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 크신 임금이시여! 우리(선조)의 빛나는 업적을 이으셨네. 돈독한 효성과 우애로, 이 동방(우리나라)을 보존하셨네. 제기(祭器)는 가지런하고, 악기는 장엄하네. 바라건대 그를 도우시어, 끝없는 복을 내려 주소서.
(찬진한 신하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추가 설명:
- 부묘(祔廟): 신주(神主)를 종묘(宗廟)에 모시는 의식. 왕이나 왕비가 죽은 뒤 일정 기간이 지나면 신주를 종묘에 옮겨 모시는데, 이를 부묘라고 한다.
- 악장(樂章): 의식이나 행사에서 연주되는 음악의 가사.
- 噫嘻(噫嘻): 감탄사. 슬픔이나 탄식을 나타낼 때 쓰인다. 옛 기록에는 '噫(아)'로만 되어 있기도 하다.
- 렬광(烈光): 빛나는 업적. 여기서는 선조(先祖)들의 업적을 의미한다.
- 독효우(篤孝友): 돈독한 효성과 우애.
- 변두(籩豆): 제기에 쓰이는 그릇. 변(籩)은 대나무로 만든 제기이고, 두(豆)는 나무로 만든 제기이다. 여기서는 제기 전반을 의미한다.
- 초초(楚楚): 가지런한 모양.
- 경관(磬筦): 악기. 경(磬)은 돌로 만든 타악기이고, 관(筦)은 관악기이다. 여기서는 여러 악기를 통칭한다.
- 장장(將將): 장엄한 모양.
- 기우(其右): 그를 도움. 옛 기록에는 '幾佑(기우)'로 되어 있기도 하다. '幾'는 '바라건대'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 강복무강(降福無疆): 끝없는 복을 내려 줌.
이 악장은 정종의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부묘 의식에서 연주된 음악의 가사로, 정종이 선조들의 업적을 이어받아 나라를 잘 다스린 공덕을 기리고, 신령의 가호와 복을 기원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간결한 문장으로 정종의 업적을 칭송하고, 후손들의 염원을 담아낸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제기와 악기의 묘사를 통해 의식의 장엄함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AI번역 > 열성지장통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릉 표석 음기(앞면에는 큰 전서체로 “조선국 정종대왕 후릉. 정안왕후 부좌”라고 새겨져 있다.) (0) | 2024.12.19 |
---|---|
추상 시호 옥책문(숙종 7년 신유년) (0) | 2024.12.19 |
성조황제 사제사시 고유(세종 2년 경자년 4월 12일 경술일, 사신이 제문과 제물을 가지고 혼전에 도착하자, 태종과 세종이 흰옷, 검은 띠, 익선관 차림으로 맞이하여 예를 행하였다.) (0) | 2024.12.19 |
상왕 제 빈전 문(기해년 10월 초엿새 정축일) (0) | 2024.12.19 |
애책문(기해년) (0)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