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번역/열성지장통기

문소전 악장 (세종 15년 계축년)

集賢堂 2024. 12. 18. 15:11
반응형

세종 15년(1433년)에 문소전(文昭殿)에서 사용된 악장(樂章)입니다. 문소전은 태조 이성계의 신위를 모신 곳으로, 이 악장은 태조를 기리는 제향에서 연주되었을 것입니다.

 

(환환곡(桓桓曲) - 초헌(初獻)에 사용)

빛나고 빛나신 성조(聖祖, 태조)시여, 하늘의 명을 널리 펼치셨습니다. 공덕은 예로부터 빛나고, 상서로운 징조에 부합합니다. 하늘과 사람이 함께 순응하니, 동방(東方)을 모두 차지하셨습니다. 후세에 풍족한 계책을 남기시니, 우리에게 끝없는 은혜를 베푸십니다.

(유황곡(維皇曲) - 아헌(亞獻)에 사용)

오직 넓으신 하늘은 사방의 나라를 살피시어, 동쪽 백성을 돌보십니다. 덕 있는 이를 도우시어, 신과 사람의 주인이 되게 하셨습니다. 화목한 백성들은 깊은 은혜를 우러러 봅니다. 고려의 운수가 장차 다하려 할 때, 백성들은 재앙을 겪었습니다. 동쪽과 서쪽을 정벌하시어, 사방을 평정하셨습니다. 꿈에서 상서로운 징조에 부합하니, 공덕이 한 시대에 덮었습니다. 참으로 크시도다, 하늘의 명이시여, 끝내 거역하기 어려웠습니다. 창업의 큰 규모는 옛 성현보다 훨씬 뛰어납니다. 밝도다, 후세의 허락이여, 영원히 서로 전해지리이다. 처음으로 제사를 닦으니, 마침내 이루어짐이 있습니다. 천만 년 동안, 태평성대를 이루리이다.

(정동방곡(靖東方曲) - 종헌(終獻) 및 이하 각 실(室)의 종헌에 동일하게 사용)

동방은 바다 끝에 막혀 있습니다. 저 간사한 아이(왜구)가 하늘의 기밀을 훔쳤습니다. 위대하도다, 동쪽 임금(태조)의 덕이여! 제멋대로 사악한 꾀를 부려 군사를 일으켰습니다. 재앙이 극에 달하였으니, 평정할 자 누구인가? 위대하도다, 동쪽 임금의 덕이여! 하늘이 덕을 도우시니, 의로운 깃발을 돌리셨습니다. 죄지은 자는 내치고, 거역하는 자는 평정하셨습니다. 위대하도다, 동쪽 임금의 덕이여! 황제(명나라 황제)께서 이에 기뻐하시고, 큰 은혜를 널리 베푸셨습니다. 군대로 나라를 삼으시니, 우리로 하여금 알게 하십니다. 위대하도다, 동쪽 임금의 덕이여! 백성과 사직(나라)에 돌아갈 곳이 있습니다. 천만 세(世)토록, 전해짐이 끝이 없으리라. 위대하도다, 동쪽 임금의 덕이여!

이 악장들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태조의 건국 공덕 찬양: 태조가 하늘의 명을 받아 동방을 평정하고 새로운 왕조를 세운 공덕을 찬양하고 있습니다. 특히 “천인협순(天人協順)”이라는 표현은 태조의 건국이 하늘의 뜻과 백성의 마음이 일치한 결과임을 강조합니다. 또한 “창업굉모(創業宏模)”라는 표현은 태조의 창업이 매우 훌륭하고 위대한 업적임을 나타냅니다.
  • 고려 말의 혼란과 태조의 역할 강조: 고려 말의 혼란한 상황과 외적의 침입을 언급하며, 태조가 이러한 혼란을 종식시키고 백성을 구원한 영웅임을 부각하고 있습니다. 특히 왜구의 침략을 “교동(狡童)의 절천기(竊天機)”라고 표현한 부분은 왜구를 낮잡아 부르는 동시에 그들의 침략 행위를 비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명나라와의 관계 언급: “황내역(皇乃懌), 담천시(覃天施)”라는 구절은 명나라 황제가 태조의 공덕을 기뻐하며 큰 은혜를 베풀었다는 의미로, 조선이 명나라의 인정을 받았음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이는 조선의 외교적 입지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태조의 덕을 기리는 반복적인 표현: “위대하도다, 동쪽 임금의 덕이여!(偉東王德盛!)”라는 구절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태조의 덕을 강조하고 숭모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왕조의 영원한 번영 기원: 태조의 은덕으로 조선 왕조가 영원히 번영하기를 기원하는 내용이 나타납니다. 특히 “천만 세(世)토록, 전해짐이 끝이 없으리라(千萬世, 傳無期)”라는 구절은 이러한 염원을 잘 보여줍니다.

이 악장들은 태조의 공덕을 기리는 동시에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명나라와의 관계를 언급하여 외교적인 의미까지 내포하고 있습니다. 또한 종묘 제향이라는 중요한 의례에서 사용된 만큼, 당시 사람들이 태조를 어떻게 숭배했는지, 그리고 새로운 왕조의 번영을 어떻게 기원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특히 각 곡의 제목이 내용을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