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번역

동파전집(東坡前集) 권23(卷二十三) 잡문 22수

集賢堂 2024. 12. 23. 15:00
반응형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잡문(雜文) 중 "명정(明正) - 우급(于伋)의 실관 후 동쪽으로 돌아감을 보내며(送于伋失官東歸)"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세상 사람들이 슬픔과 즐거움을 올바르게 여기지 못하는 현상을 비판하며, 진정한 슬픔과 즐거움의 의미, 즉 "정(正)"을 밝히고자 합니다. 특히, 우급의 실관(失官, 벼슬을 잃음)이라는 상황을 통해, 겉으로 드러나는 상황에 매몰되지 않고 내면의 가치를 중시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세상의 근심은, 슬픔과 즐거움을 그 올바름으로써 여기지 않는 데 있으니, 올바름으로써 여기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 취하여 올바르다고 여기는 것이 올바르지 않기 때문이다. 청컨대 그대를 빌려 그 올바름을 밝히고자 한다. 그대가 벼슬을 잃은 것에 대해, 그대 자신처럼 그대를 위해 슬퍼하는 자가 있는가? 그대의 부형(父兄)과 처자(妻子)처럼 그대를 위해 슬퍼하는 자가 있는가? 그대가 슬퍼하는 까닭은, 얻는 것에 미혹되기 때문이다. 부형과 처자가 슬퍼하는 까닭은, 사랑에 미혹되기 때문이다. 오직 자신과 관계없는 자만이, 미혹되지도 않고 또한 슬퍼하지도 않는다. 무릇 미혹되면 슬퍼하고, 미혹되지 않으면 슬퍼하지 않으니, 사람이 마땅히 미혹된 자를 올바르다고 여겨야 하는가, 장차 미혹되지 않은 자를 올바르다고 여겨야 하는가? 미혹되지 않은 자를 올바르다고 여긴다면, 슬퍼하지 않는 것이 올바른 것이다. 그러나 그대는 또한 즐거워하는 바가 있으니, 말하기를 “내가 나 되는 것은, 어찌 이것 때문이겠는가.”라고 한다. 비록 이것을 잃었지만, 나 되는 것은 오히려 남아 있으니, 나는 오히려 즐거워할 만하다. 이미 즐거워하지 않고, 또 따라서 슬퍼하니, 또한 천하의 모든 나를 사랑하는 자의 슬픔을 차마 보지 못하고, 천하의 모든 나를 미워하는 자의 기쁨을 풀지 못하는 것이다. 무릇 나를 사랑하여 슬퍼하고, 나를 미워하여 기뻐하는 것은, 나를 얕게 아는 것이다. 나 되는 것이 남아 있음을 즐거워하는 것은, 스스로를 깊이 아는 것이다. 사람이 스스로를 깊이 아는 것을 올바르다고 여기지 않고, 나를 얕게 아는 자를 올바르다고 여기니, 이는 올바름을 얻는 것이겠는가? 그러므로 나는 그대를 위해 그 올바름을 말하고자 한다. 그대는 장차 평생토록 즐거워하고 슬퍼하지 않을 것이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넉넉하고 즐겁게 지내며, 잠시 이로써 한 해를 마치리라.”라고 하였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세상 사람들이 외부적인 상황, 즉 얻고 잃음에 따라 슬픔과 즐거움을 판단하는 것을 비판합니다. 진정한 즐거움은 외부적인 요소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가치, 즉 "나됨(吾之所以為吾)"에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슬픔과 즐거움의 진정한 의미: 세상 사람들은 얻는 것을 즐거움으로, 잃는 것을 슬픔으로 여기지만, 이는 미혹된 생각입니다. 진정한 즐거움은 외부적인 상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본질을 깨닫는 데서 비롯됩니다.
  • 미혹과 깨달음: 외부적인 상황에 따라 슬퍼하고 즐거워하는 것은 미혹된 상태입니다. 반면, 외부적인 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내면의 가치를 지키는 것은 깨달은 상태입니다. 작가는 깨달은 상태, 즉 "불혹(不惑)"을 "정(正)"이라고 정의합니다.
  • 자신을 깊이 아는 것의 중요성: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좌우되는 것은 자신을 얕게 아는 것입니다. 반면, 자신이 누구인지, 자신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깨닫는 것은 자신을 깊이 아는 것입니다. 작가는 자신을 깊이 아는 것을 "정(正)"이라고 여기며, 이를 통해 진정한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 우급의 상황에 대한 해석: 우급은 벼슬을 잃었지만, 작가는 그에게 슬퍼하지 말고 내면의 가치를 지키라고 조언합니다. 벼슬은 외부적인 요소일 뿐, 우급의 본질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작가는 우급이 이러한 깨달음을 얻어 평생토록 즐겁게 지내기를 바랍니다.

이 글은 외부적인 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내면의 가치를 중시하는 삶의 태도를 강조합니다. 세상의 평가에 좌우되지 않고, 자신이 누구인지를 깨닫고 자신의 본질을 지키는 것이 진정한 행복으로 이어지는 길임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관이라는 부정적인 상황을 통해, 오히려 내면의 가치를 발견하고 진정한 즐거움을 찾을 수 있다는 역설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잡설(雜說) 중 "송장호(送張琥)"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부자의 농사와 가난한 사람의 농사를 비교하며, 인재 양성의 중요성과 그 방법에 대해 논하고 있습니다. 특히, "박관약취(博觀約取)와 후적박발(厚積薄發)"이라는 핵심적인 가르침을 제시하며, 장호(張琥)에게 학문에 힘쓸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어찌 일찍이 부자의 농사를 보지 못하였는가? 그 밭은 비옥하고 많으며, 그 식량은 넉넉하고 남음이 있다. 그 밭이 비옥하고 많으면, 번갈아 휴경할 수 있으니, 땅의 힘이 온전하게 된다. 그 식량이 넉넉하고 남음이 있으면, 씨 뿌리는 것이 항상 때를 놓치지 않고, 거두어들이는 것이 항상 다 익을 때에 이른다. 그러므로 부자의 농사는 항상 아름다우니, 쭉정이는 적고 알곡은 많으며, 오래 저장해도 썩지 않는다. 지금 우리 열 식구의 집에서, 함께 백 이랑의 밭을 경작하니, 촌촌이 거두어들이고, 밤낮으로 그것을 바라보며, 호미와 쟁기와 낫을 가지고, 그 위에서 서로 찾는 것이 물고기 비늘과 같으니, 땅의 힘이 다한다. 씨 뿌리는 것이 항상 때에 미치지 못하고, 거두어들이는 것이 항상 다 익기를 기다리지 않으니, 어찌 다시 아름다운 농사가 있겠는가? 옛날 사람들은, 그 재능이 지금 사람들보다 크게 뛰어난 것이 아니지만, 그 평소에 스스로를 길러서 감히 경솔하게 쓰지 않고, 그 이루어짐을 기다리는 것이, 간절하기가 마치 어린아이가 자라기를 바라는 것과 같았다. 약한 자는 길러서 강함에 이르게 하고, 빈 자는 길러서 충만함에 이르게 하였다. 서른이 된 후에 벼슬하고, 쉰이 된 후에 작위를 받으니, 오랫동안 굽히는 가운데에서 믿음을 얻고, 지극히 넉넉한 뒤에 쓰이며, 이미 넘치는 나머지를 흘려보내고, 가득 찬 끝에 발휘하니, 이는 옛사람이 남보다 크게 뛰어난 까닭이고, 지금의 군자들이 미치지 못하는 까닭이다. 내가 젊었을 때 학문에 뜻을 두었는데, 불행히도 일찍 그대와 같은 해에 등과하였다. 그대의 얻음 또한 일찍 얻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내가 지금 비록 스스로 부족하다고 여기고자 하지만, 무리들이 또한 함부로 추켜세울 것이다. 아아, 그대는 이것을 버리고 학문에 힘써야 할 것이다. 널리 보고 간추려 취하고, 두텁게 쌓고 얇게 발휘하니, 내가 그대에게 이르는 것은 여기에 그친다. 그대가 돌아가는 길에 경사(京師)를 지나가서 물어보면, “철자유(轍子由)”라고 하는 자가 있으니, 나의 아우이니, 그 또한 이 말로 그에게 이야기해주도록 하라.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농사에 비유하여 인재 양성의 도리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부자의 농사와 가난한 사람의 농사를 대비시켜, 조급하게 성과를 내려는 태도를 비판하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꾸준히 노력하는 자세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부자의 농사와 가난한 사람의 농사: 부자는 풍족한 자원을 바탕으로 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때에 맞춰 농사를 지어 풍성한 수확을 얻습니다. 반면, 가난한 사람은 부족한 자원으로 인해 땅을 혹사시키고, 때를 놓쳐 흉년을 맞이합니다. 이는 인재 양성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 인재를 양성해야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옛사람의 인재 양성 방식: 옛사람들은 재능을 함부로 쓰지 않고, 마치 어린아이를 키우듯이 조심스럽게 길렀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덕을 쌓고 능력을 연마한 후에 비로소 세상에 나아가 큰일을 이루었습니다. 이는 인재 양성의 이상적인 모델을 제시합니다.
  • 조급한 성취욕에 대한 비판: 작가는 조급하게 명예를 얻으려는 세태를 비판합니다. 충분한 준비 없이 세상에 나아가서는 큰 성과를 거둘 수 없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오랜 시간 동안 내실을 다지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 "박관약취(博觀約取)와 후적박발(厚積薄發)": 이는 이 글의 핵심적인 가르침입니다. "박관약취"는 널리 보고 간추려 취하라는 뜻으로, 폭넓은 지식을 습득하되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을 길러야 함을 의미합니다. "후적박발"은 두텁게 쌓고 얇게 발휘하라는 뜻으로, 충분한 실력을 쌓은 후에 신중하게 능력을 발휘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 글은 조급한 성공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단기적인 성과에 집착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꾸준히 노력하고 내실을 다지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특히, "박관약취와 후적박발"은 학문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한 중요한 원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넓고 깊게 배우고 익히되, 중요한 것을 간추려 취하고, 충분히 실력을 쌓은 후에 신중하게 능력을 발휘해야 큰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것입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일유(日喻)"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장님(生而眇者)이 해(日)를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도(道)를 깨닫는 것의 어려움과 그 방법을 비유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억지로 구하는 것이 아닌 자연스러운 체득, 즉 "치(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태어나면서 눈이 먼 사람은 해를 알지 못하여, 눈 있는 사람에게 물었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해의 모양은 놋 쟁반과 같다.”라고 하였다. 쟁반을 두드려 그 소리를 얻었다. 다른 날 종소리를 듣고, 해라고 여겼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해의 빛은 촛불과 같다.”라고 하였다. 촛불을 만져 그 모양을 얻었다. 다른 날 피리를 만지고, 해라고 여겼다. 해와 종, 피리는 또한 멀리 떨어져 있지만, 눈먼 사람은 그 다름을 알지 못하니, 일찍이 보지 못하고 남에게서 구하기 때문이다. 도를 보기가 어려운 것은 해보다 심한데, 사람이 도에 도달하지 못함은, 눈먼 것과 다를 바가 없다. 도에 통달한 자가 알려주어도, 비록 훌륭한 비유와 착한 인도(引導)가 있더라도, 또한 쟁반과 촛불보다 나을 수 없다. 쟁반에서 종으로, 촛불에서 피리로, 옮겨가며 서로 비교하니, 어찌 그침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세상에서 도를 말하는 자는, 혹은 그 본 바를 가지고 이름 붙이고, 혹은 보지 못하고 뜻으로 헤아리니, 모두 도를 구하는 잘못이다. 그렇다면 도는 마침내 구할 수 없는 것인가? 소자(蘇子, 소식 자신)가 말하기를, “도는 이를 수는 있지만 구할 수는 없다(道可致而不可求).”라고 하였다. 무엇을 ‘이른다(致)’고 하는가? 손무(孫武)가 말하기를, “싸움을 잘하는 자는 적을 이르게 하고, 적에게 이르게 되지 않는다(善戰者致人,不致於人).”라고 하였고, 공자(孔子)가 말하기를, “모든 장인은 작업장에서 그 일을 이루고, 군자는 배워서 그 도에 이른다(百工居肆以成其事,君子學以致其道).”라고 하였다. 구하지 않아도 스스로 이르는 것, 이것을 ‘이른다’고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남쪽에는 물에 능한 사람이 많으니, 날마다 물과 함께 산다. 일곱 살에 능히 건너고, 열 살에 능히 뜨고, 열다섯 살에 능히 잠수한다. 무릇 잠수하는 것은, 어찌 구차하게 그러하겠는가, 반드시 장차 물의 도를 얻음이 있을 것이다. 날마다 물과 함께 사니, 열다섯 살에 그 도를 얻는다. 태어나서 물을 알지 못하면, 비록 장성하더라도, 배를 보고 두려워한다. 그러므로 북쪽의 용감한 자가, 물에 능한 사람에게 물어서 그 잠수하는 까닭을 구하고, 그 말로 강에서 시험하니, 빠지지 않는 자가 있지 않다. 그러므로 무릇 배우지 않고 도를 구하기에 힘쓰는 것은, 모두 북쪽 사람이 잠수 배우는 것과 같다. 옛날에는 성률(聲律)로 선비를 뽑으니, 선비들이 잡학을 하고 도에 뜻을 두지 않았다. 지금은 경술(經術)로 선비를 뽑으니, 선비들이 도를 구하고 배움에 힘쓰지 않는다. 발해(渤海)의 오군 언율(吳君彥律)은, 배움에 뜻이 있는 자이다. 바야흐로 예부(禮部)에 나아가고자 하여, 일유(日喻)를 지어 그에게 알려준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도(道)를 깨닫는 과정을 해를 인식하는 장님의 경험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억지로 구하는 것이 아닌, 자연스러운 체득, 즉 "치(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장님의 해 인식 비유: 장님이 해를 쟁반, 촛불, 피리 등으로 잘못 인식하는 것은, 사람들이 도를 잘못 이해하는 것을 비유합니다. 외부적인 현상에만 집착하여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는 것을 지적합니다.
  • "도 가치 불가구(道可致而不可求)": 도는 억지로 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이르는 것입니다. 손무와 공자의 말을 인용하여, "치(致)"의 의미를 설명합니다. "치"는 외부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 내적인 수양과 노력을 통해 자연스럽게 도달하는 경지를 의미합니다.
  • 물에 능한 사람의 비유: 남쪽 사람들이 물과 함께 생활하며 자연스럽게 물의 도를 깨닫는 것은, 도는 억지로 구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노력과 경험을 통해 체득하는 것임을 보여줍니다. 반면, 물을 알지 못하는 북쪽 사람이 억지로 잠수를 배우려다 실패하는 것은, 배우지 않고 도를 구하려는 어리석음을 비판합니다.
  • 당시 과거 제도의 문제점 지적: 과거에는 성률로 선비를 뽑아 잡학에 치우치는 폐단이 있었고, 당시에는 경술로 선비를 뽑아 도를 구하기만 하고 배움에 힘쓰지 않는 폐단이 있었습니다. 작가는 이러한 과거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배움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글은 도를 깨닫는 것은 억지로 구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노력과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마치 물에 능한 사람이 날마다 물과 함께 생활하며 물의 도를 깨닫듯이, 꾸준히 배우고 익히면 자연스럽게 도에 이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치(致)"의 개념을 통해, 내적인 수양과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문양생(問養生)"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오자(吳子)에게 양생(養生), 즉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하고 얻은 두 가지 가르침, 즉 "화(和)"와 "안(安)"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자연의 변화와 외부 자극에 대한 내적인 대응 방식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 즉 마음의 평정과 조화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내가 오자에게 양생에 대해 물으니, 두 말씀을 얻었다. 이르기를 ‘화(和)’와 ‘안(安)’이라 하였다. 무엇을 ‘화’라고 하는가? 이르기를, “그대는 천지가 추위와 더위가 되는 것을 보지 못하는가? 추위와 더위의 극심함은, 아교가 녹고 쇠가 녹을 정도에 이르지만, 만물은 그것을 병이라고 여기지 않으니, 그 변화하는 것이 미세하기 때문이다. 추위와 더위의 변화는, 낮에는 해와 함께 사라지고, 밤에는 달과 함께 달리니, 고개를 숙였다 들었다 하는 사이에, 여러 번 변하지만 사람이 알지 못하는 것은, 미세함의 지극함이요, 조화의 극치이다. 만약 이 두 극심함이, 서로 잇따라 갑자기 이르면, 사람의 죽음이 오래되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무엇을 ‘안’이라고 하는가? 이르기를, “내가 일찍이 노산(牢山)에서 바다에 떠서 회수(淮水)에 이르렀는데, 큰 바람을 만났다. 배 안의 사람들은, 마치 기중기에 매달린 듯이, 그것과 함께 위아래로 움직이고, 마치 수레바퀴를 밟고 가는 듯하니, 거꾸로 되고 어지러워 멈출 수 없었다. 그러나 나는 음식과 거처를 다른 날과 같이 하였다. 나는 다른 기술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그것과 다투지 않고, 그 하는 바를 들었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무릇 나를 병들게 하는 것은, 모두 사물이 아니다. 음식 속에 구더기가 있으면, 사람이 본 자는 반드시 구역질을 한다. 그 보지 못하고 먹은 자는, 일찍이 구역질하지 않는다. 청컨대 그 어디에서 생기는지 살펴보라. 팔진(八珍)을 논하는 자는 반드시 삼키고, 대변과 오물을 말하는 자는 반드시 침을 뱉는다. 이 두 가지는 일찍이 나와 접촉한 것이 아니니, 침 뱉음과 삼킴이 어디에서 생기는가? 과연 사물에서 생기는가? 과연 나에게서 생기는가? 그것이 나에게서 생기는 것임을 안다면, 비록 그것과 접촉하더라도 변하지 않으니, 편안함의 지극함이다. 편안하면 사물이 나에게 느끼게 하는 것이 가볍고, 조화로우면 내가 사물에 응하는 것이 순하다. 밖이 가볍고 안이 순하면, 생리가 갖추어진다.”라고 하였다. 오자는, 옛날의 고요한 사람이다. 그 사물을 관찰함이, 자세하였다. 이로써 사적으로 그 말을 기록하고, 때때로 살펴본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외부의 변화와 자극에 대한 내적인 대응 방식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화(和)"와 "안(安)"이라는 두 가지 핵심 개념을 통해, 자연의 변화에 순응하고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의 근본임을 강조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화(和): "화"는 자연의 변화에 순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천지의 추위와 더위는 극심하지만, 그 변화가 미세하기 때문에 만물은 그것을 병이라고 여기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외부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이 건강 유지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 안(安): "안"은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큰 바람을 만난 상황에서도 평정을 유지한 오자의 경험을 통해, 외부의 혼란에 동요하지 않고 내적인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줍니다. 음식 속의 구더기 비유를 통해, 외부의 자극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받아들이는 마음의 상태가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 외경내순(外輕內順): 외부의 자극을 가볍게 여기고, 내면의 기운을 순하게 하는 것이 건강의 비결입니다. 외부의 변화에 동요하지 않고, 내면의 평정을 유지하면, 자연스럽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글은 단순히 신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외부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내면의 평정을 잃으면, 쉽게 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반대로, 외부의 변화에 초연하고, 내면의 평정을 유지하면,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건강은 외부적인 요소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적인 마음가짐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오자의 가르침을 통해, 마음의 평정과 조화가 건강 유지의 핵심임을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괴석공(怪石供)"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제안(齊安)의 강가에서 발견된 아름다운 돌, 즉 괴석(怪石)을 불인 선사(佛印禪師)에게 공양한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괴석의 아름다움과 그 가치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드러내며, 물질적인 공양보다는 깨끗한 물로 돌을 적시는 것으로도 충분한 공양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우공(禹貢)》에 이르기를, “청주(青州)에는 납(鉛)과 소나무와 괴석이 있다.”라고 하였는데, 해석하는 자가 말하기를, “괴석은, 돌이 옥과 같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지금 제안의 강가에서 왕왕 아름다운 돌을 얻는데, 옥과 분간할 수 없으며, 대부분 붉은색, 노란색, 흰색이다. 그 무늬는 사람 손가락 위의 소라와 같으니, 정교하고 밝아 사랑스러우며, 비록 솜씨 좋은 자가 뜻으로 그림을 그려도 미치지 못할 바가 있다. 어찌 옛날에 말하던 괴석이겠는가? 무릇 사물의 추함과 아름다움은, 서로 비교하는 데서 생기니, 나는 그 과연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 만약 세상의 돌이 모두 이와 같다면, 지금의 모든 돌은 다시 괴이하게 될 것이다. 해외에 형어로 소통하는 나라가 있으니, 입으로 말을 하지 못하고, 형상으로 서로 깨닫게 한다. 그 형상으로 말하는 것이, 입보다 빠르니, 나로 하여금 그것을 하게 한다면, 어찌 어렵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무릇 천기의 움직임은, 갑자기 이루어지니, 사람들이 참으로 솜씨라고 여긴다. 비록 그러하나, 우임금 때부터 괴이하게 여겼다. 제안의 어린아이가 강에서 목욕할 때, 얻은 것이 있어, 장난으로 떡과 과자로 바꾸었다. 이미 오래되니, 298개를 얻었다. 큰 것은 한 치가 넘고, 작은 것은 대추, 밤, 마름, 가시와 같다. 그중 하나는 호랑이와 표범 같으니, 머리에 입, 코, 눈의 모양이 있어, 여러 돌의 우두머리라고 여겼다. 또 옛날 구리 동이 하나를 얻어, 돌을 담고, 물을 부으니 빛났다. 마침 여산(廬山) 귀종(歸宗)의 불인 선사에게 심부름 온 사람이 있어, 드디어 공양으로 삼았다. 선사께서는 일찍이 도의 눈으로 모든 것을 보시니, 세상은 혼돈하고 텅 비어, 한 물건도 없으니, 비록 야광주와 척벽(尺璧)이 기와 조각과 같거늘, 하물며 이 돌이겠는가. 비록 그러하나 기꺼이 이 공양을 받으시고, 묵지(墨池)의 물을 부으시며, 억지로 한번 웃으셨다. 지금 이후로, 산의 스님과 시골 사람이, 선사에게 공양하고자 하나 힘이 미치지 못하는 자가, 의복, 음식, 침구(寢具)를 대신하여 깨끗한 물로 돌을 적시는 것으로 공양을 삼게 하였으니, 대개 소자첨(蘇子瞻, 소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때는 원풍(元豐) 5년 5월, 황주(黃州) 동파 설당(雪堂)에서 쓰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괴석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통해, 사물의 가치와 공양의 의미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외형적인 아름다움에 집착하지 않고, 내면의 가치와 마음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괴석의 아름다움: 제안의 강가에서 발견된 돌들은 옥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아름다운 무늬를 가지고 있습니다. 작가는 이러한 돌들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며, 자연의 신비로움과 조화에 감탄합니다.
  • 사물의 가치: 사물의 가치는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결정됩니다. 만약 세상의 모든 돌이 괴석처럼 아름답다면, 오히려 평범한 돌이 괴이하게 여겨질 것입니다. 작가는 이러한 상대적인 가치 판단의 모순을 지적합니다.
  • 형어(形語)의 비유: 해외의 형어로 소통하는 나라 이야기를 통해, 천기의 조화는 인간의 솜씨로는 미치지 못하는 신비로운 힘임을 강조합니다. 괴석의 아름다움 또한 이러한 천기의 조화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공양의 의미: 불인 선사에게 괴석을 공양한 행위를 통해, 진정한 공양은 물질적인 풍요에 있는 것이 아니라, 깨끗한 마음과 정성에 있음을 보여줍니다. 비록 선사는 모든 것을 도의 눈으로 보기 때문에 괴석의 가치를 초월하지만, 작가의 정성을 받아들여 공양을 허락합니다. 이후로는 물로 돌을 적시는 것으로도 충분한 공양이 될 수 있도록 하였으니, 이는 물질적인 제약 때문에 공양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배려입니다.

이 글은 외형적인 아름다움이나 물질적인 풍요에 집착하지 않고, 내면의 가치와 마음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괴석을 공양하는 행위를 통해, 진정한 공양은 물질적인 것이 아니라, 깨끗한 마음과 정성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소식은 이 글을 통해, 물질적인 풍요를 추구하는 세태를 비판하고, 정신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삶의 태도를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후괴석공(後怪石供)"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앞서 괴석을 불인 선사(佛印禪師)에게 공양한 것에 대한 후일담입니다. 불인이 괴석에 대한 소식의 말을 새긴 것을 듣고 소식이 이에 대해 논하며, 모든 것이 환(幻), 즉 허상임을 깨달아야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소자가 이미 괴석으로 불인에게 공양하니, 불인이 그 말을 돌에 새겼다. 소자가 듣고 웃으며 말하기를, “이는 어디에서 온 것인가? 내가 떡으로 여러 아이들과 바꾼 것이다.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쓸모없는 것을 바꾸었으니, 내가 이미 웃음거리가 되기에 충분한데, 저(불인)는 또 따라서 그것을 새겼다. 지금 떡으로 불인에게 공양한다면, 불인은 반드시 새기지 않을 것이다. 돌과 떡이 무엇이 다르겠는가?”라고 하였다. 참료자(參寥子)가 말하기를, “그러하나 공양하는 것도 허상이요. 받는 자도 또한 허상이요. 그 말을 새기는 것도 또한 허상이다. 무릇 허상이 어디에 가서 옳지 않겠는가.”라고 하며, 손을 들어 소자에게 보이며 말하기를, “이 손을 모아 사람에게 읍(揖)하면, 사람이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고, 이 손을 뻗어 사람을 꾸짖으면, 사람이 성내지 않는 이가 없다. 같은 손인데, 기쁨과 분노가 다르니, 세상에 이를 비난하는 자가 있지 않다. 그대가 진실로 모으는 것과 뻗는 것이 모두 허상임을 안다면, 기쁨과 분노가 비록 존재하더라도 뿌리가 사라진다. 새기는 것과 새기지 않는 것, 옳지 않은 것이 없다.”라고 하였다. 소자가 크게 웃으며 말하기를, “그대가 그것을 원하는가?”라고 하며, 이에 또한 공양으로 삼았다. 모두 252개의 돌과 돌 쟁반이라고 한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앞선 "괴석공"에서 이어지는 이야기로, 공양의 의미와 세상 모든 현상의 본질에 대한 심오한 논의를 담고 있습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괴석 공양의 의미 변화: 소식은 처음에는 아이들과 떡을 바꿔 얻은 돌을 공양한 자신의 행위를 다소 가볍게 여겼습니다. 하지만 불인이 그 말을 돌에 새긴 것을 보고, 공양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떡과 돌의 차이가 무엇인지 질문하며, 물질적인 가치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함을 암시합니다.
  • 참료자의 "환(幻)"의 논리: 참료자는 모든 것이 허상이라고 주장합니다. 공양하는 행위, 받는 행위, 그리고 그 말을 새기는 행위 모두 허상이며, 허상에는 옳고 그름이 없습니다. 손을 모으는 행위와 뻗는 행위의 비유를 통해, 같은 행위라도 상황에 따라 다른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것처럼, 모든 것은 상황과 인식에 따라 달라지는 허상임을 설명합니다.
  • 기쁨과 분노의 근원: 참료자는 모든 것이 허상임을 깨달으면, 기쁨과 분노와 같은 감정의 뿌리가 사라진다고 말합니다. 외부적인 현상에 집착하지 않고, 모든 것이 허상임을 깨달으면,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에 이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소식의 깨달음: 참료자의 말을 듣고 소식은 크게 웃으며, 그의 논리를 받아들입니다. 그리고 자신도 돌을 공양으로 삼습니다. 이는 소식이 참료자의 "환"의 논리를 이해하고, 모든 것에 집착하지 않는 자유로운 경지에 이르게 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 글은 공양이라는 행위를 통해, 세상 모든 현상의 본질, 즉 허상임을 깨달아야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심오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물질적인 가치에 집착하고, 외부적인 현상에 휘둘리는 삶에서 벗어나, 모든 것을 허상으로 보고 초월하는 삶의 태도를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참료자의 "환"의 논리는 불교의 공(空) 사상과도 연결되는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유정식사(書劉庭式事)"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소식이 밀주(密州)의 전중승(殿中丞)으로 있을 때 통판(通判)이었던 유정식(劉庭式)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약혼녀가 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약속을 지켜 결혼한 유정식의 의로움과, 그 후 도를 얻은 듯한 그의 행적을 통해, 진정한 가치와 인간의 도리에 대해 논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내가 예전에 밀주 전중승이었을 때, 유정식은 통판이었다. 정식은 제나라 사람이었다. 그런데 자유(子由, 소철)가 제주의 장서기(掌書記)가 되어, 그 고향 사람들의 말을 얻어 나에게 알려주기를, “정식은 예학(禮學)에 통달하였다. 과거에 급제하기 전에, 그 고향 사람의 딸과 혼인을 의논하였는데, 이미 약속하였으나 납폐(納幣)하지 않았다. 정식이 급제하자, 그 여자가 병으로, 두 눈이 모두 멀었다. 여자 집은 몸소 농사짓는, 매우 가난한 집안이라, 다시 말을 꺼내지 못하였다. 어떤 사람이 어린 딸을 맞이하라고 권하였다. 정식이 웃으며 말하기를, ‘내 마음이 이미 허락하였으니, 비록 눈이 멀었더라도, 어찌 내 처음 마음을 저버리겠는가!’라고 하였다. 마침내 눈먼 여자와 결혼하여, 함께 늙었다.”라고 하였다. 눈먼 여자가 밀주에서 죽으니, 정식이 상을 치르는데, 해가 지나도 슬픔이 줄어들지 않아, 다시 장가들려 하지 않았다. 내가 우연히 그에게 물었다. “슬픔은 사랑에서 생기고, 사랑은 외모에서 생깁니다. 그대가 눈먼 여자와 결혼하여, 함께 늙은 것은, 의리입니다. 사랑은 어디에서 생기고, 슬픔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입니까?” 정식이 말하기를, “나는 아내를 잃은 것만 알 뿐입니다. 눈이 있어도 내 아내이고, 눈이 없어도 내 아내입니다. 내가 만약 외모로 인해 사랑을 낳고, 사랑으로 인해 슬픔을 낳는다면, 외모가 쇠하면 사랑이 느슨해지고, 내 슬픔 또한 잊혀질 것입니다. 그렇다면 무릇 소매를 떨치고 저잣거리에 기대어, 눈으로 유혹하고 마음으로 부르는 자는, 모두 아내가 될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내가 그 말에 깊이 감동하여, 말하기를, “그대는 공명과 부귀를 누릴 사람입니다.”라고 하였다. 어떤 사람이 내 말을 지나치다고 비웃으니, 내가 말하기를, “그렇지 않습니다. 옛날 양숙자(羊叔子)가 하후패(夏侯霸)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는데, 하후패가 반란을 일으켜 촉나라로 들어가니, 친척과 친구들이 모두 관계를 끊으라고 하였지만, 양숙자는 홀로 그 집안을 편안하게 하고, 은혜와 예의를 더하였다. 군자는 이로써 양숙자의 고귀함을 알았으니, 그 후 마침내 진나라의 원로 대신이 되었다. 지금 정식 또한 거의 그러하니, 만약 고귀하지 않다면, 반드시 도를 얻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당시 함께 있던 손님들이 모두 멍하니 믿지 않았다. 어제 어떤 사람이 여산에서 와서 말하기를, “정식이 지금 산속에서 태평관(太平觀)을 감독하는데, 얼굴빛이 활기차고 자줏빛 광채가 나며, 가파른 비탈길을 오르내리는데, 60리를 왕복하기를 나는 듯이 하고, 곡식을 끊고 먹지 않은 지, 이미 여러 해가 되었다.”라고 하였다. 듣고 매우 기뻐하며, 스스로 내 말이 허망하지 않음을 여기고, 이에 써서 밀주의 조고경(趙杲卿)에게 부친다. 고경은 정식과 친하고, 또한 모두 일찍이 내 말을 들은 자이다. 정식의 자는 득지(得之)이고, 지금 조청랑(朝請郎)이 되었다. 고경의 자는 명숙(明叔)이고, 향공 진사(鄉貢進士)이며, 또한 행의(行義)가 있다. 원풍 6년 7월 15일, 동파 거사 쓰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유정식의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사랑과 의리, 그리고 인간의 도리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외적인 조건에 흔들리지 않고 내면의 가치를 지키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유정식의 의로움: 약혼녀가 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약속을 지켜 결혼한 유정식의 행동은, 외적인 조건에 흔들리지 않고 내면의 약속과 의리를 지키는 고귀한 행동입니다. 이는 진정한 사랑과 인간됨의 가치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사랑과 슬픔의 근원: 외모로 인해 사랑이 생기고, 사랑으로 인해 슬픔이 생긴다면, 외모가 변하면 사랑과 슬픔 또한 변할 것입니다. 하지만 유정식은 외모가 아닌, 인간적인 신뢰와 약속을 소중히 여겼기 때문에, 외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변치 않는 사랑과 슬픔을 간직할 수 있었습니다.
  • 양숙자의 고사 인용: 하후패의 딸을 아내로 맞이한 양숙자의 고사를 인용하여, 유정식의 행동이 양숙자와 비견될 만한 고귀한 행동임을 강조합니다. 또한, 유정식이 앞으로 큰 인물이 되거나 도를 얻을 것이라고 예견합니다.
  • 유정식의 후일담: 훗날 유정식이 산속에서 도를 닦는 듯한 행적을 보인다는 소식을 듣고, 소식은 자신의 예견이 틀리지 않았음을 확신합니다. 이는 외적인 명예나 부귀보다 더 중요한 가치를 추구하는 삶의 의미를 보여줍니다.

이 글은 외적인 조건이나 세상의 평가에 흔들리지 않고, 내면의 가치와 도리를 지키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유정식의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사랑과 의리, 그리고 인간됨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며, 물질적인 풍요보다 더 중요한 가치를 추구하는 삶의 자세를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적무양사(書狄武襄事)"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적무양공(狄武襄公)의 일화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동생을 대신해 죄를 자처하고,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을 살려낸 그의 용기와 지혜, 그리고 덕행을 기리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적무양공은 본래 농가의 아들이었다. 나이 열여섯 살 때, 그의 형 소(素)가 마을 사람으로 이름과 호를 철나한(鐵羅漢)이라고 하는 자와 물가에서 싸우다가, 그를 물에 빠뜨려 죽이게 되었다. 보오(保伍, 지금의 경찰과 같은 역할)가 바야흐로 소를 묶으려 하는데, 공이 마침 밭에서 밥을 가지고 돌아오다가, 이를 보고 말하기를, “철나한을 죽인 자는, 나이다.”라고 하였다. 사람들이 모두 소를 풀어주고 공을 묶었다. 공이 말하기를, “나는 죽음을 피하지 않겠다. 그러나 나로 하여금 철나한을 구하게 하여, 혹시라도 살아날 수 있기를 기다리게 하라. 만약 반드시 죽을 것이라면, 나를 묶는 것은 늦지 않다.”라고 하였다. 무리가 그 말을 따랐다. 공이 속으로 빌며 말하기를, “내가 만약 귀하게 된다면, 철나한은 마땅히 살아날 것이다.”라고 하고는, 그 시체를 들어 올려, 물을 몇 말이나 쏟아내니 살아났다. 그 후 사람들은 알지 못하였다. 공이 돌아가시자, 그의 아들 자(諮)와 영(詠)이 상을 치르고 서하(西河)로 돌아가 장사 지내는데, 마을의 어른들이 이 일을 이야기해 주었다. 원우(元祐) 원년 12월 5일, 영과 함께 같은 관사(館舍)에 있던 북쪽 손님과, 밤에 이야기하다가 이 일에 대해 이야기하게 되었다. 미산(眉山) 소식 기록.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적무양공의 일화를 통해, 용기, 지혜, 그리고 덕행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특히, 동생을 대신해 죄를 자처한 행동과, 죽은 사람을 살려낸 기적 같은 일은, 그의 고결한 인품과 하늘의 도움을 동시에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동생을 대신한 용기: 형이 저지른 잘못을 자신이 했다고 자처한 것은, 죽음을 각오한 용기 있는 행동입니다. 이는 가족을 위한 희생정신과 책임감을 보여주는 동시에, 진실을 밝히려는 용기를 보여줍니다.
  • 죽은 사람을 살려낸 기적: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을 살려낸 것은, 단순한 우연이나 요행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작가는 공의 내면의 간절한 기도와 연결하여, 그의 덕행이 하늘에 닿아 기적을 일으킨 것으로 해석합니다. 이는 선행이 가져오는 긍정적인 결과를 강조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숨겨진 선행: 공이 죽은 후 그의 아들들이 고향으로 돌아왔을 때, 마을 어른들을 통해 이 이야기가 알려진 것은, 공이 생전에 자신의 선행을 드러내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진정한 선행은 남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순수한 마음에서 비롯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소식의 감탄: 소식은 이 이야기를 듣고 매우 감탄하며 기록으로 남겼습니다. 이는 적무양공의 이야기가 단순한 옛날이야기가 아니라, 후세 사람들에게 귀감이 될 만한 가치 있는 이야기라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이 글은 적무양공의 일화를 통해, 용기, 지혜, 그리고 덕행이 얼마나 중요한 덕목인지를 보여줍니다. 특히, 위기의 순간에 용기를 내어 진실을 밝히고, 타인을 위해 희생하는 모습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큰 교훈을 줍니다. 또한, 선행을 베풀되 드러내지 않는 겸손함과, 하늘의 도움을 받을 만큼의 덕을 쌓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맹덕전후(書孟德傳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동생 소철(蘇轍, 자는 子由)이 보내온 조조(曹操, 자는 孟德)에 대한 이야기를 읽고, 호랑이가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을 두려워한다는 속설에 대해 논하고 있습니다. 실제 사례들을 통해 이 속설을 뒷받침하며, 두려움이 호랑이의 공격에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자유(子由)가 맹덕(孟德)의 일을 써서 보내주었다. 내가 이미 듣고 이상하게 여겼는데, 호랑이는 자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자를 두려워한다는 것은, 그 이치가 믿을 만하다고 여겼다. 그러나 세상에 호랑이를 보고 두려워하지 않는 자는 있지 않으니, 이 말의 유무를, 마침내 시험해 볼 곳이 없다. 그러나 예전에 내가 충주(忠州), 만주(萬州), 운안(雲安)에 호랑이가 많다는 것을 들었다. 어떤 부인이 대낮에 두 어린아이를 모래 위에 두고, 물에서 빨래를 하고 있었다. 호랑이가 산에서 달려 내려오니, 부인은 허둥지둥 물에 잠겨 피하였다. 두 어린아이는 모래 위에서 태연히 놀았다. 호랑이가 오랫동안 자세히 보다가, 심지어 머리로 부딪치기까지 하여, 혹시라도 하나가 두려워하기를 바랐지만, 아이들은 어리석어, 끝내 이상한 줄을 알지 못하니, 호랑이 또한 마침내 갔다. 생각건대 호랑이가 사람을 잡아먹는 것은, 반드시 먼저 위엄으로 덮어씌우는데,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위엄을 베풀 곳이 없는 것이다. 세상에서 말하기를 호랑이는 술 취한 사람을 잡아먹지 않고, 반드시 앉아서 지키며, 그가 깨어나기를 기다린다고 한다. 깨어나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그가 두려워하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어떤 사람이 밤에 밖에서 돌아오다가, 어떤 물건이 자기 문 앞에 웅크리고 있는 것을 보고, 돼지나 개 종류라고 여겼다. 지팡이로 치니, 곧 달아나 버렸다. 산 아래 달 밝은 곳에 이르니, 호랑이였다. 이 사람은 호랑이를 이길 만한 것이 있어서가 아니라, 기세가 이미 그것을 덮은 것이다. 만약 사람의 두려워하지 않음이, 모두 어린아이, 술 취한 사람과, 그 알지 못할 때와 같다면, 호랑이가 그들을 두려워하는 것은, 이상할 것이 없다. 그러므로 그 끝에 써서, 자유의 말을 믿는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호랑이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관찰을 제시합니다. 특히, "호랑이는 두려워하지 않는 자를 두려워한다"는 속설을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랑이의 위협 방식: 호랑이는 사람을 잡아먹을 때, 먼저 위엄으로 덮어씌워 공포심을 유발합니다. 공포에 질린 사람은 저항하지 못하고 쉽게 먹잇감이 됩니다.
  • 두려움의 부재와 호랑이의 반응: 두려워하지 않는 아이들, 술 취한 사람, 그리고 밤에 호랑이인 줄 모르고 대항한 사람의 사례를 통해, 두려움이 호랑이의 공격에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줍니다. 두려움을 느끼지 못하는 상대에게는 호랑이의 위협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 술 취한 사람에 대한 속설의 재해석: 호랑이가 술 취한 사람을 기다렸다가 깨어나면 잡아먹는다는 속설은, 술 취한 사람이 깨어나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깨어나서 두려움을 느끼기를 기다리는 것으로 재해석합니다.
  • 기세의 중요성: 밤에 호랑이인 줄 모르고 대항한 사람의 사례를 통해, 두려움이 없을 때 발생하는 기세가 호랑이를 제압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심리적인 요인이 물리적인 힘보다 더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어린아이와 술 취한 사람의 공통점: 어린아이와 술 취한 사람은 모두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두려움을 느끼지 못합니다. 이러한 무지가 오히려 호랑이에게는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이 글은 단순히 호랑이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넘어, 심리적인 요인이 상황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줍니다. 두려움이라는 감정이 인간을 얼마나 취약하게 만들 수 있는지, 반대로 두려움이 없을 때 얼마나 강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은 이러한 논리를 통해 동생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육일거사전후(書六一居士傳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구양수(歐陽脩)의 호인 육일거사(六一居士)에 대한 평가를 담고 있습니다. 육일거사가 소유한 다섯 가지 사물(만 권의 책, 천 폭의 그림, 술 한 동이, 바둑돌 한 벌, 거문고 한 대)에 대한 세속적인 집착을 초월한 그의 태도를 통해, 진정한 도(道)의 의미를 논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소자(蘇子, 소식 자신)가 말하기를, “거사(居士, 구양수)는 도(道)를 가진 사람이라고 할 만하다.”라고 하니,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거사는 도를 가진 사람이 아니다. 도를 가진 사람은, 마음에 걸리는 것 없이 편안하니, 거사는 다섯 가지 사물에 대해, 세속 사람들이 다투는 바를 버리고, 그들이 버린 것을 주웠다. 어찌 도를 가졌다고 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소자가 말하기를, “그렇지 않다. 다섯 가지 사물을 가져야 편안한 사람은, 미혹된 것이다. 다섯 가지 사물을 버려야 편안한 사람 또한, 미혹된 것이다. 또한 사물은 일찍이 사람을 얽매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높은 관복과 큰 도장조차도 사람을 얽매일 수 없는데, 하물며 이 다섯 가지 사물이겠는가? 사물이 사람을 얽매일 수 있는 것은, 우리가 그것을 가지고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우리와 사물은 모두 어쩔 수 없이 천지 사이에서 형체를 받았으니, 누가 능히 그것을 가질 수 있겠는가? 그런데 어떤 사람은 자신이 가진 것이라고 여기고, 얻으면 기뻐하고, 잃으면 슬퍼한다. 지금 거사는 스스로를 육일(六一)이라고 하니, 이는 그 자신이 다섯 가지 사물과 더불어 하나가 된 것이다. 자신이 사물을 가진 것인지, 사물이 자신을 가진 것인지 알지 못한다. 거사와 사물은 모두 능히 가질 수 없으니, 누가 능히 얻고 잃음을 그 사이에 두겠는가? 그러므로 말하기를 거사는 도를 가진 사람이라고 할 만하다고 한 것이다. 비록 그러하나, 하나(一)의 관점에서 다섯(五)을 보면, 거사를 오히려 볼 수 있다. 다섯(五)과 더불어 여섯(六)이 되면, 거사를 볼 수 없다. 거사는 거의 장차 숨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육일거사의 다섯 가지 사물에 대한 태도를 통해, 진정한 도의 의미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세속적인 집착을 초월한 그의 경지를 통해, 물질에 대한 올바른 관점을 제시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도의 의미: 진정한 도는 어떤 것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다섯 가지 사물을 가져야만, 혹은 버려야만 편안한 것은 모두 미혹된 상태입니다. 진정한 도는 사물에 대한 집착 자체를 초월하는 데 있습니다.
  • 사물의 본질: 사물은 본래 사람을 얽매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사람이 사물을 소유하려고 집착하기 때문에, 사물이 사람을 얽매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사람과 사물은 모두 천지 사이에서 잠시 형체를 빌린 존재일 뿐, 진정으로 소유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 육일(六一)의 의미: 육일은 육일거사 자신과 다섯 가지 사물이 하나가 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거사가 사물에 대한 소유욕을 초월하여, 자신과 사물을 동일한 존재로 인식하는 경지에 이르렀음을 나타냅니다. 즉,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를 의미합니다.
  • 득실(得失)의 초월: 거사는 자신과 사물을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얻고 잃음에 대한 감정에 동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모든 것에 집착하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 즉 도에 이른 경지를 보여줍니다.
  • 거사의 경지: 하나의 관점에서 다섯을 보면 거사를 볼 수 있지만, 다섯과 더불어 여섯이 되면 거사를 볼 수 없다는 것은, 거사의 경지가 너무나 높아져서 평범한 사람들의 시각으로는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거의 장차 숨을 것이라는 표현은, 거사가 세속의 시선에서 벗어나 더욱 심오한 경지로 나아갈 것임을 암시합니다.

이 글은 육일거사의 이야기를 통해, 물질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내면의 자유를 추구하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진정한 도는 외부의 사물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속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은 육일거사의 삶을 통해, 물질적인 풍요보다 정신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삶의 태도를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낭야전후(書瑯琊篆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진시황(秦始皇)이 낭야대(瑯琊臺)에 세운 비석의 탁본을 얻게 된 경위와, 그 비문에 담긴 역사적 의미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진나라의 폭정은 비판하면서도, 그들의 뛰어난 문자 예술은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진 시황제 26년(기원전 221년), 처음으로 천하를 통일하였다. 28년(기원전 219년), 직접 동쪽 바닷가를 순행하며, 낭야대에 올라, 해 뜨는 것을 보고, 즐거워하며 돌아가는 것을 잊고, 백성 3만 가구를 대 아래로 이주시켰고, 돌에 새겨 진나라의 덕을 칭송하였다. 2세 원년(기원전 209년), 다시 조서를 그 옆에 새겼다. 지금은 칭송하는 시는 없어졌고, 그를 따르던 신하의 이름만 겨우 남아 있으며, 2세의 조서는 온전히 남아 있다. 시황제 28년부터, 해로는 임오년(壬午年)이고, 지금 희녕(熙寧) 9년 병진년(丙辰年)까지, 모두 1295년이다. 촉(蜀) 사람 소식이 고밀(高密)의 태수로 와서, 민간에서 옛 종이 탁본을 얻었는데, 지금 보이는 것과 비교해 보니, 오히려 온전하고 좋았으니, 남아 있는 것이, 사라질 날이 머지않았음을 알았다. 마침 여강(廬江) 사람 문훈(文勛)이 일로 인해 고밀에 왔다. 문훈은 옛것을 좋아하고 전서(篆書)를 잘 쓰는데, 이사(李斯)의 필법의 뜻을 얻었으므로, 이에 여러 돌을 모사하여, 초연대(超然臺) 위에 두었다. 무릇 진나라가 비록 도가 없었으나, 세운 바에는 뛰어난 것이 있었다. 그 문자의 솜씨는, 세상 또한 미치지 못하니, 모두 폐기해서는 안 된다. 후에 군자가 있어, 이를 보고 감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정월 7일 갑자일에 기록하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낭야대에 세워진 진나라 비석의 탁본을 통해, 역사의 흥망성쇠와 예술의 가치에 대해 논하고 있습니다. 진나라의 폭정을 비판하면서도, 그들이 남긴 뛰어난 문자 예술은 인정해야 한다는 균형 잡힌 시각을 보여줍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낭야대의 역사: 진시황이 천하를 통일한 후 동쪽을 순행하며 낭야대에 올라 비석을 세운 역사적 사실을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비문의 일부가 소실되었음을 언급하며, 역사의 무상함을 보여줍니다.
  • 탁본의 가치: 소식이 민간에서 얻은 옛 종이 탁본은, 현재 남아 있는 비석보다 상태가 좋았기 때문에, 더욱 귀중한 자료였습니다. 이는 과거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문훈의 역할: 문훈은 이사의 필법을 이어받은 뛰어난 전서가였는데, 닳아 없어져 가는 비문을 모사하여 후대에 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예술가의 역할이 단순히 창작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유산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데에도 있음을 보여줍니다.
  • 진나라에 대한 평가: 소식은 진나라의 폭정을 비판하면서도, 그들이 세운 업적 중 뛰어난 것은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그들의 문자 예술은 당대 최고 수준이었으며, 이는 후대에도 계승되어야 할 가치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 예술의 영원성: 정치가 흥망성쇠를 거듭하는 것과 달리, 예술은 시대를 초월하여 영원한 가치를 지닙니다. 소식은 진나라의 비문을 통해, 후대의 사람들이 역사를 배우고 예술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글은 역사를 바라보는 균형 잡힌 시각과, 예술의 영원한 가치를 강조합니다. 정치적인 평가와는 별개로, 과거의 문화유산을 소중히 여기고 후대에 전해야 한다는 소식의 생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또한, 탁본이라는 매체를 통해 과거의 기록을 보존하려는 노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선우자준초사후(書鮮于子駿楚詞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선우자준(鮮于子駿)이 지은 초사(楚辭) 아홉 편을 읽고, 그 작품에 담긴 깊은 의미와, 당시 시대에 고전적인 음악과 문학이 제대로 이해받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선우자준이 초사 아홉 편을 지어 나에게 보여주었다. 내가 그것을 읽고, 멍하니 생각하며, 탄식하며 말하기를, “아, 이러한 소리가 지어지지 않은 지 오래되었구나. 비록 지으려 한다 해도, 들어줄 사람이 누구인가? 비유하자면 음악에 있어서, 변란이 극에 달하여 지금에 이르러, 무릇 세상에서 쓰는 바가, 모두 이적의 소리, 이적의 악기이다. 이른바 정나라와 위나라의 음악을 구하려 해도, 또한 얻을 수 없는데, 하물며 아악(雅樂)이겠는가? 배우는 자들이 바야흐로 육조(六朝)의 사물을 늘어놓고, 현악기와 관악기 삼백다섯 편을 연주하면, 시끄럽기가 마치 솥과 부뚜막, 종과 항아리를 긁는 것 같으니, 졸지 않고 몰래 비웃지 않는 자가 있지 않다. 좋아하여 배우고자 하는 자는 스승이 없고, 알아서 전하고자 하는 자는 제자가 없으니, 슬프지 않겠는가? 지금 자준은 홀로 다니며 읊고 앉아서 생각하며, 꿈속에서까지 천 년 전의 일을 생각하며, 옛날 굴원(屈原)과 송옥(宋玉)을 좇아, 그 사람들과 어두운 곳에서 벗하며, 거의 끊어지려는 미미한 학문을 이으니, 지극하다고 할 만하다. 그러나 보는 자들이 매우 귀하게 여기는 줄을 알지 못하니, 또한 이상할 것이 없다. 저들은 반드시 일찍이 이 일에 종사한 후에야 그 어려움과 정교함을 알 것이다. 배우지 않은 자들은, 대충 그러려니 여긴다.”라고 하였다. 원풍(元豐) 원년 4월 9일, 조군(趙郡) 소식 기록.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선우자준의 초사를 통해, 고전적인 문학과 예술이 시대의 변화 속에서 어떻게 소외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또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묵묵히 전통을 계승하려는 사람들의 가치를 강조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초사의 부재: 소식은 선우자준의 초사를 읽고, 과거 굴원과 송옥의 시대 이후로 진정한 초사가 더 이상 창작되지 않고 있음을 안타까워합니다. 이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전통적인 문학 양식이 점차 쇠퇴해가는 현실을 반영합니다.
  • 음악의 변질: 음악의 예를 들어, 당시 세상에서 유행하는 음악은 모두 이적의 음악, 즉 속되고 저속한 음악이며, 고대의 정나라와 위나라의 음악조차 찾아보기 어렵다고 지적합니다. 하물며 고귀한 아악은 더욱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예술의 수준이 저하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고전 학문의 어려움: 육조 시대의 학문을 늘어놓고, 고대의 악기를 연주해도, 사람들은 시끄럽게 여기고 비웃을 뿐입니다. 고전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은 스승이 없고, 전하고자 하는 사람은 제자가 없는 상황을 안타까워합니다. 이는 고전 학문이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여겨져 외면받는 현실을 보여줍니다.
  • 선우자준의 가치: 이러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선우자준은 홀로 고대의 시인들을 그리워하며 초사를 창작합니다. 소식은 그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며, 거의 끊어지려는 학문을 이었다고 칭찬합니다. 이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묵묵히 자신의 길을 가는 사람들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입니다.
  • 세상의 무지: 사람들은 선우자준의 작품이 얼마나 귀한 것인지 알지 못합니다. 소식은 이러한 세상의 무지를 당연하게 여깁니다. 그들은 직접 그 분야에 종사해 보지 않았기 때문에, 그 어려움과 가치를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 글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전통적인 가치와 예술이 어떻게 소외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또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묵묵히 자신의 길을 가는 사람들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들을 격려하는 소식의 따뜻한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선우자준의 초사를 통해, 고전의 가치를 되새기고, 시대의 변화 속에서 전통을 어떻게 계승해야 할지 고민하게 하는 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유탕천시후(書游湯泉詩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세 아들과 함께 여러 온천을 유람하고 지은 시에 대한 감상을 적은 글로, 온천의 다양한 상황과 그에 대한 인간의 해석, 그리고 사물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내가 들은 온천이 일곱 곳인데, 그중 다섯 곳은 지금 세 아들이 유람한 곳으로, 진군(秦君)의 부(賦)에서 이른바 여산(匡廬), 여수(汝水), 위씨(尉氏), 여산(驪山)과 같고, 그 나머지 두 곳은 내가 직접 본 곳으로, 봉상(鳳翔)의 낙곡(駱谷)과 유주(渝州)의 진씨 산거(陳氏山居)이다. 모두 궁벽한 산속에 버려져, 산속 스님과 시골 사람들의 목욕하는 곳, 사슴과 원숭이의 마시는 곳이 되었으니, 오직 여산만이 왕래하는 길목에 있어, 화려한 집과 아름다운 벽돌로, 홀로 뛰어나게 빼어났다. 그러나 명황(明皇)의 폐단으로 인해, 양귀비(楊貴妃), 이임보(李林甫), 안록산(安祿山)에게 더럽혀져, 말 잘하는 선비들이, 붓을 들어 욕하고 꾸짖어, 망국의 남은 자취로, 더 큰 모욕이 없다고 여긴다. 지금 혜제(惠濟)의 샘이, 홀로 세 아들로 하여금 이와 같이 읊조리게 되었으니, 어찌 외지고 먼 곳에 있어, 권세 있는 자들에게 은총을 받지 못하고, 그런 후에야 고상한 사람과 숨어 사는 선비, 세상과 다른 뜻을 가진 자들의 즐기는 바가 되었겠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명황의 폐단과, 양귀비, 이임보, 안록산의 더러움은, 샘이 어찌 그것을 싫어하겠는가? 그렇다면 멀리 떨어져 외지고 누추하다는 탄식 또한, 샘의 병통이 아니다.”라고 한다. 샘은 본래 영욕을 알지 못하니, 다만 사람의 뜻으로 미루어 생각한 것으로, 그릇을 안고 쓰이기에 적합하되 처소를 가리지 않는 자의 경계로 삼을 만하다. 원풍 원년 10월 5일.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온천이라는 자연물을 통해 인간의 역사와 평가, 그리고 사물의 본질에 대한 통찰을 보여줍니다. 특히, 인간의 역사와 평가에 따라 같은 사물도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지적하며, 사물의 본질은 인간의 평가와는 무관함을 강조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온천의 다양한 상황: 작가는 자신이 들었거나 직접 본 여러 온천의 상황을 비교하며, 온천이 처한 환경과 용도가 다양함을 보여줍니다. 화려한 궁궐 안에 있는 온천부터, 궁벽한 산속에 버려진 온천까지, 다양한 상황을 제시합니다.
  • 인간의 역사와 온천의 평가: 특히 여산의 온천은 당 현종과 양귀비의 이야기와 관련되어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작가는 이러한 인간의 역사와 평가가 온천 자체의 가치와는 무관함을 지적합니다.
  • 온천의 본질: 온천은 단순히 물이 솟아나는 자연 현상일 뿐, 인간의 역사나 평가와는 무관합니다. 인간이 온천에 의미를 부여하고 평가를 내리지만, 온천 자체는 영욕을 알지 못하는 무구한 존재입니다.
  • 인간의 경계: 작가는 온천의 이러한 본질을 통해, “그릇을 안고 쓰이기에 적합하되 처소를 가리지 않는 자”의 경계로 삼을 만하다고 말합니다. 이는 어떤 상황에 처하든 자신의 본질을 잃지 않고 묵묵히 소임을 다하는 사람의 자세를 의미합니다. 즉, 외부 환경에 흔들리지 않고 내면의 가치를 지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글은 온천이라는 소재를 통해, 인간의 역사와 평가가 사물의 본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보여줍니다. 또한, 외부 환경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본질을 지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물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제시합니다. 소식은 온천에 대한 자신의 감상을 통해, 인간의 삶의 자세에 대한 교훈을 전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구양공황우묘시후(書歐陽公黃牛廟詩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구양수(歐陽脩)가 협주(峽州) 이릉현(夷陵縣)의 현령으로 있을 때 지은 황우묘(黃牛廟) 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구양수가 과거 경험한 신비한 꿈과 그 꿈이 현실에서 일치하는 경험을 담고 있으며, 인간의 운명과 신의 섭리에 대한 생각을 제시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오른쪽은 구양문충공(歐陽文忠公, 구양수)이 협주 이릉현의 현령으로 있을 때 지은 「황우묘」 시이다. 나는 일찍이 공에게서 들었다. “내가 예전에 서경(西京) 유수(留守)의 추천을 받아 관각(館閣)의 교감(校勘)을 맡고 있었을 때, 같은 해에 급제한 정보신(丁寶臣) 원진(元珍)이 마침 서울에 와서, 꿈에 나와 함께 배를 타고 강을 거슬러 올라가, 한 사당에 들어가, 당 아래에서 절하는 꿈을 꾸었다. 나는 원진보다 아래에 서 있었는데, 원진이 굳이 사양하였지만, 나는 허락하지 않았다. 바야흐로 절할 때, 신상이 일어나, 당 위에서 허리를 굽혔고, 또 사람을 보내 나를 불러 위로 올라오게 하여, 오랫동안 귓속말을 하였다. 원진은 속으로 생각하기를, 신 또한 세속에서 관각을 대하는 것과 같이, 이에 이와 같이 특별한 예의를 보이는 것인가? 하였다. 이미 문을 나서자, 한쪽 귀가 떨어진 말을 보고, 깨어나서 나에게 이야기하였지만, 진실로 알 수 없었다. 며칠 지나지 않아, 원진은 협주 판관(判官)에 제수되었다. 이윽고 나 또한 이릉현의 현령으로 좌천되었다. 날마다 원진과 함께 지내면서, 이전의 꿈을 다시 기억하지 못하였다. 어느 날 원진과 함께 협곡을 거슬러 올라가 황우묘에 참배하니, 문에 들어서자 망연하니, 모두 꿈에서 보았던 것이었다. 내가 현령이 되었으니, 진실로 원진보다 아래에 서 있었고, 문 밖에 돌을 새겨 만든 말이 있었는데, 한쪽 귀가 떨어져 있었다. 서로 마주보고 크게 놀라, 이에 시를 사당 안에 남겼는데, ‘돌로 만든 말이 사당 문에 매여 있다(石馬繫祠門)’라는 구절이 있으니, 대개 그 일을 사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원풍(元豐) 5년, 내가 황주(黃州)에 귀양살이하고 있을 때, 의도현(宜都縣)의 현령 주군(朱君) 사선(嗣先)이 나를 찾아와, 협곡의 산수에 대해 이야기하다가, 우연히 이 일에 대해 언급하였다. 주군이 그 일과 시를 써 달라고 청하여, 마땅히 사당에 돌에 새겨, 사람들로 하여금 나아가고 물러나는 곳이, 모두 사람의 힘이 아님을 알게 하려 하였다. 돌로 만든 말의 한쪽 귀가 떨어진 것이, 어찌 공적인 일과 관계가 있겠는가, 그런데 또한 미리 정해진 것이니, 하물며 그 큰 것이겠는가. 공이 이미 신에게 예우를 받았지만, 오히려 그것을 음사(淫祀)라고 하였으니, 그 곧은 기운이 아첨하지 않음이 이와 같음을 보여준다. 그 말이 의미가 있음을 느껴, 이에 기록한다. 정월 2일, 미산(眉山) 소식 기록.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구양수가 겪은 신비한 꿈과 현실의 일치가 중심 내용입니다. 꿈과 현실의 연결을 통해 인간의 운명과 신의 섭리에 대한 생각을 제시하며, 구양수의 강직한 성품을 칭송하고 있습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구양수의 꿈: 구양수는 과거에 정원진과 함께 배를 타고 사당에 들어가 절하는 꿈을 꾸었는데, 꿈속에서 신이 자신에게 특별한 예우를 베풀고, 사당 문 앞에는 한쪽 귀가 떨어진 말이 있었습니다.
  • 꿈의 현실화: 훗날 구양수와 정원진은 각각 이릉현의 현령과 판관으로 부임하게 되었고, 황우묘에 방문했을 때 꿈에서 보았던 모든 것을 현실에서 목격하게 됩니다. 이는 꿈과 현실이 일치하는 신비한 경험을 보여줍니다.
  • 운명과 섭리: 꿈과 현실의 일치를 통해, 인간의 운명은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불러일으킵니다. 또한, 신의 섭리가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을 제기합니다.
  • 구양수의 강직함: 구양수는 신에게 예우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황우묘를 음사라고 여겼습니다. 이는 신의 권위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소신을 지키는 구양수의 강직한 성품을 보여줍니다.
  • 소식의 기록 의도: 소식은 주군의 요청을 받아 이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겼습니다. 이는 꿈과 현실의 일치를 통해 인간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운명의 힘을 보여주고, 구양수의 강직한 성품을 후세에 전하기 위함입니다.

이 글은 신비한 꿈과 현실의 일치를 통해 인간의 운명과 신의 섭리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또한, 구양수의 강직한 성품을 칭송하며, 외부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소신을 지키는 삶의 자세를 강조합니다. 소식은 이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포영승화후(書蒲永昇畫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포영승(蒲永昇)의 그림, 특히 물 그림에 대한 평가를 담고 있습니다. 과거의 물 그림 기법을 비판하고, 포영승의 독창적인 화풍을 극찬하며, 그의 그림이 지닌 생동감과 예술적 가치를 강조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예로부터 지금까지 물 그림은, 대부분 평평하고 멀리 보이는 잔물결로 그렸는데, 잘 그리는 자도 겨우 물결의 머리가 일어났다 내리앉는 것을 표현할 뿐이었다. 사람들로 하여금 손으로 만져 보게 하여, 움푹하고 볼록한 곳이 있다고 여겨, 지극히 묘하다고 여겼다. 그러나 그 품격은, 다만 인쇄한 물 그림 종이와 더불어, 아주 작은 차이에서 잘 그리고 못 그림을 다툴 뿐이다. 당나라 광명(廣明) 연간에, 처사 손위(孫位)가 비로소 새로운 뜻을 내어, 거세게 흐르는 물과 큰 파도를 그리고, 산과 바위의 굽이진 모습과 함께, 사물의 형상에 따라 모습을 부여하여, 물의 변화를 다하여, 신묘하고 뛰어남으로 일컬어졌다. 그 후에 촉(蜀)나라 사람 황전(黃筌)과 손지미(孫知微)가, 모두 그 필법을 얻었다. 처음에 손지미가 대자사(大慈寺) 수녕원(壽寧院) 벽에 호숫가 물과 바위를 그린 네 폭의 그림을 그리려 계획하였으나, 여러 해가 지나도록 끝내 붓을 내리지 않았다. 어느 날 허둥지둥 절에 들어가, 붓과 먹을 매우 급하게 찾더니, 소매를 휘젓는 것이 바람과 같았고, 순식간에 완성하였다. 물이 바퀴처럼 쏟아지고 뛰어오르고 부딪히는 형세를 그려, 쏴 하는 소리가 집을 무너뜨릴 듯하였다. 손지미가 죽은 후, 그 필법이 50여 년 동안 끊어졌다. 근래 성도(成都) 사람 포영승이, 술을 즐기고 방탕하게 지내며, 성품이 그림과 맞아, 비로소 살아 있는 물을 그려, 두 손씨(손위, 손지미)의 본뜻을 얻었다. 황거채(黃居寀) 형제와 이회곤(李懷袞)의 무리들도, 모두 미치지 못한다. 왕공(王公)과 부자들이 혹 세력으로 그를 부리려 하면, 포영승은 문득 웃으며 버리고 갔다. 그가 그리고자 할 때를 만나면, 귀천을 가리지 않고, 잠깐 사이에 완성하였다. 일찍이 나와 함께 수녕원의 물 그림을 모사하여, 스물네 폭을 그렸는데, 매년 여름날 높은 집의 흰 벽에 걸어 놓으면, 곧 서늘한 바람이 사람을 덮치고, 털이 곤두섰다. 포영승이 지금 늙었으니, 그림 또한 얻기 어렵고, 세상에서 진정한 것을 아는 자 또한 적다. 예전의 동우(董羽)와, 근래의 상주(常州) 척씨(戚氏)가 그린 물 그림처럼, 세상에서 보물로 전하기도 한다. 동우와 척씨의 무리는, 가히 죽은 물이라고 할 만하니, 포영승과 같은 해에 나란히 이야기할 수 없다. 원풍 3년 12월 18일 밤, 황주 임고정(臨臯亭) 서쪽 서재에서 희롱 삼아 쓰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물 그림의 역사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포영승의 독창적인 화풍을 중심으로 논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정적인 물 그림 기법을 비판하고, 포영승의 그림이 지닌 역동성과 생동감을 극찬하며, 그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과거 물 그림의 한계: 과거의 물 그림은 잔물결을 평면적으로 묘사하는 데 그쳤으며, 입체감과 생동감이 부족했습니다. 아무리 잘 그린 그림이라도, 인쇄한 그림과 큰 차이가 없다고 비판합니다.
  • 손위와 손지미의 혁신: 당나라의 손위는 거센 물결과 파도를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물 그림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습니다. 손지미는 이러한 화풍을 계승하여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특히, 손지미가 수녕원 벽에 그린 그림은 매우 역동적이고 생동감이 넘쳤다고 묘사합니다.
  • 포영승의 독창성: 손지미 이후 끊어졌던 역동적인 물 그림 기법을 포영승이 다시 부활시켰습니다. 그는 술을 즐기고 자유분방한 성격이었지만, 그림에 있어서는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여, 살아 있는 듯한 물 그림을 그렸습니다. 그의 그림은 황거채 형제나 이회곤과 같은 당대의 유명한 화가들보다 뛰어났다고 평가합니다.
  • 포영승의 그림의 특징: 포영승의 그림은 보는 사람에게 마치 서늘한 바람이 부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생동감이 넘쳤습니다. 이는 그의 그림이 단순히 물의 형상만 묘사한 것이 아니라, 물의 기운과 움직임까지 표현했기 때문입니다.
  • 세상의 무지와 포영승의 가치: 당시 사람들은 포영승의 그림의 진정한 가치를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소식은 동우나 척씨와 같은 평범한 화가들의 그림을 보물로 여기는 세태를 비판하며, 포영승의 그림이야말로 진정으로 가치 있는 예술 작품이라고 강조합니다.

이 글은 포영승의 그림을 통해, 예술의 혁신과 독창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세상의 무지와 편견에 가려진 진정한 예술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이를 후세에 전하려는 소식의 노력을 보여줍니다. 포영승의 그림에 대한 소식의 극찬은, 그의 예술적 안목과 비평가로서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악의론후(書樂毅論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하후현(夏侯玄)이 쓴 악의(樂毅)와 장량(張良)에 대한 논평, 그리고 육형(肉刑)이 없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소식의 비판적인 시각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하후현과 그의 동료들의 허명(虛名)과 말로만 하는 철학을 비판하며, 실질적인 행동과 결과를 중시하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위씨춘추(魏氏春秋)에 이르기를, “하후현이 악의, 장량 및 본래 육형이 없어야 한다는 논설을 지었는데, 그 말의 뜻이 심오하고 멀리까지 미쳐, 세상에 전해진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내가 보건대, 연나라 군대가 제나라를 친 것은, 오히려 환공(桓公)과 문공(文公)의 거사에 미치지 못하는데, 탕왕(湯王)과 무왕(武王)에 거의 비견된다고 여기니, 어찌 지나치지 않겠는가? 처음에 하후현은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의 도덕에 관한 말을 좋아하여, 하안(何晏) 등과 함께 모두 높은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마침내 조상(曹爽)의 무리에 빠졌다. 하후현 또한 이풍(李豐)의 화를 면하지 못하였다. 하안은 하후현을 주역(周易)에서 말하는 ‘심오한 자’라고 여겼고, 하후현은 하안을 ‘신(神)’이라고 여겼다. 그들이 화를 만났을 때, 심오함과 신은 모두 어디에 있었는가? 여러 아이들이 함부로 이름을 지어, 서로를 묘사하니, 대개 이와 같으니, 천 년 동안의 웃음거리를 만들 만하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하후현의 논평과 그의 삶을 대비시키면서, 말과 행동의 불일치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허황된 명성과 철학보다는 실질적인 행동과 결과를 중시하는 소식의 가치관을 드러냅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하후현의 논평에 대한 비판: 하후현은 악의의 업적을 지나치게 과대평가했습니다. 악의가 제나라를 공격하여 큰 공을 세웠지만, 그 업적은 춘추시대의 패자(覇者)인 환공과 문공의 업적에 미치지 못하며, 더 나아가 은나라의 탕왕과 주나라의 무왕에 비견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소식은 지적합니다.
  • 하후현과 동료들의 허명: 하후현은 하안 등과 함께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좋아하며 높은 명성을 얻었지만, 현실 정치에서는 조상과 함께 몰락하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합니다. 그들이 서로를 ‘심오하다’, ‘신과 같다’라고 칭찬했지만, 정작 위기가 닥쳤을 때 그러한 철학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 말과 행동의 불일치 비판: 소식은 하후현과 그의 동료들이 말로는 심오한 철학을 논했지만, 실제 행동에서는 무능하고 현실적인 문제에 대처하지 못했다고 비판합니다. 그들의 허황된 명성과 현실적인 실패를 대비시켜,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사람들을 경계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 실질적인 가치 중시: 소식은 허황된 명성이나 말잔치보다는 실질적인 행동과 결과를 중시합니다. 하후현과 그의 동료들의 사례를 통해, 현실적인 문제에 대처하지 못하는 철학은 무의미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역사적 교훈: 소식은 하후현의 사례를 통해, 후세 사람들이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하후현과 같은 과오를 반복하지 않도록, 말보다는 행동으로 보여주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글은 하후현의 사례를 통해, 허명과 실질의 차이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말로만 하는 철학보다는 행동으로 실천하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역사를 통해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소식의 생각을 잘 드러내는 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시 지식인 사회의 허례허식과 공허한 담론을 비판하는 소식의 날카로운 시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한위공황주시후(書韓魏公黃州詩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한기(韓琦, 시호는 위(魏))가 황주(黃州)에 대해 쓴 시에 대한 감상을 적은 글로, 황주의 풍토와 인심을 칭찬하고, 왕안석(王安石)과 한기 두 명의 현인이 황주에 남긴 영향을 기리고 있습니다. 또한, 자신 또한 황주에 머물게 된 인연을 언급하며, 황주 사람들과 함께 한기의 시를 기리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황주의 산수는 맑고 멀리 있으며, 토지는 풍요롭고 인심은 후하고 어질다. 그 백성들은 바라는 것이 적고 다투지 않으며, 그 선비들은 조용하고 글을 숭상하며, 순박하되 누추하지 않다. 비록 마을의 작은 백성이라도, 어질고 현명한 이를 존경하고 사랑할 줄 알아, 말하기를, “우리 주는 비록 멀고 작지만, 왕원지(王元之, 왕안석)와 한위공(韓魏公, 한기)이 일찍이 머무른 곳이다.”라고 하여 사방의 사람들에게 자랑한다. 원지는 황주에서 기주(蘄州)로 옮겨 갔다가, 기주에서 죽었으나, 세상에서 원지를 칭송하는 자는, 반드시 황주라고 말하며, 황주 사람 또한 “우리 원지이다.”라고 말한다. 위공이 황주를 떠난 지 40여 년이 되었지만, 그를 생각하기를 잊지 않아, 마침내 시를 지었다. 무릇 현명한 군자는, 하늘이 이 백성에게 남겨 준 바이고, 천하가 함께 가진 바인데, 황주 사람들이 홀로 사적으로 은총으로 여기니, 어찌 그 덕을 존경하고 도를 즐기는 것이, 다른 지방과 유독 다르기 때문이겠는가? 혹은 두 공이 이 주의 사람들과, 예로부터의 인연이 있어, 알 수 없는 것이겠는가? 원지가 군수로 있을 때, 백성에게 덕을 베풀었으니, 백성이 그를 그리워하며 잊지 않는 것은, 진실로 마땅하다. 위공은 집안의 어려움으로 인해, 그의 형을 따라 머물렀을 뿐인데, 백성이 어찌 그를 알았겠는가?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훌륭한 군자가 있어, 금과 같고 놋과 같으며, 옥홀과 같고 옥벽과 같다.”라고 하였으니, 금과 놋, 옥홀과 옥벽이 있는 곳에는, 기와와 돌, 풀과 나무도 그 광택을 입으니, 어찌 반드시 쓰임에 베풀어야 하겠는가? 봉의랑(奉議郎) 손분(孫賁) 공소(公素)는, 황주 사람인데, 위공의 집에 객으로 있었다. 위공이 그를 깊이 알았으니, 대개 이른바 글을 가르치고 기록하는 사람이다. 나 또한 위공의 문인인데, 황주에 귀양살이한 지 5년이 되어, 동쪽 언덕을 다스리고, 설당(雪堂)을 지었으니, 대개 장차 늙을 곳이니, 또한 황주 사람이다. 이에 서로 함께 위공의 시를 모사하여 돌에 새겨, 황주 사람들의 끝없는 그리움으로 삼는다. 우리 두 사람 또한, 아마도 이것에 의탁하여 잊혀지지 않기를 바라겠는가? 원풍 7년 10월 26일, 여주(汝州) 단련부사(團練副使) 소식 기록.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황주라는 지역이 두 명의 뛰어난 인물, 왕안석과 한기와 맺은 인연을 통해 그 가치를 더욱 빛내고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또한, 자신 또한 황주에 머물게 된 인연을 언급하며, 지역 사회와 역사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황주의 풍토와 인심: 황주는 산수가 아름답고 토지가 비옥하며, 인심이 후덕한 곳으로 묘사됩니다. 백성들은 순박하고 현인을 존경할 줄 아는 덕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 왕안석과 한기의 영향: 왕안석과 한기는 황주에 머무르면서 지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한기는 황주를 떠난 후에도 시를 통해 황주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했습니다. 황주 사람들은 이 두 사람을 자신들의 자랑으로 여깁니다.
  • 덕의 영향력: 한기가 직접 백성들에게 큰 은혜를 베풀지는 않았지만, 그의 고결한 인품은 황주 땅에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는 덕이라는 것이 직접적인 행위를 넘어, 그 존재 자체만으로도 주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시경의 구절을 인용하여 이러한 점을 강조합니다.
  • 소식과 황주의 인연: 소식 자신 또한 황주에 귀양살이하면서 동파를 개간하고 설당을 짓는 등, 황주와 깊은 인연을 맺게 됩니다. 그는 손분과 함께 한기의 시를 돌에 새겨 기리는 일을 통해, 자신 또한 황주의 역사에 함께하게 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역사적 기록의 의미: 소식은 이 글을 통해, 한기의 시와 황주 사람들의 이야기를 후대에 전하고자 합니다. 또한, 자신과 손분을 포함한 세 사람이 황주와 맺은 인연을 기록함으로써, 역사의 흐름 속에서 인간의 삶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주고자 합니다.

이 글은 한기의 시를 매개로 하여, 황주라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을 보여줍니다. 특히, 덕의 영향력과 역사적 기록의 의미를 강조하며,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인간의 삶의 의미를 되새기게 합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이백시산장도후(書李伯時山莊圖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이백시(李伯時)가 그린 산장도(山莊圖)에 대한 감상을 담고 있습니다. 그림의 뛰어난 묘사력으로 인해 마치 실제 산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것에 대해, 단순한 기억력이 아닌 화가의 정신과 자연의 교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용면거사(龍眠居士, 이백시)가 산장도를 그려, 후에 산에 들어가는 사람들로 하여금 발길 닿는 대로 다니게 하여, 스스로 길을 얻게 하니, 마치 꿈에서 본 것을 보는 것 같고, 전생을 깨닫는 것 같아, 산속의 샘과 돌, 풀과 나무를 보면, 묻지 않아도 그 이름을 알고, 산속의 어부와 나무꾼, 은둔한 사람을 만나면, 이름을 말하지 않아도 그 사람을 알아보니, 어찌 억지로 기억하여 잊지 않는 사람이겠는가?”라고 하였다. 내가 말하기를, “그렇지 않다. 해를 그리는 사람은 항상 떡을 의심하니, 해를 잊은 것이 아니다. 술 취한 중에 코로 마시지 않고, 꿈속에서 발가락으로 잡지 않으니, 천기(天機)가 합쳐진 바로, 억지로 하지 않아도 스스로 기억하는 것이다. 거사가 산에 있을 때, 한 가지 사물에 머무르지 않았으므로, 그 정신이 만물과 교류하고, 그 지혜가 모든 장인과 통하였다. 비록 그렇지만, 도(道)와 예(藝)가 있으니, 도는 있으나 예가 없으면, 사물이 비록 마음에 형상화되더라도, 손에 형상화되지 않는다. 내가 일찍이 거사가 화엄상(華嚴相)을 그리는 것을 보니, 모두 뜻으로 지어냈지만, 부처와 합치되었다. 부처와 보살이 말하고, 거사가 그리니, 마치 한 사람에게서 나온 것 같으니, 하물며 스스로 본 것을 그린 것이겠는가?”라고 하였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이백시의 산장도가 단순한 사실 묘사를 넘어, 자연의 본질을 담아내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는 화가의 뛰어난 관찰력과 더불어,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얻어진 영감의 결과라고 설명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산장도의 뛰어난 묘사력: 이백시의 산장도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마치 실제 산에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사물의 외형을 모방한 것이 아니라, 그 본질까지 담아냈기 때문입니다.
  • 기억력의 한계: 단순히 억지로 기억하는 것만으로는 이처럼 생생한 그림을 그릴 수 없습니다. 소식은 해를 그리는 사람이 떡을 의심하는 것에 비유하며, 기억만으로는 사물의 본질을 포착할 수 없음을 지적합니다.
  • 천기의 합치: 이백시의 그림은 화가의 정신과 자연의 기운이 서로 교감하여 이루어진 결과입니다. 술에 취했을 때 코로 마시지 않고, 꿈속에서 발가락으로 잡지 않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이치에 따라 이루어진 것입니다.
  • 도와 예의 조화: 뛰어난 예술 작품은 도(道)와 예(藝)가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도는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이고, 예는 이를 표현하는 기술입니다. 이백시는 뛰어난 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그림은 단순히 묘사에 그치지 않고, 사물의 본질을 담아낼 수 있었습니다.
  • 화엄상과의 비교: 소식은 이백시가 그린 화엄상을 예로 들어, 그의 뛰어난 예술적 경지를 더욱 강조합니다. 이백시는 부처를 직접 본 적이 없지만, 뜻으로 화엄상을 창조해냈는데, 마치 부처의 말씀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했습니다. 이는 이백시의 뛰어난 통찰력과 표현력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입니다.

이 글은 이백시의 산장도를 통해, 예술 작품이 단순한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예술가의 정신과 자연의 교감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또한, 도(道)와 예(藝)의 조화가 예술의 본질임을 보여줍니다. 소식은 이백시의 그림에 대한 감상을 통해, 예술의 깊은 의미를 되새기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서당씨육가서후(書唐氏六家書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당나라의 여섯 명의 서예가, 즉 지영(智永), 구양순(歐陽詢), 저수량(褚遂良), 장욱(張旭), 안진경(顏真卿), 유공권(柳公權)의 서체를 평론한 글입니다. 각 서체의 특징을 분석하고, 서예가의 인품과 서체의 연관성을 논하며, 당대 서예에 대한 소식의 깊이 있는 안목을 보여줍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영선사(永禪師, 지영)의 글씨는, 골기(骨氣)가 깊고 안정되어, 여러 묘함을 겸비하였고, 정교함의 지극함에 이르러, 도리어 소략하고 담담함을 이루었다. 마치 도연명(陶淵明)의 시를 보는 것과 같으니, 처음에는 흩어져 느슨하여 거두어들이지 않는 듯하지만, 반복하여 읽으면, 이에 그 기이한 흥취를 알게 된다. 지금 법첩(法帖) 중에 “승려 지영이 쓰지 않음(不具釋智永白)”이라고 한 것이 있는데, 잘못 왕희지(王羲之)의 부류 속에 실려 있으나, 또한 선사의 글씨가 아니다. “삼가 대신 아룁니다(謹此代申)”라고 한 것은, 이는 당나라 말 오대(五代)의 유행하는 속된 말일 뿐이고, 글씨 또한 공교롭지 못하다. 구양솔경(歐陽率更, 구양순)의 글씨는, 아름답고 굳세어 무리 중에서 뛰어나고, 특히 작은 해서(楷書)에 공교로웠는데, 고려(高麗)에서 사신을 보내 그 글씨를 사들이려 하자, 고조(高祖)가 탄식하며 말하기를, “저들이 그 글씨를 보고, 키가 크고 뛰어나게 훌륭한 사람이라고 여길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글씨를 아는 사람이 아니다. 무릇 글씨는 그 사람됨을 형상한다. 솔경의 용모는 차갑고 초췌하였지만, 민첩하고 깨달음이 남달랐으니, 지금 그 글씨를 보니, 굳세고 험준하며 날카로운 것이, 바로 그 용모와 부합한다. 저수량의 글씨는, 맑고 멀며 소탈하고 흩어져, 약간 예서(隸書)의 체를 섞었다. 옛날의 글씨를 논하는 자는, 그 평생을 함께 논하였으니, 진실로 그 사람이 아니면, 비록 공교롭더라도 귀하게 여기지 않았다. 저수량은 진실로 충신이지만, 다만 유기(劉洎)를 모함하여 죽인 일이 있어, 사람들로 하여금 불만스럽게 한다. 그러나 내가 일찍이 그 사실을 살펴보니, 아마 유기가 말년에 편협하고 분하여, 진실로 이윤(伊尹)과 곽광(霍光)과 같은 말을 하였으니, 모함이 아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마주(馬周)가 그러한 말이 없음을 밝혔는데, 태종(太宗)이 홀로 유기를 죽이고 마주를 묻지 않았겠는가? 이는 아마 측천무후(則天武后) 때 허경종(許敬宗)과 이의부(李義府)가 무고한 것이고, 사관(史官)이 분별하지 못한 것이다. 장장사(張長史, 장욱)의 초서(草書)는, 허물어져 자연에 맡긴 듯하여, 대략 점과 획을 그린 곳이 있지만, 뜻과 태도는 스스로 충족하니, 신묘하고 뛰어남으로 일컬어진다. 지금 세상에서 초서를 잘 쓴다고 하는 자는, 혹은 진서(眞書)와 행서(行書)를 쓰지 못하니, 이는 크게 잘못된 것이다. 진서에서 행서가 생기고, 행서에서 초서가 생기니, 진서는 서 있는 것과 같고, 행서는 걷는 것과 같고, 초서는 달리는 것과 같으니, 서 있지도 걷지도 못하면서 달릴 수 있는 자는 있지 않다. 지금 장안(長安)에는 오히려 장사의 진서인 낭관석주기(郎官石柱記)가 있는데, 글씨를 간략하고 멀리하여, 마치 진(晉)나라와 송(宋)나라 사이의 사람과 같다. 안노공(顏魯公, 안진경)의 글씨는 웅장하고 뛰어나 홀로 뛰어나, 옛 법을 일변하였으니, 마치 두보(杜甫)의 시와 같아, 격조와 힘이 하늘에서 내려준 듯하여, 한나라, 위나라, 진나라, 송나라 이래의 풍류를 모두 갖추었으니, 후대의 작자가, 거의 다시 손을 댈 수 없다. 유소사(柳少師, 유공권)의 글씨는, 본래 안진경에게서 나왔지만, 능히 스스로 새로운 뜻을 내었으니, 한 글자가 백금이라는 것은, 헛된 말이 아니다. 그 마음이 바르면 붓이 바르다는 말은, 단지 풍간(諷諫)만이 아니라, 이치가 진실로 그러하다. 세상의 소인(小人)은, 글씨가 비록 공교롭더라도, 그 신정과 표정에는 마침내 두려워하고 아첨하는 태도가 있으니, 사람의 감정이 생각에 따라 나타나는 것을 알지 못하니, 마치 한유(韓愈)가 말한 ‘도끼를 훔친 자’와 같은가, 혹은 정말 그러한가? 그러나 사람으로 하여금 그 글씨를 보고 오히려 미워하게 한다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내가 황주에 귀양살이하고 있을 때, 당임부(唐林夫)가 호구(湖口)에서 글씨를 보내 나에게 주며, 말하기를, “우리 집에 이 여섯 사람의 글씨가 있으니, 그대가 나를 위해 간략하게 평론하고, 그 뒤에 쓰시오.”라고 하였다. 임부의 글씨는, 나보다 훨씬 뛰어난데, 도리어 나에게 구하니, 어찌 그러한가? 이는 또한 알 수 없는 일이다. 원풍 4년 5월 11일, 미산 소식 기록.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여섯 명의 서예가의 서체를 분석하면서, 서체의 특징뿐만 아니라 서예가의 인품과 시대적 배경까지 함께 고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씨는 그 사람됨을 반영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서예를 통해 인간의 내면을 통찰하는 소식의 깊은 안목을 보여줍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영: 담담하고 소략한 서체로, 도연명의 시와 비견됩니다.
  • 구양순: 아름답고 굳센 서체로, 그의 강직한 성품을 반영합니다.
  • 저수량: 맑고 소탈한 서체로, 그의 충성심과 함께 유기 사건에 대한 논쟁적인 면모를 언급합니다. 소식은 유기 사건에 대한 기존의 역사적 평가에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해석을 제시합니다.
  • 장욱: 자유분방하고 신묘한 초서로, 그의 천재적인 재능을 드러냅니다. 소식은 초서의 근본은 진서와 행서에 있음을 강조하며, 기본을 무시한 초서는 잘못된 것임을 지적합니다.
  • 안진경: 웅장하고 뛰어난 서체로, 그의 고고한 인품과 당당한 기개를 나타냅니다.
  • 유공권: 안진경의 서체를 계승하면서도 독자적인 경지를 개척한 서예가로, 그의 뛰어난 실력을 칭찬합니다. 또한, 마음이 바르면 붓이 바르다는 그의 말을 인용하여, 인품과 서체의 연관성을 강조합니다.
  • 서체와 인품의 연관성: 소식은 글씨는 그 사람됨을 반영한다고 강조합니다. 소인의 글씨는 아무리 공교롭더라도 그 안에 아첨하는 태도가 드러난다고 지적합니다.
  • 당임부의 요청에 대한 의문: 소식은 자신보다 훨씬 뛰어난 당임부가 자신에게 서평을 부탁한 것에 대해 의아해합니다. 이는 겸손한 태도를 드러내는 동시에, 이 글을 쓰게 된 경위를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이 글은 서예에 대한 소식의 깊이 있는 지식과 안목을 보여주는 동시에, 인간의 내면과 예술의 관계에 대한 통찰을 제시합니다. 특히, 글씨는 그 사람됨을 반영한다는 주장을 통해, 예술 감상이 단순히 기술적인 평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이해로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전수후(書篆髓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정순방(鄭惇方)의 저서 "전수(篆髓)"에 대한 서평으로, 고대의 문자 해석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정순방의 학문적 태도를 칭찬하며, 자신의 학문적 견해를 밝히고 있습니다. 특히, 한 글자에 하나의 의미만 부여하려는 학문적 경향을 비판하며, 문맥과 상황에 따른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형양(滎陽) 사람 정순방(鄭惇方)은, 자가 희도(希道)인데, "전수(篆髓)" 6권과 "자의(字義)" 1편을 지었다. 무릇 고금의 자설(字說)에, 반고(班固), 양웅(揚雄), 가의(賈誼), 허신(許愼), 이양빙(李陽冰)과 서개(徐鍇), 서선(徐鉉)의 학문 중, 정수한 것은 모두 그 안에 있다. 간혹 미진한 것이 있으면, 새로운 뜻을 덧붙였으나, 모두 고증한 바가 있으며, 본래 제멋대로 단정하여 억지 주장을 펴지 않았고, 의심스러운 것은 대개 비워 두었다. 무릇 학술의 사악함과 바름은, 그 사람됨을 본다. 정 군은 신실하고 후덕한 군자이니, 그 말을 마땅히 믿을 만하다. 나는 일찍이 학자의 설문에 대한 견해를 논하기를, 의학에 본초경(本草經)이 있는 것과 같다고 하였으니, 비록 초목과 금석이 각각 본성이 있으나, 의자가 그것을 사용함에, 배합하는 것이 다르면, 차고 따뜻함, 보하고 사하는 효능이, 쓰임에 따라 각각 다르다. 그러나 한나라 이래로, 학자들이 대부분 한 글자로 경전을 고찰하여, 글자는 같으나 의미가 다른 것을, 모두 하나로 하려 하니, 조각하고 그리고 채색함에, 반드시 그 주장을 이루려 한다. 이 때문에 육경(六經)이 다른 설을 이기지 못하고, 학자들이 의심한다. 공자(孔子)가 말씀하시기를, “무릇 들음이라는 것은, 얼굴빛은 인(仁)을 취하나 행동은 어기면, (그렇게) 살면서 의심하지 않는다.”라고 하였으니, 들음은 소인(小人)이 하는 것이다. 그런데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진실로 군자로다, 펼치니 크게 이루도다. 그 사람이 (전쟁에) 나아가니, 들음은 있으나 소리는 없도다.”라고 하였으니, 들음은 군자가 하는 것이다. 또 이르기를, “군자는 두루 사귀되 편당하지 않는다(君子周而不比).”라고 하였으니, 비(比)는 악한 것이다. 그런데 주역(周易)에 이르기를, “땅 위에 물이 있으니, 비(比)로써 만국을 세우고, 제후를 친목하게 한다.”라고 하였으니, 비는 선한 것이다. 유자(有子)가 말하기를, “화(和)를 알고 화하되, 예(禮)로써 절제하지 않으면, 또한 행할 수 없다.”라고 하였으니, 이른바 화라는 것은, 같음일 뿐이다. 그런데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군자는 화하되 같지 않다(君子和而不同).”라고 하셨으니, 이와 같은 것이 많다. 상례(喪禮)는 빨리 가난해지기를 바라고, 죽음은 빨리 썩기를 바라니, 여덟 글자로 글을 이루려 하지만, 오히려 불가하다. 하나는 말에 각각 마땅함이 있기 때문이니, 하물며 한 글자로 하나로 하려 하겠는가? 나는 정 군의 학문이 간략하면서도 통달함을 사랑하므로, 사적으로 그 뒤에 덧붙인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문자 해석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융통성 있는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정순방의 학문적 태도를 칭찬하며, 자신의 학문적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대 문자 해석의 문제점: 한나라 이후의 학자들이 한 글자에 하나의 고정된 의미만을 부여하려 했기 때문에, 경전의 해석에 많은 오류와 혼란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의사가 약재의 효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함부로 사용하는 것과 같습니다.
  • 정순방의 학문적 태도: 정순방은 고대의 자설을 폭넓게 연구하면서도, 억지 주장을 펴지 않고, 의심스러운 부분은 비워 두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소식은 이러한 정순방의 학문적 태도를 높이 평가합니다.
  • 문맥과 상황에 따른 해석의 중요성: 소식은 공자의 말과 시경, 주역의 구절을 인용하여, 같은 글자라도 문맥과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한 글자에 하나의 의미만 고집하는 것은 잘못된 해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융통성 있는 해석의 필요성: 소식은 모든 사물과 현상에는 각각의 마땅함이 있기 때문에, 한 가지 원칙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합니다. 문자 해석 역시 융통성을 발휘하여, 다양한 의미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정순방의 저서에 대한 지지: 소식은 정순방의 "전수"가 간략하면서도 핵심을 꿰뚫는 학문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하며, 자신의 서평을 통해 그의 저서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문자 해석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융통성 있는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소식의 학문적 견해를 잘 보여줍니다. 또한, 정순방의 학문적 태도를 칭찬하며, 올바른 학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서오도자화후(書吳道子畫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당나라의 화가 오도자(吳道子)의 그림에 대한 극찬을 담고 있습니다. 오도자의 뛰어난 그림 솜씨를 역대 최고의 예술가들과 비견하며, 그의 그림이 지닌 독창성과 예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지혜로운 자는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 능한 자는 (그것을) 계승하니, 한 사람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군자의 학문에 있어서나, 모든 장인의 기술에 있어서, 삼대(三代)를 거쳐 한(漢)나라를 지나 당(唐)나라에 이르러 완비되었다. 그러므로 시는 두자미(杜子美, 두보)에 이르렀고, 문장은 한퇴지(韓退之, 한유)에 이르렀고, 글씨는 안노공(顏魯公, 안진경)에 이르렀고, 그림은 오도자에 이르러, 고금의 변화와 천하의 뛰어난 일이 끝났다. 오도자가 인물을 그리는 것은, 마치 등불로 그림자를 취하는 것과 같아, (붓이) 거슬러 오고 순하게 가는 것, 곁에서 보고 옆에서 나오는 것, 가로와 비스듬함, 평평함과 곧음이, 각각 서로 곱하고 나누어져, 자연의 이치를 얻어, 털끝만큼의 차이도 없이, 법도 안에서 새로운 뜻을 내고, 호방함 밖에서 묘한 이치를 부치니, 이른바 칼날을 여유 있는 곳에서 놀리고, 도끼를 휘두르니 바람이 이는 것과 같으니, 대개 고금을 통틀어 한 사람일 뿐이다. 나는 다른 그림에 대해서는, 혹은 반드시 그 그린 사람의 이름을 알지 못하지만, 오도자에 이르러서는, 바라만 보아도 그 진위를 안다. 그러나 세상에 진품이 드무니, 사전숙(史全叔)이 소장한 것과 같이, 평생에 대개 한두 번 볼 뿐이다. 원풍 8년 11월 7일 쓰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오도자의 그림을 역대 최고의 예술가들과 나란히 놓으며, 그의 독보적인 위치를 강조합니다. 특히, 그의 그림이 지닌 뛰어난 묘사력과 창의성을 극찬하며, 그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예술 발전의 역사적 맥락: 예술은 한 사람의 천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여러 사람의 노력을 통해 발전해 온 결과입니다. 소식은 시, 문장, 서예, 그림의 역사를 간략하게 언급하며, 각 분야의 최고봉에 오른 인물들을 소개합니다.
  • 오도자의 독보적인 위치: 오도자는 그림 분야에서 두보, 한유, 안진경과 같은 반열에 오르는, 즉 각 분야의 정점에 선 인물로 평가됩니다. 그의 그림은 이전의 화가들과는 차원이 다른 독창성과 예술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 오도자 그림의 특징: 오도자의 그림은 마치 등불로 그림자를 비추는 것처럼, 사물의 형태를 정확하게 포착합니다. 또한, 붓의 움직임이 자유자재로, 마치 칼날이 여유 있는 곳에서 놀고, 도끼를 휘두르니 바람이 이는 것과 같다고 표현합니다. 이는 그의 그림이 지닌 뛰어난 묘사력과 생동감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법도와 창의성의 조화: 오도자의 그림은 전통적인 화법의 틀 안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냅니다. 또한, 호방한 필치 속에는 심오한 이치가 담겨 있습니다. 이는 그의 그림이 형식과 내용, 기술과 정신의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진품의 희소성: 오도자의 진품은 매우 희귀하여, 소식조차도 평생에 몇 번 보지 못했다고 합니다. 이는 그의 그림이 얼마나 귀하고 가치 있는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당시 사람들이 그의 그림을 얼마나 숭상했는지를 짐작하게 합니다.

이 글은 오도자의 그림에 대한 소식의 깊은 감탄과 존경을 보여줍니다. 그의 그림을 통해 예술의 정점과 그 가치를 논하며, 후대에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주상선화후(書朱象先畫後)"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글은 주상선(朱象先)이라는 화가의 그림에 대한 감상을 적은 글로, 그의 고결한 인품과 세속적인 명리에 초연한 태도를 칭찬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자신의 뜻을 펼치는 수단으로 여기는 그의 예술관을 높이 평가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송릉(松陵) 사람 주 군 상선(朱象先)은, 글을 잘하지만 과거에 응시하려 하지 않고, 그림을 잘 그리지만 팔려고 하지 않는다. 말하기를, “글은 나의 마음을 전달하기 위함이고, 그림은 나의 뜻을 즐겁게 하기 위함일 뿐이다.”라고 한다. 옛날 염립본(閻立本)은 처음 문학으로 출세하였으나, 마침내 화가의 치욕을 입었다. 어떤 사람은 이로써 주 군의 병통이라고 여기지만, 나는 그렇지 않다고 여긴다. 사안석(謝安石)이 왕자경(王子敬)에게 태극전(太極殿)의 현판 글씨를 쓰게 하려 하자, 위중장(韋仲將)의 일을 들어 풍자하였다. 왕자경이 말하기를, “중장은, 위나라의 대신인데, 이치가 반드시 그러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위나라의 덕이 오래가지 못할 것임을 알 수 있다.”라고 하였다. 만약 염립본이 왕자경과 같은 높은 뜻을 가졌다면, 그 누가 감히 화가로 그를 부리겠는가. 완천리(阮千里)는 거문고를 잘 타는데, 귀하고 천함, 나이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모두를 위해 연주하니, 신기가 충화(沖和)하여, 다른 사람이 있는 곳을 알지 못한다. 내 외삼촌 반악(潘岳)이 연주하게 하였는데, 종일토록 밤이 되도록 싫어하는 기색이 없었으니, 식견 있는 자는 그가 영욕에 초연함을 알았다. 만약 염립본이 완천리와 같은 달관함을 가졌다면, 그 누가 능히 화가로 그를 욕보이겠는가. 지금 주 군은 세상에 구하는 것이 없으니, 비록 왕공 귀인이라도, 어떤 방법으로 그를 부리겠는가, 그가 옷을 벗고 편안히 앉아 있는 것을 만나면, 나 또한 그 옆에서 함부로 구경할 수 있다. 원우 5년 9월 18일, 동파 거사 쓰다.

분석 및 설명:

이 글은 주상선의 예술관과 인품을 통해, 예술의 진정한 가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세속적인 명리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예술을 대하는 그의 태도를 높이 평가합니다.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상선의 예술관: 주상선은 글과 그림을 통해 자신의 마음과 뜻을 표현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그는 세속적인 명예나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내면을 충실히 표현하는 데 집중합니다.
  • 염립본의 사례: 염립본은 뛰어난 화가였지만, 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화가로서의 지위를 낮게 평가받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소식은 이러한 염립본의 사례를 언급하며, 예술가의 지위가 사회적,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지적합니다.
  • 왕자경과 완천리의 사례: 왕자경은 높은 지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예술적 자존심을 지켰고, 완천리는 영욕에 초연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소식은 이 두 사람의 사례를 통해, 예술가가 세속적인 명리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예술적 가치를 지키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 주상선의 고결한 인품: 주상선은 세속적인 욕심이 없고,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대하는 겸손한 태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소식은 이러한 주상선의 인품을 높이 평가하며, 그와 편안하게 교류할 수 있음을 언급합니다.
  • 예술의 진정한 가치: 소식은 주상선의 사례를 통해, 예술의 진정한 가치는 세속적인 명예나 이익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예술가의 내면을 표현하고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는 데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 글은 주상선의 삶과 예술을 통해, 예술의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소식의 생각을 잘 보여줍니다. 세속적인 명리에 초연하고, 자신의 내면을 충실히 표현하는 예술가의 모습은, 오늘날에도 많은 예술가들에게 귀감이 될 만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