리 숙여 여섯 조상에게 절하니, 옛날에는 어두웠으나 지금은 밝다는 구절은, 그림을 통해 진리를 깨닫게 된 소식의 감회를 표현합니다. 가려져 있던 그림이 드러나면서 그 의미를 명확하게 알게 된 것을, 어둠에서 밝음으로 나아가는 것에 비유한 것입니다.
    • 불거불래(不去不來), 하손하증(何損何增): 가지도 않고 오지도 않으니, 무엇이 손실되고 무엇이 더해지겠는가라는 구절은, 진리는 영원불변하여 생멸(生滅)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시간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그림 속의 진리는 변하지 않았음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 부앙굴신(俯仰屈信), 삼십일년(三十一年): 굽어보고 펴는 것이, 31년이라는 구절은, 시간의 흐름을 간결하게 표현합니다.
    • 아수일화(我雖日化), 기숙능천지(其孰能遷之): 나는 비록 날마다 변하지만, 누가 능히 그것을 옮길 수 있겠는가라는 구절은, 인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만, 진리는 영원불변함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중요 내용 요약:

  •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변치 않는 진리의 모습을 강조하고 있다.
  • 그림을 통해 진리를 깨닫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 진리는 영원불변하며, 외적인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초연해야 함을 의미한다.
  • 과거와 현재를 대비시켜 시간의 무상함과 진리의 영원함을 동시에 나타낸다.

이 글을 통해 소식은 오랜 시간이 흘러도 변치 않는 진리의 가치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젊은 시절의 기억과 현재의 경험을 교차시키면서, 시간의 흐름과 그 속에서 발견하는 영원한 진리의 모습을 감동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림이라는 매개를 통해 진리를 깨닫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예술이 단순한 기교의 영역을 넘어 인간의 정신세계에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한간화마찬(韓幹畫馬贊)"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당나라의 유명한 화가 한간(韓幹)이 그린 말 그림 네 폭에 대한 찬문입니다. 소식은 그림 속 말들의 모습과 그 의미를 해석하며, 자유를 갈망하지만 현실에 묶여 있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한간의 말 그림이 네 폭이다. 그 하나는 땅에 있는데, 머리를 들고 갈기를 휘날리며, 마치 무엇을 바라는 듯, 발을 구르며 길게 울부짖는다. 그 하나는 물을 건너려 하는데, 머리를 높이 들고 어디로 건너야 할지 고르고, 몸을 움츠리며 아직 건너지 못하고 있다. 그 두 폭은 물에 있는데, 앞의 것은 뒤를 돌아보며, 마치 코로 이야기하는 듯하고, 뒤의 것은 대답하지 않고, 물을 마시려다가 멈춰 서 있다. 마구간의 말이라고 하기에는 앞에는 고삐가 없고, 뒤에는 채찍이 없다. 들의 말이라고 하기에는 곁눈질하고 귀를 쫑긋 세우고, 풍성한 가슴과 가는 꼬리는, 모두 규격에 맞다. 맑고 깨끗함이 마치 현명한 대부(大夫)나 귀한 공자(公子)가, 서로 허리띠를 풀고 모자를 벗고, 물가에 임하여 갓끈을 씻는 듯하다. 마침내 높이 날아 멀리 떠나, 사슴과 함께 여생을 마치고자 하지만, 그렇게 할 수 없다. 대개 느긋하게 즐기며, 그저 세월을 보내며 아무런 경영(經營)도 하지 않는 것이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찬문은 한간의 그림 속 말들을 통해 자유를 갈망하지만 현실에 얽매여 이상을 실현하지 못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보여줍니다. 소식은 말들의 외형적인 묘사뿐만 아니라, 그들의 행동과 심리까지 섬세하게 포착하여 그림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고 있습니다.

  • 네 폭의 말 그림 묘사: 소식은 네 폭의 그림을 각각 묘사하며, 말들의 다양한 모습과 상황을 제시합니다.
    • 땅에 있는 말: 머리를 들고 갈기를 휘날리며 울부짖는 모습은, 자유를 갈망하는 강렬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 물을 건너려 하는 말: 머리를 들고 건널 곳을 고르며 몸을 움츠리고 있는 모습은,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신중하게 상황을 살피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아직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주저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 물에 있는 두 마리 말: 서로 소통하는 듯하지만, 각자의 생각에 잠겨 있는 모습은, 현실에 타협하며 이상을 잃어버린 모습을 나타냅니다.
  • 말들의 상태에 대한 해석: 소식은 그림 속 말들을 마구간의 말도 아니고 들의 말도 아닌, 특별한 존재로 해석합니다. 고삐와 채찍이 없는 것으로 보아 마구간의 말이 아니고, 곁눈질하고 귀를 쫑긋 세우는 모습, 그리고 규격에 맞는 외형으로 보아 야생마도 아닌, 길들여진 존재이지만 자유를 갈망하는 존재로 해석한 것입니다.
  • 인간 세상에 대한 비유: 소식은 말들의 모습을 현명한 대부나 귀한 공자가 물가에서 휴식을 취하는 모습에 비유합니다. 이는 그림 속 말들이 단순한 동물이 아니라, 인간 세상의 지식인이나 고위 관료들을 비유하는 것임을 나타냅니다. 그들은 잠시나마 현실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지만, 결국 다시 현실로 돌아가야 하는 존재들입니다.
  • 자유에 대한 갈망과 현실의 제약: 소식은 말들이 사슴과 함께 여생을 마치고자 하지만, 그렇게 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이는 이상적인 삶, 즉 자연 속에서 자유롭게 살아가는 삶을 갈망하지만, 현실의 제약 때문에 그것을 실현할 수 없는 인간의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 결론: 소식은 "느긋하게 즐기며, 그저 세월을 보내며 아무런 경영도 하지 않는 것이다(優哉游哉,聊以卒歲而無營)."라고 결론짓습니다. 이는 현실에 타협하며 이상을 포기하고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안타깝게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중요 내용 요약:

  • 한간의 말 그림을 통해 자유를 갈망하지만 현실에 얽매여 이상을 실현하지 못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보여준다.
  • 말들의 외형적인 묘사뿐만 아니라, 그들의 행동과 심리까지 섬세하게 포착하여 그림에 담긴 의미를 해석한다.
  • 말들을 인간 세상의 지식인이나 고위 관료에 비유하여, 그들의 고뇌와 갈등을 드러낸다.
  • 자유에 대한 갈망과 현실의 제약 사이의 괴리를 안타깝게 표현한다.

이 글을 통해 소식은 한간의 그림을 단순한 묘사 그림이 아닌, 인간의 삶과 현실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는 예술 작품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유를 갈망하지만 현실에 묶여 있는 인간의 보편적인 고뇌를 말 그림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사자병풍찬병서(師子屏風贊并敘)"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윤주(潤州) 감로사(甘露寺)에 있는 이위공(李衛公, 이정(李靖))이 남긴 육탐미(陸探微)의 사자 그림 병풍에 대한 찬문입니다. 소식이 항주(杭州)에서 교서(膠西)로 옮겨 가는 길에 감로사에 들러 이 그림을 보고 감탄하여, 공인(工人)을 시켜 모사하게 하고, 자신이 머무는 관아의 공당(公堂)에 걸어두며 찬을 지은 내용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윤주 감로사에는 당나라 이위공이 남긴 육탐미의 사자 그림 판이 있다. 내가 항주에서 교서로 옮겨 가는 길에 들러 그것을 보았다. 공인을 시켜 모사하게 하여, 내가 머무는 관아의 공당 가운데에 두었다. 이에 찬하여 말한다.

둥근 눈, 치켜든 코, 수염을 떨치고 혀를 내밀며, 위엄이 이빨을 드러내는 모습에서 보이네. 그 발은 앞으로 향하고, 그 귀는 왼쪽을 보다가 오른쪽으로 머뭇거리네. 꼬리를 흔드는 모습이 기쁘게 보이네. 비록 사납지만 조화롭네. 대개 그것은 희롱하는 모습이네. 엄숙하고 높은 집에서 제비 궤안(几案)을 보호하네. 울부짖고 넘어지고 달리니 온갖 귀신이 달아나네. 아, 묘하도다 옛날 육탐미의 솜씨여.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찬문은 육탐미의 사자 그림에 대한 소식의 감탄과 찬양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사자의 역동적인 모습과 그 안에 담긴 조화로움을 강조하며, 그림이 가진 벽사(辟邪, 사악한 것을 물리침)의 의미를 부각하고 있습니다.

  • 배경 설명: 소식이 이위공이 남긴 육탐미의 사자 그림을 감로사에서 보고 감명을 받아 모사하게 했다는 상황을 설명합니다. 이위공은 당나라 초기의 명장으로, 그의 이름과 육탐미라는 유명 화가의 이름이 함께 언급됨으로써 그림의 역사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 사자 그림의 묘사: 소식은 사자의 모습을 생동감 넘치게 묘사합니다.
    • 원기목(圓其目), 앙기비(仰其鼻), 분염토설(奮髯吐舌), 위견치무(威見齒舞): 둥근 눈, 치켜든 코, 수염을 떨치고 혀를 내밀며, 위엄이 이빨을 드러내는 모습은 사자의 용맹함을 나타냅니다.
    • 기족전(其足前), 기이좌고우척(其耳左顧右躑): 그 발은 앞으로 향하고, 그 귀는 왼쪽을 보다가 오른쪽으로 머뭇거리는 모습은 사자의 역동적인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 희견미(喜見尾): 꼬리를 흔드는 모습이 기쁘게 보인다는 것은, 사자의 모습이 단순히 사납기만 한 것이 아니라, 장난기 넘치는 모습도 함께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사자의 의미 해석: 소식은 사자의 모습을 "비록 사납지만 조화롭다(雖猛而和)"라고 평가하며, 사자가 가진 양면성을 지적합니다. 겉으로는 위엄과 용맹을 드러내지만, 그 안에는 조화와 희롱의 모습도 함께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사자가 가진 벽사의 의미와 연결됩니다. 사자는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힘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존재로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 그림의 역할: 소식은 그림이 "엄숙하고 높은 집에서 제비 궤안을 보호한다(嚴嚴高堂護燕几)"라고 표현하며, 그림이 가진 벽사의 기능을 강조합니다. 제비 궤안은 중요한 손님을 맞이할 때 사용하는 궤안으로, 이러한 궤안을 사자 그림이 보호한다는 것은, 사자가 사악한 기운을 막아주고 좋은 기운을 불러들인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울부짖고 넘어지고 달리니 온갖 귀신이 달아난다(啼呼顛沛走百鬼)"라는 표현 역시 사자가 가진 벽사의 힘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 화가에 대한 찬양: 마지막으로 "아, 묘하도다 옛날 육탐미의 솜씨여(嗟乎妙哉古陸子)"라고 감탄하며, 육탐미의 뛰어난 그림 실력을 찬양합니다.

중요 내용 요약:

  • 육탐미의 사자 그림에 대한 소식의 감탄과 찬양을 담고 있다.
  • 사자의 역동적인 모습과 그 안에 담긴 조화로움을 강조한다.
  • 그림이 가진 벽사의 의미를 부각한다.
  • 화가의 뛰어난 솜씨를 찬양한다.

이 글을 통해 소식은 육탐미의 사자 그림을 단순한 그림이 아닌,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고 좋은 기운을 불러들이는 신성한 존재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림의 뛰어난 묘사력과 그 안에 담긴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예술 작품이 가진 힘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석창포찬병서(石菖蒲贊并敘)"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글은 약재이자 관상용 식물인 석창포(石菖蒲)에 대한 찬문입니다. 소식은 석창포의 약효와 생태적 특징을 설명하고, 특히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강인한 생명력에 감탄하며 찬양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본초경(本草經)에 이르기를, 창포는 맛은 맵고 따뜻하며 독이 없고, 마음을 열어주고, 오장(五臟)을 보하며, 구규(九竅)를 통하게 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한다고 한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고 오래 살게 하며, 심지(心智)를 이롭게 하고, 높은 뜻을 가져도 늙지 않게 한다고 한다. 주석에 이르기를, 돌이 많은 개울가에서 나는 것이 마디가 있는 것이 좋은 것이라고 한다. 습한 땅에서 큰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것은 곧 창양(昌陽)이니, 복용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 한퇴지(韓退之,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에 이르기를, “의원이 창양으로 노년을 이끌었다고 비방하며, 희령(稀苓)을 올리려 하였다.”라고 하였으니, 한퇴지는 창양을 곧 창포로 여긴 것인가? 혹은 그 비슷하지만 옳지 않아 노년을 이끌 수 없다고 말한 것인가? 무릇 초목이 돌 위에서 자라는 것은, 반드시 적은 흙에 뿌리를 붙여야 하니, 석위(石韋)나 석곡(石斛)과 같은 종류이다. 비록 흙을 기다리지 않지만, 그 본래 있던 곳을 떠나면, 곧 말라 죽는다. 오직 석창포만이 돌과 함께 취하여, 흙을 씻어내고, 맑은 물에 담가, 화분에 두면, 수십 년 동안 마르지 않는다. 비록 매우 무성하지는 않지만, 마디와 잎은 굳세고 가늘며, 뿌리털은 서로 이어져, 책상 위에서 푸르게 자라니, 오래될수록 더욱 사랑스럽다. 그 몸을 가볍게 하고 오래 살게 하는 효능은, 이미 창양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추위와 고통을 참고, 담박함에 편안하며, 맑은 샘과 흰 돌을 벗 삼아, 흙을 기다리지 않고 자라는 것은, 또한 어찌 창양이 본뜰 수 있겠는가? 내가 자호산(慈湖山)에서 노닐다가, 몇 포기를 얻어, 돌 화분에 심어, 배 안에 두었다. 이따금 문석(文石)과 석영(石英)을 놓으니, 빛나고 향기로워, 매우 아꼈다. 그러나 육로로 가져갈 수 없을까 염려하여, 이에 구강(九江)의 도사 호동미(胡洞微)에게 주어, 잘 돌보게 하였다. 내가 다시 이곳을 지나, 그 안부를 물어볼 것이다. 찬하여 말한다.

맑고 깨끗하도다, 오직 돌과 물과 함께하네. 하나의 그릇에 의탁하여, 본래 있던 곳이 아니네. 척박하지만 죽지 않으니, 누가 그 이치를 알겠는가. 이와 같지 않고서는, 어떻게 오장을 돕고 머리카락과 이를 굳게 할 수 있겠는가.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찬문은 석창포의 생태적 특징과 그 상징적인 의미를 연결하여, 척박한 환경에서도 굳건하게 살아가는 강인한 생명력을 찬양하고 있습니다. 특히 속세의 번잡함에서 벗어나 청빈하게 살아가는 고고한 선비의 모습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 본초경의 인용과 창양과의 비교: 소식은 먼저 본초경의 내용을 인용하여 창포의 약효를 설명합니다. 그리고 창포와 유사하지만 효능이 없는 창양을 언급하며, 한유의 진학해에 나오는 고사를 인용하여 창양을 잘못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경계를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석창포의 가치를 더욱 부각시키는 효과를 줍니다.
  • 석창포의 생태적 특징 묘사: 소식은 석창포가 척박한 돌 위에서도 굳건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자세하게 묘사합니다. 흙이 없어도, 본래 있던 곳을 떠나도, 물만 있으면 수십 년 동안 마르지 않고 푸르게 자라는 강인한 생명력을 강조합니다. 특히 "마디와 잎은 굳세고 가늘며, 뿌리털은 서로 이어져, 책상 위에서 푸르게 자라니, 오래될수록 더욱 사랑스럽다(節葉堅瘦,根須連絡,蒼然於几案間,久而益可喜也)."라는 구절은 석창포의 생명력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보여주는 핵심적인 표현입니다.
  • 석창포의 상징적 의미 부여: 소식은 석창포의 생태적 특징에 빗대어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합니다. 추위와 고통을 참고, 담박함에 편안하며, 맑은 샘과 흰 돌을 벗 삼아, 흙을 기다리지 않고 자라는 모습은, 속세의 번잡함과 부귀영화에 연연하지 않고 청빈하게 살아가는 고고한 선비의 모습에 비유됩니다. 이는 소식 자신이 추구했던 삶의 태도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입니다.
  • 석창포에 대한 애정과 염려: 소식은 자신이 자호산에서 얻은 석창포를 매우 아끼며, 배 안에 두고 감상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육로로 가져갈 수 없을까 염려하여, 도사 호동미에게 맡겨 돌보게 합니다. 이는 석창포에 대한 소식의 깊은 애정을 보여주는 일화입니다.
  • 찬문의 내용:
    • 청차체(清且泚), 유석여수(惟石與水): 맑고 깨끗하도다, 오직 돌과 물과 함께한다는 구절은, 석창포가 척박한 환경에서도 맑고 깨끗하게 자라는 모습을 간결하게 표현합니다.
    • 탁어일기(託於一器), 양비기지(養非其地): 하나의 그릇에 의탁하여, 본래 있던 곳이 아니라는 구절은, 석창포가 원래 자라던 환경이 아닌 화분에서도 잘 자라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 척이불사(瘠而不死), 부숙지기리(夫孰知其理): 척박하지만 죽지 않으니, 누가 그 이치를 알겠는가라는 구절은, 석창포의 강인한 생명력에 대한 감탄을 표현합니다.
    • 불여차(不如此), 하이보오장이기발치(何以輔五藏而堅髮齒): 이와 같지 않고서는, 어떻게 오장을 돕고 머리카락과 이를 굳게 할 수 있겠는가라는 구절은, 석창포의 약효와 그 상징적인 의미를 연결하여, 굳건한 생명력이 인간의 건강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중요 내용 요약:

  • 석창포의 생태적 특징과 그 상징적인 의미를 연결하여, 척박한 환경에서도 굳건하게 살아가는 강인한 생명력을 찬양한다.
  • 속세의 번잡함에서 벗어나 청빈하게 살아가는 고고한 선비의 모습에 비유한다.
  • 석창포에 대한 소식의 깊은 애정을 보여준다.
  • 석창포의 강인한 생명력이 인간의 건강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글을 통해 소식은 석창포라는 작은 식물을 통해 자연의 신비로움과 생명의 강인함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삶의 태도와 가치관을 투영하여, 독자들에게 깊은 공감과 감동을 전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