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 2년(1400년)에 정종이 세자와 백관을 거느리고 덕수궁(德壽宮)에서 태상왕(太上王), 즉 태조 이성계에게 존호(尊號)를 올릴 때 사용한 옥책문(玉冊文)입니다. 옥책은 왕이나 왕비 등의 존호, 시호 등을 적어 올리는 문서로, 여기서는 태조에게 ‘계운신무(啓運神武)’라는 존호를 올리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건문(建文) 2년(1400년) 경진년 7월 초하루 갑자일로부터 엿새째 되는 날인 기사일에 국왕 신 (이름)은 머리 조아려 두 번 절하고 삼가 책문을 받들어 올립니다.
천년의 운수에 응하여 나타나신 임금께서는 큰 운수를 여셨고, 한 나라를 아들에게 전하시니, 지극히 높이는 칭호를 드리는 것이 마땅합니다. 이에 전례(典禮)를 따라 삼가 정성스러운 효심을 펼치고자 합니다. 삼가 생각하옵건대 태상왕 전하께서는 용맹과 지혜를 하늘로부터 받으시고, 성스러움과 공경스러움이 날로 높아지셨습니다. 무공(武功)은 세상을 구제하는 데 위대하셨고, 너그러운 인덕(仁德)은 만물을 기르는 데 널리 미치셨습니다. 이에 여러 사람들의 추대(推戴)를 받아 왕업(王業)의 융성을 이루셨습니다. 바야흐로 모든 제도를 새롭게 하시려 할 때, 갑자기 만기(萬機, 모든 국정)에 싫증을 느끼시어 큰 지위를 내려놓으시고, 미천한 저에게 전해 주셨습니다. 이에 힘써 공손히 받들고, 매번 삼가고 부지런히 하며 두려워하고 조심하고 있습니다. 지극한 덕을 드러내고자 함은 오직 아름다운 칭호를 높이는 데 있습니다. 여러 신하들과 함께 의논하여 책례(冊禮)를 거행합니다. 신 (이름)은 지극한 소원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책보(冊寶)를 받들어 존호(尊號)를 올리니, ‘계운신무(啓運神武)’라 합니다. 엎드려 바라옵건대 태상왕 전하께서는 넓고 크신 도량으로 널리 포용하시고, 덮어 기르시는 자애로움을 베푸시옵소서. 하늘과 하나됨을 본받으시어 억지로 이름을 붙이는 것을 꺼리지 마시고, 만백성의 어버이가 되시어 길이 많은 수(壽)를 누리시옵소서. 신 (이름)은 진심으로 기쁘고 즐거워하며 머리 조아려 두 번 절하고 말씀을 올립니다.
수문전 학사 신 권근(權近)이 짓다.
이 옥책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존호 봉헌의 의의: 태조의 업적을 기리고, 왕위를 물려준 것에 대한 존경의 의미로 존호를 올리는 것임을 밝히고 있습니다.
- 태조의 업적 찬양: 태조의 용맹과 지혜, 무공과 인덕을 칭송하며, 건국의 위업을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무공은 세상을 구제하는 데 위대하셨고, 너그러운 인덕은 만물을 기르는 데 널리 미치셨습니다.”라는 문구는 태조의 공덕을 요약적으로 보여줍니다.
- 정종의 겸손: 태조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은 정종의 겸손한 태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미천한 저에게 전해 주셨습니다.”, “힘써 공손히 받들고, 매번 삼가고 부지런히 하며 두려워하고 조심하고 있습니다.” 등의 표현에서 이러한 겸손함을 엿볼 수 있습니다.
- 존호의 의미: ‘계운신무(啓運神武)’라는 존호는 ‘운수를 열고 신성하고 용맹하다’라는 뜻으로, 새로운 왕조를 열고 무공을 세운 태조의 업적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태조의 장수 기원: 태조가 만백성의 어버이로서 오래도록 장수하기를 기원하고 있습니다.
권근이 지은 이 옥책문은 태조의 업적을 기리는 동시에 정종의 효심과 겸손함을 드러내는 중요한 사료입니다. 또한 조선 초기의 왕실 의례와 문학 수준을 보여주는 자료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