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生而有欲有惡,有樂有哀,有德有則。則有九聚,德有五寶,哀有四忍,樂有三豐,惡有二咎,欲有一極。極有七事,咎有三尼,豐有三頻,忍有四教,寶有五大,聚有九酌。
백성이 태어나면 욕망, 미워함, 쾌락, 슬픔, 일을 판단하는 능력인 덕(德), 일을 처리하는 법칙을 지닌다. 법칙에는 구취(九聚)가 있고, 덕에는 오보(五寶)가 있고, 슬픔에는 사인(四忍)이 있고, 쾌락에는 삼풍(三豊)이 있고, 미워함에는 삼구(三咎)가 있고, 욕망에는 칠극(七極)이 있다. 칠극에는 칠사가 있고, 삼구에는 삼니(三尼)가 있고, 삼풍에는 삼빈(三頻)이 있고, 사인에는 사교(四敎)가 있고, 오보에는 오대(五大)가 있고, 구취에는 구작(九酌)이 있다.
九酌:一取允移人,二宗傑以親,三發滯以振民,四貸官以屬,五人□必禮,六往來取比,七商賈易資,八農人美利,九□寵可動。
구작(九酌) :
1. 성신을 쌓아 남을 감동시키는 것.
2. 영걸을 높이어 그와 친하게 지내는 것.
3. 창름을 열어 남을 안정시키는 것.
4. 공부(公府)에서 빌려 남에게 이어주는 것.
5. 남을 대할 때에 예우하는 것.
6. 남과 왕래할 때에 친밀히 하는 것.
7. 상인들이 화물을 교역하는 것.
8. 농민이 이익을 많이 얻는 것.
9. 동정하거나 아름답게 여길만하면 그렇게 하는 것.
五大:一大智率謀,二大武劍勇,三大功賦事,四大商行賄,五大農假貸。
오대(五大) :
1. 대지(大智), 모략을 행하는 것.
2. 대무(大武), 용맹한 힘을 갖추는 것.
3. 대공(大工), 제작하는 일을 조절하는 것.
4. 대상(大商), 화물을 유통하는 것.
5. 대농(大農), 식량을 빌려주는 것.
四教:一守之以信,二因親就年,三取戚免梏,四樂生身復。
사교(四敎) :
1. 성신을 굳게 지키는 것을 가르치는 것.
2. 친한 사람에 의해 나이 든 자에게 접근함을 가르치는 것.
3. 근심하는 마음을 없애고 질곡에서 벗어남을 가르치는 것.
4. 즐겁게 생활하고 신심을 회복함을 가르치는 것.
三頻:一頻祿質㵒,二陰福靈極,三留身散真。
삼빈(三頻) :
1. 빈번하게 남에게 재물을 보내어 물자를 소모하는 것.
2. 빈번하게 남녀 간에 관계를 누리어 정기를 다하는 것.
3. 빈번하게 정욕을 풀고 노래를 하여, 천성을 잃는 것.
三尼:一除戎咎醜,二申親考疏,三假時權要。
삼니(三尼) :
1. 병기를 없앴으나 여러 사람들이 재앙을 받는 것.
2. 친근한 이와 약속했으나 소원해지는 것.
3. 권세를 멀리했으나 권세가 도리어 커지는 것.
七事:一騰咎信志,二援拔瀆謀,三聚疑沮事,四騰屬威眾,五處寬身降,六陵塞勝備,七錄兵免戎。
칠사(七事) :
1. 과오를 살피지 않고 뜻대로 하는 것.
2. 상하가 서로 돕고 모략하는 것.
3. 마음에 의심이 들지만 일을 이루려는 것.
4. 신하를 업신여기고 대중들에게 위엄을 보이는 것.
5. 큰 집에 살아 마음을 내려놓는 것.
6. 변경을 막고 방비를 하는 것.
7. 군대를 해산하여 병역을 면제하는 것.
一極惟事昌道,開蓄伐。伐有三穆、七信、一幹、二御、三安、十二來。
오직 창성한 도를 행하여 축적된 공을 이룬다. 축적된 공을 이루는 구체적인 방법에는 삼목(三穆), 칠심(七審), 일간(一干), 이어(二御), 삼안(三安), 십이래(十二來)가 있다.
三穆:一絕靈破城,二筮奇昌為,三龜從兆凶。
삼목 :
1. 신령을 공경하지 않으면 정성이 파괴된다는 것.
2. 점서가 기이하고 바르지 않아도 행하는 바를 잘할 것.
3. 점복에서 길조를 얻었으나 흉조를 예시할 수도 있다는 것.
七信:一仁之慎散,二智之完巧,三勇之精富,四族之寡賄,五商之淺資,六農之少積,七貴之爭寵。
칠심 :
1. 인자가 가벼이 베풀지 않는지를 살핌.
2. 지자가 온갖 것을 잘하려고 하는지를 살핌.
3. 용자가 무기가 많아 무모한지를 살핌.
4. 속한 무리가 재물이 적은지를 살핌.
5. 상인이 자본이 부족한지를 살핌.
6. 농민이 쌓아둔 곡식이 적은지를 살핌.
7. 권력이 있는 자가 영화를 다투는지를 살핌.
一幹:勝權輿。
일간 : 좋게 시작하는 것.
二御:一樹惠不瘱,二既用茲憂。
이어 :
1. 백성에게 은혜를 베풀고 아프지 않게 하는 것.
2. 스스로 백성을 염려하는 마음을 다 하는 것.
三安:一定居安帑,二貢貴得布,三刑罪布財。
삼안 :
1. 거처를 정하여 집안을 편안히 하는 것.
2. 부세로 돈을 가벼이 걷지 않는 것.
3. 죄인을 처벌함에 재물로 속죄할 수 있도록 하는 것.
十二來:一弓二矢歸射,三輪四輿歸御,五鮑六魚歸蓄,七陶八冶歸灶,九柯十匠歸林,十一竹十二𥯤歸時。
십이래 :
1-2. 궁인, 시인을 모두 활 쏘는 이가 있는 곳에 보내는 것.
3-4. 윤인, 여인을 모두 수레를 타는 사람이 있는 곳에 보내는 것.
5-6. 포공(鞄工)과 함공(函工)을 모두 가축이 있는 곳에 보내는 것.
7-8. 와공과 야씨를 모두 가마와 화로 있는 곳에 보내는 것.
9-10. 가공과 목장을 모두 숲으로 보내는 것.
11-12. 죽장과 석장을 모두 대나무, 갈대 자라는 곳에 보내는 것.
三穆、七信、一幹、二御、三安、十二來,伐道咸布,物無不落,落物取配,維有永究,急哉急哉。後失時。
삼목, 칠심, 일간, 이어, 삼안, 십이래가 완성된 이후에 공을 이루는 방법이 모두 갖추어진다.
사물은 언제나 사라지고 있다. 그러나 만일 사라져가는 사물을 취하면 오래도록 그것을 탐구할 수가 있다. 급히 하여야 하니 사라진 후에는 때를 놓치게 된다.
'일주서 逸周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일주서逸周書 무칭해武稱解 (0) | 2016.02.21 |
---|---|
5 일주서逸周書 적광해糴匡解 (0) | 2016.02.20 |
3 일주서逸周書 상훈해常訓解 (0) | 2016.02.18 |
2 일주서逸周書 명훈해命訓解 (0) | 2016.02.17 |
1 일주서逸周書 도훈해度訓解 (0) | 2016.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