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5/19 11

국조명신언행록 후집 권8

이덕형(李德馨) 전기 번역 및 주석원문:李德馨字明甫, 廣州人, 號漢陰。 嘉靖辛酉生。 萬曆庚辰登第。 選槐院, 被翰薦, 以親嫌不應講¹。 壬午, 拜弘文正字, 湖堂賜暇, 歷吏郞、直提學、大司諫、副提學、大司成。 辛卯, 超拜禮曹參判、兼大提學。 壬辰, 擢刑曹判書, 轉吏、兵判。 戊戌入相, 至領議政。 辛丑, 都體察使。 癸丑卒, 年五十三。번역문:이덕형(李德馨)자는 명보(明甫)이고, 광주(廣州) 사람이며, 호는 한음(漢陰)이다.¹ 명(明) 가정(嘉靖) 신유년(1561, 명종 16)에 태어났다. 만력(萬曆) 경진년(1580, 선조 13)에 과거에 급제하였다. 괴원(槐院)²에 선발되고 한림(翰林)³의 추천을 받았으나, 친족간의 문제(親嫌)⁴ 때문에 강론(講論)⁵에 응하지 않았다. 임오년(1582, 선조 15)에 홍문관 정자(弘文..

국조명신언행록 후집 권7

이원익(李元翼) 전기 번역 및 주석원문:李元翼【文忠公。】字公勵, 號梧里。 嘉靖丁未生。 甲子, 選上舍。 隆慶己巳登第。 萬曆壬午, 陞通政。 庚寅, 陞嘉善。 辛卯, 陞資憲。 癸巳, 陞崇政。 歷三司、承旨、大憲、戶判、吏判、平安監司。 乙未拜相, 至領議政。 策扈聖功, 封完平府院君。 賜几杖, 選淸白吏。 崇禎甲戌卒, 年八十八。 配享仁祖廟庭。번역문:이원익(李元翼)【문충공(文忠公)¹이다.】자는 공려(公勵)이고, 호는 오리(梧里)이다. 명(明) 가정(嘉靖) 정미년(丁未年, 1547)에 태어났다. 갑자년(甲子年, 1564)에 상사(上舍)²에 선발되었고, 융경(隆慶) 기사년(己巳年, 1569)에 등제(登第)³하였다. 만력(萬曆) 임오년(壬午年, 1582)에 통정대부(通政大夫)⁴에 오르고, 경인년(庚寅年, 1590)에 가선대부(嘉..

국조명신언행록 후집 권6

김성일(金誠一) 전기 번역 및 주석원문:金誠一字士純, 號鶴峯, 義城人。 嘉靖戊戌生。 甲子司馬, 宣祖戊辰登第。 選入史局, 賜暇湖堂, 歷三司、吏郞、舍人、大成、副學。 庚寅, 以通信副使往日本。 壬辰, 特除慶尙兵使, 旋授招諭使, 仍拜監司。 癸巳卒, 年五十六。번역문:김성일(金誠一)자는 사순(士純)이고, 호는 학봉(鶴峯)이며, 의성(義城) 사람이다.¹ 명(明)나라 가정(嘉靖) 무술년(1558, 명종 13)에 태어났다. 갑자년(1564, 명종 19)에 사마시(司馬試)²에 합격하고, 선조(宣祖) 무진년(1588, 선조 21)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였다.³ 사국(史局)⁴에 선발되어 들어갔고, 호당(湖堂)⁵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으며, 삼사(三司)⁶ㆍ이조 정랑(吏曹正郞)⁷ㆍ사인(舍人)⁸ㆍ대사성(大成)⁹ㆍ부제학(副提學)¹..

국조명신언행록 후집 권5

유성룡(柳成龍) 전기 번역 및 주석원문:柳成龍【文忠公。】字而見, 號西厓。 嘉靖壬寅生。 甲子生、進, 丙寅登第。 薦入史局, 賜暇湖堂, 歷吏郞、舍人、直提學、吏・兵判, 再典文衡。 錄光國、扈聖兩勳, 封豐原府院君。 相宣廟朝, 至領議政。 丁未卒, 年六十六。번역문:유성룡(柳成龍)【문충공(文忠公)¹이다.】자는 이견(而見), 호는 서애(西厓)이다. 가정(嘉靖)² 임인년(1542)에 태어났다. 갑자년(1564)에 생원(生員)과 진사(進士)³ 양과(兩科)에 합격하고, 병인년(1566)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추천되어 사국(史局)⁴에 들어갔고, 호당(湖堂)⁵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⁶하였으며, 이조 정랑(吏曹正郞)⁷,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⁸ 및 사인(舍人)⁹,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¹⁰, 이조판서(吏曹判書)와 병조판서(兵..

국조명신언행록 후집 권4

정철(鄭澈) 전기 번역 및 주석원문:鄭澈字季涵, 號松江, 迎日人。 嘉靖丁酉¹生。 明宗十七年壬戌, 登魁科。 賜暇湖堂, 歷吏郞、玉堂。 宣祖朝, 策光國、平難勳, 封寅城府院君。 官至左議政。 甲午²卒, 年五十八。번역문:정철(鄭澈)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영일(迎日) 사람이다. 가정(嘉靖) 정유년(丁酉年, 1537)¹에 태어났다. 명종(明宗) 17년 임술년(1562)에 문과(文科)에 장원(魁科)²으로 급제하였다. 사가독서(賜暇讀書)³를 하였고, 이조 정랑(吏曹正郞)⁴과 옥당(玉堂)⁵을 역임하였다. 선조(宣祖) 시대에 광국공신(光國功臣)⁶과 평난공신(平難功臣)⁷에 책록되었고, 인성부원군(寅城府院君)⁸에 봉해졌다. 관직은 좌의정(左議政)⁹에 이르렀다. 갑오년(甲午年, 1594)²에 졸(卒)하니, 나이는 ..

국조명신언행록 후집 권3

황정욱(黃廷彧) 전기 번역 및 주석원문:黃廷彧字景文, 號芝川, 長水人。 嘉靖十一年壬辰生。 壬子司馬, 明宗十三年戊午登第。 選入史局, 歷春坊、三司。 癸未, 魁文臣庭試。 陞資拜忠淸觀察使。 宣廟朝, 錄光國勳, 封長溪府院君。 典文衡。 官至判中樞。 丁未卒, 年七十六。번역문:황정욱(黃廷彧)자는 경문(景文), 호는 지천(芝川), 장수(長水) 사람¹이다. 가정(嘉靖) 11년 임진년(1532)²에 태어났다. 임자년(1552)³에 사마시(司馬試)⁴에 합격하였고, 명종(明宗) 13년 무오년(1558)⁵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사국(史局)⁶에 선발되어 들어갔고, 춘방(春坊)⁷과 삼사(三司)⁸를 거쳤다. 계미년(1583)⁹에 문신 정시(文臣庭試)¹⁰에서 장원하였다. 자급(資級)¹¹이 올라 충청도 관찰사(忠淸觀察使)에 제수되었다. ..

국조명신언행록 후집 권2

박순(朴淳) 전기 번역 및 주석원문:朴淳【文忠公。】字和叔, 號思菴, 忠州人。 嘉靖癸未生。 十八, 陞上庠。 明宗八年癸丑, 魁庭試。 賜暇湖堂, 歷吏郞、校理、舍人、直提學、大司諫、大司憲、吏曹判書, 典文衡。 宣廟壬申拜相, 至領議政。 退居永平, 己丑卒, 年六十七。번역문:박순(朴淳)【문충공(文忠公)¹이다.】자는 화숙(和叔), 호는 사암(思菴)², 충주(忠州) 사람이다.³ 가정(嘉靖) 계미년(1523)⁴에 태어났다. 18세에 성균관(上庠)⁵에 들어갔다. 명종(明宗) 8년 계축년(1553)⁶에 정시(庭試)⁷에 장원(魁)하였다. 사가독서(賜暇湖堂)⁸를 하였고, 이조 정랑(吏郞)⁹, 교리(校理)¹⁰, 사인(舍人)¹¹, 직제학(直提學)¹², 대사간(大司諫)¹³, 대사헌(大司憲)¹⁴, 이조 판서(吏曹判書)¹⁵를 역임하였고, 문..

국조명신언행록 후집 권1

백인걸(白仁傑) 전기 번역 및 주석원문:白仁傑字士偉, 號休菴, 開城人, 移水原。 弘治丁巳生。 嘉靖辛卯生員, 丁酉登第。 乙巳, 以獻納獨啓。 丁未, 壁書之變, 謫安邊。 辛亥放還, 退閑二十年。 至乙丑, 元衡敗死後, 歷校理、直提學、大司諫、大司憲, 官至右參贊。 己卯卒, 年八十三。번역문:백인걸(白仁傑)자는 사위(士偉), 호는 휴암(休菴)이며, 본관은 개성(開城)이고 수원(水原)으로 옮겨 살았다.¹ 명(明)나라 홍치(弘治) 정사년(丁巳年, 1497년, 연산군 3)에 태어났다. 가정(嘉靖) 신묘년(辛卯年, 1531년, 중종 26)에 생원시(生員試)²에 합격하고, 정유년(丁酉年, 1537년, 중종 32)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였다.³ 을사년(乙巳年, 1545년, 인종 1/명종 즉위년)에 헌납(獻納)⁴으로서 홀로 아뢰었다..

국조명신언행록 전집 권12

이준경(李浚慶) 전기 번역 및 주석원문:李浚慶【忠正公。】字原吉, 號東皐。 潤慶之弟。 弘治己未生。 中宗十七年壬午司馬, 辛卯登第, 歷弘文著作、吏曹佐郞、直提學。 癸卯, 魁文臣庭試, 出按關西, 又歷吏、兵判。 明宗戊午拜相, 至領議政。 宣廟朝, 賜几杖。 壬申卒, 年七十四。 配享宣朝廟庭。번역문:이준경(李浚慶)【충정공(忠正公)¹이다.】자는 원길(原吉), 호는 동고(東皐)이다. 윤경(潤慶)²의 아우이다. 홍치(弘治)³ 기미년(1499)에 태어났다. 중종(中宗) 17년 임오년(1522)에 사마시(司馬試)⁴에 합격하고, (중종 26년) 신묘년(1531)에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⁵, 이조 좌랑(吏曹佐郞)⁶, 직제학(直提學)⁷을 역임하였다. (중종 38년) 계묘년(1543)에 문신 정시(文臣庭試)⁸에서 장원..

국조명신언행록 전집 권11

신광한(申光漢) 【문간공(文簡公)³⁵이다.】원문:申光漢【文簡公。】字漢之, 一字時晦, 號企齋。 叔舟之孫。 成化甲辰生。 中宗二年丁卯進士, 庚午登第。 賜暇湖堂, 歷典翰、大司成、吏曹判書, 典文衡。 明宗乙巳, 參衛³⁶社功。 官至左贊成。 乙卯卒, 年七十二。번역문:신광한(申光漢)【문간공(文簡公)³⁵이다.】자는 한지(漢之)이고, 일자(一字)는 시회(時晦)이며, 호는 기재(企齋)이다. 숙주(叔舟)³⁷의 손자이다. 성화(成化) 갑진년(1484)에 태어났다. 중종(中宗) 2년 정묘년(1507)에 진사(進士)가 되고, 경오년(1510)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였다. 호당(湖堂)³⁸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³⁹하였고, 전한(典翰)⁴⁰, 대사성(大司成)⁴¹, 이조판서(吏曹判書)⁴²를 역임하고, 문형(文衡)⁴³을 관장하였다. 명종(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