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가 생각하옵건대 우리 태조께서는 지극한 덕과 풍성한 공으로 큰 업을 창건하시고, 날마다 정치에 힘쓰셨습니다. 이에 병환으로 오래 머무르시게 되자, 선위(禪位)하시어 후사를 위한 계책을 남기시고, 오랫동안 편안히 지내셨습니다. 영락(永樂) 무자년(戊子年, 1408년) 봄 정월에 또 병환이 드시니, 우리 전하(태종)께서 지극한 정성과 공경으로 하늘에 기도하시어 목숨을 연장받으셨습니다. 다섯 달이 지나 다시 병이 깊어지시어 정침(正寢)에서 돌아가셨습니다. 예에 따라 양주(楊州)의 검암산(儉巖山)에 장사 지내시니, 서울에서 20여 리 떨어져 있습니다. 산의 뿌리는 장백산(長白山)에서 뻗어 내려, 2천여 리를 굽이굽이 이어져 철령(鐵嶺)에 이르러 꺾이고, 서쪽으로 수백 리를 가서 멈추어 우뚝 솟은 곳을 백운산(白雲山)이라 합니다. 또 남쪽으로 백여 리를 뻗어 북쪽으로 뻗어 남쪽을 향한 곳이 곧 검암입니다. 능은 계좌정향(癸坐丁向)이고, 능의 병방(丙方) 421척 되는 곳에 돌을 세워 우리 태조의 공덕의 시작과 끝의 성대함을 기록하였으니, 이미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전하께서 또 이르시기를 “개국공신들의 이름을 비석의 음면에 새겨야 한다. 나라를 정하고, 왕명을 보좌한 공신들 또한 모두 기회를 따라 계책을 정하여 우리 태조의 창업을 크게 확장한 사람들이니, 그들을 함께 새겨 영원히 잊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하시며 신(臣) 계량에게 기록하게 명하셨습니다.
신이 가만히 생각하옵건대 하늘이 큰 덕을 내시어 이 백성을 다스리게 하실 때에는 반드시 팔다리와 같은 보필하는 신하들이 앞뒤에서 뛰어다니며, 앞에서 열고 뒤에서 지킨 후에야 큰 공훈이 이루어지고 큰 업이 오래갑니다. 우리 태조께서 일어나심에, 문무 대신들이 하늘의 뜻을 밝게 알고, 실제로 능히 좌우에서 깨우치고 이끌었습니다. 무인년(戊寅年, 1398년)에 나라를 정하고, 경진년(庚辰年, 1400년)에 왕명을 보좌한 것 또한 모두 훈척(勳戚)과 훌륭한 보필들이 서로 도와 함께 보좌하여 그 공을 이루어 큰 복록을 영원히 하려 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이는 마땅히 돌에 새겨 후세에 빛내야 할 것이며, 우리 전하께서 조상의 업적을 드러내고 공신들의 아름다움을 포상하시는 것 또한 마땅히 함께 전해져 영원히 썩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수문전 직제학 신 변계량 기록.
이 비문은 태조의 죽음 이후 태종의 명으로 세워진 것으로, 태조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그를 도운 공신들의 공로를 칭송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점들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태조의 업적: 태조가 큰 덕과 공으로 나라를 세웠으며, 백성을 다스리는 데 힘썼음을 강조합니다.
- 태종의 효심: 태조의 병환에 대한 태종의 지극한 효심과 하늘에 기도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능의 위치와 의미: 능의 위치를 장백산에서 뻗어 내려온 맥으로 설명하여 그 신성함을 강조하고, 능의 방향과 규모를 자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 공신들의 공로: 개국 공신뿐 아니라 태조의 창업을 확장하는 데 기여한 공신들의 공로를 함께 기록하여 그들의 공을 기리고 있습니다.
변계량은 이 비문을 통해 태조의 위대한 업적과 태종의 효심, 그리고 공신들의 공로를 후세에 길이 전하고자 하였습니다.
개국공신(開國功臣)
개국공신은 조선 건국에 직접적인 공을 세운 신하들을 의미합니다.
- 의안대군 화(義安大君 和)
- 문하좌시중 배극렴(門下左侍中 裵克㢘)
- 영의정부사 조준(領議政府事 趙浚)
- 상락부원군 김사형(上洛府院君 金士衡)
- 안평부원군 이서(安平府院君 李舒)
- 한산부원군 조영무(漢山府院君 趙英茂)
- 봉화백 정도전(奉化伯 鄭道傳)
- 판삼사사 윤호(判三司事 尹虎)
- 흥안군 이제(興安君 李濟)
- 청해군 이지란(靑海君 李之蘭)
- 성산군 이직(星山君 李稷)
- 한천군 조온(漢川君 趙溫)
- 의정부찬성사 남재(議政府贊成事 南在)
- 영성군 오사충(寧城君 吳思忠)
- 판한성부사 정희계(判漢城府事 鄭煕啓)
- 호조판서 조박(戶曹判書 趙璞)
- 흥녕군 안경공(興寧君 安景恭)
- 참찬의정부사 장사길(參贊議政府事 張思吉)
- 의성군 남은(宜城君 南誾)
- 예문관대제학 정총(藝文館大提學 鄭摠)
- 지의정부사 김로(知議政府事 金輅)
- 이성군 손흥종(伊城君 孫興宗)
- 옥천군 유창(玉川君 劉敞)
- 평성군 조견(平城君 趙狷)
- 청성군 정탁(淸城君 鄭擢)
- 서천군 한상경(西川君 韓尙敬)
- 예문관대제학 심효생(藝文館大提學 沈孝生)
- 계림군 김인(鷄林君 金稛)
- 판중추원사 이근(判中樞院事 李懃)
- 복흥군 조방(復興君 趙胖)
- 한산군 조인옥(漢山君 趙仁沃)
- 평해군 황희석(平海君 黃希碩)
- 지중추원사 조기(知中樞院事 趙琦)
- 지중추원사 김인찬(知中樞院事 金仁贊)
- 장성군 정용수(長城君 鄭龍壽)
- 지중추원사 장담(知中樞院事 張湛)
- 보성군 오몽을(寶城君 吳蒙乙)
- 남양군 홍길민(南陽君 洪吉旼)
- 동원군 함부림(東原君 咸傅霖)
- 참지의정부사 황거정(參知議政府事 黃居正)
- 흥성군 장지화(興城君 張至和)
- 흥원군 이부(興原君 李敷)
- 참지의정부사 민여익(參知議政府事 閔汝翼)
- 화성군 장사정(花城君 張思靖)
- 서성군 유원정(瑞城君 柳爰廷)
- 완성군 이백유(完城君 李伯由)
- 고성군 고려(高城君 高呂)
- 상산군 이민도(商山君 李敏道)
- 호조전서 조영규(戶曹典書 趙英珪)
- 판선공감사 임언충(判繕工監事 任彦忠)
- 상장군 한충(上將軍 韓忠)
정사공신(定社功臣)
정사공신은 정사(定社), 즉 나라의 기틀을 안정시키는 데 공을 세운 신하들을 의미합니다. 주로 1차 왕자의 난 이후 태종의 즉위에 공을 세운 신하들입니다.
- 의안대군 화(義安大君 和)
- 익안대군 방의(益安大君 芳毅)
- 영안군 양우(寧安君 良祐)
- 청원군 심종(靑原君 沈淙)
- 봉녕군 복근(奉寧君 福根)
- 영의정부사 조준(領議政府事 趙浚)
- 상락부원군 김사형(上洛府院君 金士衡)
- 영의정부사 하륜(領議政府事 河崙)
- 의정부우정승 이무(議政府右政丞 李茂)
- 한산부원군 조영무(漢山府院君 趙英茂)
- 병조판서 천우(兵曹判書 天祐)
- 청해군 이지란(靑海君 李之蘭)
- 한천군 조온(漢川君 趙溫)
- 호조판서 조박(戶曹判書 趙璞)
- 안성군 이숙번(安城君 李叔蕃)
- 참찬의정부사 장사길(參贊議政府事 張思吉)
- 취산군 신극례(鷲山君 辛克禮)
- 지의정부사 김로(知議政府事 金輅)
- 청성군 정탁(淸城君 鄭擢)
- 지중추원사 장담(知中樞院事 張湛)
- 화성군 장사정(花城君 張思靖)
- 중추원부사 장철(中樞院副使 張哲)
좌명공신(佐命功臣)
좌명공신은 왕명을 보좌한 공신이라는 뜻으로, 주로 2차 왕자의 난 이후 태종의 왕권 강화를 도운 신하들을 지칭합니다.
- 의안대군 화(義安大君 和)
- 완천군 숙(完川君 淑)
- 영의정부사 하륜(領議政府事 河崙)
- 의정부좌정승 성석린(議政府左政丞 成石璘)
- 의정부우정승 이무(議政府右政丞 李茂)
- 한산부원군 조영무(漢山府院君 趙英茂)
- 병조판서 천우(兵曹判書 天祐)
- 청해군 이지란(靑海君 李之蘭)
- 성산군 이직(星山君 李稷)
- 한천군 조온(漢川君 趙溫)
- 길창군 권근(吉昌君 權近)
- 칠원군 윤지(漆原君 尹柢)
- 호조판서 조박(戶曹判書 趙璞)
- 안성군 이숙번(安城君 李叔蕃)
- 이조판서 유량(吏曹判書 柳亮)
- 취산군 신극례(鷲山君 辛克禮)
- 면성군 한규(沔城君 韓珪)
- 연성군 김정경(蓮城君 金定卿)
- 계성군 이래(鷄城君 李來)
- 한평군 조심(漢平君 趙㳙)
- 의성군 김영렬(義城君 金英烈)
- 지의정부사 박석명(知議政府事 朴錫命)
- 여산군 김승주(麗山君 金承霔)
- 철성군 이원(鐵城君 李原)
- 곡성군 연사종(谷城君 延嗣宗)
- 반성군 박은(潘城君 朴訔)
- 장천군 이종무(長川君 李從茂)
- 파평군 윤곤(坡平君 尹坤)
- 남성군 홍서(南城君 洪恕)
- 풍천군 심귀령(豐川君 沈龜齡)
- 참지의정부사 황거정(參知議政府事 黃居正)
- 마성군 서익(麻城君 徐益)
- 회령군 마천목(會寧君 馬天牧)
- 칠원군 윤자당(漆原君 尹子當)
- 이성군 서유(利城君 徐愈)
- 서녕군 유기(瑞寧君 柳沂)
- 평강군 조희민(平江君 趙希閔)
- 계림군 이승상(鷄林君 李升商)
- 희천군 김우(煕川君 金宇)
- 영양군 이응(永陽君 李膺)
- 원평군 윤목(原平君 尹穆)
- 월천군 문빈(越川君 文彬)
- 여량군 송거신(礪良君 宋居信)
'AI번역 > 열성지장통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상왕 상존호 옥책문 (정종 2년 경진년에 임금이 세자와 백관을 거느리고 덕수궁에서 존호를 올리다.) (0) | 2024.12.18 |
---|---|
태조황제 사국호후 반교 (태조 2년 계유년 2월 15일 경인일에 반포하다. 이 해에 이첨(李恬)을 보내 고려의 인신(印信)을 바치게 하다.) (0) | 2024.12.18 |
개국반교 (태조 원년 임신년 7월 28일 정미일에 반포하다.) (0) | 2024.12.18 |
지문 (태종 8년 1408년 11월 11일 을묘일에 좌대언 이조(李慥)를 보내 지석(誌石)을 내렸다.) (0) | 2024.12.18 |
건원릉 신도비명[병서. ○태종 9년 1409년 4월. ○행장은 전하지 않음.] (0)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