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번역

동파전집(東坡前集) 권11(卷十一) 시 72수

集賢堂 2024. 12. 21. 21:00
반응형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차운진태허견희이롱(次韻秦太虛見戲耳聾)"입니다. 진태허(秦太虛)가 소식의 귀가 잘 안 들리는 것을 희롱하는 시에 화답한 시입니다. ‘차운(次韻)’은 상대방의 시에 운자를 맞추어 화답하는 형식을 말합니다. 이 시에서 소식은 자신의 청력 감퇴를 담담하게 받아들이면서도, 세상의 시비와 번뇌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시인이 수레를 빌려도 실을 것이 없어, 단 한 푼 남겨둔들 어찌 의지하겠는가. 만년에는 더욱 두릉의 노인(杜甫)과 같으니, 오른팔은 비록 남아 있지만 귀가 먼저 먹었네. 사람들은 개미의 움직임을 소의 싸움으로 여기지만, 나는 바람과 우레가 참으로 한 번의 탄식임을 깨닫네. 세상의 티끌을 모두 쓸어내니 근본 성품이 공허해지니, 다시 맑은 물줄기를 베개 삼을 필요가 없네. 커다란 순박함이 처음 흩어지면서 혼돈을 잃으니, 여섯 가지 감각 기관이 서로 다투어 더욱 승패를 가리네. 눈은 어지럽게 꽃처럼 흩날리고 술은 바람을 일으키며, 입으로 짓는 업은 끊이지 않아 시의 빚이 있네. 그대는 오온(五蘊)이 모두 도둑임을 아는가, 인생의 한 가지 병을 이제야 겨우 낫게 되었네. 다만 이 마음이 끝내 끝나지 않을까 두려우니,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는 것 또한 장애가 되네. 지금 그대는 내가 일부러 귀머거리인 척한다고 의심하여, 일부러 조롱하는 시를 지어 험하고 괴이하게 하였네. 모름지기 이마가 가려워 세 개의 귀가 나올까 조심하고, 붓끝에서 비바람이 빠르게 휘몰아치게 하지 마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청력 감퇴에 대한 담담한 수용, 세상의 번뇌 초월, 시인으로서의 고뇌, 그리고 친구의 희롱에 대한 재치 있는 응답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2구: 가난한 시인의 처지와 청력 감퇴: 가난한 시인의 처지를 언급하며 자신의 청력 감퇴를 두보에 비유합니다.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시인이 수레를 빌려도 실을 것이 없어, 단 한 푼 남겨둔들 어찌 의지하겠는가(君不見詩人借車無可載,留得一錢何足賴)"라는 구절은 가난한 시인의 궁핍한 생활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만년에는 더욱 두릉의 노인(杜甫)과 같으니, 오른팔은 비록 남아 있지만 귀가 먼저 먹었네(晚年更似杜陵翁,右臂雖存耳先聵)"라는 구절은 자신의 만년의 모습이 두보와 비슷하다고 말하며, 오른팔은 멀쩡하지만 귀가 먼저 안 들리게 되었다고 표현합니다. 이는 자신의 청력 감퇴를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 3-4구: 세상의 번뇌 초월: 세상의 시비와 번뇌를 초월하고자 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사람들은 개미의 움직임을 소의 싸움으로 여기지만, 나는 바람과 우레가 참으로 한 번의 탄식임을 깨닫네(人將蟻動作牛鬬,我覺風雷真一噫)"라는 구절은 세상 사람들이 작은 일에 지나치게 의미를 부여하고 다투는 것을 비판하며, 자연의 웅장한 현상 앞에서는 모든 것이 하찮음을 깨달았다고 말합니다. "세상의 티끌을 모두 쓸어내니 근본 성품이 공허해지니, 다시 맑은 물줄기를 베개 삼을 필요가 없네(聞塵掃盡根性空,不須更枕清流派)"라는 구절은 세상의 번뇌를 모두 떨쳐내니 마음이 텅 비어 아무런 욕심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맑은 물줄기를 베개 삼는다'는 것은 은둔 생활을 의미하는데, 이제는 굳이 은둔할 필요조차 없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5-6구: 시인으로서의 고뇌: 시를 쓰는 행위에 대한 고뇌를 드러냅니다. "커다란 순박함이 처음 흩어지면서 혼돈을 잃으니, 여섯 가지 감각 기관이 서로 다투어 더욱 승패를 가리네(大朴初散失渾沌,六鑿相攘更勝敗)"라는 구절은 인간의 감각 기관이 발달하면서 순수한 본성을 잃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눈은 어지럽게 꽃처럼 흩날리고 술은 바람을 일으키며, 입으로 짓는 업은 끊이지 않아 시의 빚이 있네(眼花亂墜酒生風,口業不停詩有債)"라는 구절은 시를 쓰는 행위가 끊임없는 번뇌와 고통을 수반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7-10구: 친구의 희롱에 대한 재치 있는 응답: 친구가 자신을 놀리는 것에 대해 재치 있게 응수합니다. "그대는 오온(五蘊)이 모두 도둑임을 아는가, 인생의 한 가지 병을 이제야 겨우 낫게 되었네(君知五蘊皆是賊,人生一病今生差)"라는 구절은 불교 용어인 오온을 언급하며, 청력 감퇴가 오히려 번뇌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되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마음이 끝내 끝나지 않을까 두려우니,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는 것 또한 장애가 되네(但恐此心終未了,不見不聞還是礙)"라는 구절은 완전히 번뇌에서 벗어나지 못할까 하는 걱정을 드러내면서도, 역설적으로 청력 감퇴가 오히려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지금 그대는 내가 일부러 귀머거리인 척한다고 의심하여, 일부러 조롱하는 시를 지어 험하고 괴이하게 하였네(今君疑我特佯聾,故作嘲詩窮嶮怪)"라는 구절은 친구가 자신을 놀리는 것을 알고 있음을 직접적으로 언급합니다. "모름지기 이마가 가려워 세 개의 귀가 나올까 조심하고, 붓끝에서 비바람이 빠르게 휘몰아치게 하지 마오(須防額癢出三耳,莫放筆端風雨快)"라는 구절은 친구의 시를 재치 있게 비꼬면서, 앞으로는 너무 심하게 놀리지 말라는 뜻을 전합니다.

이 시는 청력 감퇴라는 개인적인 고통을 통해 인생의 의미와 번뇌의 초월에 대한 깊은 사색을 보여줍니다. 또한, 친구의 희롱에 재치 있게 응수하는 모습에서 소식의 유머 감각과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단오편유제사득선자(端午徧遊諸寺得禪字)"입니다. 단오절에 여러 절을 두루 다니며 '선(禪)' 자를 얻어 지은 시로, 유람의 즐거움과 깨달음, 그리고 고요한 밤의 정경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가마에 몸을 맡기고 가는 곳마다, 좋은 곳을 만나면 곧 머무르네. 향을 피워 그윽한 발걸음을 이끌고, 차를 마시며 고요한 자리를 여네. 가랑비는 그쳤다 다시 내리고, 작은 창은 더욱 그윽하고 아름답네. 분경(盆景)에는 해가 들지 않지만, 초목은 저절로 푸르네. 갑자기 가장 높은 탑에 오르니, 시야가 넓어져 온 세상을 다 보게 되네. 변산(卞山)은 성곽을 비추고, 진택(震澤)은 구름 낀 하늘에 떠 있네. 깊고 그윽함은 가히 기쁘고, 넓고 탁 트임 또한 마음에 드네. 그윽한 탐방은 아직 끝나지 않았는데, 마을에는 저녁 연기가 피어나네. 돌아와 지나온 곳을 기록하니, 마음이 밝아 잠 못 이루네. 도인(道人) 또한 잠들지 못하고, 외로운 등불 아래 함께 밤의 참선에 드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유람의 즐거움, 자연의 아름다움과 깨달음, 그리고 밤의 정경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4구: 유람의 시작과 주변 풍경: 유람을 시작하는 모습과 주변의 풍경을 묘사합니다. "가마에 몸을 맡기고 가는 곳마다, 좋은 곳을 만나면 곧 머무르네(肩輿任所適,遇勝輒留連)"라는 구절은 자유롭게 유람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향을 피워 그윽한 발걸음을 이끌고, 차를 마시며 고요한 자리를 여네(焚香引幽步,酌茗開靜筵)"라는 구절은 유람의 여유로운 분위기를 보여줍니다. "가랑비는 그쳤다 다시 내리고, 작은 창은 더욱 그윽하고 아름답네(微雨止還作,小窗幽更妍)"라는 구절은 비가 오락가락하는 가운데 창밖 풍경이 더욱 운치 있음을 나타냅니다. "분경(盆景)에는 해가 들지 않지만, 초목은 저절로 푸르네(盆山不見日,草木自蒼然)"라는 구절은 인공적인 분경에서도 자연의 생명력이 느껴짐을 보여줍니다.
  • 5-8구: 높은 탑에서의 깨달음과 광활한 풍경: 높은 탑에 올라 세상을 내려다보며 깨달음을 얻고, 광활한 풍경을 감상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갑자기 가장 높은 탑에 오르니, 시야가 넓어져 온 세상을 다 보게 되네(忽登最高塔,眼界窮大千)"라는 구절은 높은 곳에 올라 세상을 넓게 바라보는 경험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온 세상(大千)'은 불교 용어로, 넓은 세계를 의미합니다. "변산(卞山)은 성곽을 비추고, 진택(震澤)은 구름 낀 하늘에 떠 있네(卞峰照城郭,震澤浮雲天)"라는 구절은 멀리 보이는 산과 호수의 풍경을 묘사하며, 시야가 얼마나 넓어졌는지를 보여줍니다. "깊고 그윽함은 가히 기쁘고, 넓고 탁 트임 또한 마음에 드네(深沉既可喜,曠蕩亦所便)"라는 구절은 깊고 그윽한 풍경과 넓고 탁 트인 풍경 모두 화자의 마음에 들었음을 나타냅니다.
  • 9-12구: 유람의 마무리와 밤의 정경: 유람을 마치고 돌아와 밤에 잠 못 이루는 모습과 도인과 함께 참선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그윽한 탐방은 아직 끝나지 않았는데, 마을에는 저녁 연기가 피어나네(幽尋未云畢,墟落生晚煙)"라는 구절은 유람이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저녁이 되어 마을에 연기가 피어오르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돌아와 지나온 곳을 기록하니, 마음이 밝아 잠 못 이루네(歸來記所歷,耿耿清不眠)"라는 구절은 유람의 감흥이 남아 잠 못 이루는 밤을 나타냅니다. "도인(道人) 또한 잠들지 못하고, 외로운 등불 아래 함께 밤의 참선에 드네(道人亦未寢,孤燈同夜禪)"라는 구절은 도인과 함께 밤에 참선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시의 주제인 '선(禪)'을 강조합니다.

이 시는 유람을 통해 얻은 깨달음과 감흥, 그리고 밤의 고요한 정경을 아름답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특히, 높은 탑에 올라 세상을 내려다보며 깨달음을 얻는 장면과 마지막 구절에서 도인과 함께 참선하는 모습은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송유사승부여요(送劉寺丞赴餘姚)"입니다. 유 사승(劉寺丞)이 여요(餘姚)로 부임하는 것을 송별하며 지은 시로, 이별의 아쉬움과 함께 그의 앞날을 축복하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불교적인 색채가 강하게 드러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중화당 뒤 석남나무 아래서, 그대와 마주 누워 밤비를 들었지. 옥피리는 애달프게도 듣는 사람을 만나지 못하고, 다만 향 연기가 푸른 실처럼 가로지르는 것만 보았네. 노래하며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만 하지만 방법이 없고, 앉아서 귀뚜라미 소리만 빈 방에서 들리는 것을 상상하네. 내일 아침 문을 열고 조수를 구경하게 될 텐데, 호방한 기상이 바닷물결의 성냄과 맞서 싸우네. 은빛 산이 땅을 흔드는 것을 그대는 보지 않고, 홀로 맑은 향기가 눈 덮인 안개에서 피어나는 것만 좋아하네. 이별한 후 만남과 헤어짐은 하룻밤과 같으니, 성곽은 텅 비어 있고 학만 날아갔네. 나는 늙어 세상만사를 그만두었고, 그대 또한 마음을 씻고 불조(佛祖)를 따르네. 손에서 향기가 나는 듯 새로 쓴 법계관(法界觀)이, 눈은 맑아져 등가녀(登伽女)를 엿보지 않네. 여요의 오랜 고을에는 또한 무엇이 있으랴, 용정(龍井)의 흰 샘물은 젖보다 더 달콤하네. 천금을 주고 고저(顧渚)의 봄을 사들였으니, 마치 월(越)나라 사람에게 해가 쏟아지는 것과 같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이별의 아쉬움, 유 사승의 앞날에 대한 축복, 그리고 불교적인 가르침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6구: 과거의 추억과 현재의 이별: 과거 함께했던 시간들을 회상하며 현재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감정을 표현합니다. "중화당 뒤 석남나무 아래서, 그대와 마주 누워 밤비를 들었지(中和堂後石楠樹,與君對牀聽夜雨)"라는 구절은 과거 함께 밤비를 들으며 정을 나누었던 추억을 회상합니다. "옥피리는 애달프게도 듣는 사람을 만나지 못하고, 다만 향 연기가 푸른 실처럼 가로지르는 것만 보았네(玉笙哀怨不逢人,但見香煙橫碧縷)"라는 구절은 이별의 슬픔을 옥피리의 애달픈 소리에 비유하여 표현합니다. "노래하며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만 하지만 방법이 없고, 앉아서 귀뚜라미 소리만 빈 방에서 들리는 것을 상상하네(謳吟思歸出無計,坐想蟋蟀空房語)"라는 구절은 떠나고 싶지만 떠날 수 없는 안타까운 심정을 나타냅니다. "내일 아침 문을 열고 조수를 구경하게 될 텐데, 호방한 기상이 바닷물결의 성냄과 맞서 싸우네(明朝開鎖放觀潮,豪氣正與潮爭怒)"라는 구절은 새로운 곳으로 떠나는 유 사승의 호방한 기개를 묘사하며, 그의 앞날을 축복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은빛 산이 땅을 흔드는 것을 그대는 보지 않고, 홀로 맑은 향기가 눈 덮인 안개에서 피어나는 것만 좋아하네(銀山動地君不看,獨愛清香生雪霧)"라는 구절은 세속적인 명예나 부귀에 연연하지 않고 고결한 정신을 추구하는 유 사승의 성품을 나타냅니다. "이별한 후 만남과 헤어짐은 하룻밤과 같으니, 성곽은 텅 비어 있고 학만 날아갔네(別來聚散如宿昔,城郭空存鶴飛去)"라는 구절은 인생의 덧없음을 표현하며, 이별의 아쉬움을 더합니다.
  • 7-10구: 불교적인 가르침과 유 사승의 앞날 축복: 불교적인 가르침을 통해 유 사승의 앞날을 축복합니다. "나는 늙어 세상만사를 그만두었고, 그대 또한 마음을 씻고 불조(佛祖)를 따르네(我老人間萬事休,君亦洗心從佛祖)"라는 구절은 화자 자신과 유 사승 모두 세속적인 욕망을 버리고 불교에 귀의했음을 나타냅니다. "손에서 향기가 나는 듯 새로 쓴 법계관(法界觀)이, 눈은 맑아져 등가녀(登伽女)를 엿보지 않네(手香新寫法界觀,眼淨不覷登伽女)"라는 구절은 유 사승이 불교 수행을 통해 심신을 정화했음을 나타냅니다. '법계관'은 불교의 세계관을 의미하며, '등가녀'는 유혹적인 여인을 의미합니다. "여요의 오랜 고을에는 또한 무엇이 있으랴, 용정(龍井)의 흰 샘물은 젖보다 더 달콤하네(餘姚古縣亦何有,龍井白泉甘勝乳)"라는 구절은 유 사승이 부임할 여요의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하며, 그의 앞날을 축복합니다. "천금을 주고 고저(顧渚)의 봄을 사들였으니, 마치 월(越)나라 사람에게 해가 쏟아지는 것과 같네(千金買斷顧渚春,似與越人降日注)"라는 구절은 고저의 아름다운 봄 풍경을 극찬하며, 유 사승이 여요에서 좋은 경험을 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이 시는 이별의 아쉬움과 함께 친구의 앞날을 축복하는 따뜻한 마음을 담고 있으며, 불교적인 가르침을 통해 시의 깊이를 더하고 있습니다. 특히, 과거의 추억과 현재의 상황을 대비시키면서 이별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아름다운 풍경 묘사를 통해 유 사승의 앞날을 축복하는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이공택과고우견시대부여손신로상화시억여복거세회우팽문절화궤순고사작시이십사운견희의운봉답역이이일희공택운이(李公擇過高郵見施大夫與孫莘老賞花詩憶與僕去歲會于彭門折花餽筍故事作詩二十四韻見戲依韻奉荅亦以一戲公擇云爾)"입니다. 이공택(李公擇)이 고우(高郵)를 지나 시대부(施大夫)와 손신로(孫莘老)가 꽃을 감상하는 시를 보고, 작년 자신과 이공택이 팽문(彭門)에서 꽃을 꺾고 죽순을 선물했던 일을 떠올리며 시를 지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 운에 맞춰 화답한 24운의 장시입니다. 이 시는 옛 추억을 회상하며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 세상사에 대한 초탈, 그리고 시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유머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여양(汝陽)은 진실로 하늘의 사람이니, 명주 모자에 붉은 무궁화꽃을 꽂았네. 머리 장식 삼백만 개가 있어도, 작은 미소 하나 사지 않네. 함께 푸른 산봉우리를 칭찬하니, 곡조가 다해도 꽃은 떨어지지 않네. 당시의 적선(謫仙) 같은 사람이, 뛰어난 운치로 속세의 경계를 벗어났네. 시가 이루어지자 하늘이 한 번 웃으니, 온 세상의 곤궁함이 풀리네. 작은 복숭아와 살구가 놀라 피어나니, 우레가 울리기 전에 싹트네. 남은 물결은 오히려 조금씩 흐르니, 거이(居易)와 진(稹)에게 나누어 주기를 바라네. 이때 이후로 누가 다시 보았는가, 선배들의 풍류가 다하였네. 적막한 두 시인이, 붉게 진 벚꽃과 죽순을 마주하네. 굶주린 배에 한 번 취하니, 묘한 이야기가 전해져 사라지지 않네. 그대가 옴에 함께하지 못함을 한탄하니, 다시 서로 끌어당기네. 나는 늙어 마음이 이미 재가 되었으니, 부질없이 남은 재를 부치네. 하늘의 유람은 여섯 감각 기관을 비추고, 허공은 가득 찬 것을 쓸어버리네. 마침내 모든 것이 공허함을 알겠으니, 어찌 다시 까마귀의 입술을 탐하겠는가. 쓸쓸한 한 칸 방에서, 거사(居士)는 노쇠한 방온(龐蘊)과 같네. 꽃을 옷에 가득 담아 흩뿌리니, 천녀(天女)의 물음에 답하지 않네. 옛 친구는 여전히 옛 모습이니, 원망하는 글로 남은 한을 쓰네. 내가 이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의심하니, 막으려고 난간을 세우네. 이미 죽은 뱀을 걱정하니, 꼬리를 접었다 폈다 하네. 곁에서 맹광(孟光)의 어짊을 들었지만, 아직 처중(處仲)의 인내를 배우지 못했네. [누각을 열어 내보냈으니, 이야기가 본전에 실려 있다.] 부름에 응하는 것은 이미 충분하니, 좌우에는 아름다운 머리털을 가진 시녀들이 시중드네. 어느 때 꽃 피는 달밤에, 술과 음식을 갖추어 불민함을 사죄하겠는가. 이 세상은 꿈과 같으니, 농담으로 한 말을 노여워하지 마오. 응당 망시공(亡是公)과 같으니, 한 쌍의 허황된 이야기를 듣는 것과 같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오랜 친구와의 추억 회상, 세상사에 대한 초탈, 시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유머, 그리고 친구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여러 주제를 복합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 1-8구: 옛 추억 회상과 시의 힘: 이공택과의 옛 추억을 회상하며 시의 힘을 예찬합니다. 여양의 인품을 칭찬하고, 함께 꽃을 감상했던 과거를 회상하며, 시가 가진 긍정적인 영향력을 강조합니다. 특히, 시가 세상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힘이 있다고 표현합니다. 거이와 진은 당나라의 유명한 시인 백거이와 원진을 가리키며, 그들의 시풍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9-16구: 현재의 상황과 심경 토로: 현재 함께하지 못하는 아쉬움과 자신의 심경을 토로합니다.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과 함께, 늙고 쇠약해진 자신의 모습을 자조적으로 표현합니다. 또한, 세상의 욕망에서 벗어나 초탈한 삶을 살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냅니다. 방온은 당나라의 유명한 불교 거사로, 세속을 초탈한 삶을 살았습니다.
  • 17-20구: 친구에 대한 오해와 해명: 친구가 자신을 오해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이에 대해 해명합니다. 자신이 속세의 일에 미련을 가지고 있다고 오해하는 것에 대해, 이미 모든 것을 초탈했음을 강조합니다. 맹광과 처중은 고대의 현인들로, 각각 어짊과 인내를 상징합니다.
  • 21-24구: 재회에 대한 기대와 작별 인사: 앞으로의 만남을 기약하며 작별 인사를 건넵니다. 다시 만날 날을 기다리며, 이 시가 단순한 농담으로 받아들여지기를 바랍니다. 망시공은 장자의 제물론에 나오는 인물로, 꿈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함을 나타내는 비유로 사용됩니다. 자허는 사마상여의 자허부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허황된 이야기를 의미합니다.

이 시는 긴 운문 형식을 통해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풍부한 비유와 고사를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특히, 옛 추억을 회상하며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 세상사에 대한 초탈, 그리고 시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유머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왕공청허당(王鞏清虛堂)"입니다. 왕공(王鞏)의 청허당(清虛堂)이라는 집을 방문하여 지은 시로, 불교적인 사유와 함께 세상사에 대한 깨달음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왕공의 수행 자세를 칭찬하면서도 자신을 포함한 인간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청허당 안에 있는 왕 거사(居士)는, 눈을 감고 몸을 보니 마치 고요한 물과 같네. 물속에 온갖 형상이 비어 있음을 비추어 보니, 감히 묻노니 당 안에는 누가 책상에 기대어 있는가. 오흥(吳興) 태수는 늙고 또 병들어, 책상 앞에 서류가 가득 쌓여 있어 늘 졸음에 겨워하네. 원컨대 그대는 비웃지 말고 돌이켜 자신을 살펴보시오, 꿈과 같은 오고 감이 아직 끝나지 않았으니. 늘 왕안석(王安石)도 면하지 못할까 의심했고, 완적(阮籍)도 끝내 무사하지 못했음을 믿지 못했네. 한 생각으로 청허에 머물려 하지 마오, 거사와 나는 대개 같은 부류일 뿐이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왕공의 수행 자세에 대한 칭찬, 세상사의 덧없음과 인간의 한계, 그리고 불교적 깨달음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2구: 왕공의 수행 자세 묘사: 왕공의 수행 자세를 고요한 물에 비유하여 묘사합니다. "청허당 안에 있는 왕 거사는, 눈을 감고 몸을 보니 마치 고요한 물과 같네(清虛堂裏王居士,閉眼觀身如止水)"라는 구절은 왕공이 눈을 감고 명상에 잠긴 모습을 마치 고요한 물과 같다고 표현하며, 그의 깊은 수행 경지를 보여줍니다. "물속에 온갖 형상이 비어 있음을 비추어 보니, 감히 묻노니 당 안에는 누가 책상에 기대어 있는가(水中照見萬象空,敢問堂中誰隱几)"라는 구절은 고요한 물에 모든 것이 비어 있음을 비추어 보듯이, 왕공 또한 명상을 통해 세상의 모든 것이 공(空)임을 깨닫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책상에 기대어 있다(隱几)'는 표현은 편안하게 앉아 있는 모습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깊은 사색에 잠겨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3-6구: 세상사의 덧없음과 인간의 한계 지적: 자신의 상황을 언급하며 세상사의 덧없음과 인간의 한계를 지적합니다. "오흥 태수는 늙고 또 병들어, 책상 앞에 서류가 가득 쌓여 있어 늘 졸음에 겨워하네(吳興太守老且病,堆案滿前長渴睡)"라는 구절은 화자 자신의 상황을 묘사하며, 늙고 병들어 업무에 지쳐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세속적인 일에 매달리는 인간의 피로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원컨대 그대는 비웃지 말고 돌이켜 자신을 살펴보시오, 꿈과 같은 오고 감이 아직 끝나지 않았으니(願君勿笑反自觀,夢幻去來殊未已)"라는 구절은 왕공에게 자신의 모습을 비웃지 말고 자신 또한 인간의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깨달으라고 권합니다. '꿈과 같은 오고 감(夢幻去來)'은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늘 왕안석도 면하지 못할까 의심했고, 완적도 끝내 무사하지 못했음을 믿지 못했네(長疑安石恐不免,未信犀首終無事)"라는 구절은 역사 속 인물들을 언급하며,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도 세상의 풍파를 피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왕안석은 송나라의 정치가로, 개혁을 추진하다가 많은 반대에 부딪혔고, 완적은 진나라의 시인이자 은둔자로, 세상의 혼란을 피해 술로 세월을 보냈습니다. '犀首'는 완적의 자(字)입니다.
  • 7-8구: 불교적 깨달음과 인간의 본질: 불교적 깨달음을 통해 인간의 본질을 이야기합니다. "한 생각으로 청허에 머물려 하지 마오, 거사와 나는 대개 같은 부류일 뿐이오(勿將一念住清虛,居士與我蓋同耳)"라는 구절은 왕공에게 한 생각에 집착하여 청허에만 머무르려 하지 말라고 조언합니다. 이는 지나치게 한 곳에 집착하는 것을 경계하는 불교적인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마지막 구절에서 '거사와 나는 대개 같은 부류일 뿐이다(居士與我蓋同耳)'라고 말하며, 왕공과 자신 모두 인간의 한계를 가진 존재임을 강조합니다. 즉, 아무리 수행을 통해 높은 경지에 이르렀다고 해도, 근본적으로는 같은 인간일 뿐이라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이 시는 왕공의 수행 자세를 칭찬하면서도, 인간의 한계와 세상사의 덧없음을 이야기하며 깊은 사색을 불러일으킵니다. 특히, 역사적 인물들을 언급하며 인간의 운명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과, 마지막 구절에서 왕공과 자신을 같은 부류라고 표현하는 부분은 인상적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화손동년변산룡동도청(和孫同年卞山龍洞禱晴)"입니다. 손동년(孫同年)과 함께 변산(卞山) 용동(龍洞)에 가뭄 해소를 기원하며 지은 시로, 장마로 인한 피해 상황과 기우제를 지내는 모습, 그리고 비가 오기를 바라는 마음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오흥(吳興)에는 여러 달 비가 내려, 솥과 시루에 물고기와 개구리가 생겨났네. 변산 용에게 가서 물으니, 어찌 편안히 집에 있지 않은가 하네. 허공을 딛고 험준한 곳에 오르니, 아래를 내려다보니 험준함에 놀라네. 신령한 우물에서는 구름 덮개가 솟아나고, 그늘진 벼랑에는 이끼꽃이 드리워져 있네. 온갖 갈래의 샘물이 흘러, 골짜기로 달려가는 모습이 뱀 떼와 같네. 어디로 떨어지는지 알 수 없으니, 은은히 물레질하는 수레와 같네. 내가 돌문을 두드리니, 하늘다람쥐가 흰 까마귀처럼 날아다니네. 용에게 전하는 말, 단잠의 맛이 어찌 좋지 않겠는가. 비의 신(雨師)은 잠시 고삐를 늦추고, 우레의 신(雷師) 또한 북 치는 것을 멈추네. 쌓였던 물이 다시 골짜기로 돌아가고, 벼 싹이 진흙 모래에서 솟아나네. 농부는 굶주린 얼굴을 면하고, 용 또한 돼지 새끼로 배를 채우네. 그대가 누런 비단옷을 입고, 높이 누워 저녁 관아의 일을 놓는 것을 보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장마로 인한 피해, 기우제의 모습, 그리고 비를 기다리는 마음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4구: 장마로 인한 피해 상황 묘사: 장마로 인해 발생한 심각한 피해 상황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오흥에는 여러 달 비가 내려, 솥과 시루에 물고기와 개구리가 생겨났네(吳興連月雨,釜甑生魚蛙)"라는 구절은 장기간의 폭우로 인해 집안에 물이 차고, 솥과 시루에 물고기와 개구리가 생겨날 정도의 심각한 상황을 나타냅니다. "변산 용에게 가서 물으니, 어찌 편안히 집에 있지 않은가 하네(往問卞山龍,曷不安厥家)"라는 구절은 용에게 비를 멈추게 해달라고 간청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용(龍)'은 물을 다스리는 신으로 여겨졌습니다. "허공을 딛고 험준한 곳에 오르니, 아래를 내려다보니 험준함에 놀라네(梯空上巉絕,俯視驚谽谺)"라는 구절은 용이 있다는 동굴이 험준한 곳에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신령한 우물에서는 구름 덮개가 솟아나고, 그늘진 벼랑에는 이끼꽃이 드리워져 있네(神井湧雲蓋,陰崖垂蘚花)"라는 구절은 신령한 기운이 감도는 동굴 주변의 풍경을 묘사합니다.
  • 5-8구: 동굴 내부와 주변 풍경 묘사: 용이 살고 있는 동굴 내부와 주변의 신비로운 풍경을 묘사합니다. "온갖 갈래의 샘물이 흘러, 골짜기로 달려가는 모습이 뱀 떼와 같네(交流百道泉,赴谷走羣蛇)"라는 구절은 동굴에서 흘러나오는 많은 물줄기를 뱀 떼에 비유하여 생동감 있게 표현합니다. "어디로 떨어지는지 알 수 없으니, 은은히 물레질하는 수레와 같네(不知落何處,隱隱如繅車)"라는 구절은 물줄기가 떨어지는 모습을 묘사하며, 그 신비로운 분위기를 더합니다. "내가 돌문을 두드리니, 하늘다람쥐가 흰 까마귀처럼 날아다니네(我來叩石戶,飛鼠翻白鴉)"라는 구절은 동굴 입구의 모습을 묘사하며, 신성한 공간임을 암시합니다. "용에게 전하는 말, 단잠의 맛이 어찌 좋지 않겠는가(寄語洞中龍,睡味豈不嘉)"라는 구절은 용에게 이제 그만 잠에서 깨어나 비를 내려달라고 간청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9-12구: 비가 오기를 기다리는 마음과 풍요로운 미래에 대한 기대: 비가 오기를 간절히 기다리는 마음과 비가 온 후의 풍요로운 미래에 대한 기대를 표현합니다. "비의 신은 잠시 고삐를 늦추고, 우레의 신 또한 북 치는 것을 멈추네(雨師少弭節,雷師亦停撾)"라는 구절은 비가 오기를 기원하는 사람들의 간절한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쌓였던 물이 다시 골짜기로 돌아가고, 벼 싹이 진흙 모래에서 솟아나네(積水得反壑,稻苗出泥沙)"라는 구절은 비가 온 후의 풍요로운 모습을 상상하며, 농부들의 기쁨을 표현합니다. "농부는 굶주린 얼굴을 면하고, 용 또한 돼지 새끼로 배를 채우네(農夫免菜色,龍亦飽豚豭)"라는 구절은 비가 와서 농부와 용 모두 풍족해지는 모습을 익살스럽게 표현합니다. "그대가 누런 비단옷을 입고, 높이 누워 저녁 관아의 일을 놓는 것을 보네(看君擁黃紬,高臥放晚衙)"라는 구절은 비가 온 후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이 시는 장마로 인한 피해 상황과 기우제를 지내는 모습, 그리고 비가 오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을 생동감 넘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 현상을 신의 영역과 연결하여 표현한 부분과, 비가 온 후의 풍요로운 모습을 상상하며 농부와 용을 함께 언급한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승주과가수수각수부재견기자삼수(乘舟過賈收水閣收不在見其子三首)"입니다. 배를 타고 가수의 수각(水閣) 앞을 지나는데 가수는 없고 그의 아들만 만나서 지은 세 수의 시입니다. 이 시들은 가수를 만나지 못한 아쉬움과 그의 삶에 대한 감탄, 그리고 그의 아들과의 만남을 그리고 있습니다.

첫 번째 시:

현대 한국어 번역:

술을 사랑한 도연명(陶元亮)과, 시를 잘 짓는 장지화(張志和)로다. 푸른 산이 물 난간으로 다가오고, 흰 비가 어부의 도롱이에 가득하네. 눈물 얼룩이 정정(丁丁)의 얼굴에 더해지고, 가난 때문에 밥상을 드는 아내의 눈썹이 낮아지네. 무엇을 즐거워하는지 알지 못하지만, 밤새도록 홀로 흥겹게 노래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가수의 삶을 도연명과 장지화에 비유하며 그의 풍류를 칭찬하고 있습니다.

  • 1-2구: 가수를 옛 인물에 비유: 가수를 술을 좋아한 도연명과 시를 잘 지은 장지화에 비유하며 그의 풍류를 칭찬합니다. 도연명은 동진(東晉)의 시인으로, 술을 즐기고 자연을 사랑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장지화는 당나라의 은일 시인으로, 낚시를 하며 자유로운 삶을 살았습니다.
  • 3-4구: 주변 풍경 묘사: 가수의 집 주변 풍경을 묘사합니다. 푸른 산과 흰 비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며, 어부의 도롱이는 가수의 소박한 삶을 보여줍니다.
  • 5-6구: 가수의 어려운 상황과 풍류: 가수의 어려운 상황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풍류를 즐기는 모습을 대조적으로 보여줍니다. 눈물 얼룩진 얼굴과 낮아진 아내의 눈썹은 가난한 생활을 나타내지만, 밤새도록 홀로 노래하는 모습은 그의 긍정적인 성격을 보여줍니다.

두 번째 시:

현대 한국어 번역:

하늘거리는 바람에 부들이 어지럽고, 하늘거리는 물풀이 길게 자랐네. 작은 배는 오리처럼 푸른 물에 떠 있고, 큰 국자는 거위처럼 노란 술을 쏟아내네. 뜻을 얻은 시와 술의 모임, 평생을 어부와 농부의 고향에서 보내네. 즐겁도다 아무 일도 없으니, 어느 곳인들 시원하지 않으랴.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가수의 자유롭고 풍요로운 삶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 1-2구: 주변 풍경의 생동감 넘치는 묘사: 바람에 흔들리는 부들과 물풀, 물 위에 떠 있는 작은 배를 묘사하여 주변 풍경을 생동감 넘치게 표현합니다.
  • 3-4구: 가수의 풍류 생활 묘사: 술을 마시며 시를 짓는 가수의 풍류 생활을 묘사합니다. '큰 국자'는 술을 마시는 모습을 과장되게 표현한 것입니다.
  • 5-6구: 가수의 만족스러운 삶: 시와 술을 즐기며 자연 속에서 평생을 보내는 가수의 만족스러운 삶을 보여줍니다. '아무 일도 없다(無一事)'는 것은 속세의 번뇌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삶을 의미합니다.

세 번째 시:

현대 한국어 번역:

지팡이를 끌고 푸른 이끼 언덕에 오르고, 배를 마른 버드나무 뿌리에 매었네. 덕공(德公)은 바야흐로 무덤에 올라가고, 계로(季路)는 홀로 유언을 남겼네. 이미 어부와 농부의 항구를 차지했고, 다시 소나무와 국화 밭을 열었네. 이제부터 왕래하는 횟수가 많아지면, 아이들이 저절로 문을 맞이하리라.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가수의 부재를 아쉬워하며 그의 아들과의 만남을 그리고 있습니다.

  • 1-2구: 가수의 집 주변 풍경과 역사적 고사 인용: 가수의 집 주변 풍경을 묘사하며, 덕공과 계로의 고사를 인용합니다. 덕공은 춘추 시대 노(魯)나라의 대부로, 효자로 유명합니다. 계로는 공자의 제자로, 충성심이 강한 인물입니다.
  • 3-4구: 가수의 삶과 미래에 대한 기대: 어부와 농부의 삶을 즐기는 가수의 현재 모습과, 앞으로 그의 집을 자주 방문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냅니다. '아이들이 저절로 문을 맞이하리라'는 구절은 앞으로 가수의 집을 자주 방문하여 그의 가족들과도 친밀하게 지내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표현합니다.

세 수의 시를 통해 소식은 가수를 만나지 못한 아쉬움을 달래고, 그의 풍류로운 삶을 칭찬하며, 그의 아들과의 만남을 통해 앞으로의 인연을 기대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역사적 고사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차운손비승견증(次韻孫秘丞見贈)"입니다. 손 비승(孫秘丞)이 자신에게 준 시에 화답한 시로, 세상사에 대한 감회와 시에 대한 애정, 그리고 자신의 처지에 대한 자조적인 심정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더위를 잊을 정도로 시에 몰두하는 모습과 차가운 겨울 풍경을 상상하는 대조적인 이미지가 인상적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감개와 맑은 슬픔은 마치 변하는 바람과 같고, 시구에 늙으니 귀가 더욱 밝아지네. 고루하고 어리석음을 스스로 웃으니 무슨 일이 되겠는가, 냉담함을 누가 써서 이만한 공을 이루겠는가. 날아다니는 모기가 표범처럼 달려드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기꺼이 흰 새를 따라 무지개 다리를 지나가려 하네. 마주 앉아 시를 읊조리며 삼복더위를 잊으니, 얼음 시내에 배를 띄워 눈의 궁궐로 들어가려 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세상사에 대한 감회, 시에 대한 애정, 그리고 자신의 처지에 대한 자조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2구: 세상사에 대한 감회와 시에 대한 애정: 세상사의 변화무쌍함과 시에 대한 변치 않는 애정을 표현합니다. "감개와 맑은 슬픔은 마치 변하는 바람과 같고(感慨清哀似變風)"라는 구절은 세상사의 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운 바람에 비유하여 표현합니다. "시구에 늙으니 귀가 더욱 밝아지네(老於詩句耳偏聰)"라는 구절은 오랜 시간 동안 시를 써오면서 시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음을 나타냅니다. '귀가 밝아진다(耳偏聰)'는 것은 시의 의미를 더욱 잘 파악하게 되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3-4구: 자신의 처지에 대한 자조: 자신의 고루하고 어리석은 성격과 냉담한 처지에 대한 자조적인 심정을 드러냅니다. "고루하고 어리석음을 스스로 웃으니 무슨 일이 되겠는가(迂疏自笑成何事)"라는 구절은 자신의 성격이 세상일에 능숙하지 못함을 자조적으로 표현합니다. "냉담함을 누가 써서 이만한 공을 이루겠는가(冷淡誰能用許功)"라는 구절은 자신의 냉담한 성격 때문에 세상에서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냉담함(冷淡)'은 세상일에 적극적이지 않고 무관심한 태도를 의미합니다.
  • 5-8구: 시에 몰두하는 모습과 겨울 풍경 상상: 모기떼의 습격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시를 읊조리며 더위를 잊고, 차가운 겨울 풍경을 상상하는 모습을 대조적으로 보여줍니다. "날아다니는 모기가 표범처럼 달려드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不怕飛蚊如立豹)"라는 구절은 호주(湖州)에 모기가 많고, 그 모기가 마치 표범처럼 사납다는 주석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시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는 화자의 모습을 강조합니다. "기꺼이 흰 새를 따라 무지개 다리를 지나가려 하네(肯隨白鳥過垂虹)"라는 구절은 자유로운 상상을 통해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무지개 다리(垂虹)'는 오강(吳江)에 있는 정자의 이름으로, 아름다운 풍경을 상징합니다. "마주 앉아 시를 읊조리며 삼복더위를 잊으니, 얼음 시내에 배를 띄워 눈의 궁궐로 들어가려 하네(吟哦相對忘三伏,擬泛冰溪入雪宮)"라는 구절은 시에 몰두하여 더위를 잊는 모습과, 차가운 겨울 풍경을 상상하는 모습을 대조적으로 보여주며, 시가 가진 힘을 보여줍니다. '삼복(三伏)'은 일 년 중 가장 더운 기간을 의미합니다.

이 시는 현실의 어려움과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면서도 시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고, 상상력을 통해 현실을 초월하려는 시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 모기떼와 표범, 삼복더위와 얼음 시내, 눈의 궁궐 등 대조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시의 주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여객유도장하산득조자(與客游道場何山得鳥字)"입니다. 객과 함께 도장(道場)의 하산(何山)을 유람하다가 ‘새(鳥)’라는 시제를 얻어 지은 시로, 산의 아름다운 풍경과 유람의 즐거움, 그리고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폭풍우 속에서도 술을 즐기며 춤을 추는 호방한 모습과, 다음 날 모든 것이 사라질 것을 아쉬워하는 감정이 인상적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맑은 시냇물이 산에 이르러 끝나고, 하늘로 뻗은 길은 공중에서 작아지네. 붉은 정자와 흰 탑이, 큰 나무 끝에 숨었다 나타나네. 잠시 쉬어 작은 암자에 이르니, 외따로 구름 밖에 붙어 있네. 동정호(洞庭湖)는 북쪽 창에 있고, 구름과 물은 하늘에 아득하네. 암자의 스님은 속세 인연을 끊었지만, 깨끗한 업은 아직 씻어내지 못했네. 십 년 동안 까치와 대나무를 그렸고, 더욱이 시로 스스로를 감싸네. 높은 집에는 엄숙하게 불상이 모셔져 있고, 선방은 각각 깊고 그윽하네. 솟아나는 샘물은 어디에서 오는가, 화려한 집은 시내와 연못을 지나네. 어떤 산이 깊은 골짜기를 막고 있는가, 가는 길은 맑고 또 고요하네. 키 큰 소나무는 푸른 덩굴을 지나고, 절벽에는 우는 새가 걸려 있네. 내 친구는 항주(杭州)에서 왔는데, 오히려 다닌 곳이 적다고 탄식하네. 돌아가는 길에 폭풍우가 일어, 붉은 해의 뜨거움을 깨끗이 씻어내네. 갑자기 모든 구멍에서 울부짖는 소리가 들리고, 검은 안개가 쑥과 마름을 휘감네. 뱃사람들은 모두 얼굴색이 변하고, 앉아서 가벼운 갈매기의 날갯짓을 부러워하네. 나 홀로 술잔을 부르니, 술에 취해 죽는 것이 떠돌아다니다 굶어 죽는 것보다 낫네. 서생은 본래 강하고 사나우니, 조물주가 부질없이 번거롭게 하네. 다시 흥겹게 춤추는 기세를 더하여, 촛불을 잡고 바람에 흔들리는 대나무를 그리네. 미인이 얼굴을 활짝 펴니, 마치 허리가 가늘게 흔들리는 듯하네. 내일 아침이면 곧 지나간 흔적이 될 것이니, 맑은 경치는 허무하고 아득한 곳으로 떨어지네. 시를 지어 남은 즐거움을 기록하니, 만고의 한순간의 새벽과 같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산의 아름다운 풍경, 유람의 즐거움, 인생의 무상함, 그리고 호방한 기개라는 여러 주제를 복합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 1-8구: 산의 아름다운 풍경과 암자의 고요함: 산의 아름다운 풍경과 암자의 고요한 분위기를 묘사합니다. 맑은 시냇물, 붉은 정자, 흰 탑, 큰 나무, 구름, 동정호 등 다양한 자연물을 사용하여 풍경을 다채롭게 표현합니다. 특히, 암자의 스님이 속세 인연을 끊고 수행하는 모습을 통해 고요하고 신성한 분위기를 강조합니다.
  • 9-16구: 산길의 고요함과 친구와의 대화: 산길의 고요함과 친구와의 대화를 묘사합니다. 키 큰 소나무, 푸른 덩굴, 절벽, 우는 새 등 자연물을 통해 산길의 풍경을 더욱 구체적으로 묘사합니다. 친구가 여행 경험이 적다고 탄식하는 부분을 통해 유람의 즐거움을 부각합니다.
  • 17-24구: 폭풍우와 술, 춤: 갑작스러운 폭풍우 속에서도 술을 즐기며 춤을 추는 호방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폭풍우의 거센 기세를 묘사하는 부분과, 술을 마시며 춤을 추는 모습을 묘사하는 부분이 대조를 이루며 시의 분위기를 고조시킵니다. 특히, "술에 취해 죽는 것이 떠돌아다니다 굶어 죽는 것보다 낫네(醉死勝流殍)"라는 구절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려는 화자의 의지를 보여줍니다. '서생은 본래 강하고 사나우니(書生例強狠)'라는 구절은 지식인으로서의 자부심과 강인한 정신력을 나타냅니다.
  • 25-28구: 인생의 무상함과 시의 가치: 다음 날 모든 것이 사라질 것을 아쉬워하며, 시를 통해 현재의 즐거움을 영원히 기록하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내일 아침이면 곧 지나간 흔적이 될 것이니(明朝便陳跡)"라는 구절은 인생의 무상함을 나타냅니다. "시를 지어 남은 즐거움을 기록하니, 만고의 한순간의 새벽과 같네(作詩記餘歡,萬古一昏曉)"라는 구절은 시가 가진 영원성을 강조하며, 현재의 즐거움을 후세에 전하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이 시는 아름다운 자연 풍경 묘사, 유람의 즐거움, 폭풍우 속에서의 호방한 모습, 그리고 인생의 무상함에 대한 깊은 사색 등 다양한 요소들이 어우러져 깊은 감동을 줍니다. 특히, 폭풍우 속에서도 술과 춤을 즐기는 모습과, 다음 날 모든 것이 사라질 것을 아쉬워하며 시를 통해 영원성을 추구하는 모습은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복거항오년오중잉세대기역고인왕왕서거문호상승사불부왕일번려독정자본장로학자익성작차시지(僕去杭五年吳中仍歲大飢疫故人往往逝去聞湖上僧舍不復往日繁麗獨淨慈本長老學者益盛作此詩寄之)"입니다. 자신이 항주(杭州)를 떠난 지 5년이 되었는데, 오중(吳中) 지방에 여전히 큰 흉년과 전염병이 돌고 옛 친구들이 많이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호수 주변의 사찰들도 예전의 번성함을 잃었지만 유독 정자사(淨慈寺)의 본 장로(本長老)의 학문이 더욱 성하다는 소식을 듣고 이 시를 지어 보낸 것입니다. 이 시는 옛 친구들을 잃은 슬픔과 세상의 변화에 대한 안타까움, 그리고 본 장로에 대한 존경과 자신의 초탈한 심정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삼오(三吳)를 오가는 것이 한바탕 꿈과 같으니, 옛 친구들은 반이나 무덤에 묻혔네. 홀로 옛 사찰에 의지하여 진정한 불법을 전하니, 남은 백성들과 함께 곤궁한 해를 건너려 하네. 조수(趙叟)는 가까이 소식을 들으니 인끈을 돌려주었다 하고, 축옹(竺翁)은 이미 숲과 샘으로 돌아갔네. 어느 때 지팡이 들고 서로 따라 떠나, 본성대로 소요하며 불교를 배우지 않으려나.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옛 친구들을 잃은 슬픔, 세상의 변화에 대한 안타까움, 본 장로에 대한 존경, 그리고 자신의 초탈한 심정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2구: 옛 친구들을 잃은 슬픔: 삼오 지방을 오가는 것이 꿈과 같다고 표현하며, 많은 옛 친구들이 세상을 떠난 것에 대한 슬픔을 나타냅니다. "삼오를 오가는 것이 한바탕 꿈과 같으니(來往三吳一夢間)"라는 구절은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옛 친구들은 반이나 무덤에 묻혔네(故人半作冢纍然)"라는 구절은 많은 친구들을 잃은 슬픔을 직접적으로 드러냅니다.
  • 3-4구: 본 장로에 대한 존경: 어려운 시기에도 묵묵히 불법을 전하는 본 장로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합니다. "홀로 옛 사찰에 의지하여 진정한 불법을 전하니(獨依舊社傳真法)"라는 구절은 다른 사찰들과 달리 정자사만 홀로 불법을 전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남은 백성들과 함께 곤궁한 해를 건너려 하네(要與遺民度厄年)"라는 구절은 본 장로가 어려운 시기에 백성들을 구제하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5-6구: 세상의 변화에 대한 안타까움: 조수와 축옹의 소식을 언급하며 세상의 변화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냅니다. "조수는 가까이 소식을 들으니 인끈을 돌려주었다 하고(趙叟近聞還印綬)"라는 구절은 조수가 관직에서 물러났다는 소식을 전합니다. "축옹은 이미 숲과 샘으로 돌아갔네(竺翁先已返林泉)"라는 구절은 축옹이 은거 생활을 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합니다. 이 두 구절은 세상의 변화와 함께 친구들의 삶도 변화했음을 보여줍니다.
  • 7-8구: 자신의 초탈한 심정: 본 장로와 함께 속세를 떠나 자유롭게 살고 싶다는 마음을 표현하며, 불교에 집착하지 않는 초탈한 심정을 드러냅니다. "어느 때 지팡이 들고 서로 따라 떠나(何時杖策相隨去)"라는 구절은 속세를 떠나 은거하고 싶은 마음을 나타냅니다. "본성대로 소요하며 불교를 배우지 않으려나(任性逍遙不學禪)"라는 구절은 불교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살고 싶다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이는 소식이 불교에 심취하면서도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성향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이 시는 어려운 시기에 친구들을 잃은 슬픔과 세상의 변화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면서도, 본 장로에 대한 존경과 자신의 초탈한 심정을 함께 보여줍니다. 특히, 마지막 두 구절에서 불교에 집착하지 않고 자유롭게 살고 싶다는 마음을 표현한 부분은 소식의 자유로운 성격을 잘 드러내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박초풍(舶趠風)[병인(并引)]"입니다. 서문(引)에서 오중(吳中) 지방의 장마가 지나고 십여 일 동안 시원한 바람이 부는데, 해마다 이와 같아서 호수 사람들이 이 바람을 박초풍이라고 부른다고 설명합니다. 이때 마침 바닷배가 처음 돌아오는데, 이 바람이 바다에서 배와 함께 온다고 전해진다고 합니다. 이 시는 장마 후 시원하게 불어오는 박초풍을 묘사하며, 그 상쾌함과 가을의 기운을 느끼게 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문: 오중 지방의 장마가 이미 지나자, 시원한 바람이 십여 일 동안 가득하니, 해마다 이와 같아서 호수 사람들이 이 바람을 박초풍이라고 부른다. 이때 마침 바닷배가 처음 돌아오는데, 전하는 말에 이 바람이 바다에서 배와 함께 온다고 한다.]

삼십 일이 이미 지나 누렇게 익은 매실에 비가 내렸는데, 만 리 밖에서 처음으로 박초풍이 불어오네. 몇 군데 산굽이를 휘돌아 지나, 어느덧 맑고 시원한 바람이 강동(江東)에 가득하네. 놀라 흩날리는 소리는 가을의 낙엽보다 먼저이고, 혼미하게 졸음을 즐기던 늙은이를 깨우네. 난대(蘭臺)의 쾌재부(快哉賦)를 지으려 하였으나, 도리어 암수를 분별하여 묻는 것을 싫어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박초풍의 도래, 그 시원함과 영향, 그리고 시인의 감회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서문(引): 박초풍의 유래 설명: 서문에서는 박초풍의 유래와 특징을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장마가 끝난 후 부는 시원한 바람이라는 점, 바닷배와 함께 온다고 전해진다는 점 등을 언급하여 시의 배경을 설명합니다.
  • 1-4구: 박초풍의 도래와 그 시원함: 장마가 끝난 후 만 리 밖에서 불어오는 박초풍의 모습과 그 시원함을 묘사합니다. "삼십 일이 이미 지나 누렇게 익은 매실에 비가 내렸는데, 만 리 밖에서 처음으로 박초풍이 불어오네(三旬已過梅黃雨,萬里初來舶趠風)"라는 구절은 장마가 끝나고 박초풍이 불어오는 시점을 명확하게 제시합니다. "몇 군데 산굽이를 휘돌아 지나, 어느덧 맑고 시원한 바람이 강동에 가득하네(幾處縈回度山曲,一時清駃滿江東)"라는 구절은 박초풍이 산을 넘어 강동 지역에 퍼지는 모습을 생동감 있게 묘사합니다. '맑고 시원한 바람(清駃)'이라는 표현을 통해 바람의 특징을 강조합니다.
  • 5-6구: 박초풍의 영향: 박초풍이 가져오는 변화와 그 영향을 묘사합니다. "놀라 흩날리는 소리는 가을의 낙엽보다 먼저이고(驚飄蔌蔌先秋葉)"라는 구절은 박초풍이 마치 가을바람처럼 낙엽을 흩날리게 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가을의 기운을 느끼게 합니다. "혼미하게 졸음을 즐기던 늙은이를 깨우네(喚醒昏昏嗜睡翁)"라는 구절은 박초풍이 사람들을 잠에서 깨울 정도로 강하고 시원한 바람임을 나타냅니다.
  • 7-8구: 시인의 감회: 박초풍을 맞이하는 시인의 감회를 표현합니다. "난대의 쾌재부를 지으려 하였으나(欲作蘭臺快哉賦)"라는 구절은 바람의 시원함을 칭송하는 글을 쓰고 싶어 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난대(蘭臺)'는 한나라 때 책을 보관하던 곳으로, 여기서는 글을 쓰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쾌재부(快哉賦)'는 바람이나 풍경의 시원함을 칭송하는 부(賦)를 의미합니다. "도리어 암수를 분별하여 묻는 것을 싫어하네(却嫌分別問雌雄)"라는 구절은 바람의 근원을 따지는 것보다 바람 자체를 즐기고 싶어 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암수를 분별하다(分別問雌雄)'는 것은 사물의 근원을 지나치게 따지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이 시는 장마 후 시원하게 불어오는 박초풍을 생동감 넘치는 묘사로 표현하고 있으며, 바람이 가져오는 상쾌함과 가을의 기운을 잘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바람의 근원을 따지기보다 바람 자체를 즐기려는 시인의 태도는 인상적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정공묵송유주(丁公默送蝤蛑)"입니다. 정공묵(丁公默)이 보내준 유주(蝤蛑), 즉 꽃게를 받고 지은 시로, 꽃게의 맛을 묘사하며 정공묵에게 감사를 표하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 자신이 오흥(吳興) 태수로 있을 때의 일화를 언급하며 익살스러운 분위기를 더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시냇가 돌게는 돈만큼 작지만, 둥글게 놓인 붉은 옥반을 보니 기쁘네. 반쪽 껍데기 속에 노란 알이 들어 있으니 술을 곁들이기 좋고, 두 집게는 흰 살을 발라내어 밥을 더 먹도록 권하네. 남쪽 오랑캐의 진귀한 해산물로 이름난 지 오래되었지만, 괴이한 비바람이 자리에 들어 차갑네. 우스꽝스럽네 오흥의 탐욕스러운 태수여, 시 한 수로 두 마리의 뾰족하고 둥근 게를 얻었으니.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꽃게의 맛, 정공묵에 대한 감사, 그리고 과거의 일화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4구: 꽃게의 맛 묘사: 정공묵이 보내준 꽃게의 맛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시냇가 돌게는 돈만큼 작지만, 둥글게 놓인 붉은 옥반을 보니 기쁘네(溪邊石蟹小如錢,喜見輪囷赤玉盤)"라는 구절은 작은 돌게와 붉은 옥반의 대비를 통해 꽃게의 모습을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반쪽 껍데기 속에 노란 알이 들어 있으니 술을 곁들이기 좋고, 두 집게는 흰 살을 발라내어 밥을 더 먹도록 권하네(半殼含黃宜點酒,兩螯斫雪勸加飡)"라는 구절은 꽃게의 알과 살의 맛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며, 식욕을 자극합니다. 특히, '노란 알(黃)'과 '흰 살(雪)'의 색채 대비를 통해 시각적인 이미지를 강조합니다.
  • 5-6구: 꽃게의 유래와 주변 분위기: 꽃게의 유래와 주변 분위기를 언급합니다. "남쪽 오랑캐의 진귀한 해산물로 이름난 지 오래되었지만(蠻珍海錯聞名久)"라는 구절은 꽃게가 남쪽 지방의 특산물임을 나타냅니다. "괴이한 비바람이 자리에 들어 차갑네(怪雨腥風入座寒)"라는 구절은 꽃게를 먹는 당시의 날씨가 좋지 않았음을 암시하며, 꽃게의 맛을 더욱 강조하는 효과를 줍니다. '괴이한 비바람(怪雨腥風)'은 꽃게의 비린내와 연관시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 7-8구: 정공묵에 대한 감사와 과거의 일화: 정공묵에게 감사를 표하며, 과거 자신이 오흥 태수로 있을 때의 일화를 언급합니다. "우스꽝스럽네 오흥의 탐욕스러운 태수여, 시 한 수로 두 마리의 뾰족하고 둥근 게를 얻었으니(堪笑吳興饞太守,一詩換得兩尖團)"라는 구절은 과거 자신이 오흥 태수로 있을 때 게를 좋아했던 일화를 익살스럽게 언급하며, 정공묵이 보내준 게에 대한 고마움을 표현합니다. '뾰족하고 둥근 게(兩尖團)'는 꽃게의 모양을 묘사하는 표현으로, '뾰족한' 집게와 '둥근' 몸통을 의미합니다. '시 한 수로 게를 얻었다(一詩換得)'는 표현은 정공묵이 시를 좋아하는 소식에게 게를 선물한 것에 대한 감사를 재치 있게 표현한 것입니다.

이 시는 꽃게의 맛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정공묵에 대한 감사를 표하며, 과거의 일화를 익살스럽게 언급하는 등 다양한 표현 방식을 통해 시의 재미를 더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두 구절에서 과거의 자신을 '탐욕스러운 태수(饞太守)'라고 칭하며 익살스럽게 표현한 부분은 인상적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송손저작부고성겸기전순로이방직이군어손처유서견급(送孫著作赴考城兼寄錢醇老李邦直二君於孫處有書見及)"입니다. 손 저작(孫著作)이 고성(考城)으로 부임하는 것을 전송하며, 겸사겸사 전순로(錢醇老)와 이방직(李邦直) 두 사람에게 손 저작을 통해 편지를 전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시는 떠나보내는 아쉬움과 함께 손 저작의 뛰어남을 칭찬하고, 두 친구에게 안부를 전하며, 어지러운 세상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태수 어른은 구름처럼 한가하시니, 나가려 해도 누가 기꺼이 함께 하겠는가. 맑은 바람만이 홀로 일이 없으니, 한 번 휘파람 부는 것으로도 부를 수 있네. 흰 마름풀 섬에서 왔으니, 나의 명월관(明月觀)을 스쳐 지나가네. 문 앞의 먼 길 떠나는 나그네는, 푸른 옷에 흰 땀을 흘리네. 그대에게 무엇 때문에 그리 바쁜지 물으니, 나라의 일이 더디게 할 수 없네. 옛 친구 전씨와 이씨는, 맑은 사당의 두 개의 훌륭한 제기(祭器)와 같네. 훌륭히 천자의 그릇이 될 만하니, 오히려 도랑에서 끊어졌던 일을 기억하네. 그대 또한 동남 지방의 보물이니, 그 가치는 헤아릴 수 없네. 이별의 정을 무엇으로 위로할까, 술잔이 다 비었으니 빈 책상을 마주하네. 오직 시원한 평상을 내어주니, 그대에게 수레 덮개를 조금만 올리라고 권하네. 이러한 풍류는 이제 다시는 없으니, 티끌과 재와 숯만 날리네. 두 대부에게 부치려 하나, 떠나는 발걸음을 막을 수 없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떠나보내는 아쉬움, 손 저작에 대한 칭찬, 두 친구에 대한 안부, 그리고 어지러운 세상에 대한 안타까움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4구: 떠나보내는 아쉬움: 손 저작을 떠나보내는 아쉬움을 묘사합니다. 태수의 한가로운 모습과 대비되는 손 저작의 바쁜 행색을 통해 이별의 아쉬움을 강조합니다. "태수 어른은 구름처럼 한가하시니, 나가려 해도 누가 기꺼이 함께 하겠는가. 맑은 바람만이 홀로 일이 없으니, 한 번 휘파람 부는 것으로도 부를 수 있네(使君閑如雲,欲出誰肯伴。清風獨無事,一嘯亦可喚)"라는 구절은 태수의 한가로운 일상을 보여줍니다. "문 앞의 먼 길 떠나는 나그네는, 푸른 옷에 흰 땀을 흘리네(門前遠行客,青衫流白汗)"라는 구절은 먼 길을 떠나는 손 저작의 힘든 여정을 묘사하며, 이별의 안타까움을 더합니다.
  • 5-8구: 손 저작에 대한 칭찬: 손 저작의 뛰어난 재능과 가치를 칭찬합니다. 전순로와 이방직을 훌륭한 제기에 비유하고, 손 저작을 동남 지방의 보물에 비유하여 그의 뛰어남을 강조합니다. "옛 친구 전씨와 이씨는, 맑은 사당의 두 개의 훌륭한 제기와 같네(故人錢與李,清廟兩圭瓚)"라는 구절은 전순로와 이방직의 높은 지위와 덕망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그대 또한 동남 지방의 보물이니, 그 가치는 헤아릴 수 없네(子亦東南珍,價重不可算)"라는 구절은 손 저작의 뛰어난 재능과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부분입니다. '도랑에서 끊어졌던 일(溝中斷)'은 재능 있는 인재가 등용되지 못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고사로, 손 저작은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중용될 인재임을 암시합니다.
  • 9-12구: 두 친구에 대한 안부와 이별의 아쉬움: 전순로와 이방직에게 안부를 전하며, 다시 한번 이별의 아쉬움을 표현합니다. 술잔이 비어 빈 책상을 마주하는 상황을 통해 이별의 허전함을 나타냅니다. "이별의 정을 무엇으로 위로할까, 술잔이 다 비었으니 빈 책상을 마주하네(別情何以慰,酒盡對空案)"라는 구절은 이별의 아쉬움을 술로 달래려 했지만, 술잔이 비어 더욱 허전함을 느끼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오직 시원한 평상을 내어주니, 그대에게 수레 덮개를 조금만 올리라고 권하네(惟持一榻涼,勸子巾少岸)"라는 구절은 손 저작의 여정을 염려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 13-16구: 어지러운 세상에 대한 안타까움: 과거의 풍류가 사라지고 어지러운 세상이 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며, 두 친구에게 편지를 전하려 하지만 떠나는 손 저작을 막을 수 없음을 안타까워합니다. "이러한 풍류는 이제 다시는 없으니, 티끌과 재와 숯만 날리네(此風那復有,塵土飛灰炭)"라는 구절은 과거의 풍류로운 시대가 지나고 혼탁한 세상이 왔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두 대부에게 부치려 하나, 떠나는 발걸음을 막을 수 없네(欲寄二大夫,發發不可絆)"라는 구절은 전하려던 편지를 전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나타냅니다.

이 시는 이별의 아쉬움과 함께 손 저작의 뛰어남을 칭찬하고, 두 친구에게 안부를 전하며, 어지러운 세상에 대한 안타까움을 복합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손 저작을 훌륭한 인재로 칭찬하고, 어지러운 세상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한 부분은 시의 주제를 더욱 부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범주성남회자오인분운부시득인개약염자사수(泛舟城南會者五人分韻賦詩得人皆若炎字四首)"입니다. 성 남쪽에서 다섯 명이 배를 타고 모여 시를 지었는데, 각자 ‘염(炎)’ 자와 비슷한 운자를 사용하여 네 수의 시를 지었습니다. 이 시는 여름날 배를 타고 노니는 풍경과 술과 음식을 즐기는 모습, 그리고 세상사에 초연하려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각 수마다 조금씩 다른 주제와 분위기를 보여주므로, 나누어 분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제1수:

성 안의 누각들은 물고기 비늘 같고, 맑은 바람이 흰 마름풀에서 일어나는 것을 보지 못하네. 시험 삼아 조계(苕溪)에서 가장 깊은 곳을 고르니, 여전히 우리들 구속받지 않는 사람들을 부르네. 배를 엿보는 들학은 어찌 내려올 줄 모르고, 촛불을 보고 날아드는 벌레만 부질없이 따르네. 성을 둘러싼 연꽃이 천 이랑이니, 누가 알리 6월에 연못 아래 봄이 온 줄을.

  • 분석: 도시의 답답함과 대비되는 자연의 풍경을 묘사하며, 자유로운 모임의 즐거움을 나타냅니다. 연꽃이 만발한 풍경을 통해 여름의 더위 속에서도 봄의 기운을 느끼는 시인의 감각이 돋보입니다.

제2수:

몹시 더운 것은 진실로 어디나 마찬가지임을 아네, 어찌 마땅히 위태롭게 앉아 심재(心齋)를 배우겠는가. 바다 게는 시인과 함께 잡아야 하고, 시냇가 달은 안개와 비에 가려지네. 고향은 흩어져 소식이 끊기고, 형제는 흩어져 강과 회수(淮水) 사이에 떨어져 있네. 마땅히 조계 위에 집을 지어야 하니, 연잎이 문을 가리고 물이 섬돌을 적시네.

  • 분석: 더위를 피하는 방법으로 심재(마음을 비우는 수행)보다는 술과 음식을 즐기는 것을 택하는 시인의 솔직한 모습이 드러납니다. 고향과 형제를 그리워하는 마음과 함께, 자연 속에서 살고 싶은 소망을 표현합니다.

제3수:

자색 게와 농어는 흙처럼 흔하니, 돈을 서로 건네주는 것을 어찌 헤아렸겠는가. 푸른 대통은 때때로 코끼리 코처럼 굽어 있고, 백주에는 연꽃 심의 쓴맛이 조금 스며 있네. 팔을 휘둘러 바람이 일어나는 것을 보니 회 써는 솜씨가 대단하고, 칼을 따라 눈처럼 떨어지는 것을 보니 가는 실처럼 놀랍네. 취한 말을 새로운 시로 짓지 않으니, 배불리 먹었으니 배가 북처럼 부른 것이 부끄럽네.

  • 분석: 풍성한 음식과 술을 즐기는 흥겨운 분위기를 묘사합니다. 특히, 회 써는 모습과 술맛을 생동감 넘치는 표현으로 전달합니다. 마지막 구절에서는 과음과 과식을 경계하는 겸손한 태도를 보여줍니다.

제4수:

다리 위의 유람객은 밤이 늦도록 싫어하지 않고, 함께 물가 난간에 기대어 바람막이 처마에 서 있네. 누각 안에서 술을 끓여 처음으로 가시연밥을 맛보고, 달빛 아래 새 단장한 모습이 반쯤 발 밖으로 나왔네. 남쪽에서 맑게 노니는 것은 안연(顔淵)과 사안(謝安)을 잇는 것이고, 북쪽 창에 돌아와 눕는 것은 복희(伏羲)와 염제(炎帝)와 같네. 인간 세상의 춥고 더운 일은 끝이 없으니, 스스로 거칠고 완고하여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웃네.

  • 분석: 밤늦도록 이어지는 유람의 즐거움을 묘사하며, 역사 속 인물들을 언급하며 자신의 풍류를 고상하게 표현합니다. 마지막 구절에서는 세상의 변화에 초연한 태도를 보이며, 더위를 개의치 않는 자신을 자조적으로 표현합니다.

전체적인 분석:

네 수의 시는 각각 다른 측면을 보여주지만, 여름날의 유람, 술과 음식, 그리고 세상사에 초연하려는 마음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시인들은 더위를 피하기 위해 시원한 곳을 찾아 배를 타고 술과 음식을 즐기며 시를 짓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유흥을 넘어, 자연 속에서 자유를 만끽하고 세상의 번잡함에서 벗어나려는 시인들의 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각 수의 마지막 구절들은 시인의 이러한 태도를 잘 드러냅니다. 또한, 각 수에서 사용된 다양한 비유와 묘사는 시를 더욱 풍성하고 생동감 있게 만들어 줍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차운이공택매화(次韻李公擇梅花)"입니다. 이공택(李公擇)의 매화시(梅花詩)에 차운(次韻, 원시의 운자를 사용하여 화답하는 시)한 작품으로, 매화를 감상하며 이공택을 그리워하고 그의 처지를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가난한 처지와 세상사에 대한 감회도 함께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시인은 본래 가난하니, 한낮이 되도록 배고픔이 아직 가시지 않았네. 우연히 한 번 배불리 먹으면, 세상 만물이 조롱하는 듯하네. 꽃을 찾을 때 운명을 따지지 않고, 눈을 좋아하여 오랫동안 추위를 참네. 하늘이 불쌍히 여기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배부르다는 말을 듣자마자 시끄럽게 떠드네. 그대는 세 고을의 태수를 지냈으니, 가는 곳마다 빈객이 가득했네. 강호(江湖)가 항상 눈앞에 있었고, 시와 술로 호방하게 지냈네. 지금은 사신으로 고생하니, 맑기가 어릉중(於陵仲)과 같네. 길이 다산(茶山) 아래를 그리워하니, 기생을 데리고 봄 제사를 지냈네. 다시 감천정(檻泉亭)을 생각하니, 꽃을 꽂은 구름 같은 머리 모양이 무겁네. 쓸쓸히 잠록(灊麓)에 누워, 봄 새의 지저귐을 시름 속에 듣네. 문득 이른 매화를 보니, 술은 마시지 않고 다만 외로이 시를 읊네. 시를 지어 홀로 나에게 보내니, 글자 하나하나가 더욱 머리를 아프게 하네. 아, 그대는 본래 시중(侍臣)이었으니, 붓통을 차고 황궁을 따랐네. 신발을 벗고 작약시(芍藥詩)를 읊고, 조서에 따라 운몽(雲夢)의 부(賦)를 지었네. 누가 이 유랑 생활을 위로하리, 아름다운 꽃은 하늘이 심어준 것이네. 술잔을 기울여 피리 속에서 시를 읊고, 모자를 떨치며 과일나무 아래에서 말을 타네. 세상일을 느끼니 객지 생활을 잊으니, 이러한 마음은 우리 무리 모두가 함께 하네. 고향 또한 무엇이 있겠는가, 오동나무에 봉황 새끼가 모이네. 그대 또한 광려산(匡廬山)을 생각하니, 돌아가 서책을 감춘 동굴을 쓸고 싶어 하네. 언제 이 꽃을 심어, 각자 한음(漢陰)의 항아리를 안을까.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이공택의 현재 처지에 대한 안타까움과 그리움, 자신의 가난한 처지와 세상사에 대한 감회, 그리고 매화를 통한 교감이라는 여러 주제를 담고 있습니다.

  • 1-6구: 시인의 가난과 세상사: 시인의 가난한 처지와 세상사에 대한 불만을 토로합니다. 가난한 시인의 삶과 달리 이공택은 과거 화려한 생활을 누렸음을 대비시켜 그의 현재 처지를 더욱 부각합니다. "시인은 본래 가난하니(詩人固長貧)"라는 구절은 시인의 고질적인 가난을 나타냅니다. "하늘이 불쌍히 여기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배부르다는 말을 듣자마자 시끄럽게 떠드네(天公非不憐,聽飽即喧鬨)"라는 구절은 세상의 속됨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해석됩니다.
  • 7-12구: 이공택의 과거와 현재: 이공택의 과거 화려했던 모습과 현재 고생하는 모습을 대비시켜 안타까움을 표현합니다. 과거 세 고을의 태수를 지내고 시와 술을 즐겼던 모습과, 현재 사신으로 고생하며 시름에 잠긴 모습을 대비적으로 보여줍니다. 특히, "지금은 사신으로 고생하니, 맑기가 어릉중과 같네(奉使今折磨,清比於陵仲)"라는 구절은 이공택의 고결한 인품을 칭찬하면서도 그의 어려운 상황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동시에 드러냅니다.
  • 13-18구: 이공택에 대한 그리움과 교감: 이공택을 그리워하며 그의 시를 통해 교감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이공택이 보낸 시를 읽고 더욱 마음이 아팠다는 표현을 통해 그의 고통을 함께 느끼는 시인의 마음을 전달합니다. "시를 지어 홀로 나에게 보내니, 글자 하나하나가 더욱 머리를 아프게 하네(詩成獨寄我,字字愈頭痛)"라는 구절은 이공택의 시가 담고 있는 고뇌와 슬픔이 시인에게까지 전달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19-24구: 이공택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위로: 이공택의 과거 화려했던 관직 생활과 현재의 유랑 생활을 대비시키며 그를 위로합니다. 과거 황궁에서 시를 짓던 모습과 현재 객지에서 술잔을 기울이며 시를 읊는 모습을 대비적으로 보여줍니다. "누가 이 유랑 생활을 위로하리, 아름다운 꽃은 하늘이 심어준 것이네(何人慰流落,嘉蘤天為種)"라는 구절은 이공택의 처지를 안타까워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으로 그의 마음을 위로하려는 시인의 마음을 보여줍니다.
  • 25-28구: 함께 고향을 그리워하며 미래를 기약: 이공택과 함께 고향을 그리워하며 언젠가 다시 만나 매화를 함께 감상할 날을 기약합니다. 고향의 풍경을 묘사하고, 함께 매화를 심고 싶다는 소망을 표현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언제 이 꽃을 심어, 각자 한음의 항아리를 안을까(何當種此花,各抱漢陰罋)"라는 구절은 함께 매화를 심고 술을 마시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싶다는 소망을 나타냅니다. '한음의 항아리(漢陰罋)'는 술을 담는 항아리를 의미하며, 함께 술을 마시며 시를 읊고 싶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이 시는 이공택에 대한 깊은 우정과 그의 처지에 대한 안타까움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자신의 처지와 세상사에 대한 감회 또한 함께 담아내고 있습니다. 특히, 과거와 현재를 대비시키는 방식을 통해 시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화를 통해 이공택과 교감하고 미래를 기약하는 모습은 시에 서정적인 분위기를 더합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송연사귀경산(送淵師歸徑山)"입니다. 연 스님(淵師)이 경산(徑山)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며 지은 시로, 과거 자신이 경산에 머물렀던 기억을 회상하고, 연 스님의 수행을 칭송하며, 자신의 현재 상황을 겸손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경산의 시원한 여름 풍경과 모기가 없는 특징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내가 예전에 경산의 나그네였던 적이 있어, 지금까지 시의 필치에 산의 풍경이 남아 있네. 스님은 이 산에 삼십 년을 머무르셨으니, 묘한 말씀은 모름지기 산의 정수를 얻었을 것이네. 계곡의 성은 유월에 물과 구름이 찌는 듯 더운데, 날아다니는 모기는 사나운 매와 같네. 스님의 방장은 얼음처럼 차갑고, 등잔의 기름은 흔들리지 않고 항상 밝으니 부럽네. 산속의 옛 친구들이 내가 온 것을 알고, 다투어 와서 지금 어떠한지 묻네. 백 가지 일이 남만 못하다고 말하니, 두 눈은 오히려 작은 글씨를 쓸 수 있네.

[경산에는 여름에 모기가 없다. 내가 예전에 지은 시에 이르기를, 용에게 물을 빌려 눈을 씻어, 작은 글씨를 보며 남은 해를 보내려 한다고 하였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과거의 회상, 연 스님에 대한 칭송, 자신의 현재 상황, 그리고 경산의 특징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2구: 과거의 회상: 과거 자신이 경산에 머물렀던 기억을 회상하며 시를 시작합니다. "내가 예전에 경산의 나그네였던 적이 있어, 지금까지 시의 필치에 산의 풍경이 남아 있네(我昔嘗為徑山客,至今詩筆餘山色)"라는 구절은 과거 경산에서의 경험이 시인의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나타냅니다. "스님은 이 산에 삼십 년을 머무르셨으니, 묘한 말씀은 모름지기 산의 정수를 얻었을 것이네(師住此山三十年,妙語應須得山骨)"라는 구절은 오랜 시간 동안 경산에서 수행한 연 스님의 깊은 깨달음을 칭송하는 내용입니다.
  • 3-4구: 연 스님에 대한 칭송과 경산의 시원함: 더운 여름 날씨와 대비되는 경산의 시원한 풍경과 연 스님의 고결한 수행을 묘사합니다. "계곡의 성은 유월에 물과 구름이 찌는 듯 더운데, 날아다니는 모기는 사나운 매와 같네(溪城六月水雲蒸,飛蚊猛捷如花鷹)"라는 구절은 바깥의 더위를 생동감 있게 묘사하여 경산의 시원함을 더욱 부각하는 역할을 합니다. "스님의 방장은 얼음처럼 차갑고, 등잔의 기름은 흔들리지 않고 항상 밝으니 부럽네(羨師方丈冰雪冷,蘭膏不動長明燈)"라는 구절은 연 스님의 고요하고 청정한 수행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얼음처럼 차갑다(冰雪冷)'는 표현은 외부의 더위와 단절된 고요한 수행 환경을 의미하며, '등잔의 기름이 흔들리지 않고 항상 밝다(蘭膏不動長明燈)'는 표현은 흔들림 없는 연 스님의 정신 상태를 의미합니다.
  • 5-6구: 자신의 현재 상황: 산속의 옛 친구들과의 만남과 자신의 현재 상황을 겸손하게 드러냅니다. "산속의 옛 친구들이 내가 온 것을 알고, 다투어 와서 지금 어떠한지 묻네(山中故人知我至,爭來問訊今何似)"라는 구절은 옛 친구들과의 재회를 그리는 장면입니다. "백 가지 일이 남만 못하다고 말하니, 두 눈은 오히려 작은 글씨를 쓸 수 있네(為言百事不如人,兩眼猶能書細字)"라는 구절은 자신의 현재 상황을 겸손하게 표현한 것입니다. 모든 면에서 남들보다 못하지만, 아직 글을 쓸 수 있을 정도로 건강하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추기]: 경산의 특징: 시의 말미에는 경산의 특징을 추가적으로 설명합니다. "경산에는 여름에 모기가 없다(徑山夏無蚊)"는 사실을 강조하고, 과거에 지었던 시를 인용하여 자신의 시력이 예전 같지 않음을 암시합니다. 이는 앞서 3-4구에서 묘사되었던 경산의 시원한 환경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연 스님을 전송하는 시이지만, 과거 경산에서의 추억을 회상하고, 연 스님의 수행을 칭송하며, 자신의 현재 상황을 겸손하게 드러내는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경산의 시원한 여름 풍경과 모기가 없는 특징을 강조한 부분은 시의 분위기를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또한, 마지막에 추가된 설명을 통해 시의 내용을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송표충관전도사귀항(送表忠觀錢道士歸杭)"입니다. 표충관(表忠觀)에 있던 전 도사(錢道士)가 항주(杭州)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며 지은 시로, 선왕(先王)의 덕을 기리고, 현실의 부조리함을 비판하며, 전 도사의 처지를 안타까워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선왕의 옛 덕은 백성들의 마음에 있으니, 명령을 내려 충성을 칭송함은 임금의 뜻이 깊네. 눈물을 흘리며 회계사(會稽祠) 아래를 바라보니, 이름을 걸고 다투어 비석 뒤에 새기려 하네. 쓸쓸한 허물어진 집에는 먼지가 자리에 쌓여 있고, 초췌한 후손은 눈이 가득한 비녀를 꽂았네. 뭇 호걸들이 곽해(郭解)를 용납하지 않음을 믿지 못했는데, 도리어 다른 고을에서 천금을 베푸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선왕의 덕, 현실의 부조리, 전 도사의 처지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2구: 선왕의 덕과 충성 숭상: 선왕의 덕을 기리고 충성을 숭상하는 조정의 정책을 언급하며 시를 시작합니다. "선왕의 옛 덕은 백성들의 마음에 있으니, 명령을 내려 충성을 칭송함은 임금의 뜻이 깊네(先王舊德在民心,著令稱忠上意深)"라는 구절은 선왕의 덕이 백성들에게 깊이 뿌리내려 있으며, 조정에서는 이러한 선왕의 뜻을 기려 충성을 장려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눈물을 흘리며 회계사 아래를 바라보니, 이름을 걸고 다투어 비석 뒤에 새기려 하네(墮淚行看會祠下,挂名爭欲刻碑陰)"라는 구절은 회계사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이름을 비석에 새기려고 다투는 모습을 묘사하며, 명예를 탐하는 세태를 비판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회계사는 순 임금을 모시는 사당으로, 예로부터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졌습니다.
  • 3-4구: 전 도사의 처지와 현실 비판: 전 도사의 쓸쓸한 처지를 묘사하며 현실의 부조리함을 비판합니다. "쓸쓸한 허물어진 집에는 먼지가 자리에 쌓여 있고, 초췌한 후손은 눈이 가득한 비녀를 꽂았네(淒涼破屋塵凝座,憔悴雲孫雪滿簪)"라는 구절은 전 도사의 가난하고 외로운 처지를 보여줍니다. '허물어진 집(破屋)'과 '먼지 쌓인 자리(塵凝座)', '초췌한 후손(憔悴雲孫)', '눈이 가득한 비녀(雪滿簪)' 등의 표현을 통해 그의 쓸쓸한 모습을 더욱 강조합니다. "뭇 호걸들이 곽해를 용납하지 않음을 믿지 못했는데, 도리어 다른 고을에서 천금을 베푸네(未信諸豪容郭解,却從他縣施千金)"라는 구절은 현실의 부조리함을 비판하는 내용입니다. 곽해는 한나라 시대의 협객으로, 의협심이 강했지만 법을 어기기도 했습니다. 이 구절은 조정에서 충성을 칭송하면서도 실제로는 불의한 자들에게 관대함을 비판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즉, 충성을 외치면서도 진정으로 어려운 사람들을 돌보지 않는 현실을 꼬집는 것입니다. '다른 고을에서 천금을 베푼다(却從他縣施千金)'는 표현은 조정에서 마땅히 도와야 할 사람들을 외면하고 다른 곳에 돈을 쓰는 현실을 비판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 시는 선왕의 덕을 기리는 것으로 시작하지만, 결국 현실의 부조리함과 전 도사의 안타까운 처지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특히, 4구에서 곽해를 언급하며 현실을 비판하는 부분은 시의 주제를 더욱 명확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대조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강조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2구에서는 숭고한 충성과 명예를 탐하는 세태를 대조하고, 3-4구에서는 전 도사의 비참한 현실과 부정한 세력을 비판하는 내용을 대조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러한 대조를 통해 시인은 현실의 모순을 더욱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차운주개조장관견기(次韻周開祖長官見寄)"입니다. 주개조(周開祖) 장관이 보내온 시에 차운(次韻, 원시의 운자를 사용하여 화답하는 시)한 작품으로, 여러 지역을 돌아다닌 자신의 경험과 주개조의 상황을 언급하며 세상살이의 어려움과 우정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의 즐거웠던 기억을 회상하며 미래를 기약하는 내용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크게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겪은 경험과 세상살이의 어려움, 둘째는 주개조의 상황에 대한 공감과 위로, 셋째는 과거의 즐거웠던 기억을 회상하며 미래를 기약하는 것입니다.

구절별 분석:

  • 1-4구: 여러 지역을 돌아다닌 경험: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겪은 경험을 회상하며 시를 시작합니다. "여러 고을을 오르내리며 여러 해를 보냈으니, 여러 갈림길에서 늙었으니 어찌 배우만 하겠는가(俯仰東西閱數州,老於歧路豈伶優)"라는 구절은 오랜 세월 동안 여러 곳을 전전한 자신의 삶을 간략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처음에는 원로들이 사또의 덕을 칭송하는 것을 들었고, 이내 아이들이 태수를 맞이하는 것을 보았네(初聞父老推謝令,旋見兒童迎細侯)"라는 구절은 관리의 교체를 목격하며 세상의 변화를 느꼈음을 나타냅니다.
  • 5-8구: 관리로서의 어려움과 현실 비판: 관리로서 겪는 어려움과 현실의 부조리함을 토로합니다. "해마다 정치의 부족함으로 수재와 한재를 빌었고, 곳곳에서 백성들은 비방의 노래를 피했네(政拙年年祈水旱,民勞處處避嘲謳)"라는 구절은 관리로서 백성들을 제대로 돌보지 못한 것에 대한 자책과 함께,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하는 현실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황하가 넓은 들을 삼키니 어찌 막을 수 있으며, 도둑이 몽산에 들어가니 쉽게 수색하기 어렵네(河吞巨野那容塞,盜入蒙山不易搜)"라는 구절은 자연재해와 도적의 창궐을 막기 어려운 현실을 나타냅니다.
  • 9-12구: 이상과 현실의 괴리: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서 오는 괴로움을 표현합니다. "벼슬길은 진실로 공자와 맹자에게 부끄러워해야 마땅하고, 기울어지는 것을 붙잡는 것은 구유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네(仕道固應慚孔孟,扶顛未可責求由)"라는 구절은 이상적인 정치와 현실 정치의 괴리에서 오는 괴로움을 나타냅니다. "점점 전원생활을 꾀하면서도 오히려 녹봉을 생각하고, 풍파를 벗어나지 못하고 우선 물가에 머무르네(漸謀田舍猶懷祿,未脫風濤且傍洲)"라는 구절은 전원생활을 동경하면서도 현실적인 이유로 벼슬을 완전히 버리지 못하는 자신의 상황을 나타냅니다. "의지할 곳 없어 가련한 것은 진실로 집 잃은 개와 같고, 때때로 서로 부딪치는 것은 텅 빈 배와 같네(罔罔可憐真喪狗,時時相觸是虛舟)"라는 구절은 불안하고 의지할 곳 없는 자신의 처지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제 진택에 오니 모두 꿈과 같고, 오직 조계에 있는 누각에 기댈 만하네(朅來震澤都如夢,只有苕溪可倚樓)"라는 구절은 여러 곳을 전전한 끝에 조계에 정착하게 된 자신의 상황을 나타냅니다.
  • 13-16구: 조계에서의 생활과 과거 회상: 조계에서의 생활과 과거의 즐거웠던 기억을 회상합니다. "집에서 빚은 술은 달콤하고 시큼함이 꿀물과 같고, 악공은 흩어져 떨어지니 바람에 흩날리는 질그릇과 같네(齋釀酸甜如蜜水,樂工零落似風甌)"라는 구절은 조용한 생활을 묘사합니다. "멀리 안회(顔回)와 유하혜(柳下惠) 및 여러 사씨(謝氏)를 생각하고, 가까이는 장자야(張子野), 진영거(陳令舉)와 노류효숙(老劉孝叔)을 생각하네(遠思顏柳并諸謝,近憶張[子野]陳[令舉]與老劉[孝叔])"라는 구절은 과거 함께 교류했던 사람들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 17-20구: 자연 풍경 묘사 및 주개조와의 우정: 조계의 자연 풍경을 묘사하고 주개조와의 우정을 강조합니다. "바람이 멎으니 창문에 표범 발자국이 날리고, 비가 그치니 난간에 달팽이가 올라 있네(風定軒窗飛豹腳,雨餘欄檻上蝸牛)"라는 구절은 조계의 평화로운 풍경을 묘사합니다. "예전에 함께 놀던 곳은 모두 이끼가 끼어 있고, 같은 해에 과거에 급제한 사람 중 오직 그대만 오히려 검은 머리이네(舊遊到處皆蒼蘚,同甲惟君尚黑頭)"라는 구절은 함께 과거를 보았던 주개조와의 오랜 우정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 21-24구: 과거의 즐거웠던 기억 회상: 과거 함께 호수를 유람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던 기억을 회상합니다. "옛날 호수와 산에서 함께 명승지를 찾았으니, 술잔을 마주하고 두려움을 모두 잊었네(憶昔湖山共尋勝,相逢杯酒兩忘憂)"라는 구절은 과거의 즐거웠던 시간을 회상하는 부분입니다. "취하여 매화와 눈의 맑은 향기를 보고, 밤에 바람 부는 배를 저으니 놀라 땀을 흘렸네(醉看梅雪清香過,夜棹風船駭汗流)"라는 구절은 당시의 생생했던 경험을 묘사합니다. "백 편의 시를 함께 지어 산상집을 이루었고, 세 사람이 함께 달빛 아래에서 노닐었네(百首共成山上集,三人俱作月中游)"라는 구절은 함께 시를 지으며 우정을 나누었던 과거를 회상하는 내용입니다.
  • 25-28구: 미래를 기약하며 시를 마무리: 주개조와의 재회를 기약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해남에서 하늘을 덮는 날개를 펼치지 못했으니, 시냇가 아래에서 여전히 작은 은혜에 의지하네(海南未起垂天翼,澗底仍依徑寸庥)"라는 구절은 아직 뜻을 펼치지 못한 자신의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미 가을바람이 나를 지나 돌아오도록 허락하였으니, 시의 필치가 늙어 갚기 어려울까 미리 걱정하네(已許秋風歸過我,預憂詩筆老難醻)"라는 구절은 주개조와의 재회를 기대하는 마음과 함께, 늙어 시를 제대로 쓸 수 없을까 걱정하는 마음을 동시에 나타냅니다. "이 세상의 세월은 흘러 덧없으니, 만년의 공명 또한 아득하네(此生歲月行飄忽,晚節功名亦繆悠)"라는 구절은 인생의 무상함을 탄식하는 내용입니다. "서수(犀首)는 바로 일이 없어 술을 마셨고, 풍환(馮驩)은 바로 물고기가 있어 머물렀네(犀首正緣無事飲,馮驩應為有魚留)"라는 구절은 고사를 인용하여 자신의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제부터 청주(青州)의 누룩을 밟으니, 박주를 마시며 그대가 독우(督郵)를 비웃는 것을 아네(從今便踏青州麴,薄酒知君笑督郵)"라는 구절은 주개조와 다시 만나 술을 마시며 즐거운 시간을 보낼 것을 기약하는 내용으로, 시를 마무리합니다.

이 시는 주개조에게 보내는 화답시이지만, 자신의 인생 경험과 감회를 솔직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또한, 주개조와의 우정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임자중이시기문여가급여여가기몰추화기운(林子中以詩寄文與可及余與可既歿追和其韻)"입니다. 임자중(林子中)이 문여가(文與可)와 자신에게 시를 보내왔는데, 문여가가 이미 죽은 후 그 운에 따라 화답한 시입니다. 이 시는 문여가의 죽음을 애도하고 그의 재능을 기리며, 세상의 부조리함과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문여가의 죽음에 대한 애도, 그의 재능에 대한 찬양, 세상의 부조리함에 대한 비판, 그리고 자신의 처지에 대한 한탄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 1-4구: 세상의 부조리함: 세상 사람들이 인재를 제대로 알아보지 못하고 함부로 대하는 현실을 비판합니다. "이 사람은 세상에서 매우 싫어하여, 던져 버려도 매번 받아주지 않네. 잠시라도 머무르게 하려 하면, 빼앗아 갈까 봐 오직 두려워하네(斯人所甚厭,投畀每不受。欲其少須臾,奪去惟恐後)"라는 구절은 세상 사람들이 문여가와 같은 인재를 질투하고 시기하여 제대로 평가하지 않는 현실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해석됩니다. "누가 이 직책을 맡았는지 물으니, 아마 또한 임시로 지키는 것일 뿐이네. 재능에는 크고 작음이 있으니, 섬과 말과 다름이 없네(云誰尸此職,無乃亦假守。賦才有巨細,無異斛與斗)"라는 구절은 재능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세상 사람들이 재능의 크고 작음에 따라 사람을 차별하는 것을 비판하는 내용입니다.
  • 5-8구: 운명과 세상의 변화: 운명에 따라 흥망성쇠가 바뀌는 세상의 이치를 이야기합니다. "어찌 그 분수를 편안히 하지 않고, 다만 사물에 이끌리는 것을 듣는가. 때가 오면 각자 날아 움직이니, 뜻이 맞으면 아름다움과 추함이 없네(胡不安其分,但聽物所誘。時來各飛動,意合無妍醜)"라는 구절은 운명에 따라 세상일이 변화하는 이치를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앉아서 닭이 수레에 깃들이게 하니, 오랫동안 주백후(朱伯厚)를 싣네. 평생 한 번의 여행도 없었는데, 죽자 만인의 입에 오르내리네(坐令雞栖車,長載朱伯厚。平生無一旅,既死咤萬口)"라는 구절은 생전에는 주목받지 못하다가 죽은 후에야 세상에 알려지는 사람들의 운명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주백후는 후한 시대의 은사로, 벼슬하지 않고 집에서만 지냈다고 합니다.
  • 9-12구: 문여가의 죽음에 대한 애도: 문여가의 죽음을 애도하며 그와의 이별을 안타까워합니다. "문여가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자, 가슴속에 언덕이 생기네. 끊어질 듯한 마음을 짐작하니, 반드시 나와 한 손을 잡으려 했을 것이네(自聞與可亡,胸臆生堆阜。懸知臨絕意,要我一執手)"라는 구절은 문여가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서로 바라보는 것이 오백 리이니, 어찌 그 창문에서 스스로 볼 수 있으랴. 남긴 글은 후세의 현자에게 맡기고, 뒷일은 여러 친구들에게 맡기네(相望五百里,安得自其牖。遺文付來哲,後事待諸友)"라는 구절은 멀리 떨어져 있어 문여가의 임종을 지키지 못한 안타까움을 나타냅니다.
  • 13-16구: 세상의 냉담함과 문여가의 재능: 세상의 냉담함을 한탄하며 문여가의 뛰어난 재능을 칭찬합니다. "외로운 기소(嵇紹)의 외로움과, 늙고 병든 맹광(孟光)의 짝과 같네. 세상 사람들은 천한 눈으로 보니, 다투어 천금짜리 비를 비웃네(伶俜嵇紹孤,老病孟光偶。世人賤目見,爭笑千金帚)"라는 구절은 세상 사람들이 문여가의 가치를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안타까워하는 내용입니다. 기소는 진나라의 충신으로, 외롭게 죽임을 당했고, 맹광은 양홍의 아내로, 가난하게 살았습니다. '천금짜리 비(千金帚)'는 귀한 것을 하찮게 여기는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그대의 시는 초나라의 사(辭)와 같으니, 아는 사람은 마땅히 취할 바가 있을 것이네. 다만 먹으로 그린 대나무만 좋아하는 것을, 이 탄식은 내가 이미 오래되었네(君詩與楚詞,識者當有取。但知愛墨竹,此歎吾已久)"라는 구절은 문여가의 뛰어난 시 재능을 칭찬하는 내용입니다. 특히, 그의 그림 실력, 특히 대나무 그림 실력이 뛰어났음을 언급합니다.
  • 17-20구: 옛 친구들에 대한 그리움과 자신의 처지: 옛 친구들을 그리워하며 자신의 외로운 처지를 한탄합니다. "옛 친구들은 대부분 높은 벼슬을 하였으니, 능히 다시 그대를 슬퍼할 수 있을까. 임(林)과 소(蘇)를 보지 못하니, 굶주림과 추위 속에서 스스로 바삐 돌아다니네(故人多厚祿,能復哀君否。不見林與蘇,飢寒自奔走)"라는 구절은 높은 벼슬을 한 옛 친구들과 달리 자신은 여전히 가난하고 외롭게 지내는 현실을 한탄하는 내용입니다. 여기서 '임(林)'은 임자중을, '소(蘇)'는 자신을 가리킵니다.

이 시는 문여가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이지만, 세상의 부조리함과 자신의 외로운 처지를 함께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문여가의 재능을 칭찬하고 그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한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역사적 인물과 고사를 인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여왕랑곤중급아자매요성관하화등현산정만입비영사분운득월명성희사수(與王郎昆仲及兒子邁繞城觀荷花登峴山亭晚入飛英寺分韻得月明星稀四首)"입니다. 왕씨 형제와 아들 소매(蘇邁)와 함께 성을 돌아 연꽃을 감상하고 현산(峴山) 정자에 올라 저녁에 비영사(飛英寺)에 들어가 시를 지었는데, ‘월명성희(月明星稀)’라는 운자를 얻어 네 수의 시를 지었습니다. 이 시는 여름날의 풍경을 묘사하며 자연을 즐기는 모습과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여름날의 풍경 묘사, 자연을 즐기는 모습, 인생의 무상함과 허무함, 그리고 친구들과의 우정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제1수:

어젯밤에는 비가 도랑에서 울더니, 새벽에는 바람이 달을 스치네. 쓸쓸히 가을의 기운이 느껴지니, 시냇물은 맑아 마실 만하네. 성을 둘러싼 삼십 리에, 곳곳이 모두 아름답고 뛰어나네. 부들과 연꽃이 넓은 바다 같으니, 때때로 조각배 한 잎이 보이네. 이곳은 진실로 세상을 피할 만하니, 푸른 도롱이에 백발을 드리우네. 서로 만나 묻고자 하였으나, 이미 놀란 갈매기를 쫓아 사라졌네.

  • 분석: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계절의 변화를 감각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맑은 시냇물과 넓은 연꽃밭의 풍경은 시원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마지막 구절에서는 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서 은거하는 삶을 동경하는 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제2수:

맑은 바람은 정녕 무엇이기에, 사랑스럽지만 이름 붙일 수 없네. 이르는 곳마다 군자와 같으니, 초목에도 아름다운 소리가 있네. 내가 가는 것은 본래 아무 일이 없으니, 외로운 배는 비스듬히 가도록 맡기네. 흐르는 물 가운데에서 몸을 맡기니, 마침 바람과 서로 마주치네. 술잔을 들어 넓고 아득한 하늘에 바치니, 이 무정함을 즐기네. 돌아오니 두 시냇물 사이로, 밤에 구름과 물이 스스로 밝네.

  • 분석: 자연의 섭리와 조화 속에서 느끼는 즐거움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바람을 군자에 비유한 표현이 인상적입니다. 흐르는 물에 배를 맡기고 바람을 맞이하는 모습은 자연에 순응하는 삶의 태도를 보여줍니다.

제3수:

조수(苕水)는 한수(漢水)와 같으니, 비늘처럼 푸른 오리 머리 빛이네. 오흥(吳興)은 양양(襄陽)보다 뛰어나니, 수많은 기와가 푸른 하늘에 떠 있네. 나는 양숙자(羊叔子)가 아니니, 이 현산 정자에 부끄럽네. 슬프고 상심하는 뜻은 같지만, 세월은 흐르는 별과 같네. 나를 따라온 두 아들은, 높은 기러기 깃털을 꽂았네. 담배(湛輩)는 족히 말할 것이 없으니, 마땅히 덕으로 자신을 새겨야 하네.

  • 분석: 조계의 풍경을 한수와 비교하며 아름다움을 칭송하고 있습니다. 양숙자의 고사를 인용하여 자신의 부족함을 겸손하게 표현하면서도,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아들들에게는 덕을 쌓을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제4수:

관리와 백성들은 나의 게으름을 가엾이 여기니, 송사는 날마다 줄어드네. 능히 아무 일 없이 술을 마실 수 있으니, 밤늦도록 돌아오지 않아도 되네. 다시 비영사를 찾아 노니, 이 짧은 시간을 다하려 하네. 종을 치니 발소리가 모이고, 구름과 산의 옷이 뒤집히네. 내가 오는 것은 정해진 때가 없으니, 지팡이와 신발로 스스로 문을 여네. 사또로 보지 마시오, 겉은 같아 보이지만 속은 이미 다르니.

  • 분석: 평화로운 일상과 자유로운 생활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비영사에서의 유유자적한 시간을 보내는 모습과, 세상의 명리에 초연한 태도를 보여줍니다. 마지막 구절에서는 외면적인 모습은 예전과 같아 보일지라도 내면적으로는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여름날의 풍경을 배경으로 하여 자연을 즐기는 모습과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 수에서 사용된 비유와 묘사는 시의 분위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줍니다. 예를 들어, 연꽃밭을 바다에 비유하거나, 바람을 군자에 비유한 표현은 독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또한, 양숙자의 고사를 인용하거나 아들들에게 덕을 강조하는 부분에서는 시인의 교훈적인 면모를 엿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상의 명리에 초연하고 자연 속에서 자유롭게 살고자 하는 시인의 마음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성남현위수정득장자(城南縣尉水亭得長字)"입니다. 성 남쪽 현위(縣尉)의 물가 정자에서 ‘장(長)’이라는 운자를 얻어 지은 시로, 물가 정자의 풍경을 묘사하며 한가로운 정취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처지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도 함께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물가 정자의 풍경 묘사, 한가로운 정취,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 1-2구: 정자의 위치: 정자의 위치를 간략하게 설명하며 시를 시작합니다. "두 곳의 답답함을 서로 위로하며 바라보니, 동남쪽 백 보 되는 곳이네. 깃발을 꽂은 것은 포류 시장이고, 북을 치는 것은 물과 구름의 고을이네(兩慰欝相望,東南百步場。插旗蒲柳市,伐鼓水雲鄉)"라는 구절은 정자가 성의 동남쪽, 시장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포류(蒲柳)'는 버드나무를 의미하며, 시장 근처에 버드나무가 많이 심어져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물과 구름의 고을(水雲鄉)'은 물가에 위치한 정자의 특징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 3-4구: 정자의 용도와 주변 풍경: 정자의 용도와 주변 풍경을 묘사합니다. "이미 물고기를 보는 난간을 만들었고, 여전히 오리를 쏘는 집을 열었네. 온 가족이 그림 같은 배에 의지하니, 눈에 가득한 것은 어지러운 붉은 단장이네(已作觀魚檻,仍開射鴨堂。全家依畫舫,極目亂紅妝)"라는 구절은 정자가 물고기를 구경하거나 오리를 사냥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음을 나타냅니다. '그림 같은 배(畫舫)'는 화려하게 장식된 배를 의미하며, 정자 주변의 풍경이 매우 아름다웠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어지러운 붉은 단장(亂紅妝)'은 붉은 꽃이나 단풍 등을 의미하며, 화려한 주변 풍경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 5-6구: 물가 풍경과 자신의 모습: 물가의 풍경과 그곳에서 한가롭게 시간을 보내는 자신의 모습을 묘사합니다. "넘실거리는 물결은 잔잔하고, 성긴 빗방울은 길게 내리네. 내가 와서 한가로이 발을 씻으니, 시냇물이 불어나 평상을 띄울 듯하네(瀲瀲波頭細,疏疏雨腳長。我來閑濯足,溪漲欲浮牀)"라는 구절은 물가의 한적하고 평화로운 풍경을 묘사합니다. '발을 씻는다(濯足)'는 행위는 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7-8구: 주변 지형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 주변 지형을 설명하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냅니다. "늪지대는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외로운 성은 물 그림자 곁에 있네. 돌아갈 곳을 알고자 하니, 갈대밭 밖에서 바람에 흔들리는 돛대 소리를 듣네(澤國山圍裏,孤城水影傍。欲知歸路處,葦外聽風檣)"라는 구절은 정자가 늪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음을 나타냅니다. '돌아갈 곳(歸路)'은 고향을 의미하며, 마지막 구절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갈대밭 밖에서 바람에 흔들리는 돛대 소리(葦外聽風檣)'는 고향으로 돌아가는 배의 모습을 상상하게 하는 표현입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물가 정자의 풍경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한가로운 정취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물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의 분위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넘실거리는 물결(瀲瀲波頭)', '성긴 빗방울(疏疏雨腳)', '시냇물이 불어나 평상을 띄울 듯하다(溪漲欲浮牀)', '물 그림자(水影)' 등의 표현은 물가의 풍경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또한, 마지막 구절에서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내어 시에 여운을 남기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 시는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며 고향을 그리워하는 시인의 마음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여호사부유법화산(與胡祠部游法華山)"입니다. 호사부(胡祠部)와 함께 법화산(法華山)을 유람하며 지은 시로, 산의 아름다운 풍경과 유람의 즐거움을 묘사하고, 자신의 처지와 감회를 함께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법화산의 풍경 묘사, 유람의 즐거움, 인생의 무상함과 자신의 처지, 그리고 친구와의 우정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 1-4구: 산의 풍경과 샘물: 산의 웅장한 모습과 맑은 샘물을 묘사하며 시를 시작합니다. "못과 호수가 다하려 할 때 산이 경계를 이루니, 비로소 차가운 샘물이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것을 보네. 도인이 아직 샘물을 산에서 내보내지 않았는데, 구불구불한 빈 집으로 맑고 시원하게 쏟아지네(陂湖欲盡山為界,始見寒泉落高派。道人未放泉出山,曲折虛堂瀉清快)"라는 구절은 산의 웅장함과 샘물의 시원함을 대비시켜 표현하고 있습니다. '도인(道人)'은 산에 사는 수행자를 의미하며, 샘물을 관리하는 사람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5-8구: 유람의 즐거움: 호사부와 함께 배를 타고 즐겁게 노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사또는 나이가 들어서도 오히려 아이처럼 노니, 푸른 배와 붉은 배가 물결 위에서 춤추듯 움직이네. 한 번 웃으며 술잔을 엎지르니 물이 치마에 튀고, 남은 흥취로 발을 씻으니 물결이 좁은 곳에서 일어나는구나(使君年老尚兒戲,綠棹紅船舞澎湃。一笑翻杯水濺裙,餘歡濯足波生隘)"라는 구절은 유쾌하고 즐거운 유람 분위기를 잘 나타냅니다. '사또(使君)'는 호사부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입니다.
  • 9-12구: 산의 웅장한 풍경: 산의 웅장한 풍경을 더욱 구체적으로 묘사합니다. "키 큰 소나무는 하늘을 찌르듯 용이 일어선 듯하고, 늙은 등나무는 골짜기에 거꾸로 매달려 구름이 무너지듯 하네. 우러러 빽빽한 곳을 뚫으니 맑고 탁 트인 곳을 얻고, 한 번 바라보니 진택이 이상하구나 탄식하네(長松攙天龍起立,蒼藤倒谷雲崩壞。仰穿蒙密得清曠,一覽震澤吁可怪)"라는 구절은 소나무와 등나무, 구름 등의 이미지를 통해 산의 웅장하고 변화무쌍한 모습을 생동감 넘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진택(震澤)'은 넓은 호수를 의미하며, 산에서 내려다본 탁 트인 풍경을 나타냅니다. "누가 사만팔천 경이라고 하였나, 아득히 동쪽 끝까지 해가 비추네(誰云四萬八千頃,渺渺東盡日所曬)"라는 구절은 진택의 넓이를 과장되게 표현한 것으로, 그만큼 탁 트인 시야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13-16구: 귀갓길과 자신의 처지: 귀갓길의 풍경과 자신의 처지를 대비시켜 표현합니다. "돌아오는 길 십 리에 온통 바람에 흔들리는 연꽃이니, 맑은 노래 한 소리에 이슬 맞은 부추 소리가 들리네. [이날, 악공 중에 이런 소리를 내는 사람이 있었다.] 아, 나는 어릴 때부터 은거하는 것을 흠모하였는데, 백발에 푸른 옷을 입은 것은 하늘이 내게 씌운 형벌이네(歸塗十里盡風荷,清唱一聲聞露薤。[是日,樂工有作此聲者。]嗟余少小慕真隱,白髮青衫天所械)"라는 구절은 아름다운 귀갓길 풍경과 대비되는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내용입니다. '백발에 푸른 옷(白髮青衫)'은 늙고 지친 관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표현입니다.
  • 17-20구: 친구와의 만남과 시의 마무리: 호사부와의 만남을 기뻐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갑자기 훌륭한 선비와 명산을 만나니, 마른 버드나무가 갑자기 말의 부스럼이 된 것과 무엇이 다르랴. 그대는 오히려 난새와 학이 우연히 날아 떨어진 것 같으니, 여섯 날개가 구름과 같으니 어찌 오래도록 단련하랴. 이 유람을 새로운 시로 기록하지 않는다면, 산중의 맑고 깨끗한 빚을 저버릴까 두렵네(忽逢佳士與名山,何異枯楊便馬疥。君猶鸞鶴偶飄墮,六翮如雲豈長鍛。不將新句紀茲遊,恐負山中清淨債)"라는 구절은 호사부를 높이 평가하며 그와의 만남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마른 버드나무가 말의 부스럼이 된 것(枯楊便馬疥)'은 뜻밖의 행운을 얻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난새와 학(鸞鶴)'은 고귀한 존재를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마지막 구절은 이번 유람의 감흥을 시로 남기겠다는 의지를 표현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법화산의 아름다운 풍경과 유람의 즐거움을 묘사하면서도, 자신의 불우한 처지와 인생의 무상함을 함께 드러내고 있습니다. 또한, 호사부와의 우정을 강조하며 시를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 풍경을 생동감 넘치게 묘사하는 표현력과, 고사를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풍부하게 만드는 능력이 돋보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조열도고재(趙閱道高齋)"입니다. 조열도(趙閱道)의 높은 집(高齋)에 대해 쓴 시로, 세상 사람들의 평가에 대한 비판과 조열도의 높은 인품을 칭송하며, 자신 또한 도를 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세상 사람들의 평가에 대한 비판, 조열도의 높은 인품에 대한 칭송, 그리고 도를 구하고자 하는 자신의 마음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 1-4구: 세상 사람들의 평가에 대한 비판: 세상 사람들이 상황에 따라 사람을 평가하는 것에 대해 비판합니다. "그대가 바삐 돌아다니는 것을 보고는 그대를 수고롭다고 말하고, 그대가 은퇴한 것을 듣고는 그대를 높다고 말하네. 그대의 마음속 어디에 높고 낮음이 있겠는가, 꿈과 같은 세상일은 오고 감이 처한 바를 따르네(見公奔走謂公勞,聞公隱退云公高。公心底處有高下,夢幻去來隨所遭)"라는 구절은 세상 사람들이 겉으로 드러난 모습만 보고 쉽게 사람을 평가하는 것을 비판하는 내용입니다. 조열도가 벼슬을 할 때는 바쁘게 돌아다닌다고 수고롭다고 하고, 은퇴 후에는 높은 사람이라고 칭송하는 세태를 꼬집고 있습니다. "높은 집이 마침내 무슨 의미인지 알지 못하니, 이 이름의 설정은 우리 무리 때문이네(不知高齋竟何義,此名之設緣吾曹)"라는 구절은 '높은 집(高齋)'이라는 이름 자체가 세상 사람들이 만들어낸 허명에 불과함을 지적하는 내용입니다.
  • 5-8구: 조열도의 높은 인품 칭송: 조열도의 높은 인품을 칭송합니다. "그대는 나이 사십에 이미 도를 얻었으니, 속세의 인연이 아직 다하지 않아 이윤과 고요와 같네. 공명과 부귀는 모두 여관과 같으니, 황금은 누구의 도포에 매어 있겠는가(公年四十已得道,俗緣未盡餘伊皐。功名富貴俱逆旅,黃金知繫何人袍)"라는 구절은 조열도가 일찍이 도를 깨달았으며, 공명과 부귀에 초연한 인물임을 칭송하는 내용입니다. '이윤(伊尹)'과 '고요(皐陶)'는 중국 고대의 현명한 신하로, 조열도를 이들에 비유하여 그의 높은 인품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초연히 이미 큰일을 끝냈으니, 갓을 벗고 떠나는 것이 참으로 가을 털끝과 같네(超然已了一大事,挂冠而去真秋毫)"라는 구절은 조열도가 미련 없이 벼슬을 버리고 떠나는 모습을 묘사하며 그의 결단력을 칭송하는 내용입니다. '가을 털끝(秋毫)'은 아주 작은 것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조열도가 벼슬을 버리는 것을 조금도 아까워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 9-12구: 세상의 어리석음과 조열도의 현명함 비교: 세상의 어리석음과 조열도의 현명함을 비교합니다. "앉아서 원숭이와 잔나비가 그물에 걸리는 것을 보니, 두 손은 차마 잡은 것을 놓지 않으려 하네. 이에 현명하고 통달한 사람과 어리석고 못난 사람은, 어찌 다만 아홉 소의 털끝만큼의 차이뿐이겠는가(坐看猿猱落罝罔,兩手未肯置所操。乃知賢達與愚陋,豈直相去九牛毛)"라는 구절은 세상 사람들이 눈앞의 이익에 집착하는 어리석음을 비판하고, 조열도는 이러한 어리석음에서 벗어난 현명한 인물임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아홉 소의 털끝(九牛毛)'은 아주 큰 차이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현명한 사람과 어리석은 사람의 차이가 매우 큼을 나타냅니다. "키 큰 소나무는 백 척이나 되는 것을 스스로 깨닫지 못하는데, 발돋움하여 부러워하는 것은 쑥과 띠풀이네(長松百尺不自覺,企而羨者蓬與蒿)"라는 구절은 조열도의 높은 인품은 스스로 드러내지 않지만, 세상의 어리석은 사람들은 그를 부러워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쑥과 띠풀(蓬與蒿)'은 보잘것없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 13-14구: 도를 구하고자 하는 자신의 마음: 자신 또한 도를 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드러내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나는 양식을 가지고 가서 도를 묻고자 하나, 아직 팔을 들어 노나라 오(盧敖)처럼 떠나지 못하네(我欲贏糧往問道,未應舉臂辭盧敖)"라는 구절은 조열도처럼 도를 구하고자 하는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는 내용입니다. '노나라 오(盧敖)'는 신선을 찾아 떠난 인물로, 여기서는 속세를 떠나 도를 구하는 행위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조열도의 높은 인품을 칭송하면서 세상 사람들의 얕은 평가를 비판하고, 자신 또한 도를 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비유와 대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열도에 대한 존경심과 함께 자신 또한 도를 추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송유절추(送俞節推)상지자, 상자퇴옹"입니다. 유절추(俞節推)를 보내며 지은 시로, 그의 아버지 유상(俞尚)[자(字)는 퇴옹(退翁)]의 인품을 기리고, 유절추의 훌륭함을 칭찬하며, 자신의 불우한 운명과 굳은 의지를 함께 드러내고 있습니다. 괄호 안의 내용은 소식이 덧붙인 주석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유상의 인품에 대한 칭송, 유절추의 훌륭함에 대한 칭찬, 그리고 자신의 불우한 운명과 굳은 의지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 1-2구: 유상의 인품 칭송: 유상의 맑고 고결한 인품을 비유적으로 묘사합니다. "오흥(吳興)에 군자가 있으니, 맑기가 주사금(朱絲琴)과 같네. 한 번 노래하니 세 번 탄식하였으니, 지금에까지 남은 소리가 있네(吳興有君子,淡如朱絲琴。一唱三太息,至今有遺音)"라는 구절은 유상의 맑고 고결한 인품을 '주사금(朱絲琴)'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주사금'은 붉은 실로 만든 거문고로, 맑고 청아한 소리를 내는 악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상의 노래에 세 번 탄식했다는 것은 그의 노래에 깊은 감동과 슬픔이 담겨 있었음을 의미하며, 그의 음악적 재능과 더불어 그의 인품이 얼마나 훌륭했는지를 짐작하게 합니다.
  • 3-4구: 유상과의 만남의 부재에 대한 아쉬움: 유상과 만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합니다. "아, 나와 그대는, 서로 피하기가 삼성(參星)과 진성(辰星)과 같았네. 퇴옹은 촉(蜀)에서 벼슬하였고, 나는 서울에 있었으며, 내가 돌아오니 퇴옹은 떠났네. 내가 오흥에서 벼슬하니 퇴옹은 이미 죽었네."라는 구절은 소식과 유상이 서로 만나지 못했던 안타까운 상황을 설명합니다. '삼성(參星)'과 '진성(辰星)'은 서로 마주치지 않는 별들로, 만나기 어려운 상황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소식의 주석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사람은 엇갈리는 시기에 서로 다른 곳에서 벼슬하거나, 소식이 도착했을 때는 이미 유상이 세상을 떠난 후였기 때문에 만날 수 없었습니다.
  • 5-6구: 유절추의 훌륭함 칭찬: 유상의 아들 유절추의 훌륭함을 칭찬합니다. "오히려 여러 아들을 보니 기쁘니, 그윽하고 맑으며 또한 깊네(猶喜見諸郎,窈然清且深)"라는 구절은 유상의 아들들을 만나본 소감을 표현하며, 특히 그들의 맑고 깊은 인품을 칭찬하고 있습니다. 아버지의 훌륭한 품성을 아들들이 이어받았음을 암시하는 부분입니다.
  • 7-8구: 세상의 변절과 자신의 굳은 의지: 세상 사람들의 변절을 안타까워하며 자신의 굳은 의지를 드러냅니다. "다른 시대에는 훌륭한 선비가 많았지만, 말년에는 처음의 마음을 잃었네. 내가 삶에 운명이 없다 하더라도, 어찌 구차하게 조금이라도 굽히겠는가(異時多良士,末路喪初心。我生不有命,其肯枉尺尋)"라는 구절은 많은 사람들이 처음의 순수한 마음을 잃고 변절하는 세태를 비판하는 내용입니다. '처음의 마음(初心)'은 초심, 즉 처음의 순수한 마음을 의미합니다. 소식은 이러한 세상의 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의 굳은 의지를 지키겠다는 다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구차하게 조금이라도 굽히다(枉尺尋)'는 자신의 뜻을 굽히고 세상에 아첨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유상의 인품을 기리고 그의 아들 유절추의 훌륭함을 칭찬하면서, 세상의 변절을 안타까워하고 자신의 굳은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유상과 만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한 부분과, 세상의 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의 뜻을 지키겠다는 다짐을 드러낸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유적인 표현과 간결한 어구를 사용하여 시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차운답손모(次韻荅孫侔)"입니다. 손모(孫侔)의 시에 화답하여 지은 시로, 조정에 나아가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면서도, 속세를 벗어나 자연과 벗하며 살고 싶은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또한, 손모와의 깊은 우정을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조정에 나아가지 못하는 한탄, 자연과 벗하며 살고 싶은 마음, 그리고 손모와의 깊은 우정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 1-2구: 조정에 나아가지 못하는 한탄: 십 년 동안 조정에 나아가지 못한 자신의 처지를 한탄합니다. "십 년 동안 몸이 조정에 이르지 못하니, 시인과 짝하여 지는 꽃잎을 노래하고자 하네(十年身不到朝廷,欲伴騷人賦落英)"라는 구절은 오랜 기간 동안 정치적으로 뜻을 펼치지 못하고 있는 자신의 상황을 안타까워하는 내용입니다. '지는 꽃잎(落英)'은 덧없이 스러지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자신의 불우한 처지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다만 머리 숙여 동야(東野)를 뵙게 된다면, 중도에서 연명(淵明)을 기다리는 것을 마다하지 않으리(但得低頭拜東野,不辭中路候淵明)"라는 구절은 비록 조정에 나아가지는 못하지만, 동야와 연명과 같은 은둔 시인들을 따르겠다는 의지를 표현하는 내용입니다. '동야(東野)'는 당나라의 시인 맹교(孟郊)의 호로, 가난하고 불우한 시인의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연명(淵明)'은 동진(東晉)의 시인 도연명(陶淵明)으로, 속세를 떠나 전원생활을 한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이들을 언급함으로써 소식은 자신 또한 속세를 벗어나 자연과 벗하며 살고 싶은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 3-4구: 자연 속에서 살고 싶은 마음: 자연 속에서 편안하게 살고 싶은 마음을 표현합니다. "배를 매어 둘 조수(苕霅)에 사람은 어디에 있는가, 강회(江淮)에 집을 지을 계획은 이미 이루어졌네(艤舟苕霅人安在,卜築江淮計已成)"라는 구절은 자연 속에서 은거하며 살고 싶은 소망을 나타내는 내용입니다. '조수(苕霅)'는 태호(太湖) 주변의 강과 호수를 가리키며, 소식이 은거하고자 했던 곳으로 추정됩니다. '강회(江淮)'는 장강(長江)과 회수(淮水) 유역으로, 예로부터 은둔자들이 많이 살았던 곳입니다. "천 리 밖에서 사귀어도 한마디 말로 족하니, 그대와는 또한 말을 기울일 필요도 없네(千里論交一言足,與君蓋亦不須傾)"라는 구절은 손모와의 깊은 우정을 간결하게 표현하는 내용입니다. 천 리나 떨어져 있어도 한마디 말로 서로의 마음을 알 수 있을 정도로 깊은 우정을 나누고 있으며, 굳이 많은 말을 하지 않아도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관계임을 나타냅니다. '말을 기울이다(傾)'는 마음속의 생각을 모두 털어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조정에 나아가지 못하는 자신의 불우한 처지를 한탄하면서도, 자연과 벗하며 살고 싶은 소망과 손모와의 깊은 우정을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동야와 도연명을 언급하며 자신의 뜻을 드러낸 부분과, 많은 말을 하지 않아도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손모와의 관계를 표현한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결하고 명료한 어구를 사용하여 시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중기일수(重寄一首)"입니다. 다시 한 편의 시를 보낸다는 제목으로, 상대방의 고결한 인품을 칭송하면서, 자신의 시에 대한 자부심과 세속의 오해에 대한 안타까움을 함께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상대방의 고결한 인품에 대한 칭송, 자신의 시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세속의 오해에 대한 안타까움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 1-2구: 상대방의 고결한 인품 칭송: 상대방의 고결한 인품을 높이 평가합니다. "늠름한 높은 절개는 세상 사람들을 비추니, 작은 벼슬로 그대를 해명할 수 있다고 믿지 않네(凜然高節照時人,不信微官解浼君)"라는 구절은 상대방의 고결한 인품이 세상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작은 벼슬로는 그의 진가를 제대로 드러낼 수 없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늠름한 높은 절개(凜然高節)'는 굳세고 떳떳한 높은 절개를 의미하며, 상대방의 강직하고 청렴한 인품을 칭송하는 표현입니다. '작은 벼슬(微官)'은 낮은 관직을 의미하며, 상대방의 뛰어난 인품에 비해 그의 관직이 너무 낮음을 암시합니다. '해명하다(解浼)'는 잘못을 변명하거나 해명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는 작은 벼슬로는 상대방의 진가를 제대로 드러낼 수 없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3-4구: 상대방에 대한 높은 평가의 근거 제시: 역사적 인물을 인용하여 상대방에 대한 높은 평가의 근거를 제시합니다. "장제(蔣濟)는 능히 완적(阮籍)을 데려올 수 있다고 말하고, 설선(薛宣)은 곧바로 주운(朱雲)을 관리로 삼고자 하였네(蔣濟謂能來阮籍,薛宣直欲吏朱雲)"라는 구절은 상대방의 뛰어난 재능과 인품을 역사 속의 뛰어난 인물들에 비견하여 칭송하는 내용입니다. '장제(蔣濟)'는 삼국시대 위나라의 관리로, 완적(阮籍)과 같은 뛰어난 인물을 등용할 수 있다고 평가받았습니다. '완적(阮籍)'은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뛰어난 문장과 자유분방한 성격으로 유명합니다. '설선(薛宣)'은 한나라의 관리로, 직언을 서슴지 않았던 주운(朱雲)을 높이 평가하여 관리로 삼고자 하였습니다. '주운(朱雲)'은 한나라의 관리로, 황제에게 직언을 하다가 죽을 뻔한 고사로 유명합니다. 이처럼 역사 속의 뛰어난 인물들을 언급함으로써 상대방의 재능과 강직함을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 5-6구: 자신의 시에 대한 자부심과 세속의 오해에 대한 안타까움: 자신의 시에 대한 자부심과 세속의 오해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냅니다. "좋은 시는 입에서 나오는 대로라 누가 능히 가리겠는가, 속된 사람들은 사람을 의심하여 아직 듣지 못하게 하네(好詩衝口誰能擇,俗子疑人未遣聞)"라는 구절은 자신의 시가 꾸밈없이 자연스럽게 쓰여진 좋은 시임에도 불구하고, 속된 사람들은 자신을 의심하여 그의 시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다고 안타까워하는 내용입니다. '입에서 나오는 대로(衝口)'는 생각나는 대로 거침없이 말하거나 글을 쓰는 것을 의미합니다. '속된 사람들(俗子)'은 세속적인 가치관에 얽매여 진실을 알아보지 못하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 7-8구: 자신의 시에 대한 자신감 표출: 자신의 시에 대한 자신감을 다시 한번 표출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청하여 천 편을 보아 준수하고 뛰어나 보기를 바라니, 가볍게 포참군(鮑參軍)에 비하지 않으리(乞取千篇看俊逸,不將輕比鮑參軍)"라는 구절은 자신의 시가 많으니 한번 제대로 읽어보고 평가해 달라고 요청하며, 함부로 다른 시인과 비교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하는 내용입니다. '포참군(鮑參軍)'은 남조 송나라의 시인 포조(鮑照)를 가리키며, 그의 시는 힘차고 웅장한 기풍으로 유명합니다. 소식은 자신의 시가 포조의 시와는 다른 독자적인 경지를 가지고 있음을 암시하며, 함부로 비교하지 말아달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상대방의 고결한 인품을 칭송하면서, 자신의 시에 대한 자부심과 세속의 오해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역사적 인물을 인용하여 상대방을 칭송한 부분과, 자신의 시에 대한 자신감을 표출한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결하면서도 힘 있는 어조를 사용하여 시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차운화유공보등황루견기병기자유이수(次韻和劉貢甫登黃樓見寄并寄子由二首)"입니다. 유공보(劉貢甫)가 황루(黃樓)에 올라 지어 보낸 시에 화답하고, 동시에 동생 소철(蘇轍, 자(字)는 자유(子由))에게도 보내는 두 수의 시입니다. 황루의 웅장함과 그곳에서의 감회, 그리고 친구 및 동생과의 우정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이 시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부분은 유공보와 소철에게 보내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제1수 (유공보에게 보내는 시):

  • 1-4구: 황루의 웅장함과 유공보의 외모에 대한 언급: 회수(淮水)와 연결된 맑은 물줄기와 바닷가에 우뚝 솟은 황루의 웅장함을 묘사하며, 유공보의 외모에 대한 언급을 덧붙입니다. "맑은 물줄기는 회수 위로 이어지고, 황루는 바닷가에 으뜸이네. 이 시는 더욱 훌륭하고 아름다우니, 그대의 풍채는 정말 뛰어나네. 유공보는 사람됨이 키가 작았다."라는 구절은 황루의 웅장함을 묘사하면서, 유공보의 키가 작은 것을 언급하여 해학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습니다. '해우(海禺)'는 바닷가를 의미합니다.
  • 5-8구: 세상의 가치관과 자신의 처지: 세상의 잘못된 가치관을 비판하고 자신의 불우한 처지를 한탄합니다. "세속에서는 훌륭한 인재를 가볍게 여기고, 하찮은 물건을 귀하게 여기네. 앉아서 사신으로 급히 떠나게 하니, 동분서주하며 태자를 위해 일하네. 우연히 만났다가 나는 이미 잃었으니, 함께 올라갈 사람이 누구인가. 가난하여 창힐의 곡식을 탐하고, 몸은 대장장이의 풀무 소리를 듣네(世俗輕瑚璉,巾箱襲碔砆。坐令乘傳遽,奔走為儲須。邂逅我已失,登臨誰與俱。貧貪倉氏粟,身聽冶家橅)"라는 구절은 세상 사람들이 외모나 지위만 보고 사람을 평가하는 것을 비판하고, 자신은 가난과 고독 속에서 살고 있음을 한탄하는 내용입니다. '호련(瑚璉)'은 제기(祭器)로, 훌륭한 인재를 비유합니다. '무부(碔砆)'는 하찮은 돌을 의미하며, 외모만 번지르르한 사람을 비유합니다. '창힐(倉氏)'은 중국 신화에 나오는 문자를 만든 사람으로, 여기서는 곡식을 의미합니다. '야가(冶家)'는 대장장이를 의미합니다.
  • 9-12구: 미래에 대한 기약과 꿈: 미래에 대한 기약과 꿈을 이야기합니다. "만남은 미리 정하기 어려우니, 은퇴 후의 계획을 시험해 보네. 기름진 밭은 아직 살 수 없으니, 가난한 귀신을 불러야 하네. 본래 사수(泗水) 가에 밭을 사려고 하였으나, 최근에 뜻을 이루지 못하였네."라는 구절은 은퇴 후 전원생활을 하려고 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아 가난하게 살 수밖에 없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는 내용입니다. "두 물은 어느 해에 이르렀고, 두 큰 강은 배를 받아들이지 않네. 지금도 맑은 밤 꿈에는, 나는 듯이 말고삐 채찍질하며 천오(天吳)를 몰아가네(二水何年到,雙洪不受艫。至今清夜夢,飛轡策天吳)"라는 구절은 꿈속에서라도 자유롭게 세상을 누비고 싶은 마음을 표현하는 내용입니다. '천오(天吳)'는 물의 신으로, 꿈속에서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모습을 비유합니다.

제2수 (소철에게 보내는 시):

  • 13-16구: 소철과의 이별과 고독: 소철과 헤어져 지낸 시간과 고독한 심정을 토로합니다. "그대와 나는 모두 나라를 떠났으니, 십 년 동안 하늘 한 귀퉁이에 있네. 운수가 기박하여 흉년을 만나니, 꾀가 졸렬하여 마른 오동나무에 모이네. 훌륭한 선비는 유표(劉表)와 같고, 가난한 교유는 관부(灌夫)를 생각하네. 한나라의 절개를 뽐내지는 않지만, 오히려 환온의 수염을 잡는 것은 허락하네(與子皆去國,十年天一禺。數奇逢惡歲,計拙集枯梧。好士餘劉表,窮交憶灌夫。不矜持漢節,猶許攬桓須)"라는 구절은 소철과 오랫동안 떨어져 지낸 시간과 어려운 상황 속에서 느끼는 고독감을 표현하는 내용입니다. '유표(劉表)'는 후한 말의 제후로, 많은 인재를 거느렸지만 결국 큰일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관부(灌夫)'는 한나라의 관리로, 가난했지만 강직한 인품으로 유명합니다. '환온(桓溫)'은 동진의 권신으로, 그의 수염을 잡는 것은 권력에 아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식은 권력에 아첨하지 않으면서도 소철과 같은 훌륭한 인재들과 교류하고 싶다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17-20구: 소철과의 우정과 황루에 대한 기대: 소철과의 변치 않는 우정을 강조하고, 황루에 대한 기대를 표현합니다. "맑은 시구는 금실처럼 합치고, 높은 누각은 눈과 달과 함께하네. 시를 읊조려 새로운 뜻을 내니, 손으로 그리며 이전의 모습을 상상하네. 자유가 처음 남경으로 부임할 때, 동문을 나가 성에 올라 산천의 아름다움을 바라보고, 이 땅에 누각을 지을 만하다고 말하였으니, 이에 비로소 개축할 뜻이 있었네."라는 구절은 소철과의 깊은 우정을 금실에 비유하며, 함께 황루에 올라 시를 읊고 싶어 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 21-24구: 소철의 작품에 대한 칭찬과 당부: 소철의 작품을 칭찬하고, 멀리 떨어져 있는 소철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전합니다. "스스로 천 마디의 부를 쓰고, 새로 여섯 폭의 그림을 그렸네. 최근에 비단에 직접 자유의 황루부를 여섯 폭의 그림으로 그렸으니, 매우 훌륭하네."라는 구절은 소철의 문학적 재능과 예술적 재능을 칭찬하는 내용입니다. "전해 보고 온 좌중이 감탄하니, 편지를 써서 안부를 물으라고 권하네. 시인으로 하여금 원망하지 않게 하니, 동쪽으로 오나라에 이르지 못함을(傳看一坐聳,勸著尺書呼。莫使騷人怨,東游不到吳)"라는 구절은 소철에게 편지를 보내 안부를 전하고, 오랫동안 만나지 못하는 아쉬움을 달래도록 권하는 내용입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유공보와 소철에게 보내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은 그들에 대한 소식의 생각과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유공보에게는 그의 외모를 해학적으로 언급하며 시를 시작하고, 자신의 불우한 처지를 토로하며 미래에 대한 기약을 이야기합니다. 소철에게는 오랜 이별의 아픔과 그리움을 표현하고, 그의 재능을 칭찬하며 안부를 전하고, 오랫동안 만나지 못하는 아쉬움을 달래도록 권합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진주여문랑일민음별휴수하제상작차시(陳州與文郎逸民飲別攜手河堤上作此詩)"입니다. 진주(陳州)에서 문랑(文郎)이라는 은일한 사람과 술을 마시고 헤어지며 함께 강둑을 거닐다가 지은 시로, 이별의 아쉬움과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면서도, 슬픔에 굴하지 않고 긍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이별의 아쉬움, 인생의 무상함, 그리고 긍정적인 자세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 1-2구: 술자리와 이별의 상황: 술을 마시며 이별의 슬픔을 달래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흰 술은 소리 없이 기름처럼 미끄럽게 쏟아지고, 취하여 강둑 위를 거닐며 나의 시름을 흩뜨리네(白酒無聲滑瀉油,醉行堤上散吾愁)"라는 구절은 술을 마시며 이별의 슬픔을 잊으려 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흰 술(白酒)'은 맑은 술을 의미하며, '기름처럼 미끄럽게 쏟아지다(滑瀉油)'는 술이 부드럽게 흘러내리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시름을 흩뜨리다(散吾愁)'는 술에 취해 근심을 잊으려 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 3-4구: 주변 풍경 묘사: 주변의 봄 풍경을 묘사하며 이별의 분위기를 더합니다. "봄바람은 매섭게 불어 양의 뿔처럼 돌고, 강물은 아득히 이어져 오이 덩굴처럼 흐르네(春風料峭羊角轉,河水渺綿瓜蔓流)"라는 구절은 봄의 차가운 바람과 강물의 흐르는 모습을 묘사하며 이별의 쓸쓸한 분위기를 더하고 있습니다. '양의 뿔처럼 돌다(羊角轉)'는 바람이 방향을 바꾸며 휘몰아치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오이 덩굴처럼 흐르다(瓜蔓流)'는 강물이 길게 이어져 흐르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 5-6구: 각자의 행선지: 각자의 행선지를 언급하며 이별의 아쉬움을 강조합니다. "그대는 이미 돌아갈 생각을 하여 파촉(巴蜀)의 산골짜기를 꿈꾸고, 나는 아직 이르지 못하였지만 황주(黃州)를 이야기할 수 있네(君已思歸夢巴峽,我能未到說黃州)"라는 구절은 문랑은 고향으로 돌아가고, 자신은 황주로 가게 되는 상황을 나타내며 이별의 아쉬움을 강조합니다. '파촉(巴蜀)'은 지금의 사천성(四川省) 일대로, 문랑의 고향으로 추정됩니다. '황주(黃州)'는 소식이 유배되었던 곳입니다.
  • 7-8구: 인생의 무상함과 긍정적인 자세: 인생의 만남과 헤어짐의 무상함을 이야기하면서도 슬픔에 굴하지 않고 긍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려는 의지를 드러냅니다. "이 세상의 만남과 헤어짐이 어찌 끝이 있겠는가, 차마 슬픈 노래를 배워 초나라 죄수처럼 하지 못하네(此生聚散何窮已,未忍悲歌學楚囚)"라는 구절은 인생의 만남과 헤어짐은 끊임없이 반복되는 것이라는 인생의 무상함을 이야기하면서도, 슬픔에 굴복하지 않고 꿋꿋하게 살아가겠다는 의지를 표현합니다. '초나라 죄수(楚囚)'는 초나라 사람이 포로로 잡혀 슬픈 노래를 불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슬픔에 잠긴 사람을 비유합니다. 소식은 이러한 슬픔에 굴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살아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친구와의 이별을 아쉬워하면서도 인생의 무상함을 깨닫고, 슬픔에 굴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살아가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초나라 죄수'에 자신을 비유하지 않겠다고 한 것은,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자세를 잃지 않으려는 소식의 강인한 정신력을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술과 풍경 묘사를 통해 이별의 상황과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자유자남도로진삼일이별(子由自南都來陳三日而別)"입니다. 동생 소철(蘇轍, 자(字)는 자유(子由))이 남경(南都)에서 진주(陳州)로 와서 사흘을 함께 지내고 헤어지며 지은 시로, 동생과의 만남의 기쁨과 이별의 아쉬움, 그리고 자신의 심경 변화와 앞으로의 삶에 대한 다짐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동생과의 만남과 이별, 자신의 심경 변화, 그리고 앞으로의 삶에 대한 다짐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 1-4구: 동생의 방문과 만남의 기쁨: 유배된 자신을 찾아 먼 길을 온 동생에 대한 고마움과 만남의 기쁨을 표현합니다. "선생님은 스스로 쫓겨난 객이 되었지만, 오히려 초나라 죄수를 가엾이 여길 수 있었네. 이백 리를 달려 곧바로 와서 나의 근심을 풀어주었네. 서로 만나 얻음이 있음을 알았으니, 도의 눈은 맑고 흐르지 않네. 헤어진 지 아직 일 년도 되지 않았는데, 교만하고 들뜬 기운이 모두 사라졌네(夫子自逐客,尚能哀楚囚。奔馳二百里,徑來寬我憂。相逢知有得,道眼清不流。別來未一年,落盡驕氣浮)"라는 구절은 유배 생활로 힘든 자신을 위해 동생이 먼 길을 왔다는 사실에 대한 감격과 고마움을 나타냅니다. '초나라 죄수(楚囚)'는 곤경에 처한 사람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유배된 자신의 처지를 의미합니다. '도의 눈(道眼)'은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안목을 의미합니다. 동생과의 만남을 통해 마음의 평정을 되찾았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또한, 동생과 헤어진 지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자신의 교만한 기운이 많이 사라졌다고 언급하며 동생의 영향력을 암시합니다.
  • 5-8구: 뒤늦게 도를 깨달음과 마음의 변화: 뒤늦게 도를 깨닫고 마음의 변화를 겪는 과정을 이야기합니다. "아, 내가 늦게 도를 들었으니, 정성을 다하는 것이 손휴(孫休)와 같네. 지극한 말씀은 비록 오래 따랐지만, 마음을 스스로 거두어들이지 못하였네. 저 훌륭한 스승을 깨달으니, 묘약이 마땅히 던져진 바에 맞네(嗟我晚聞道,款啟如孫休。至言雖久服,放心不自收。悟彼善知識,妙藥應所投)"라는 구절은 뒤늦게 도를 깨닫고 마음을 다잡으려 노력하는 자신의 모습을 표현합니다. '손휴(孫休)'는 삼국시대 오나라의 황제로, 현명한 신하의 가르침을 구하기 위해 노력한 인물입니다. '지극한 말씀(至言)'은 진리에 이르는 가르침을 의미합니다. '훌륭한 스승(善知識)'은 도를 깨닫도록 이끌어주는 스승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동생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동생의 가르침을 통해 비로소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을 깨달았음을 의미합니다.
  • 9-12구: 고난을 통한 성장: 고난을 통해 더욱 성숙해지는 과정을 묘사합니다. "근심과 고난의 장소에 받아들여, 백일의 근심으로 갈고 닦네. 완고하고 어리석음은 비록 변화시키기 어렵지만, 새겨 다듬음 또한 이미 두루 하였네. 평소의 여러 가지 마음은, 차례로 사라져 머무르지 않네(納之憂患場,磨以百日愁。冥頑雖難化,鐫發亦已周。平時種種心,次第去莫留)"라는 구절은 유배 생활의 고난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수양하고 성숙해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근심과 고난의 장소(憂患場)'는 유배지를 의미합니다. '새겨 다듬음(鐫發)'은 옥이나 돌을 갈고 닦는 것처럼, 자신의 내면을 수양하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 13-16구: 동생과의 영원한 교류와 앞으로의 삶: 동생과의 변치 않는 우정을 다짐하고, 앞으로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드러냅니다. "다만 멀리할 곳이 없을 뿐이니, 영원히 선생님과 함께 노닐리. 이 이별이 어찌 말할 것이 있겠는가, 큰 강 동쪽과 서쪽의 고을인데. 뱀을 두려워하여 평상에서 내려오지 않으니, 잠을 푹 자면 나는 구할 것이 없네. 마침내 제안(齊安)의 백성이 되리니, 어찌 반드시 고향으로 돌아가려 하겠는가(但餘無所遠,永與夫子游。此別何足道,大江東西州。畏蛇不下榻,睡足吾無求。便為齊安民,何必歸故丘)"라는 구절은 동생과의 우정은 변치 않을 것이며, 비록 지금은 헤어지지만 언제든 다시 만날 수 있다는 믿음을 표현합니다. '제안(齊安)'은 소식이 유배되었던 황주(黃州)의 옛 이름입니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에 집착하지 않고 유배지에서 새로운 삶을 살아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동생과의 만남과 이별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삶에 대한 다짐을 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고난을 통해 더욱 성숙해지는 모습과, 동생과의 변치 않는 우정을 다짐하는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려한 표현과 섬세한 감정 묘사를 통해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전달합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정월십팔일채주도상우설차자유운이수(正月十八日蔡州道上遇雪次子由韻二首)"입니다. 정월 십팔일에 채주(蔡州)로 가는 도중에 눈을 만나 동생 소철(蘇轍, 자(字)는 자유(子由))의 시에 차운(次韻)하여 지은 두 수의 시로, 눈 속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과 관직 생활에 대한 회한, 그리고 은퇴 후 전원생활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 차운이란, 원시의 운자를 그대로 사용하여 시를 짓는 방식으로, 화답의 의미를 지닙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이 시는 두 수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수는 독립적인 의미를 지니면서도 전체적으로 같은 주제를 공유합니다.

제1수:

  • 1-4구: 봄의 기운과 고향의 추억: 봄의 기운이 느껴지는 가운데 고향 집의 정경을 떠올립니다. "난초와 국화는 살아 있는 기운이 있고, 희미한 햇볕이 조금씩 뿌리를 녹이네. 저물녘 눈이 내릴까 걱정했는데, 다시 아침 해를 맞이하니 기쁘네. 나의 옛 집을 생각하니, 햇살이 남쪽 창가에서 흔들리네. 소나무와 대나무는 반쯤 기울어져 쏟아질 듯하고, 해바라기와 원추리는 헤아리지도 못하네(蘭菊有生意,微陽回寸根。方憂集暮雪,復喜迎朝暾。憶我故居室,浮光動南軒。松竹半傾瀉,未數葵與萱)"라는 구절은 차가운 날씨 속에서도 봄의 기운이 느껴지는 상황과 함께, 고향 집의 따뜻하고 평화로운 풍경을 회상하는 내용입니다. '해바라기(葵)'와 '원추리(萱)'는 부모님이 심어놓은 꽃으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불러일으키는 소재로 사용됩니다.
  • 5-8구: 고향의 정취와 관직 생활에 대한 회한: 고향의 정취를 그리워하며 관직 생활에 대한 회한을 드러냅니다. "세 갈래 작은 길에는 아름다운 풀이 덮여 있고, 한 병 속의 샘물은 따뜻하네. 지금도 시를 읊으며 다니는 곳에는, 오히려 신발 자국이 남아 있네. 하루아침에 벼슬길에 나섰으니, 영원히 이중원(李仲元)에게 부끄럽네. 만년에는 더욱 부끄러우니, 눈을 무릅쓰고 남쪽으로 달아나네(三徑瑤草合,一瓶井花溫。至今行吟處,尚餘履舄痕。一朝出從仕,永愧李仲元。晚歲益可羞,犯雪方南奔)"라는 구절은 고향의 소박하고 정겨운 풍경을 그리워하며, 자신의 관직 생활을 후회하는 내용입니다. '이중원(李仲元)'은 은둔하여 벼슬하지 않은 고결한 인물로, 소식은 자신을 그와 비교하며 관직 생활에 대한 부끄러움을 표현합니다. '남쪽으로 달아나다(南奔)'는 유배 가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9-12구: 유배지에서의 생활과 심경: 유배지에서의 생활과 심경을 묘사합니다. "산성에 버려진 채마밭을 사서, 마른 잎을 손수 들추네. 길이 제안(齊安) 사람으로 하여금, 옛 제후의 정원을 가리켜 말하게 하네. 납과 연지로 수염을 물들였는데, 이내 서리와 눈의 뿌리를 드러내네. 눈을 감고 앉아 있는 것만 못하니, 배 안에서 밤에 스스로 따뜻해지네(山城買廢圃,槁葉手自掀。長使齊安人,指說故侯園。鉛膏染髭須,旋露霜雪根。不如閉目坐,舟府夜自暾)"라는 구절은 유배지에서 초라하게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제안(齊安)'은 황주(黃州)의 옛 이름으로, 소식이 유배되었던 곳입니다. '납과 연지(鉛膏)'는 수염을 검게 물들이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늙음을 감추려는 노력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곧 흰 수염이 드러나는 것을 통해 세월의 흐름과 자신의 쇠락함을 나타냅니다.

제2수:

  • 13-16구: 고난 속에서 깨달음을 얻음: 고난 속에서 도의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이야기합니다. "누가 알겠는가 근심과 고난 속에서, 마음속에 복희(伏羲)와 헌원(軒轅)을 두었음을. 큰 눈이 집을 덮을지라도, 나는 아이나 여자처럼 두려워하지 않네. 평생 배우기를 그치지 않았으니, 앉아 있어도 따뜻함을 느끼네(誰知憂患中,方寸寓羲軒。大雪從壓屋,我非兒女萱。平生學踵息,坐覺雨溫)"라는 구절은 고난 속에서도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며 도를 깨닫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복희(伏羲)'와 '헌원(軒轅)'은 중국 신화 속의 성인으로, 도를 깨달은 현인을 상징합니다. '배우기를 그치지 않다(學踵息)'는 끊임없이 배우고 수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17-20구: 눈 속에서의 감회와 백성을 위한 마음: 눈 속에서 시를 짓고 백성을 걱정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말에서 내려 눈 시를 지으니, 땅에는 채찍 자국이 가득하네. 우두커니 서서 들판을 바라보니, 백성을 위해 슬픈 노래를 부르네. 길에서 사냥하는 사람을 만나니, 멀리 여우와 토끼가 달아나는 곳을 가리키네(下馬作雪詩,滿地鞭箠痕。佇立望原野,悲歌為黎元。道逢射獵子,遙指狐兔奔)"라는 구절은 눈 내리는 풍경을 보며 시를 짓고, 백성들의 삶을 걱정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채찍 자국(鞭箠痕)'은 말을 타고 지나간 흔적으로, 여정의 고단함을 나타냅니다. '백성(黎元)'은 일반 백성을 의미합니다.
  • 21-24구: 은퇴 후 전원생활에 대한 염원: 은퇴 후 고향으로 돌아가 전원생활을 하고 싶은 마음을 간절하게 표현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자취는 오히려 찾을 수 있지만, 굴은 어찌 들출 것이 있겠는가. 이승상(李丞相)에게 전하여 사례하니, 나는 장차 고향으로 돌아가리라(蹤跡尚可尋,窟穴何足掀。寄謝李丞相,吾將反丘園)"라는 구절은 사냥꾼이 여우와 토끼의 흔적을 쫓는 모습을 통해, 자신은 더 이상 관직에 미련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이승상(李丞相)'은 당시 재상이었던 이청신(李清臣)을 가리키며, 그에게 관직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전하는 내용입니다. '고향(丘園)'은 전원생활을 의미하며, 은퇴 후 평화로운 삶을 살고 싶은 소망을 담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눈 내리는 풍경 속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과 관직 생활에 대한 회한, 그리고 은퇴 후 전원생활에 대한 염원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난 속에서 도의 깨달음을 얻고 백성을 걱정하는 마음을 표현한 부분과, 마지막에 고향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운시임에도 불구하고, 소식 특유의 솔직하고 진솔한 감정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과신식유시향인임사중(過新息留示鄉人任師中)"입니다. 신식(新息)을 지나면서 고향 사람인 임사중(任師中)에게 남겨 보이는 시로, 임사중의 처지와 자신의 처지를 비교하며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안타까움과 앞으로의 계획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시의 제목 옆에 붙은 “[임시지로주,역좌사대옥。]”라는 주석은 “임사중이 여주(瀘州)의 지주(知州)로 있을 때, 역시 일에 연루되어 옥에 갇혔었다.”라는 뜻입니다. 이를 통해 임사중 또한 정치적인 이유로 고난을 겪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임사중의 처지와 자신의 처지를 비교하며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안타까움,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 1-4구: 임사중에 대한 부러움과 고향의 아름다움: 과거에 임사중을 부러워했던 기억과 고향의 아름다움을 묘사합니다. "옛날에 일찍이 임 선생을 부러워하였으니, 신식에 집을 정하고 회수(淮水)에 임하였네. 그대가 어찌 그리 고향을 잊었는지 괴이하니, 벼는 익고 물고기는 살찌니 정말 맑고 아름답네(昔年嘗羨任夫子,卜居新息臨淮水。怪君便爾忘故鄉,稻熟魚肥信清美)"라는 구절은 과거에 임사중이 고향에 정착하여 풍요로운 삶을 누리는 것을 부러워했던 기억을 회상하는 내용입니다. '회수(淮水)'는 신식 근처를 흐르는 강으로, 고향의 풍요로운 자연환경을 상징합니다.
  • 5-8구: 고향의 구체적인 풍경과 임사중의 처지에 대한 안타까움: 고향의 구체적인 풍경을 묘사하며, 현재 고난을 겪고 있는 임사중의 처지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냅니다. "죽피(竹陂)에서 기러기가 날아오르니 하늘이 검어지고, 동백(桐柏)에는 안개가 가로지르니 산이 반쯤 자색이네. 그대가 자식들의 어려움을 받고 있음을 아오니, 먼저 돌아와 맑은 물가에서 놀지 못한 것을 후회하네(竹陂雁起天為黑,桐柏煙橫山半紫。知君坐受兒女困,悔不先歸弄清泚)"라는 구절은 고향의 아름다운 풍경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면서, 현재 임사중이 겪고 있는 고난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합니다. '죽피(竹陂)'는 신식 현의 북쪽에 있는 곳이고, '동백(桐柏)'은 남쪽에 있는 동백묘를 가리킵니다. 이들을 통해 고향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자식들의 어려움(兒女困)'은 임사중이 정치적인 사건에 연루되어 옥에 갇힌 상황을 의미합니다.
  • 9-12구: 자신의 처지와 앞으로의 계획: 자신의 처지를 이야기하며 앞으로의 계획을 밝힙니다. "티끌 세상에 나 또한 몸 둘 곳을 잃었으니, 이번 여정은 더욱 비참하네. 먹을 것을 구하기 위해 장차 승려에게 의지하려 하고, 편지를 부치는 것도 부득이 남에게 폐를 끼치네. 지난날은 미치지 못하였지만 앞으로는 해가 있으니, 임금의 은혜가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허락한다면. 다시 관산을 내려와 채주(蔡州)로 가서 검은 소 삼백 마리를 사리라(塵埃我亦失收身,此行蹭蹬尤可鄙。寄食方將依白足,附書未免煩黃耳。往雖不及來有年,詔恩倘許歸田里。却下關山入蔡州,為買烏犍三百尾)"라는 구절은 자신의 처지 또한 임사중과 마찬가지로 어렵다는 것을 이야기하며, 앞으로 유배 생활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 농사를 지으며 살고 싶은 소망을 드러냅니다. '백족(白足)'은 승려를 의미합니다. '황이(黃耳)'는 남의 편지를 전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오건(烏犍)'은 검은 소를 의미하며, 농사를 짓기 위한 준비를 나타냅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채주에 가서 검은 소 삼백 마리를 사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언급함으로써, 고향으로 돌아가 농사를 지으며 평화롭게 살고 싶은 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고향 사람인 임사중의 처지를 안타까워하면서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고, 고향에 돌아가 농사를 지으며 살고 싶은 소망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고향의 풍경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그리움을 더하고, 마지막 구절에서 구체적인 계획을 언급함으로써 은퇴 후 전원생활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또한, 담담하면서도 진솔한 어조로 시상을 전개하여 독자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임사중의 상황을 통해 자신의 상황을 더욱 부각하고, 앞으로의 삶에 대한 희망을 표현하는 방식이 인상적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과회(過淮)"입니다. 회수(淮水)를 건너며 지은 시로, 고향을 떠나 유랑하는 자신의 처지와 가족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담담하게 현실을 받아들이려는 심정을 담고 있습니다. 시의 제목 옆에 붙은 “[시가재자유처,독여아자매남래。]”라는 주석은 “당시 집은 자유(子由, 소철)의 집에 있었고, 홀로 아들 매(邁)와 함께 남쪽으로 왔다.”라는 뜻입니다. 이를 통해 소식이 가족과 떨어져 유배길에 올랐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고향을 떠나 유랑하는 자신의 처지, 가족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담담하게 현실을 받아들이려는 심정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 1-4구: 여정과 주변 풍경: 여정과 주변 풍경을 간략하게 묘사합니다. "아침에 신식현(新息縣)을 떠나니, 처음에는 물 한 줄기가 푸르렀네. 저녁에 회남(淮南)의 마을에 묵으니, 이미 수많은 산이 붉어졌네. 고라니와 하늘다람쥐는 옛 보루에서 울고, 안개비는 허물어진 역참을 어둡게 하네. 머리를 돌려 양(梁)나라와 초(楚)나라의 들판을 바라보니, 영원히 중원(中原)과 단절되었네(朝離新息縣,初亂一水碧。暮宿淮南村,已渡千山赤。麏鼯號古戍,霧雨暗破驛。回頭梁楚郊,永與中原隔)"라는 구절은 여정의 시작과 끝, 그리고 여정 중에 마주친 풍경을 대조적으로 보여줍니다. 푸른 물줄기로 시작한 여정은 붉게 물든 산들을 지나 어둡고 쓸쓸한 풍경으로 이어집니다. '양(梁)나라와 초(楚)나라'는 옛 지명으로, 고향을 의미합니다. '중원(中原)'은 중국의 중심 지역으로, 정치적 중심지를 의미합니다. 고향과 정치적 중심지로부터 멀어졌음을 나타냅니다.
  • 5-8구: 유배지에 대한 상상과 인생에 대한 관조: 유배지에 대한 상상과 인생에 대한 관조를 이야기합니다. "황주(黃州)는 어디에 있는가, 운몽택(雲夢澤)을 상상하네. 내 삶은 잠시 맡겨진 것과 같으니, 처음부터 갈 곳을 가리지 않았네. 다만 물고기와 벼가 있다면, 살아가는 일은 이미 저절로 끝나리(黃州在何許,想像雲夢澤。吾生如寄耳,初不擇所適。但有魚與稻,生理已自畢)"라는 구절은 앞으로 가야 할 유배지에 대한 막연한 상상과 인생을 잠시 머무르는 것으로 여기는 달관적인 태도를 보여줍니다. '운몽택(雲夢澤)'은 넓은 습지로, 황주의 험난한 환경을 암시합니다. '내 삶은 잠시 맡겨진 것과 같다(吾生如寄耳)'는 인생의 무상함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구절입니다.
  • 9-12구: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앞으로의 다짐: 특히 어린 아들을 그리워하며 앞으로의 어려움을 함께 헤쳐나갈 것을 다짐합니다. "홀로 어린 아들을 기뻐하니, 어려서부터 편안하고 한가한 일을 하네. 어려움 속에서 서로 따르니, 간과 폐가 철과 돌 같네. 마땅히 함께 만나 이야기해야 할 것이니, 어찌 단지 쇠약한 병만 전하겠는가(獨喜小兒子,少小事安佚。相從艱難中,肝肺如鐵石。便應與晤語,何止寄衰疾)"라는 구절은 가족, 특히 어린 아들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드러내고, 앞으로 닥칠 어려움을 함께 이겨내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줍니다. '간과 폐가 철과 돌 같다(肝肺如鐵石)'는 굳은 의지와 강인한 정신력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고향을 떠나 유배지로 향하는 여정에서 느끼는 쓸쓸함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담담하게 현실을 받아들이려는 심정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생을 잠시 머무르는 것으로 여기는 달관적인 태도와, 어려움 속에서도 가족과 함께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정과 주변 풍경을 간략하게 묘사하면서 시상을 전개하여, 독자들이 소식의 상황과 감정에 쉽게 공감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윤공시후(書黁公詩後)"입니다. 가록진(加祿鎮) 남쪽 25리 대허점(大許店)의 여관에서 벽에 적힌 윤공(黁公)의 시를 보고 그에 대한 감회를 적은 시입니다. 제목 옆에 붙은 긴 설명(병서(并敘))은 이 시를 쓰게 된 경위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설명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이 시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병서(并敘)의 내용 요약:

소식이 가록진 남쪽 25리 대허점의 여관에서 묵게 되었는데, 벽에 “뜰 가득한 가을빛은 짙어 방울져 떨어질 듯한데, 늙은 스님은 지팡이를 짚고 푸른 소나무 곁에 기대 있네. 다만 큰 소리로 물어도 대답하지 않으니, 내가 푸른 이끼를 밟아 망친 것을 꾸짖는 듯하네(滿院秋光濃欲滴,老僧倚杖青松側。只怪高聲問不應,瞋余踏破蒼苔色)”라는 시가 적혀 있었습니다. 그 뒤에는 “부수(滏水)의 승려 보윤(寶黁)”이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여관 주인 기종상(祁宗祥)은 소식에게 이 스님은 광황(光黃) 지방의 미친 스님이라고 말해주었습니다. 나이가 130세였고, 희녕(熙寧) 10년에 죽었는데, 죽은 후에도 사람들이 그를 보았다고 합니다. 기종상은 그의 기이한 일들을 많이 이야기해 주었습니다. 소식은 이 시를 지어 그를 기립니다. 윤공의 본명은 청계(清戒)이고, 속인들은 그를 계화상(戒和尚)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전설적인 승려 윤공을 기리는 내용으로, 그의 고매한 인품과 기이한 행적, 그리고 그를 직접 만나보지 못한 아쉬움을 담고 있습니다. 병서의 내용을 통해 시의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절별 분석:

  • 1-4구: 윤공의 과거와 뛰어난 풍모: 윤공의 과거 행적과 뛰어난 풍모를 묘사합니다. "윤공이 아직 세상을 떠나기 전에, 회수(淮水)의 물굽이를 왕래하였네. 수명이 두 갑자(甲子, 120년)를 넘었으니, 기운이 모든 고승들을 압도하였네. 다만 탁하고 더러운 세상을 한탄하며, 용과 코끼리의 발길질을 받지 않았네(黁公昔未化,來往淮山曲。壽逾兩甲子,氣壓諸尊宿。但嗟濁惡世,不受龍象蹴)"라는 구절은 윤공의 장수와 뛰어난 기개를 나타냅니다. '두 갑자(兩甲子)'는 120년을 넘어 130세까지 살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용과 코끼리의 발길질(龍象蹴)'은 권력이나 세속의 압력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윤공이 세속에 물들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 5-8구: 윤공을 만나보지 못한 아쉬움과 그의 전설: 윤공을 직접 만나보지 못한 아쉬움과 그의 전설적인 이야기를 언급합니다. "나는 미처 만나보지 못하였으니, 부질없이 남겨진 발자취만 바라보네. 서리 내린 머리에는 흰 털이 숨어 있고, 굳센 뼈는 푸른 옥 속에 묻혔네. 모두 달마(達摩)와 같다고 하니, 한 짝의 신발만 가지고 천축(天竺, 인도)으로 돌아갔네(我來不及見,悵望空遺躅。霜顱隱白毫,鎖骨埋青玉。皆云似達摩,隻履還天竺)"라는 구절은 윤공을 만나보지 못한 안타까움을 표현하며, 그의 신비로운 면모를 부각합니다. '달마(達摩)'는 중국 선종의 시조로, 신통한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 짝의 신발만 가지고 천축으로 돌아갔다(隻履還天竺)'는 달마의 전설을 인용한 것으로, 윤공 또한 달마와 같은 신통력을 지녔다는 이야기를 암시합니다.
  • 9-12구: 벽에 남은 시와 감회: 벽에 남은 윤공의 시를 읽고 감회를 적습니다. "벽 사이에 남은 맑은 시는, 글씨의 기세가 자못 속됨을 벗어났네. 다섯 글자 시구를 읊으니, 속된 눈의 더러움을 씻어내네(壁間餘清詩,字勢頗拔俗。為吟五字偈,一洗凡眼肉)"라는 구절은 윤공의 시가 속됨을 벗어난 고결한 풍격을 지니고 있음을 칭찬하며, 그 시를 통해 자신의 마음 또한 맑아지는 것을 느낀다고 표현합니다. '다섯 글자 시구(五字偈)'는 윤공이 남긴 시를 가리킵니다. '속된 눈의 더러움(凡眼肉)'은 세속적인 욕망과 편견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전설적인 승려 윤공을 기리는 시로, 병서의 내용을 통해 시의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식은 윤공의 고매한 인품과 기이한 행적을 칭송하며, 그를 직접 만나보지 못한 아쉬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달마의 전설을 인용하여 윤공의 신비로운 면모를 부각하고, 그의 시를 통해 자신의 마음이 정화되는 것을 느낀다고 표현한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결하면서도 함축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윤공에 대한 존경심과 그리움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유정거사(游淨居寺)"입니다. 정거사(淨居寺)를 방문하고 지은 시로, 자신의 불우한 처지와 불교에 귀의하고자 하는 마음,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담고 있습니다. 제목 옆에 붙은 긴 설명(병서(并敘))은 정거사의 유래와 역사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설명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이 시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병서(并敘)의 내용 요약:

정거사는 광산현(光山縣) 남쪽 40리 대소산(大蘇山) 남쪽, 소소산(小蘇山) 북쪽에 있습니다. 절의 승려 거인(居仁)이 소식에게 다음과 같이 이야기해 주었습니다. 북제(北齊) 천보(天保) 연간에 승려 사혜(思惠)가 이곳을 지나다가 마을 노인들을 만나 성씨를 물으니, 소씨(蘇氏)라고 하였고, 또 두 산의 이름도 얻었습니다. 이에 탄식하며 말하기를 “나의 스승께서 내게 이르시기를, 삼소(三蘇)를 만나면 머무르라고 하셨다.” 하고는 마침내 이곳에 암자를 짓고 머물렀습니다. 그런데 마을 노인들은 결국 아무도 없었으니, 산신(山神)이었던 것입니다. 그 후 승려 지의(智顗)가 이 산에서 사혜를 만나 법을 얻었으니, 세상에서 이른바 사대화상(思大和尚)과 지자대사(智者大師)가 이들입니다. 당(唐) 신룡(神龍) 연간에 도안선사(道岸禪師)가 비로소 그곳에 절을 세웠고, 광명(廣明) 경자년의 난리 때 절은 병화로 폐허가 되었고, 건흥(乾興) 연간에 이르러 다시 지어졌고, 황제가 ‘범천(梵天)’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불우한 현실에서 벗어나 불교에 귀의하고자 하는 마음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병서의 내용을 통해 정거사의 유래와 역사적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절별 분석:

  • 1-4구: 과거의 포부와 현재의 처지: 과거의 포부와 현재의 불우한 처지를 대비하여 보여줍니다. "십 년 동안 명산을 유람하며, 손수 산중의 옷을 지었네. 바라건대 혼인과 가례를 마치고, 손을 잡고 푸른 산에서 늙기를 원했네. 속세의 인연이 있음을 깨닫지 못하고, 몸을 망쳐 위기에 빠졌네. 형벌과 소송은 본래 배운 것이 아니건만, 함정에 빠져 쌓아온 위엄을 잃었네(十載遊名山,自製山中衣。願言畢婚嫁,攜手老翠微。不悟俗緣在,失身蹈危機。刑名非夙學,陷阱損積威)"라는 구절은 과거에는 자연 속에서 평화롭게 살고 싶어 했지만, 현재는 정치적인 사건에 휘말려 위기에 처한 자신의 상황을 나타냅니다. '산중의 옷(山中衣)'은 은둔 생활을 의미합니다. '형벌과 소송(刑名)'은 정치적인 사건에 연루된 것을 의미합니다.
  • 5-8구: 죽음과 이별에 대한 두려움과 절을 찾은 이유: 죽음과 영원한 이별에 대한 두려움과 절을 찾은 이유를 설명합니다. "마침내 삶과 죽음이 단절될까 두려워, 영원히 산과 구름을 등지게 될까 두려워했네. 오늘이 다시 무슨 날인가, 짚신이 저절로 가볍게 날아가네. 두 발을 가진 존귀한 분께 머리 숙여 절하고, 머리를 드니 두 줄기 눈물을 뿌리네(遂恐死生隔,永與雲山違。今日復何日,芒鞋自輕飛。稽首兩足尊,舉頭雙涕揮)"라는 구절은 죽음과 유배 생활의 고통으로 인해 괴로워하는 심정을 표현하며, 이러한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절을 찾았음을 보여줍니다. '두 발을 가진 존귀한 분(兩足尊)'은 부처를 의미합니다.
  • 9-12구: 불교에 귀의하고자 하는 마음: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을 드러냅니다. "영산(靈山)의 모임이 아직 흩어지지 않았으니, 팔부신중(八部神衆)은 여전히 빛나네. 원컨대 두 성인(二聖)을 따라, 천겁(千劫)의 잘못을 씻고자 하네. 대숲 시냇가 달빛 아래를 배회하니, 빈 산의 푸르름이 안개와 함께 흔들리네(靈山會未散,八部猶光輝。願從二聖往,一洗千劫非。徘徊竹溪月,空翠搖煙霏)"라는 구절은 부처의 가르침을 통해 과거의 잘못을 씻고 새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을 표현합니다. '영산(靈山)'은 부처가 설법했던 곳을 의미합니다. '팔부신중(八部神衆)'은 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신을 의미합니다. '두 성인(二聖)'은 석가모니불과 그의 제자를 의미합니다. '천겁(千劫)'은 매우 긴 시간을 의미하며, 과거의 모든 잘못을 의미합니다.
  • 13-16구: 절에서의 감회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 절에서의 감회를 이야기하며 마지막으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냅니다. "종소리가 저절로 나그네를 보내니, 골짜기를 나서도 여전히 아쉬워하네. 머리를 돌려 고향 산을 바라보니, 해가 저무는데 장차 어디로 돌아가야 하는가(鐘聲自送客,出谷猶依依。回首吾家山,歲晚將焉歸)"라는 구절은 절을 떠나면서 느끼는 아쉬움과 함께,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해가 저무는데(歲晚)'는 인생의 황혼기를 의미하며,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슬픔을 더합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불우한 현실에서 벗어나 불교에 귀의하고자 하는 마음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과거의 포부와 현재의 처지를 대비하여 보여주는 부분, 그리고 부처의 가르침을 통해 새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을 표현한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름다운 자연 풍경 묘사를 통해 시적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마지막에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내어 여운을 남기고 있습니다. 병서의 내용을 통해 정거사의 유래와 역사적 의미를 이해하면, 시의 의미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매화 이수(梅花二首)" 중 첫 번째 시입니다. 매화를 소재로 하여 자신의 처지와 심경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두 수의 시 중 첫 번째 시를 분석하는 요청이므로, 첫 번째 시에 집중하여 분석하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매화를 통해 고난과 외로움 속에서도 굳건히 피어나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핵심 주제입니다.

구절별 분석:

  • 1-2구: 매화의 상황 묘사: 봄이 왔지만 깊은 골짜기에 있는 매화의 고독한 상황을 묘사합니다. "봄이 오니 깊은 골짜기에 물이 졸졸 흐르는데, 희고 깨끗한 매화가 풀과 가시덤불 사이에 피었네(春來幽谷水潺潺,的皪梅花草棘間)"라는 구절은 봄의 생동감과 대비되는 매화의 고독한 처지를 보여줍니다. '유곡(幽谷)'은 깊고 외진 골짜기를 의미하며, 매화가 처한 고립된 환경을 나타냅니다. '적력(的皪)'은 희고 깨끗한 모양을 의미하며, 매화의 순수함과 아름다움을 강조합니다. '초극간(草棘間)'은 풀과 가시덤불 사이를 의미하며, 매화가 척박한 환경에서 피어났음을 나타냅니다.
  • 3-4구: 매화의 시련과 강인함: 매화가 겪는 시련과 그 속에서 보여주는 강인함을 표현합니다. "하룻밤 동풍에 바위가 갈라지니, 반은 날리는 눈을 따라 관산(關山)을 건너가네(一夜東風吹石裂,半隨飛雪渡關山)"라는 구절은 매화가 혹독한 시련을 겪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동풍(東風)'은 봄바람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매화를 시련에 몰아넣는 강한 바람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석렬(石裂)'은 바위가 갈라지는 것을 의미하며, 매화가 겪는 시련의 강도를 나타냅니다. '관산(關山)'은 험준한 산과 고개를 의미하며, 멀고 험난한 여정을 상징합니다. 매화가 눈보라를 무릅쓰고 먼 길을 떠나는 모습은 고난에 굴하지 않는 강인함을 보여줍니다.
  • 5-6구: 외로움과 슬픔: 외부의 시련뿐 아니라 내적인 외로움과 슬픔 또한 드러냅니다. "어떤 사람이 술잔을 잡고 이 깊은 외로움을 위로해 줄까, 피어 있는 것은 본래 무료함에서 비롯되었으니 더욱 시름겹네(何人把酒慰深幽,開自無聊落更愁)"라는 구절은 매화의 내적인 고독과 슬픔을 표현합니다. '심유(深幽)'는 깊은 외로움을 의미하며, 외부의 시련뿐 아니라 내적인 고독 또한 매화를 괴롭히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무료(無聊)'는 심심하고 무료함을 의미하며, 매화가 홀로 피어 있는 상황의 쓸쓸함을 강조합니다.
  • 7-8구: 담담한 수용과 의지: 슬픔 속에서도 담담하게 현실을 수용하고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다행히 맑은 시내 삼백 굽이가 있으니, 황주(黃州)까지 전송하는 것을 마다하지 않으리(幸有清溪三百曲,不辭相送到黃州)"라는 구절은 어려운 현실을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앞으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청계(清溪)'는 맑은 시내를 의미하며, 앞으로의 여정을 상징합니다. '황주(黃州)'는 소식이 유배되었던 곳으로, 고난과 시련의 장소를 의미합니다. 매화가 시내를 따라 황주까지 가는 것을 마다하지 않겠다는 것은, 어떠한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가겠다는 굳은 의지를 나타냅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매화를 통해 고난과 외로움 속에서도 굳건히 피어나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특히, 외부의 시련(동풍, 눈보라)과 내적인 고독(무료함)을 묘사하면서도, 마지막 구절에서 담담하게 현실을 수용하고 앞으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이는 소식 자신이 유배라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꿋꿋하게 살아가겠다는 의지를 매화에 빗대어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희작종송(戲作種松)"입니다. 젊은 시절 소나무를 심었던 일을 회상하며, 소나무의 성장과 효능에 대한 상상, 그리고 신선이 되고자 하는 소망을 익살스럽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제목인 "희작(戲作)"에서 알 수 있듯이, 진지한 내용보다는 해학적인 어조가 두드러지는 시입니다. 제목 옆에 붙은 “[자송지법,용상시회수。]”라는 주석은 “송진을 끓이는 방법은 뽕나무 장작 재 물을 사용한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시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젊은 날의 추억(소나무 심기)을 소재로 하여, 소나무의 효능에 대한 과장된 상상과 신선 사상을 익살스럽게 풀어낸 것이 핵심입니다.

구절별 분석:

  • 1-4구: 젊은 시절의 추억: 젊은 시절 동쪽 언덕에 소나무를 심었던 기억을 회상합니다. "내가 옛날 젊은 날에, 동쪽 언덕에 소나무를 가득 심었네. 처음 한 치 뿌리를 옮겨 심으니, 자질구레하기가 모내기 같았네. 이 년이 지나니 황무지 아래에서, 하나하나 보리 이삭처럼 돋아났네. 삼 년이 지나니 쑥과 사철쑥 사이에서 솟아나, 온 산에 소와 양이 흩어져 다니네(我昔少年日,種松滿東岡。初移一寸根,瑣細如插秧。二年黃茅下,一一攢麥芒。三年出蓬艾,滿山散牛羊)"라는 구절은 소나무를 처음 심었을 때의 모습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는 과정을 생동감 있게 묘사합니다. '한 치 뿌리(一寸根)'는 아주 작은 뿌리를 의미하며, 소나무 묘목이 작았음을 나타냅니다. '모내기(插秧)'에 비유한 것은 소나무 심는 일이 그만큼 세심한 작업임을 나타냅니다. '보리 이삭(麥芒)'과 '쑥과 사철쑥(蓬艾)'은 소나무가 자라면서 주변의 풀들을 제치고 돋아나는 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소와 양(牛羊)'이 온 산에 흩어져 다닌다는 것은 소나무가 무성하게 자라 주변 환경이 풍요로워졌음을 의미합니다.
  • 5-8구: 소나무의 성장과 효능에 대한 상상: 십여 년 후 소나무가 크게 자랐을 모습을 상상하며, 소나무의 효능에 대한 과장된 상상을 펼칩니다. "십여 년을 보지 못했으니, 필시 용이나 뱀처럼 길게 자랐을 것이라 생각하네. 밤바람은 파도를 부수듯 거세고, 아침 이슬은 구슬처럼 향기롭겠지. 내가 그 송진을 먹고자 하니, 이미 백 그루의 뽕나무를 베었네(不見十餘年,想作龍蛇長。夜風破浪碎,朝露珠璣香。我欲食其膏,已伐百本桑)"라는 구절은 소나무가 크게 자랐을 모습을 상상하며, 신선들이 먹는다는 송진을 얻고자 하는 욕망을 드러냅니다. '용이나 뱀(龍蛇)'은 크고 신령스러운 동물을 의미하며, 소나무가 매우 크게 자랐을 것이라는 과장된 상상을 나타냅니다. '밤바람(夜風)'과 '아침 이슬(朝露)'은 소나무가 자란 환경의 신령스러움을 더합니다. '뽕나무(桑)'를 베었다는 것은 주석에서 설명한 것처럼 송진을 끓이는 데 필요한 뽕나무 장작을 구하기 위함입니다.
  • 9-12구: 현실의 어려움과 신선 사상: 현실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신선이 되고자 하는 소망을 다시 한번 드러냅니다. "인간사는 어긋나는 일이 많으니, 신령한 약은 마침내 아득하네. 이에 제안(齊安)의 들에 오니, 길 양쪽에 수염이 하얗게 센 노인들이 있네. 마땅히 거북과 뱀의 굴을 열 것이니, 도끼 자국을 아끼지 않으리. 비록 복령(茯苓)을 얻지는 못하더라도, 우선 송진을 주워야 하네(人事多乖迕,神藥竟渺茫。朅來齊安野,夾路須髯蒼。會開龜蛇窟,不惜斤斧瘡。縱未得茯苓,且當拾流肪)"라는 구절은 현실의 어려움을 인정하면서도, 신선이 되고자 하는 소망을 포기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제안(齊安)'은 소식이 유배되었던 황주(黃州)를 의미합니다. '거북과 뱀의 굴(龜蛇窟)'은 신선들이 산다는 곳을 의미합니다. '복령(茯苓)'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버섯으로, 신선들이 먹는 영약으로 여겨졌습니다. '송진(流肪)'을 줍겠다는 것은 복령을 얻지 못하더라도 비슷한 효능을 가진 송진이라도 얻어 신선이 되고자 하는 소망을 나타냅니다.
  • 13-16구: 송진의 효능에 대한 과장된 상상과 불로장생의 소망: 송진의 효능에 대한 과장된 상상을 펼치며, 불로장생의 소망을 익살스럽게 표현합니다. "솥과 항아리에 백 번을 들락거리니, 희고 밝게 날리는 서리가 흩어지네. 마르고 죽은 삼팽(三彭)의 원수를 갚고, 오곡(五穀)의 창자를 깨끗이 씻어내네. 푸른 뼈에 푸른 골수가 엉기고, 단전(丹田)에서 그윽한 빛이 발하네. 흰 머리털이야 어찌 말할 것이랴, 모름지기 두 눈동자를 반듯하게 하리라. 이후 오백 년 뒤에, 학을 타고 고향으로 돌아가리라(釜盎百出入,皎然散飛霜。槁死三彭仇,澡換五穀腸。青骨凝綠髓,丹田發幽光。白髮何足道,要使雙瞳方。却後五百年,騎鶴還故鄉)"라는 구절은 송진을 먹으면 질병이 낫고 몸이 건강해져 신선처럼 장수할 수 있다는 과장된 상상을 보여줍니다. '삼팽(三彭)'은 사람의 몸 안에 있다는 세 가지 벌레로, 질병의 원인으로 여겨졌습니다. '오곡(五穀)'은 여러 곡식을 의미하며, 속세의 음식을 상징합니다. '단전(丹田)'은 기를 모으는 곳으로, 도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신체 부위입니다. '학을 타고 고향으로 돌아간다(騎鶴還故鄉)'는 전형적인 신선의 모습으로, 불로장생에 대한 소망을 익살스럽게 표현한 것입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젊은 날의 추억을 소재로 하여, 소나무의 효능에 대한 과장된 상상과 신선 사상을 익살스럽게 풀어낸 것이 핵심입니다. 특히, 소나무의 성장 과정을 생동감 있게 묘사한 부분, 송진의 효능에 대한 과장된 상상을 펼친 부분, 그리고 마지막에 신선이 되어 고향으로 돌아가겠다는 익살스러운 표현은 시의 재미를 더합니다. 진지한 의미보다는 해학적인 어조가 두드러지는 시로, 소식 특유의 유머 감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만송정(萬松亭)"입니다. 마성현(麻城縣) 현령 장의(張毅)가 길가에 만 그루의 소나무를 심어 행인들을 쉬게 하려고 정자를 짓고 만송정이라 이름 붙였지만, 10년이 채 되지 않아 소나무의 대부분이 사라진 것을 안타까워하며 지은 시입니다. 제목 옆에 붙은 설명(병서(并敘))은 이 시를 쓰게 된 경위를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병서(并敘)의 내용 요약:

마성현 현령 장의가 길가에 만 그루의 소나무를 심어 행인들을 쉬게 하려고 정자를 짓고 만송정이라 이름 붙였습니다. 그러나 10년이 채 되지 않아 심은 소나무의 10분의 3, 4 정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장의의 뜻을 이어받지 못하는 후임들을 안타까워하여 이 시를 지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선정을 베푼 전임자의 뜻을 이어가지 못하는 후임들을 안타까워하며, 선정을 지속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핵심 주제입니다.

구절별 분석:

  • 1-2구: 장의의 뜻과 현실: 장의가 소나무를 심은 뜻과 현실을 대비하여 보여줍니다. "십 년 심은 것은 백 년의 계획이니, 좋은 덕을 베푸는 것을 도와줄 사람이 없으니 나의 뜻을 이룰 수 없네(十年栽種百年規,好德無人助我儀)"라는 구절은 장의가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소나무를 심었지만, 그 뜻을 이어받아 실천할 사람이 없어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십 년 심은 것은 백 년의 계획(十年栽種百年規)'이라는 표현은 장의가 단순히 눈앞의 이익만을 생각한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을 내다보고 백성을 위한 일을 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병서에 언급된 고어(古語, 옛말) "일 년의 계획은 곡식을 심는 것이고, 십 년의 계획은 나무를 심는 것이고, 백 년의 계획은 덕을 심는 것이다(一年之計,樹之以穀;十年之計,樹之以木;百年之計,樹之以德)"를 인용한 것으로, 장의의 행위가 백 년을 내다본 덕행임을 강조합니다. '좋은 덕을 베푸는 것을 도와줄 사람이 없다(好德無人助我儀)'는 후임자들이 장의의 뜻을 이어받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 3-4구: 장의에 대한 칭송과 안타까움: 장의를 칭송하면서도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을 다시 한번 드러냅니다. "현령이 만약 창힐(倉頡)과 우(禹)와 같다면, 정자의 소나무는 응당 자손의 가지처럼 번성할 텐데(縣令若同倉庾氏,亭松應長子孫枝)"라는 구절은 장의를 고대의 현명한 신하인 창힐과 우에 비유하여 그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현실은 그렇지 못함을 안타까워합니다. '창힐(倉頡)'은 문자를 만든 신화 속 인물이고, '우(禹)'는 하(夏)나라를 세운 임금으로 치수 사업을 통해 백성을 구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들에 비유한 것은 장의의 업적이 그만큼 훌륭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손의 가지처럼 번성한다(長子孫枝)'는 것은 장의의 뜻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의미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함을 암시합니다.
  • 5-6구: 자연의 섭리와 인간의 무능력: 자연의 섭리와 인간의 무능력을 대비하여 보여줍니다. "하늘도 도끼의 재앙을 구제하지 못하고, 들불은 오히려 눈과 서리의 자태를 가엾이 여기네(天公不救斧斤厄,野火解憐冰雪姿)"라는 구절은 인간의 힘으로는 자연의 섭리를 막을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도끼의 재앙(斧斤厄)'은 사람들이 소나무를 베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들불(野火)'은 자연적인 재해를 의미하며, '눈과 서리의 자태(冰雪姿)'는 소나무의 굳건한 모습을 비유합니다. 자연의 힘 앞에서는 인간의 노력이 무력함을 보여주는 동시에, 자연은 오히려 소나무의 굳건함을 지켜주려 한다는 역설적인 상황을 제시합니다.
  • 7-8구: 후임들에게 당부: 후임들에게 장의의 뜻을 기억하고 이어갈 것을 당부합니다. "몇 그루나 아름드리나무가 되었는지 물어보니, 간절히 각궁시(角弓詩)를 기억해 두라고 하네(為問幾株能合抱,慇勤記取角弓詩)"라는 구절은 후임들에게 장의의 뜻을 잊지 말고 잘 이어가라는 당부를 전합니다. '아름드리나무(合抱)'는 껴안을 만큼 큰 나무를 의미하며, 장의가 심은 소나무들이 잘 자랐는지를 확인하는 질문입니다. '각궁시(角弓詩)'는 《시경(詩經)》의 〈각궁(角弓)〉이라는 시로, 형제간의 우애를 노래한 시입니다. 여기서는 전임자와 후임자 사이의 뜻을 이어가는 것을 형제간의 우애에 비유하여, 장의의 뜻을 잊지 말고 잘 계승해 달라는 당부를 강조합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전임자의 선정을 이어가지 못하는 후임들을 안타까워하며, 선정을 지속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장의가 소나무를 심은 뜻과 현실을 대비하여 보여주는 부분, 자연의 섭리와 인간의 무능력을 대비하여 보여주는 부분, 그리고 마지막에 후임들에게 장의의 뜻을 기억하고 이어갈 것을 당부하는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사(고사)와 비유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장선생(張先生)[병서(并敘)]”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장선생이라는 사람에 대한 시로, 서문과 함께 실려 있습니다. 서문에서는 장선생의 기이한 행적을 소개하고 있으며, 시에서는 그의 심오한 내면을 탐구하려는 시인의 노력을 보여줍니다.

서문 번역:

선생은 그 이름을 알 수 없으며, 황주(黃州) 옛 현(縣) 사람으로, 본래 성은 노(盧)씨였으나 장씨에게 입양되었다. 미친 척하고 더러운 것을 개의치 않으며, 추위와 더위도 침범하지 못하고, 항상 홀로 시중을 다니며, 밤에는 어디에 머무는지 알 수 없다. 오가는 사람들이 그를 보고자 하나, 대부분 이루지 못하였는데, 내가 사람을 시켜 불러보니, 흔쾌히 왔다. 이미 이르러서는, 서서 말하지 않고, 말을 걸어도 대답하지 않으며, 앉히려고 해도 앉지 않고, 다만 머리를 숙였다가 들었다가 하며 여관의 집 안을 자세히 보기만 하다가, 오래 있다가 갔다. 무릇 누구인들 여관에 머물지 않겠는가마는, 이 가운데 도대체 무엇이 있겠는가? 그러나 나는 생각하는 마음으로 그의 뜻을 쫓아보았으나, 아마도 얻지 못하였다.

본시 번역:

텅 빈 집을 자세히 보기만 하고 끝내 말하지 않으니, 아마도 내가 천연(天然)을 온전히 갖추지 못했음을 아는 것이리라. 여관에 오는 것을 흔쾌히 여긴다고 사람들이 모두 말하니, 선생을 오게 할 수 있었던 나 또한 어질다고 하네. 신발을 벗어 던지고 똥 묻은 집에서 잠자는 것을 꺼리지 않고, 흐르는 얼음을 다투어 보며 얼음 강에서 목욕하네. 사렴(士廉)이 어찌 도추(桃椎)의 오묘함을 알겠는가, 함부로 헤아리려 하였으니 아마도 그렇지 않을 것이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장선생의 기이한 행동과 그 속에 담긴 심오한 의미를 탐구하려는 시인의 노력을 보여줍니다. 서문에서 장선생의 외적인 모습과 행적을 객관적으로 묘사한 반면, 시에서는 시인의 내면적인 고뇌와 깨달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1-2구 (장선생의 침묵과 시인의 부족함): 장선생의 침묵을 통해 시인 자신의 부족함을 깨닫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텅 빈 집을 자세히 보기만 하고 끝내 말하지 않으니, 아마도 내가 천연(天然)을 온전히 갖추지 못했음을 아는 것이리라(熟視空堂竟不言,故應知我未天全)"는 장선생이 텅 빈 집을 유심히 바라보기만 하고 아무 말도 하지 않는 행동을 통해, 시인은 자신의 깨닫지 못한 바가 있음을 느끼고, 장선생이 그것을 간파했다고 생각합니다. '천전(天全)'은 천연, 즉 본성을 온전히 갖춘 상태를 의미합니다. "여관에 오는 것을 흔쾌히 여긴다고 사람들이 모두 말하니, 선생을 오게 할 수 있었던 나 또한 어질다고 하네(肯來傳舍人皆說,能致先生予亦賢)"는 다른 사람들이 장선생을 쉽게 만날 수 없었던 것에 비해, 시인은 그를 만날 수 있었던 것을 언급하며, 자신의 능력을 은근히 드러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다음 구절에서 이어질 겸손한 태도를 위한 전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4구 (장선생의 초탈함과 세상 사람들의 속됨): 장선생의 초탈한 모습과 세상 사람들의 속된 가치관을 대비합니다. "신발을 벗어 던지고 똥 묻은 집에서 잠자는 것을 꺼리지 않고, 흐르는 얼음을 다투어 보며 얼음 강에서 목욕하네(脫屣不妨眠糞屋,流澌爭看浴冰川)"는 장선생이 세상의 가치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행동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탈사(脫屣)'는 신발을 벗어 던지는 것을 의미하며, 세상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을 상징합니다. '분옥(糞屋)'은 똥 묻은 집, 즉 더럽고 허름한 곳을 의미하며, 장선생이 환경에 구애받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유시(流澌)'는 흐르는 얼음을, '욕빙천(浴冰川)'은 얼음 강에서 목욕하는 것을 의미하며, 장선생의 강인한 정신력과 초탈함을 나타냅니다. "사렴(士廉)이 어찌 도추(桃椎)의 오묘함을 알겠는가, 함부로 헤아리려 하였으니 아마도 그렇지 않을 것이네(士廉豈識桃椎妙,妄意稱量未必然)"는 사렴이라는 인물을 언급하며, 장선생의 깊은 뜻을 속된 기준으로 함부로 헤아릴 수 없음을 강조합니다. '사렴(士廉)'은 한(漢)나라 때의 인물인 유숙(劉淑)의 자(字)로, 청렴결백한 인물로 알려져 있지만, 여기서는 장선생의 심오한 경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사용되었습니다. '도추(桃椎)'는 복숭아나무 망치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장선생의 심오한 경지를 비유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즉, 세상의 기준으로 장선생을 평가하려는 시도 자체가 잘못되었음을 지적하는 것입니다.

이 시는 장선생이라는 기이한 인물을 통해, 세상의 속된 가치관과 초탈한 삶의 방식을 대비시키며, 인간의 본성과 깨달음에 대한 깊은 사유를 보여줍니다. 특히 서문과 함께 읽으면 시의 의미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진계상소축주진촌가취도이수(陳季常所蓄朱陳村嫁娶圖二首)” 중 첫 번째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진계상(陳季常)이 소장하고 있던 주진촌(朱陳村)의 혼인 풍속도를 보고 지은 두 수의 시 중 첫 번째 시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어느 해에 고개지(顧愷之)와 육탐미(陸探微) 같은 뛰어난 화가의 솜씨로, 주진 마을의 혼인 풍속도를 그렸는가. 듣건대 한 마을에 오직 두 성씨뿐이라 하니, 문벌을 따져 최(崔)씨나 노(盧)씨와 혼인하지 않는다네. 나는 주진의 옛 태수로서, 농사를 권장하러 일찍이 행화촌(杏花村)에 들어갔었네. 지금의 풍물은 어찌 그림으로 그릴 수 있으랴, 현의 관리가 돈을 독촉하며 밤에 문을 두드리네. (주진촌은 서주 소현에 있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옛날 주진촌의 아름다운 풍속과 현재의 고달픈 현실을 대비하며, 세태의 변화를 안타까워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역사적 인물과 고사를 인용하여 시의 의미를 풍부하게 하고 있습니다.

  • 1-2구 (옛 그림의 아름다움과 순수한 혼인 풍속): 옛 그림의 뛰어난 솜씨와 주진촌의 독특하고 순수한 혼인 풍속을 묘사합니다. "어느 해에 고개지(顧愷之)와 육탐미(陸探微) 같은 뛰어난 화가의 솜씨로, 주진 마을의 혼인 풍속도를 그렸는가(何年顧陸丹青手,畫作朱陳嫁娶圖)"는 옛 그림의 뛰어남을 고개지와 육탐미라는 유명한 화가에 비유하여 표현합니다. 고개지와 육탐미는 동진(東晉) 시대의 유명한 화가로, 특히 인물화에 뛰어났다고 합니다. "듣건대 한 마을에 오직 두 성씨뿐이라 하니, 문벌을 따져 최(崔)씨나 노(盧)씨와 혼인하지 않는다네(聞道一村惟兩姓,不將門戶買崔盧)"는 주진촌의 독특한 혼인 풍속을 설명합니다. 주(朱)씨와 진(陳)씨 두 성씨만 사는 마을이라 외부의 다른 성씨와 혼인하지 않고, 문벌을 따지지 않는 순수한 혼인 풍속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최씨와 노씨는 중국의 대표적인 명문 벌족으로, 문벌을 중시하는 사회 풍습을 상징합니다. 즉, 주진촌은 이러한 속세의 풍습과는 다른 순수한 공동체였음을 나타냅니다.
  • 3-4구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안타까운 현실): 과거에 태수로서 주진촌을 방문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현재의 안타까운 현실을 대비합니다. "나는 주진의 옛 태수로서, 농사를 권장하러 일찍이 행화촌(杏花村)에 들어갔었네(我是朱陳舊使君,勸耕曾入杏花村)"는 과거에 시인이 그 지역의 태수로서 농사를 권장하기 위해 주진촌을 방문했던 경험을 나타냅니다. '행화촌(杏花村)'은 살구꽃이 피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평화롭고 아름다운 농촌 풍경을 상징합니다. 과거에는 시인이 직접 방문하여 농사를 권장할 정도로 평화롭고 풍요로운 마을이었음을 나타냅니다. "지금의 풍물은 어찌 그림으로 그릴 수 있으랴, 현의 관리가 돈을 독촉하며 밤에 문을 두드리네(而今風物那堪畫,縣吏催錢夜打門)"는 현재의 주진촌은 세금 독촉에 시달리는 고달픈 현실에 처해 있음을 나타냅니다. 과거의 아름다운 풍속은 사라지고, 관리의 횡포에 시달리는 암울한 현실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는 시인이 과거의 아름다웠던 주진촌의 모습과 현재의 고통스러운 현실을 대비시켜, 세태의 변화를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진촌은 서주 소현에 있다.)라는 주석은 주진촌의 위치를 명확히 알려줍니다.

이 시는 과거의 아름다운 풍속과 현재의 고달픈 현실을 대비시켜, 세태의 변화를 안타까워하는 시인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역사적 인물과 고사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풍부하게 하였으며, 마지막 구절은 현실의 고통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소식(蘇軾)의 “소년시상과일촌원견벽상유시운야량의유우원정사무승부지하인시야숙황주선지사사승개부재야반우작우기차시고작일절(少年時嘗過一村院見壁上有詩云夜涼疑有雨院靜似無僧不知何人詩也宿黃州禪智寺寺僧皆不在夜半雨作偶記此詩故作一絕)”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소년 시절 어느 마을의 절에서 벽에 쓰인 시를 보았던 기억을 떠올리며 지은 시입니다. 그 절의 시는 “밤은 서늘하여 비가 올 듯하고, 절은 고요하여 승려가 없는 듯하다(夜涼疑有雨院靜似無僧)”라는 구절이었는데, 누가 지은 시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이후 황주(黃州)의 선지사(禪智寺)에 머물렀는데, 절의 승려들이 모두 부재중인 밤에 비가 내리자 문득 그 시가 떠올라 이 시를 지었다고 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부처님의 등불은 점점 어두워지고 굶주린 쥐가 나타나고, 산속의 비가 갑자기 내리니 긴 대나무가 소리를 내네. 이것이 누구의 옛 시구인지 알겠으니, 이미 나의 이때의 심정을 알았으리라.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소년 시절의 기억과 현재의 상황이 묘하게 일치하는 것을 발견하고, 과거의 시인이 마치 현재의 자신의 심정을 미리 알고 있었던 것처럼 느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시간의 흐름을 초월하는 시의 힘을 보여주는 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1구 (어두운 밤과 불안한 분위기): 어두운 밤과 불안한 분위기를 묘사합니다. "부처님의 등불은 점점 어두워지고 굶주린 쥐가 나타나고, 산속의 비가 갑자기 내리니 긴 대나무가 소리를 내네(佛燈漸暗饑鼠出,山雨忽來脩竹鳴)"는 어두운 밤, 쥐의 출현, 갑작스러운 비와 대나무 소리 등 불안하고 적막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요소들을 나열하고 있습니다. '불등(佛燈)'은 부처님의 등불, 즉 절의 등불을 의미하며, 점점 어두워진다는 것은 시간이 늦었음을 나타내는 동시에, 적막한 분위기를 강조합니다. '기서(饑鼠)'는 굶주린 쥐를 의미하며, 불안한 분위기를 더합니다. '산우(山雨)'는 산속의 비를, '수죽명(脩竹鳴)'은 긴 대나무가 바람에 흔들리며 소리를 내는 것을 의미하며, 갑작스러운 비로 인해 더욱 고요하고 적막한 분위기가 형성되었음을 나타냅니다. 특히 승려가 없는 절에서 홀로 밤을 맞이한 시인의 고독한 심정을 잘 드러내는 배경 묘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구 (과거 시구와의 조응과 감회): 과거에 보았던 시구와 현재의 상황이 일치하는 것을 깨닫고 감회에 젖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이것이 누구의 옛 시구인지 알겠으니, 이미 나의 이때의 심정을 알았으리라(知是何人舊詩句,已應知我此時情)"는 1구에서 묘사된 상황이 소년 시절 보았던 시구, 즉 “밤은 서늘하여 비가 올 듯하고, 절은 고요하여 승려가 없는 듯하다(夜涼疑有雨院靜似無僧)”와 매우 흡사하다는 것을 깨닫고, 과거의 시인이 마치 현재의 자신의 심정을 미리 알고 있었던 것처럼 느끼는 감회를 표현합니다. '구시구(舊詩句)'는 옛 시구를 의미하며, 소년 시절 보았던 시를 가리킵니다. '차시정(此時情)'은 이때의 심정, 즉 현재 시인이 느끼는 고독하고 적막한 심정을 의미합니다. 과거의 시구와 현재의 상황이 묘하게 일치하는 것을 발견하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과거의 시인과 교감하는 듯한 느낌을 받은 것입니다.

이 시는 소년 시절의 기억과 현재의 경험이 시라는 매개를 통해 연결되는 순간을 포착하여, 시간의 흐름을 초월하는 시의 힘을 보여줍니다. 특히 간결한 표현 속에 깊은 감회를 담아낸 것이 특징입니다.

 

소식(蘇軾)의 “초도황주(初到黃州)”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소식이 황주(黃州)로 처음 부임했을 때의 심정을 담은 시입니다. 그는 이전에 여러 관직을 거쳤지만,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좌천되어 황주로 오게 되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평생 입 때문에 바빴던 것을 스스로 웃으니, 늙어서 하는 일이 더욱 황당하구나. 장강(長江)이 성곽을 두르고 흐르니 물고기가 맛있는 줄 알겠고, 좋은 대나무가 산에 이어져 있으니 죽순이 향기로운 줄 깨닫겠네. 귀양 온 손님을 원외랑(員外郎) 자리에 두는 것도 괜찮으니, 시인은 예로부터 수조랑(水曹郎)을 지었네. 다만 조금의 보탬도 되지 못함을 부끄러워할 뿐이니, 오히려 나라의 술 주머니만 낭비하는구나. (검교관의 예에 따라, 녹봉 외에 술 주머니를 더 받았다고 한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좌천된 상황 속에서도 자연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자신의 처지를 해학적으로 표현하며, 나라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부끄러움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 1-2구 (스스로를 비웃는 해학과 자연의 아름다움):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며 스스로를 비웃는 해학과 황주의 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묘사합니다. "평생 입 때문에 바빴던 것을 스스로 웃으니, 늙어서 하는 일이 더욱 황당하구나(自笑平生為口忙,老來事業轉荒唐)"는 과거의 삶이 관직 생활, 즉 입에 풀칠하기 위해 바쁘게 살아온 삶이었음을 자조적으로 표현합니다. '위구망(為口忙)'은 입 때문에 바쁘다는 뜻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혹은 출세를 위해 바쁘게 살아온 것을 의미합니다. '황당(荒唐)'은 황량하고 터무니없다는 뜻으로, 늙어서 좌천된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어조로 사용되었습니다. "장강(長江)이 성곽을 두르고 흐르니 물고기가 맛있는 줄 알겠고, 좋은 대나무가 산에 이어져 있으니 죽순이 향기로운 줄 깨닫겠네(長江繞郭知魚美,好竹連山覺筍香)"는 황주의 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묘사합니다. 장강의 풍부한 물산과 대나무 숲의 풍경을 통해, 좌천된 상황 속에서도 자연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시인의 긍정적인 면모를 보여줍니다.
  • 3-4구 (자신의 처지를 해학적으로 표현하며 부끄러움을 드러냄): 자신의 처지를 해학적으로 표현하면서도, 나라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부끄러움을 드러냅니다. "귀양 온 손님을 원외랑(員外郎) 자리에 두는 것도 괜찮으니, 시인은 예로부터 수조랑(水曹郎)을 지었네(逐客不妨員外置,詩人例作水曹郎)"는 자신을 귀양 온 손님에 비유하며, 원외랑이라는 한직에 임명된 것을 해학적으로 표현합니다. '축객(逐客)'은 귀양 온 손님을 의미하며, 자신의 처지를 나타냅니다. '원외치(員外置)'는 원외랑이라는 관직에 임명하는 것을 의미하며, 한직에 임명된 것을 의미합니다. '시인례작수조랑(詩人例作水曹郎)'은 옛 시인들도 수조랑이라는 관직을 지냈다는 고사를 인용하여, 자신의 처지를 위로하는 동시에, 시인으로서의 자부심을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조금의 보탬도 되지 못함을 부끄러워할 뿐이니, 오히려 나라의 술 주머니만 낭비하는구나(只慚無補絲毫事,尚費官家壓酒囊)"는 나라에 조금의 보탬도 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부끄러움을 솔직하게 드러냅니다. '압주낭(壓酒囊)'은 술 주머니를 의미하며, 녹봉 외에 술을 더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나라의 재정을 낭비하는 것에 대한 자책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검교관의 예에 따라, 녹봉 외에 술 주머니를 더 받았다고 한다.)라는 주석은 '압주낭'의 의미를 명확히 설명해줍니다.

이 시는 좌천이라는 부정적인 상황 속에서도 자연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자신의 처지를 해학적으로 표현하며, 동시에 나라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부끄러움을 드러내는 복합적인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해학과 자조, 그리고 진솔한 감정이 어우러져 시의 매력을 더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정혜원우거월야우출(定惠院寓居月夜偶出)”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소식이 정혜원(定惠院)에 머무는 동안 달밤에 우연히 나가 산책하며 느낀 감회를 읊은 시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한가로운 사람은 할 일이 없어 문을 나서지 않지만, 우연히 봄바람을 따라 좋은 밤을 거니네. 들쭉날쭉한 아름다운 집들이 나무 끝에 날아갈 듯하고, 피어오르는 향 연기가 달빛 아래로 흘러오네. 강의 구름은 자태가 있어 맑고 스스로 아첨하고, 대나무 이슬은 소리 없이 넓게 쏟아지는 듯하네. 이미 약한 버드나무 가지가 수없이 드리워진 것에 놀랐고, 오히려 남은 매화 한 가지가 낮게 드리워져 있네. 맑은 시를 홀로 읊고 또 스스로 화답하니, 좋은 술은 이미 다 떨어졌으니 누가 빌려 줄 수 있으랴. 덧없이 지나가는 청춘을 아끼지 않지만, 다만 즐거운 마음이 해마다 사라질까 두렵네. 스스로 술 취한 귀는 솔바람 소리를 좋아하는 줄 아니, 서리 내린 숲을 골라 초가집을 지으리라. 둥둥 떠 있는 큰 시루에는 오랫동안 옥 같은 밥을 짓고, 졸졸 흐르는 작은 술통에는 사탕수수를 짜듯이 술을 빚네. 술 마시는 참된 맛은 늙을수록 더욱 짙어지고, 술 취한 채 지껄인 미친 말은 깨고 나면 두렵네. 다만 마땅히 손님을 사절하고 처자를 대하며, 관을 거꾸로 쓰고 패옥을 떨어뜨려 조롱과 욕설을 따르리라.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달밤의 아름다운 풍경을 섬세하게 묘사하면서, 인생의 덧없음과 술에 대한 애정, 그리고 속세를 초탈하고자 하는 마음을 복합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 1-2구 (한가로운 밤 산책과 아름다운 풍경 묘사): 한가로운 밤의 산책과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합니다. "한가로운 사람은 할 일이 없어 문을 나서지 않지만, 우연히 봄바람을 따라 좋은 밤을 거니네(幽人無事不出門,偶逐東風轉良夜)"는 한가로운 사람이 특별한 일 없이 문을 나서지 않는다는 일반적인 상황을 제시하며, 시인이 우연히 밤 산책을 하게 된 계기를 설명합니다. '유인(幽人)'은 속세를 떠나 한가롭게 지내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인 자신을 가리킵니다. "들쭉날쭉한 아름다운 집들이 나무 끝에 날아갈 듯하고, 피어오르는 향 연기가 달빛 아래로 흘러오네(參差玉宇飛木末,繚繞香煙來月下)"는 달밤의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합니다. '옥우(玉宇)'는 아름다운 집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 3-4구 (자연의 섬세한 묘사): 자연의 섬세한 모습을 감각적으로 묘사합니다. "강의 구름은 자태가 있어 맑고 스스로 아첨하고, 대나무 이슬은 소리 없이 넓게 쏟아지는 듯하네(江雲有態清自媚,竹露無聲浩如瀉)"는 강의 구름과 대나무 이슬을 통해 달밤의 고요하고 청량한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이미 약한 버드나무 가지가 수없이 드리워진 것에 놀랐고, 오히려 남은 매화 한 가지가 낮게 드리워져 있네(已驚弱柳萬絲垂,尚有殘梅一枝亞)"는 버드나무와 매화를 통해 계절의 변화를 감지하는 시인의 섬세한 감각을 보여줍니다.
  • 5-6구 (고독과 인생의 덧없음): 고독한 심정과 인생의 덧없음을 토로합니다. "맑은 시를 홀로 읊고 또 스스로 화답하니, 좋은 술은 이미 다 떨어졌으니 누가 빌려 줄 수 있으랴(清詩獨吟還自和,白酒已盡誰能借)"는 술이 떨어진 상황을 통해 고독한 심정을 드러냅니다. "덧없이 지나가는 청춘을 아끼지 않지만, 다만 즐거운 마음이 해마다 사라질까 두렵네(不辭青春忽忽過,但恐歡意年年謝)"는 인생의 덧없음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합니다.
  • 7-8구 (은거의 뜻과 풍류): 은거의 뜻과 풍류를 드러냅니다. "스스로 술 취한 귀는 솔바람 소리를 좋아하는 줄 아니, 서리 내린 숲을 골라 초가집을 지으리라(自知醉耳愛松風,會揀霜林結茅舍)"는 자연 속에서 은거하며 풍류를 즐기겠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둥둥 떠 있는 큰 시루에는 오랫동안 옥 같은 밥을 짓고, 졸졸 흐르는 작은 술통에는 사탕수수를 짜듯이 술을 빚네(浮浮大甑長炊玉,溜溜小槽如壓蔗)"는 은거 생활의 풍족함을 묘사하며, 술과 음식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취옥(炊玉)'은 옥처럼 흰 밥을 짓는다는 뜻입니다.
  • 9-10구 (술의 참된 맛과 술 취한 후의 두려움, 그리고 초탈): 술의 참된 맛과 술 취한 후의 두려움, 그리고 속세를 초탈하고자 하는 마음을 드러냅니다. "술 마시는 참된 맛은 늙을수록 더욱 짙어지고, 술 취한 채 지껄인 미친 말은 깨고 나면 두렵네(飲中真味老更濃,醉裏狂言醒可怕)"는 술에 대한 애정과 술 취한 후의 후회를 동시에 표현합니다. "다만 마땅히 손님을 사절하고 처자를 대하며, 관을 거꾸로 쓰고 패옥을 떨어뜨려 조롱과 욕설을 따르리라(但當謝客對妻子,倒冠落佩從嘲罵)"는 속세의 명예와 체면을 버리고 가족과 함께 자유롭게 지내겠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도관낙패(倒冠落佩)'는 관을 거꾸로 쓰고 패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격식과 체면을 버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시는 달밤의 아름다운 풍경 묘사, 인생의 덧없음에 대한 안타까움, 술에 대한 애정, 그리고 속세를 초탈하고자 하는 마음 등 다양한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각적으로 묘사하는 표현과 술과 관련된 표현이 인상적입니다.

 

소식(蘇軾)의 “차운전편(次韻前篇)”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작년에 서주(徐州)에서 지었던 시에 차운(次韻)하여 지은 시입니다. 차운이란, 원시의 운자를 그대로 사용하여 시를 짓는 창작 방식으로, 원시의 내용과 분위기를 어느 정도 계승하면서 새로운 감회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원시에서는 서주에서 달을 보며 술을 마셨던 즐거운 기억을 읊었다고 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작년에는 꽃이 서주에 떨어질 때, 달을 마주하며 흥겹게 노래하니 아름다운 밤이었네. (작년 서주에서 꽃 아래 달을 마주하며, 장사후, 왕자립 형제와 술을 마시며, 빈(蘋) 자 운의 시를 지었다.) 올해는 황주에서 꽃이 피는 것을 보니, 작은 뜰 문을 닫으니 바람과 이슬이 내리네. 만사는 꽃과 같아 기약할 수 없고, 남은 해는 술과 같으니 어찌 다 쏟아내는 것을 막으랴. 옛날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파협(巴峽)을 거슬러 올라갔던 일을 생각하니, 번구(樊口)에 돛을 내리니 높은 돛대가 낮게 드리워졌네. (번구는 황주 남쪽 강변에 있다.) 장강은 쉼 없이 부질없이 흐르고, 흰머리는 어찌 조금이라도 빌릴 수 있으랴. 마침내 저니(沮溺)를 이어 밭 다섯 이랑을 일구는 일도 없고, 부질없이 천 편의 시로 포조(鮑照)와 사령운(謝靈運)을 능가하려 하네. 지금까지 돌아갈 계획은 구름 덮인 산에 어긋났으니, 외로운 이불 덮고 객사에서 잠자는 것을 면하지 못하네. 젊은 날의 고생은 참으로 쓰고 쓴 여뀌를 먹는 것 같고, 늙은 모습의 맑고 한가로움은 마치 사탕수수를 씹는 것 같네. 굶주림과 추위가 아직 이르지 않았으니 우선 편안히 지내고, 근심 걱정은 이미 비었지만 오히려 꿈속에서 두려워하네. 꽃 사이를 거닐고 달을 밟으며 시골 술을 마시니, 술 취해 돌아와 관리에게 꾸지람 듣는 일을 면하게 하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작년의 즐거웠던 기억과 현재의 외로운 상황을 대비시키면서, 인생의 무상함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술로 시름을 달래는 심정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원시와의 연관성을 고려하며 분석하겠습니다.

  • 1-2구 (과거의 즐거움과 현재의 고독): 작년의 즐거움과 현재의 고독을 대비합니다. "작년에는 꽃이 서주에 떨어질 때, 달을 마주하며 흥겹게 노래하니 아름다운 밤이었네(去年花落在徐州,對月酣歌美清夜)"는 작년 서주에서 친구들과 함께 달을 보며 술을 마셨던 즐거운 기억을 회상합니다. 이는 원시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즐거웠던 과거를 나타냅니다. "올해는 황주에서 꽃이 피는 것을 보니, 작은 뜰 문을 닫으니 바람과 이슬이 내리네(今年黃州見花發,小院閉門風露下)"는 현재 황주에서 홀로 꽃을 보며 느끼는 고독한 심정을 묘사합니다. 문을 닫고 홀로 있는 상황은 과거의 흥겨웠던 분위기와 대조를 이룹니다.
  • 3-4구 (인생의 무상함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 인생의 무상함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합니다. "만사는 꽃과 같아 기약할 수 없고, 남은 해는 술과 같으니 어찌 다 쏟아내는 것을 막으랴(萬事如花不可期,餘年似酒那禁瀉)"는 인생의 덧없음을 꽃에 비유하며, 남은 인생 또한 술처럼 흘러갈 것을 암시합니다. "옛날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파협(巴峽)을 거슬러 올라갔던 일을 생각하니, 번구(樊口)에 돛을 내리니 높은 돛대가 낮게 드리워졌네(憶昔還鄉泝巴峽,落帆樊口高桅亞)"는 고향으로 돌아가려 했던 과거의 노력을 회상하며, 현재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상황을 안타까워합니다.
  • 5-6구 (시간의 흐름과 시인으로서의 자부심): 시간의 흐름과 시인으로서의 자부심을 드러냅니다. "장강은 쉼 없이 부질없이 흐르고, 흰머리는 어찌 조금이라도 빌릴 수 있으랴(長江袞袞空自流,白髮紛紛寧少借)"는 시간의 흐름을 장강에 비유하며, 늙어가는 자신의 모습을 안타까워합니다. "마침내 저니(沮溺)를 이어 밭 다섯 이랑을 일구는 일도 없고, 부질없이 천 편의 시로 포조(鮑照)와 사령운(謝靈運)을 능가하려 하네(竟無五畝繼沮溺,空有千篇陵鮑謝)"는 은거하여 농사를 짓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언급하며, 대신 많은 시를 지어 이름을 남기고자 하는 시인으로서의 포부를 드러냅니다. 저니는 은거하여 농사를 지었던 고대의 현인입니다. 포조와 사령운은 남조 시대의 유명한 시인입니다.
  • 7-8구 (귀향의 어려움과 현재의 상황): 귀향의 어려움과 현재의 상황을 묘사합니다. "지금까지 돌아갈 계획은 구름 덮인 산에 어긋났으니, 외로운 이불 덮고 객사에서 잠자는 것을 면하지 못하네(至今歸計負雲山,未免孤衾眠客舍)"는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객지에서 외롭게 지내는 자신의 처지를 안타까워합니다. "젊은 날의 고생은 참으로 쓰고 쓴 여뀌를 먹는 것 같고, 늙은 모습의 맑고 한가로움은 마치 사탕수수를 씹는 것 같네(少年辛苦真食蓼,老景清閑如啖蔗)"는 젊은 날의 고생과 현재의 한가로움을 대비하며, 인생의 변화를 표현합니다.
  • 9-10구 (현실적인 어려움과 술로 시름을 달래는 모습): 현실적인 어려움과 술로 시름을 달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굶주림과 추위가 아직 이르지 않았으니 우선 편안히 지내고, 근심 걱정은 이미 비었지만 오히려 꿈속에서 두려워하네(饑寒未至且安居,憂患已空猶夢怕)"는 현실적인 어려움은 아직 겪지 않고 있지만,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심정을 드러냅니다. "꽃 사이를 거닐고 달을 밟으며 시골 술을 마시니, 술 취해 돌아와 관리에게 꾸지람 듣는 일을 면하게 하네(穿花踏月飲村酒,免使醉歸官長罵)"는 술로 시름을 달래며, 현실의 고통을 잊으려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시는 작년의 즐거웠던 기억과 현재의 고독한 상황을 대비시키면서, 인생의 무상함, 고향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술로 시름을 달래는 심정을 복합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원시와의 연관성을 고려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감정의 변화를 섬세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입니다.

 

소식(蘇軾)의 “안국사욕(安國寺浴)”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소식이 안국사(安國寺)에서 목욕을 하며 느낀 감회를 읊은 시입니다. 단순히 몸을 씻는 행위를 넘어, 마음의 묵은 때까지 씻어내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늙으니 모든 일이 귀찮아, 몸의 때조차 씻어야 함을 생각하네. 쇠약한 머리카락이 귀에 닿지 않으니, 오히려 한 달에 한 번 목욕하는 것이 번거롭네. 산성(山城)에는 땔감과 숯이 넉넉하니, 연기와 안개가 온천 골짜기를 덮네. 티끌과 때는 얼마나 되겠는가, 깨끗이 속박에서 벗어나네. 옷을 걸치고 작은 누각에 앉아, 머리를 풀어 긴 대나무를 마주하네. 마음은 만 가지 인연이 비어 고달프고, 몸은 하나의 평상으로 편안하네. 어찌 더러운 것만 씻는 것이겠는가, 겸하여 영욕(榮辱)까지 씻네. 묵묵히 돌아가 많은 말을 하지 않으니, 이 이치를 살펴 익히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목욕이라는 일상적인 행위를 통해, 육체적인 청결뿐 아니라 정신적인 해탈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 불교적인 사유와 노장사상의 영향을 엿볼 수 있습니다.

  • 1-2구 (늙음과 목욕의 번거로움): 늙음으로 인해 모든 일이 귀찮아진 상황과 목욕조차 번거롭게 느끼는 심정을 묘사합니다. "늙으니 모든 일이 귀찮아, 몸의 때조차 씻어야 함을 생각하네(老來百事懶,身垢猶念浴)"는 늙음으로 인해 모든 것이 귀찮아진 상황을 간결하게 드러냅니다. "쇠약한 머리카락이 귀에 닿지 않으니, 오히려 한 달에 한 번 목욕하는 것이 번거롭네(衰髮不到耳,尚煩月一沐)"는 쇠약해진 머리카락 때문에 예전처럼 자주 목욕할 필요가 없어졌지만, 오히려 한 달에 한 번 하는 목욕조차 번거롭게 느껴진다는 역설적인 표현을 사용합니다. 이는 단순히 육체적인 번거로움을 넘어, 정신적인 나태함까지 내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3-4구 (목욕 환경과 해탈의 경지): 목욕을 할 수 있는 좋은 환경과 속박에서 벗어나는 해탈의 경지를 묘사합니다. "산성(山城)에는 땔감과 숯이 넉넉하니, 연기와 안개가 온천 골짜기를 덮네(山城足薪炭,煙霧濛湯谷)"는 목욕을 하기에 좋은 환경을 묘사합니다. '탕곡(湯谷)'은 온천 골짜기를 의미합니다. "티끌과 때는 얼마나 되겠는가, 깨끗이 속박에서 벗어나네(塵垢能幾何,翛然脫羈梏)"는 육체의 때가 얼마나 되겠냐며, 목욕을 통해 육체의 속박뿐 아니라 마음의 속박까지 벗어나는 해탈의 경지를 표현합니다. '소연(翛然)'은 깨끗하고 홀가분한 모양을 의미하며, '기곡(羈梏)'은 속박을 의미합니다.
  • 5-6구 (목욕 후의 고요한 심경): 목욕 후의 고요하고 편안한 심경을 묘사합니다. "옷을 걸치고 작은 누각에 앉아, 머리를 풀어 긴 대나무를 마주하네(披衣坐小閣,散髮臨脩竹)"는 목욕 후 옷을 걸치고 작은 누각에 앉아 머리를 풀고 대나무를 바라보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이는 고요하고 한가로운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마음은 만 가지 인연이 비어 고달프고, 몸은 하나의 평상으로 편안하네(心困萬緣空,身安一牀足)"는 마음은 세상의 모든 인연에서 벗어나 비어 있지만 오히려 고달프고, 몸은 하나의 평상만으로도 편안함을 느낀다는 역설적인 표현을 사용합니다. 이는 정신적인 고뇌와 육체적인 안락함의 대비를 통해, 정신적인 해탈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 7-8구 (목욕의 진정한 의미와 깨달음): 목욕의 진정한 의미와 깨달음을 제시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어찌 더러운 것만 씻는 것이겠는가, 겸하여 영욕(榮辱)까지 씻네(豈惟忘淨穢,兼以洗榮辱)"는 목욕이 단순히 육체의 더러움을 씻는 행위가 아니라, 영광과 치욕과 같은 마음의 묵은 때까지 씻어내는 행위임을 강조합니다. "묵묵히 돌아가 많은 말을 하지 않으니, 이 이치를 살펴 익히네(默歸無多談,此理觀要熟)"는 깨달음을 얻고 묵묵히 돌아가 그 이치를 되새기는 모습을 묘사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이는 불교적인 선(禪)의 사상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목욕이라는 일상적인 행위를 통해, 육체적인 청결뿐 아니라 정신적인 해탈을 추구하는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불교적인 사유와 노장사상의 영향을 받은 표현들이 인상적입니다.

 

소식(蘇軾)의 “안국사심춘(安國寺尋春)”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소식이 안국사(安國寺)를 찾아 봄을 맞이하며 느낀 감회를 읊은 시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누워서 백설조(百舌鳥)가 봄바람을 부르는 소리를 들으니, 일어나 꽃과 버드나무를 찾아보니 마을마다 같네. 성 남쪽의 오래된 절에는 긴 대나무가 무성하고, 작은 방의 구부러진 난간은 짙은 붉은색으로 기울어져 있네. 꽃을 보며 늙음을 탄식하고 젊은 시절을 떠올리며, 술을 마주하며 고향을 생각하니 늙은이의 시름이 일어나네. 병든 눈은 운모(雲母)처럼 어지러운 것도 부끄러워하지 않고, 귀밑의 흰머리는 억지로 차 연기 속에서 정리하네. 멀리서 이월 왕성(王城) 밖을 생각하니, 옥선(玉仙)과 홍복(洪福)의 꽃은 바다와 같으리라. 얇은 비단 안개로 새 단장을 덮고, 빠른 말은 바람을 다투며 여러 패옥 소리를 내네. 옥천 선생(玉川先生)은 참으로 가련하구나, 평생 술을 즐기다가 끝내 돈이 없었네. 봄바람을 지나 아흔 날을 병들어 지내고, 홀로 아들을 안고 꽃 피는 것을 보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봄의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하면서, 늙음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가난과 병고에 시달리는 자신의 처지를 안타까워하는 복합적인 감정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 1-2구 (봄의 도래와 절의 풍경): 봄의 도래와 절의 풍경을 묘사합니다. "누워서 백설조(百舌鳥)가 봄바람을 부르는 소리를 들으니, 일어나 꽃과 버드나무를 찾아보니 마을마다 같네(臥聞百舌呼春風,起尋花柳村村同)"는 백설조의 울음소리를 통해 봄이 왔음을 알리고, 꽃과 버드나무가 만발한 풍경을 묘사합니다. '백설(百舌)'은 여러 새의 소리를 흉내 내는 새로, 봄의 전령으로 여겨집니다. "성 남쪽의 오래된 절에는 긴 대나무가 무성하고, 작은 방의 구부러진 난간은 짙은 붉은색으로 기울어져 있네(城南古寺脩竹合,小房曲檻欹深紅)"는 안국사의 고즈넉한 풍경을 묘사합니다. '수죽합(脩竹合)'은 긴 대나무가 무성하게 우거진 모습을 의미합니다.
  • 3-4구 (늙음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 늙음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합니다. "꽃을 보며 늙음을 탄식하고 젊은 시절을 떠올리며, 술을 마주하며 고향을 생각하니 늙은이의 시름이 일어나네(看花歎老憶年少,對酒思家愁老翁)"는 꽃을 보면서 젊은 시절을 회상하고, 술을 마시며 고향을 그리워하는 늙은이의 슬픈 마음을 표현합니다. "병든 눈은 운모(雲母)처럼 어지러운 것도 부끄러워하지 않고, 귀밑의 흰머리는 억지로 차 연기 속에서 정리하네(病眼不羞雲母亂,鬢絲強理茶煙中)"는 병든 눈과 흰머리를 통해 늙고 병든 자신의 모습을 자조적으로 묘사합니다. '운모란(雲母亂)'은 운모처럼 어지럽다는 뜻으로, 시력이 흐릿한 상태를 비유합니다.
  • 5-6구 (화려한 도성의 봄 풍경): 화려한 도성의 봄 풍경을 상상합니다. "멀리서 이월 왕성(王城) 밖을 생각하니, 옥선(玉仙)과 홍복(洪福)의 꽃은 바다와 같으리라(遙知二月王城外,玉仙洪福花如海)"는 도성의 화려한 봄 풍경을 상상하며, 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과 대비합니다. '옥선(玉仙)'과 '홍복(洪福)'은 각각 아름다운 여인과 복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도성의 화려함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얇은 비단 안개로 새 단장을 덮고, 빠른 말은 바람을 다투며 여러 패옥 소리를 내네(薄羅勻霧蓋新妝,快馬爭風鳴雜珮)"는 도성의 봄 풍경을 더욱 구체적으로 묘사하며, 화려하고 활기찬 분위기를 전달합니다.
  • 7-8구 (가난과 병고에 시달리는 자신의 모습): 가난과 병고에 시달리는 자신의 모습을 자조적으로 묘사합니다. "옥천 선생(玉川先生)은 참으로 가련하구나, 평생 술을 즐기다가 끝내 돈이 없었네(玉川先生真可憐,一生耽酒終無錢)"는 당나라 시인인 옥천자(玉川子) 즉, 노동(盧仝)을 언급하며, 자신 또한 그처럼 가난하게 살고 있음을 한탄합니다. 노동은 술을 매우 좋아했던 시인으로 유명합니다. "봄바람을 지나 아흔 날을 병들어 지내고, 홀로 아들을 안고 꽃 피는 것을 보네(病過春風九十日,獨抱添丁看花發)"는 오랜 병고에 시달리고 있는 자신의 처지를 보여줍니다. '첨정(添丁)'은 아들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시는 봄의 아름다운 풍경과 대비되는 늙음, 고향에 대한 그리움, 가난과 병고 등 슬프고 안타까운 감정을 복합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역사적 인물을 인용하여 자신의 처지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점이 특징입니다.

 

소식(蘇軾)의 “우거정혜원지동잡화만산유해당일주토인부지귀야(寓居定惠院之東雜花滿山有海棠一株土人不知貴也)”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소식이 황주(黃州)로 좌천되어 정혜원(定惠院) 동쪽에 머물 때, 여러 꽃이 만발한 산에 있는 한 그루의 해당화를 보고 지은 시입니다. 당시 그곳 사람들은 해당화의 가치를 제대로 알지 못했다고 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강의 성은 습기가 많아 초목이 무성한데, 오직 이름난 꽃만이 외롭게 홀로 있네. 활짝 웃는 듯 대나무 울타리 사이에 피어 있으니, 온 산에 가득한 복숭아꽃과 오얏꽃은 모두 촌스럽구나. 조물주에게 깊은 뜻이 있음을 또한 알겠으니, 일부러 아름다운 여인을 빈 골짜기에 보냈구나. 타고난 자태에서 자연스러운 부귀가 드러나니, 금쟁반에 담아 화려한 집에 바치기를 기다리지 않네. 붉은 입술에 술기운이 돌아 얼굴에 붉은 기운이 돌고, 푸른 소매를 걷으니 붉은 살갗이 비치네. 숲은 깊고 안개는 어두워 새벽빛이 더디니, 해는 따뜻하고 바람은 가벼워 봄잠을 푹 자네. 비 속에서는 눈물과 함께 처량하고, 달 아래 아무도 없을 때는 더욱 맑고 아름답네. 선생은 배불리 먹고 할 일이 없어, 산책하며 한가로이 배를 어루만지네. 사람들의 집과 절을 묻지 않고, 지팡이를 짚고 문을 두드려 긴 대나무를 보네. 문득 뛰어난 아름다움이 쇠락한 나를 비추는 것을 만나니, 말없이 탄식하며 병든 눈을 닦네. 변변치 못한 이 고을에서 어찌 이런 꽃을 얻었는가, 혹시 좋은 사람이 서촉(西蜀)에서 옮겨 왔는가. 한 치의 뿌리를 천 리에서 옮겨 오기 쉽지 않으니, 씨앗을 물고 날아온 것은 정녕 큰 기러기이리라. 천애에 흩어져 떠도는 신세 모두 가련하니, 술 한 잔을 마시며 이 노래를 부르네. 내일 아침 술이 깨면 다시 홀로 오리니, 눈이 펄펄 내리는 것을 어찌 차마 보랴!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해당화의 아름다움을 찬미하면서, 자신의 처지와 대비시키고, 인생의 무상함과 고독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당화를 의인화하여 표현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 1-4구 (해당화의 아름다움과 고고함): 주변의 다른 꽃들과 대비하여 해당화의 아름다움과 고고함을 부각합니다. "강의 성은 습기가 많아 초목이 무성한데, 오직 이름난 꽃만이 외롭게 홀로 있네(江城地瘴蕃草木,只有名花苦幽獨)"는 배경 묘사를 통해 해당화의 고독한 아름다움을 강조합니다. "활짝 웃는 듯 대나무 울타리 사이에 피어 있으니, 온 산에 가득한 복숭아꽃과 오얏꽃은 모두 촌스럽구나(嫣然一笑竹籬間,桃李漫山總麁俗)"는 해당화를 의인화하여 그 아름다움을 묘사하고, 다른 꽃들과 비교하며 해당화의 고고함을 드러냅니다. "조물주에게 깊은 뜻이 있음을 또한 알겠으니, 일부러 아름다운 여인을 빈 골짜기에 보냈구나(也知造物有深意,故遣佳人在空谷)"는 해당화의 존재에 의미를 부여하며, 신의 섭리로 해석합니다. "타고난 자태에서 자연스러운 부귀가 드러나니, 금쟁반에 담아 화려한 집에 바치기를 기다리지 않네(自然富貴出天姿,不待金盤薦華屋)"는 해당화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찬양하며, 인위적인 꾸밈이 필요 없음을 강조합니다.
  • 5-8구 (해당화의 다채로운 모습): 해당화의 다양한 모습을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붉은 입술에 술기운이 돌아 얼굴에 붉은 기운이 돌고, 푸른 소매를 걷으니 붉은 살갗이 비치네(朱唇得酒暈生臉,翠袖卷紗紅映肉)"는 술에 취한 여인의 모습에 비유하여 해당화의 아름다움을 생동감 있게 표현합니다. "숲은 깊고 안개는 어두워 새벽빛이 더디니, 해는 따뜻하고 바람은 가벼워 봄잠을 푹 자네(林深霧暗曉光遲,日暖風輕春睡足)"는 해당화가 피어 있는 주변 환경을 묘사하며, 평화로운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비 속에서는 눈물과 함께 처량하고, 달 아래 아무도 없을 때는 더욱 맑고 아름답네(雨中有淚亦悽愴,月下無人更清淑)"는 비 오는 날과 달밤의 해당화 모습을 대비하여, 해당화의 다채로운 매력을 보여줍니다.
  • 9-12구 (자신의 한가로운 생활과 해당화와의 만남): 자신의 한가로운 생활과 해당화와의 만남을 이야기합니다. "선생은 배불리 먹고 할 일이 없어, 산책하며 한가로이 배를 어루만지네(先生食飽無一事,散步逍遙自捫腹)"는 자신의 한가로운 일상을 묘사합니다. "사람들의 집과 절을 묻지 않고, 지팡이를 짚고 문을 두드려 긴 대나무를 보네(不問人家與僧舍,拄杖敲門看脩竹)"는 산책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묘사합니다. "문득 뛰어난 아름다움이 쇠락한 나를 비추는 것을 만나니, 말없이 탄식하며 병든 눈을 닦네(忽逢絕豔照衰朽,歎息無言揩病目)"는 해당화를 보고 감탄하는 동시에, 늙고 병든 자신의 모습과 대비하며 슬픔을 느낍니다. "변변치 못한 이 고을에서 어찌 이런 꽃을 얻었는가, 혹시 좋은 사람이 서촉(西蜀)에서 옮겨 왔는가(陋邦何處得此花,無乃好事移西蜀)"는 해당화의 출처에 대한 궁금증을 나타냅니다.
  • 13-16구 (고독과 슬픔, 그리고 다시 찾을 것을 기약): 해당화를 통해 느끼는 고독과 슬픔, 그리고 다시 찾을 것을 기약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한 치의 뿌리를 천 리에서 옮겨 오기 쉽지 않으니, 씨앗을 물고 날아온 것은 정녕 큰 기러기이리라(寸根千里不易到,銜子飛來定鴻鵠)"는 해당화의 귀한 가치를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천애에 흩어져 떠도는 신세 모두 가련하니, 술 한 잔을 마시며 이 노래를 부르네(天涯流落俱可念,為飲一樽歌此曲)"는 자신의 처지와 해당화의 처지를 동일시하며, 슬픔을 노래합니다. "내일 아침 술이 깨면 다시 홀로 오리니, 눈이 펄펄 내리는 것을 어찌 차마 보랴(明朝酒醒還獨來,雪落紛紛那忍觸)"는 다시 해당화를 찾을 것을 기약하며, 눈 내리는 풍경과 대비하여 슬픔을 더욱 부각합니다.

이 시는 아름다운 해당화를 통해 자신의 고독한 처지와 인생의 무상함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해당화를 의인화하여 생동감 있게 묘사한 점, 그리고 주변 풍경과 대비하여 해당화의 아름다움을 부각한 점이 특징입니다.

 

소식(蘇軾)의 “차운악저작야보(次韻樂著作野步)”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악저작(樂著作)의 시에 차운(次韻)하여 지은 시입니다. 차운이란, 원시의 운자를 그대로 사용하여 시를 짓는 창작 방식으로, 원시의 내용과 분위기를 어느 정도 계승하면서 새로운 감회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야보(野步)는 들길을 걷는다는 뜻으로, 시인이 가을날 들길을 거닐며 느낀 감회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늙으니 거의 동서도 분간하지 못하게 되었고, 가을이 지나 서리 내린 숲은 그저 억지로 붉네. 눈이 어지러워 꽃을 보니 정말 병이 든 것이고, 귀가 허하여 개미 소리를 듣는다고 하니 정녕 총명한 것이 아니네. 술이 깨어도 봄이 거의 다 지나간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잠에서 깨어나면 항상 해가 중천을 지난 것에 놀라네. 지팡이를 짚고 우연히 기장 농사를 짓는 농부를 만나고, 옷을 걸치고 한가로이 무우(舞雩)의 바람을 읊네. 위를 보아 떨어지는 꽃잎이 송홧가루를 모으는 것을 보고, 아래를 보아 새로 돋아난 구기자 덤불을 뜯네. 초나라의 비는 여전히 운몽택(雲夢澤)을 어둡게 하고, 오나라의 조수는 무창궁(武昌宮)에 이르지 않네. (황주 맞은편 무창현에 손권의 옛 궁궐이 있다.) 흥망성쇠가 거듭된 옛 고을에 시는 무수히 많으니, 적막한 한가로운 창가에서 쉽게 대강 통하네.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와 두 늙은이가 되었으니, 풍류는 훗날 그대와 함께하리라.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늙음과 병, 시간의 흐름, 역사에 대한 회상, 그리고 풍류를 즐기고자 하는 마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가을 풍경을 배경으로 하여 쓸쓸하고 고독한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 1-2구 (늙음과 병): 늙음으로 인해 감각이 둔해진 상황을 묘사합니다. "늙으니 거의 동서도 분간하지 못하게 되었고, 가을이 지나 서리 내린 숲은 그저 억지로 붉네(老來幾不辨西東,秋後霜林且強紅)"는 늙음으로 인해 방향 감각을 잃고, 가을 단풍도 예전처럼 아름답게 느껴지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눈이 어지러워 꽃을 보니 정말 병이 든 것이고, 귀가 허하여 개미 소리를 듣는다고 하니 정녕 총명한 것이 아니네(眼暈見花真是病,耳虛聞蟻定非聰)"는 시력과 청력의 감퇴를 통해 늙고 병든 자신의 모습을 자조적으로 표현합니다.
  • 3-4구 (시간의 흐름에 대한 무감각): 시간의 흐름에 무감각해진 모습을 보여줍니다. "술이 깨어도 봄이 거의 다 지나간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잠에서 깨어나면 항상 해가 중천을 지난 것에 놀라네(酒醒不覺春強半,睡起常驚日過中)"는 술에 취해 시간을 잊고, 잠에서 깨어나면 이미 늦은 시간임을 깨닫는 상황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둔감해진 자신의 모습을 나타냅니다. "지팡이를 짚고 우연히 기장 농사를 짓는 농부를 만나고, 옷을 걸치고 한가로이 무우(舞雩)의 바람을 읊네(植杖偶逢為黍客,披衣閑詠舞雩風)"는 지팡이를 짚고 산책하다가 농부를 만나고, 옛날 기우제를 지내던 무우의 바람을 읊는 모습을 통해 한가로운 일상을 보여줍니다. '무우(舞雩)'는 옛날 기우제를 지내던 곳입니다.
  • 5-6구 (가을 풍경 묘사): 가을 풍경을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위를 보아 떨어지는 꽃잎이 송홧가루를 모으는 것을 보고, 아래를 보아 새로 돋아난 구기자 덤불을 뜯네(仰看落蕊收松粉,俯見新芽摘杞叢)"는 위로는 꽃잎이 떨어지는 모습, 아래로는 구기자 덤불을 묘사하여 가을의 정취를 나타냅니다. "초나라의 비는 여전히 운몽택(雲夢澤)을 어둡게 하고, 오나라의 조수는 무창궁(武昌宮)에 이르지 않네(楚雨還昏雲夢澤,吳潮不到武昌宮)"는 과거 초나라와 오나라의 역사를 언급하며, 현재 황주 주변의 풍경을 묘사합니다. '운몽택(雲夢澤)'은 옛날 초나라에 있던 큰 호수입니다. '무창궁(武昌宮)'은 오나라 손권의 궁궐이 있던 곳입니다. (황주 맞은편 무창현에 손권의 옛 궁궐이 있다.)라는 주석은 시의 이해를 돕습니다.
  • 7-8구 (역사에 대한 회상과 풍류의 약속): 역사를 회상하고, 함께 풍류를 즐길 것을 약속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흥망성쇠가 거듭된 옛 고을에 시는 무수히 많으니, 적막한 한가로운 창가에서 쉽게 대강 통하네(廢興古郡詩無數,寂寞閑窗易粗通)"는 역사의 흥망성쇠를 회상하며, 시를 통해 역사를 이해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와 두 늙은이가 되었으니, 풍류는 훗날 그대와 함께하리라(解組歸來成二老,風流他日與君同)"는 함께 늙어 풍류를 즐기자는 약속을 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해조(解組)'는 벼슬을 그만두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시는 가을 풍경을 배경으로 하여 늙음, 병, 시간의 흐름, 역사에 대한 회상, 그리고 풍류를 즐기고자 하는 마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역사적 고사를 인용하여 시의 의미를 풍부하게 만든 점이 특징입니다.

 

 

소식(蘇軾)의 “이월이십육일우중숙수지만강기출문환작차시의사수혼혼야(二月二十六日雨中熟睡至晩強起出門還作此詩意思殊昏昏也)”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2월 26일 비 오는 날, 늦도록 깊이 잠들었다가 억지로 일어나 문을 나서며 지은 시로, 시의 뜻이 매우 혼미하다고 스스로 평하고 있습니다. 즉, 잠에서 덜 깬 몽롱한 상태에서 지은 시임을 밝히고 있는 것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묘시(卯時)에 술 석 잔에 곤해지고, 오시(午時)에는 겨우 고기 한 점을 먹었네. 빗소리는 끊임없이 들려오고, 잠의 맛은 맑고도 깊었네. 혼미하여 깨었다가 다시 누우니, 이리저리 뒤척여도 편안히 잠들 수 없네. 억지로 일어나 문을 나서니, 외로운 꿈이라도 이어갈 수 있으리라. 진흙은 깊고 꿩의 울음소리 들리고, 마을은 어두운데 비둘기 소리 슬피 우네. 내일 아침 이 시를 보면, 잠꼬대라 읽기 어렵겠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늦도록 깊은 잠에 빠졌다가 억지로 일어난 몽롱한 상태를 솔직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주제나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기보다는, 잠에서 덜 깬 상태의 감각과 주변 풍경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1-2구 (나른한 오후의 시작): 나른한 오후의 시작을 묘사합니다. "묘시(卯時)에 술 석 잔에 곤해지고, 오시(午時)에는 겨우 고기 한 점을 먹었네(卯酒困三杯,午飡便一肉)"는 아침 시간에 마신 술로 인해 나른해지고, 점심에는 간단히 식사했음을 나타냅니다. 묘시는 아침 5시에서 7시 사이, 오시는 오전 11시에서 오후 1시 사이를 의미합니다. 이른 시간에 술을 마셨다는 것은 다소 이례적인 일로, 시인의 나른한 심리 상태를 더욱 부각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빗소리는 끊임없이 들려오고, 잠의 맛은 맑고도 깊었네(雨聲來不斷,睡味清且熟)"는 빗소리가 계속 들리는 가운데 깊은 잠에 빠졌음을 묘사합니다. 빗소리는 잠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청차숙(清且熟)'이라는 표현은 잠의 깊이를 강조합니다.
  • 3-4구 (혼미한 상태와 억지로 나서는 발걸음): 잠에서 덜 깬 혼미한 상태와 억지로 집을 나서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혼미하여 깨었다가 다시 누우니, 이리저리 뒤척여도 편안히 잠들 수 없네(昏昏覺還臥,展轉無由足)"는 잠에서 깨어났지만 여전히 혼미한 상태이고, 다시 잠들려고 해도 잠이 오지 않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혼혼(昏昏)'은 정신이 몽롱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억지로 일어나 문을 나서니, 외로운 꿈이라도 이어갈 수 있으리라(強起出門行,孤夢猶可續)"는 억지로 집을 나서는 행위를 통해, 아직 꿈에서 완전히 깨어나지 못했음을 암시합니다. '고몽(孤夢)'은 외로운 꿈, 즉 현실과 분리된 몽롱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 5-6구 (주변 풍경과 시에 대한 자평): 주변 풍경과 자신이 지은 시에 대한 자평을 나타냅니다. "진흙은 깊고 꿩의 울음소리 들리고, 마을은 어두운데 비둘기 소리 슬피 우네(泥深竹雞語,村暗鳩婦哭)"는 비 때문에 진흙이 깊고, 꿩과 비둘기의 울음소리가 들리는 어두운 마을 풍경을 묘사합니다. 이는 시인의 혼미한 심리 상태를 반영하는 듯한 우울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구부(鳩婦)'는 비둘기를 의미합니다. "내일 아침 이 시를 보면, 잠꼬대라 읽기 어렵겠네(明朝看此詩,睡語應難讀)"는 자신이 지은 시를 '수어(睡語)', 즉 잠꼬대라고 표현하며, 시의 내용이 명료하지 않음을 스스로 인정합니다. 이는 시의 서두에서 '의사수혼혼야(意思殊昏昏也)'라고 밝힌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이 시는 특별한 주제나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기보다는, 잠에서 덜 깬 몽롱한 상태의 감각과 주변 풍경을 솔직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입니다. 시인이 직접 '혼혼(昏昏)'하다고 표현한 것처럼, 시 전체적으로 몽롱하고 흐릿한 분위기가 감돌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이 오히려 이 시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우청후보지사망정하어지상수자건명사전동강상귀이수(雨晴後步至四望亭下魚池上遂自乾明寺前東岡上歸二首)”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비가 갠 후 사망정(四望亭) 아래의 연못까지 산책하고, 건명사(乾明寺) 앞 동쪽 언덕을 지나 돌아오면서 지은 두 수의 시입니다.

제1수:

현대 한국어 번역:

비 지나니 부평초가 합쳐지고, 개구리 소리 온 동네에 가득하네. 해당화는 정말 한바탕 꿈과 같고, 매실은 이제 막 새로 맛보려 하네. 지팡이 짚고 한가로이 나물을 캐고, 그네는 사람 보이지 않네. 정성스러운 목작약(木芍藥)은, 홀로 저문 봄을 머무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비가 그친 후의 풍경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봄의 끝자락에서 느끼는 아쉬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1-2구 (비 갠 후의 풍경): 비가 그친 후의 생동감 넘치는 풍경을 묘사합니다. "비 지나니 부평초가 합쳐지고, 개구리 소리 온 동네에 가득하네(雨過浮萍合,蛙聲滿四鄰)"는 비로 인해 흩어졌던 부평초가 다시 모이고, 개구리 소리가 온 동네에 울려 퍼지는 모습을 통해 비 갠 후의 활기찬 분위기를 전달합니다.
  • 3-4구 (봄의 아쉬움): 봄의 끝자락에서 느끼는 아쉬움을 표현합니다. "해당화는 정말 한바탕 꿈과 같고, 매실은 이제 막 새로 맛보려 하네(海棠真一夢,梅子欲嘗新)"는 아름다웠던 해당화는 이제 지고, 새로 익어가는 매실을 보며 봄이 지나감을 아쉬워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해당화(海棠)'는 봄의 대표적인 꽃으로, 봄의 아름다움을 상징합니다.
  • 5-6구 (한가로운 풍경과 목작약): 한가로운 풍경 속에서 목작약을 발견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지팡이 짚고 한가로이 나물을 캐고, 그네는 사람 보이지 않네(拄杖閑挑菜,鞦韆不見人)"는 한가롭게 나물을 캐는 모습과 인적 없는 그네의 모습을 대비하여 조용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정성스러운 목작약(木芍藥)은, 홀로 저문 봄을 머무네(殷勤木芍藥,獨自殿餘春)"는 늦은 봄까지 피어 있는 목작약을 발견하고, 마치 봄을 붙잡고 있는 듯하다고 표현하며, 봄에 대한 아쉬움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목작약(木芍藥)'은 나무에 피는 작약으로, 늦봄까지 피는 꽃입니다.

제2수:

현대 한국어 번역:

높은 정자는 허물어진 지 이미 오래고, 아래에는 물고기 기르는 연못이 있네. 저녁 노을 온 산에 스며들고, 봄바람 온갖 풀 향기 풍기네. 시장의 다리는 인적 드물고, 오래된 절의 대나무는 푸르네. 황새와 학은 어디에서 왔는가, 저녁노을 가득한 하늘에 울음소리 가득하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저녁 무렵의 풍경을 묘사하며, 고요함과 쓸쓸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1-2구 (폐허가 된 정자와 연못): 폐허가 된 정자와 그 아래 연못의 모습을 묘사합니다. "높은 정자는 허물어진 지 이미 오래고, 아래에는 물고기 기르는 연못이 있네(高亭廢已久,下有種魚塘)"는 폐허가 된 정자를 통해 시간의 흐름과 역사의 무상함을 암시합니다.
  • 3-4구 (저녁 풍경): 저녁 풍경을 묘사합니다. "저녁 노을 온 산에 스며들고, 봄바람 온갖 풀 향기 풍기네(暮色千山入,春風百草香)"는 저녁 노을과 봄바람의 향기를 통해 아름다운 저녁 풍경을 그려냅니다.
  • 5-6구 (고요함과 쓸쓸함): 고요하고 쓸쓸한 분위기를 묘사합니다. "시장의 다리는 인적 드물고, 오래된 절의 대나무는 푸르네(市橋人寂寂,古寺竹蒼蒼)"는 인적 없는 시장의 다리와 푸른 대나무가 있는 오래된 절의 모습을 통해 고요하고 한적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황새와 학은 어디에서 왔는가, 저녁노을 가득한 하늘에 울음소리 가득하네(鸛鶴來何處,號鳴滿夕陽)"는 황새와 학의 울음소리를 통해 저녁의 쓸쓸함을 더하고, 시를 마무리합니다. '관학(鸛鶴)'은 황새와 학을 함께 이르는 말로, 고고한 이미지를 지닌 새로 여겨집니다.

두 수의 시 모두 자연 풍경을 섬세하게 묘사하면서, 봄의 아쉬움과 저녁의 쓸쓸함 등 시인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조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시의 분위기를 더욱 부각한 점이 특징입니다.

 

소식(蘇軾)의 “우중간모란삼수(雨中看牡丹三首)”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한국어로 답하며, 시의 배경과 함축된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 시는 비 오는 날 모란을 감상하며 지은 세 수의 시입니다. 비 속에서 피어난 모란의 아름다움과 그 변화하는 모습을 섬세하게 포착하고 있습니다.

제1수:

현대 한국어 번역:

안개비는 방울을 이루지 못하고, 허공에 비치니 있는 듯 없는 듯하네. 때때로 꽃 위에서 보니, 맑은 물방울이 구슬처럼 굴러가네. 빼어난 자태는 붉은 분을 씻어내고, 은은한 향기는 흰 살결에서 피어나네. 황혼이 되니 더욱 쓸쓸해지니, 머리가 무거워 서로 부축하려 하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안개비 속에서 피어난 모란의 신비로운 아름다움을 묘사합니다.

  • 1-2구 (안개비 속 모란의 모습): 안개비 속에서 모란이 흐릿하게 보이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안개비는 방울을 이루지 못하고, 허공에 비치니 있는 듯 없는 듯하네(霧雨不成點,映空疑有無)"는 안개비로 인해 모란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고, 마치 허공에 떠 있는 듯한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때때로 꽃 위에서 보니, 맑은 물방울이 구슬처럼 굴러가네(時於花上見,的皪走明珠)"는 꽃잎에 맺힌 물방울을 '명주(明珠)', 즉 밝은 구슬에 비유하여 아름답게 표현합니다.
  • 3-4구 (모란의 아름다움과 황혼의 쓸쓸함): 모란의 아름다움과 황혼의 쓸쓸함을 대비합니다. "빼어난 자태는 붉은 분을 씻어내고, 은은한 향기는 흰 살결에서 피어나네(秀色洗紅粉,暗香生雪膚)"는 비로 인해 모란의 붉은 색이 더욱 맑아지고, 은은한 향기가 더욱 돋보이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황혼이 되니 더욱 쓸쓸해지니, 머리가 무거워 서로 부축하려 하네(黃昏更蕭瑟,頭重欲相扶)"는 황혼이 되자 모란의 꽃잎이 무거워져 서로 기대는 모습을 묘사하며, 쓸쓸한 분위기를 더합니다.

제2수:

현대 한국어 번역:

내일 비는 마땅히 그치리니, 아침 햇살이 소나무 가지에 비치리라. 맑고 차가운 기운이 꽃의 골수에 스며드니, 엄숙하게 처음의 모습을 지니네. 한낮의 풍경은 짙고 화려하게 피어나니, 한 번 웃음으로 때맞춰 즐겨야 하네. 여전히 저녁이 되면 다시 오므리니, 또한 스스로 그 고요한 자태를 아끼네.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비가 그친 후 모란이 활짝 피어나는 모습과 다시 저녁이 되어 오므리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 1-2구 (비 그친 후의 기대): 비가 그친 후 모란이 더욱 아름답게 피어날 것을 기대합니다. "내일 비는 마땅히 그치리니, 아침 햇살이 소나무 가지에 비치리라(明日雨當止,晨光在松枝)"는 비가 그치고 아침 햇살이 비치는 밝은 날씨를 예고합니다. "맑고 차가운 기운이 꽃의 골수에 스며드니, 엄숙하게 처음의 모습을 지니네(清寒入花骨,肅肅初自持)"는 비로 인해 맑고 차가워진 기운이 모란에 스며들어 더욱 싱그러워진 모습을 묘사합니다.
  • 3-4구 (모란의 화려함과 아쉬움): 한낮에 화려하게 피어난 모란과 저녁에 다시 오므리는 모습을 대비합니다. "한낮의 풍경은 짙고 화려하게 피어나니, 한 번 웃음으로 때맞춰 즐겨야 하네(午景發穠麗,一笑當及時)"는 한낮에 활짝 피어난 모란의 화려한 모습을 찬미하며, 그 아름다움을 즐겨야 함을 강조합니다. "여전히 저녁이 되면 다시 오므리니, 또한 스스로 그 고요한 자태를 아끼네(依然暮還斂,亦自惜幽姿)"는 저녁이 되자 다시 오므리는 모란의 모습을 보며, 그 고요한 아름다움을 아쉬워합니다.

제3수:

현대 한국어 번역:

고요한 자태를 아끼지 말지니, 훗날 동풍이 불면 지리라. 술에서 깨어나 무엇을 보겠는가, 금빛 가루가 푸른 열매를 안고 있겠지. 온갖 꽃과 모든 풀은, 함께 아름다움과 추함을 다하리라. 진흙과 모래에 더럽히는 것을 차마 보지 못하니, 소의 젖으로 떨어진 꽃잎을 지지리라.

정밀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모란의 아름다움이 결국 시들고, 모든 것이 무상하다는 것을 이야기하며, 마지막 구절에서는 떨어진 꽃잎을 아끼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 1-2구 (모란의 운명): 모란의 아름다움이 영원하지 않음을 이야기합니다. "고요한 자태를 아끼지 말지니, 훗날 동풍이 불면 지리라(幽姿不可惜,後日東風起)"는 모란의 아름다운 모습도 결국 봄바람에 져버릴 운명임을 암시합니다. "술에서 깨어나 무엇을 보겠는가, 금빛 가루가 푸른 열매를 안고 있겠지(酒醒何所見,金粉抱青子)"는 꽃이 지고 열매가 맺힌 모습을 상상하며, 시간의 흐름과 자연의 순환을 나타냅니다. '금분(金粉)'은 꽃가루를 의미하며, '청자(青子)'는 푸른 열매, 즉 모란의 씨앗을 의미합니다.
  • 3-4구 (모든 것의 무상함과 꽃잎을 아끼는 마음): 모든 것이 변하고 사라지는 무상함을 이야기하며, 마지막에는 떨어진 꽃잎을 아끼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온갖 꽃과 모든 풀은, 함께 아름다움과 추함을 다하리라(千花與百草,共盡無妍鄙)"는 모든 꽃과 풀은 결국 시들고, 아름다움과 추함의 구별 없이 사라진다는 무상함을 이야기합니다. "진흙과 모래에 더럽히는 것을 차마 보지 못하니, 소의 젖으로 떨어진 꽃잎을 지지리라(未忍污泥沙,牛酥煎落蕊)"는 떨어진 꽃잎이 더러워지는 것을 안타까워하며, 소의 젖으로 지져 먹겠다는 다소 독특한 표현을 사용합니다. 이는 단순히 꽃잎을 아끼는 마음을 넘어, 사라져가는 아름다움에 대한 애틋한 감정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우수(牛酥)'는 소의 젖으로 만든 기름입니다.

세 수의 시는 비 오는 날 모란의 다양한 모습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자연의 변화와 인생의 무상함에 대한 시인의 생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수의 마지막 구절은 독특한 발상으로 시의 여운을 더합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차운악저작송주(次韻樂著作送酒)"입니다. 악저작(樂著作)이라는 친구가 술을 보내준 것에 대한 화답시입니다. 젊었을 때는 술을 잘 마시지 못했지만, 나이가 들어서야 술의 참맛을 알게 되었다는 내용과 함께, 시름을 녹여주는 술의 효능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차운(次韻)"은 다른 사람의 시에 운(韻, 시의 운자)을 맞추어 짓는 것을 말합니다. 즉, 악저작이 먼저 시를 지었고, 소식이 그 시의 운자를 사용하여 화답시를 지은 것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젊어서는 병이 많아 술잔을 두려워했는데, 늙어서야 비로소 이 맛이 오래가는 줄 알겠네. 만 섬의 시름은 모두 눈과 같고, 한 병의 봄 술은 마치 따뜻한 물과 같네.

전반적인 주제: 이 시의 핵심 주제는 나이가 들어서야 술의 참맛을 알게 되었다는 깨달음과, 시름을 잊게 해주는 술의 효능입니다.

구절별 분석:

  • 1-2구: 젊은 날과 늙어서의 술에 대한 생각 변화: 젊었을 때와 늙어서의 술에 대한 생각 변화를 대조적으로 보여줍니다. "젊어서는 병이 많아 술잔을 두려워했는데, 늙어서야 비로소 이 맛이 오래가는 줄 알았네(少年多病怯杯觴,老去方知此味長)"라는 구절은 젊었을 때는 건강 때문에 술을 멀리했지만, 나이가 들어서야 술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깨닫게 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배상(杯觴)'은 술잔을 의미하며, 술을 마시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차미장(此味長)'은 술의 맛이 오래간다는 뜻으로, 단순히 술의 맛뿐만 아니라 술이 주는 즐거움과 여유, 그리고 인생의 깊은 의미까지 포함하는 중의적인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3-4구: 술의 효능에 대한 비유적 표현: 술이 시름을 잊게 해주는 효능을 눈과 탕에 비유하여 표현합니다. "만 섬의 시름은 모두 눈과 같으니, 한 병의 봄 술은 마치 따뜻한 탕과 같네(萬斛羈愁都似雪,一壺春酒若為湯)"라는 구절은 술이 가진 위로와 해소의 힘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만곡(萬斛)'은 매우 많은 양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매우 많은 시름을 나타냅니다. '기수(羈愁)'는 객지에서 느끼는 시름, 즉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겪는 외로움과 슬픔을 의미합니다. '춘주(春酒)'는 봄에 빚은 술로, 따뜻하고 향기로운 술을 의미합니다. '위탕(為湯)'은 따뜻한 탕과 같다는 뜻으로, 차가운 눈(시름)을 녹여주는 따뜻한 위로를 의미합니다. 시름을 차가운 눈에 비유하고, 술을 따뜻한 탕에 비유한 것은 술의 효능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표현입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나이가 들어서야 술의 참맛을 알게 되었다는 깨달음과, 시름을 잊게 해주는 술의 효능을 간결하면서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 날과 늙어서의 술에 대한 생각 변화를 대조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그리고 시름을 눈에 비유하고 술을 따뜻한 탕에 비유하여 술의 효능을 효과적으로 드러낸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악저작이 보내준 술에 대한 감사와 함께, 자신의 심경을 솔직하게 드러낸 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차운악저작천경관초(次韻樂著作天慶觀醮)"입니다. 악저작(樂著作)의 시에 운(韻)을 맞추어 지은 화답시로, 도교 의식(초, 醮)이 거행되는 천경관(天慶觀)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묘사하면서, 속세의 번잡함과 초월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차운(次韻)"은 앞서 설명했듯이 다른 사람의 시에 운자를 맞추어 짓는 것을 의미합니다. "초(醮)"는 도교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의식을 말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탁한 세상은 분분히 내려오는 것을 허락하겠지만, 꿈속에서나 신선의 걸음으로 오색 구름 깊은 곳을 찾네. 통명전에 오르는 것은 인연이 없으니, 다만 희미하게 옥패 소리만 들을 뿐이네

전반적인 주제: 이 시의 핵심 주제는 속세의 번잡함과 대비되는 신성하고 초월적인 도교 의식의 분위기를 묘사하고, 그 세계에 대한 동경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구절별 분석:

  • 1-2구: 속세와 신선의 세계의 대비: 속세의 번잡함과 신선의 세계의 고요함을 대비하여 보여줍니다. "탁한 세상은 분분히 내려오는 것을 허락하겠지만, 꿈속에서나 신선의 걸음으로 오색 구름 깊은 곳을 찾네(濁世紛紛肯下臨,夢尋飛步五雲深)"라는 구절은 속세의 혼탁함과 신선의 세계의 신비로움을 대조적으로 나타냅니다. '탁세(濁世)'는 혼탁하고 어지러운 세상을 의미하며, 인간 세상의 번잡함과 고통을 상징합니다. '분분(紛紛)'은 어지럽고 혼란스러운 모양을 나타냅니다. '하림(下臨)'은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것을 의미하며, 신선이 속세를 내려다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보(飛步)'는 신선이 하늘을 나는 걸음을 의미하며, 초월적인 존재의 자유로움을 나타냅니다. '오운심(五雲深)'은 오색 구름이 겹겹이 드리워진 깊은 곳을 의미하며, 신선 세계의 신비로움을 상징합니다. 속세는 어지럽고 혼탁하지만, 신선의 세계는 고요하고 신비로운 곳임을 대비하여 보여주는 것입니다.
  • 3-4구: 초월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과 아쉬움: 초월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과 현실적인 한계를 동시에 드러냅니다. "통명전에 오르는 것은 인연이 없으니, 다만 희미하게 옥패 소리만 들을 뿐이네(無因上到通明殿,只許微聞玉佩音)"라는 구절은 신선의 세계에 직접 다가갈 수 없는 아쉬움을 표현합니다. '통명전(通明殿)'은 도교에서 신선들이 거처하는 궁전을 의미하며, 초월적인 세계의 중심을 상징합니다. '무인(無因)'은 인연이 없다는 뜻으로, 신선의 세계에 다다를 수 없는 현실적인 한계를 나타냅니다. '옥패음(玉佩音)'은 옥으로 만든 패물이 부딪히는 소리를 의미하며, 신선 세계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암시합니다. 통명전에 직접 오르지는 못하지만, 멀리서 들려오는 옥패 소리를 통해 신선 세계의 존재를 희미하게나마 느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초월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과 동시에 현실적인 한계를 인식하는 시인의 심정을 보여줍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속세의 번잡함과 대비되는 신성하고 초월적인 도교 의식의 분위기를 묘사하고, 그 세계에 대한 동경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속세와 신선의 세계를 대비하여 보여주는 부분, 그리고 초월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과 현실적인 한계를 동시에 드러내는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시어로 시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으며, 인간의 유한함과 초월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왕제만수재우거무창현유랑보정여오주상대오자서분오소종도강야(王齊萬秀才寓居武昌縣劉郎洑正與伍洲相對伍子胥奔吳所從渡江也)"입니다. 왕제만(王齊萬)이라는 수재(秀才)가 무창현(武昌縣) 유랑보(劉郎洑)에 머무르고 있는데, 그곳이 오자서(伍子胥)가 오나라로 망명할 때 강을 건넜던 곳인 오주(伍洲)와 마주보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지은 시입니다. 제목이 매우 긴데, 이는 시의 배경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제목 옆에 붙은 “[항주오자서묘봉영렬왕。]”이라는 주석은 “항주의 오자서 사당에서 영렬왕(英烈王)으로 봉해졌다.”라는 뜻입니다.

제목의 내용 요약:

왕제만이라는 수재가 무창현의 유랑보라는 곳에 머무르고 있는데, 그곳은 오자서가 오나라로 망명할 때 건넜던 강인 오주와 마주보고 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및 분석:

그대의 집 논밭은 서촉(西蜀)에서 으뜸이니, 찧은 쌀이 구슬처럼 흩날리니 삼만 섬이나 되네. 강물을 막아 서루(書樓)를 세우니, 푸른 기와 붉은 난간이 산골짜기를 비추네. 재산을 기울여 즐거움을 취하며 운명을 논하지 않으니, 황금을 다 써 버리기를 촛불 돌리듯 하네. 오직 옛 책 백 수레만 남아, 큰 배에 싣고 형강(荊江) 물굽이로 들어가네. 강 위의 푸른 산 또한 무엇이 있으랴, 오주가 멀리 유랑보를 바라보네. 내일 한식(寒食)에 마땅히 그대를 찾아가, 청컨대 밭 가는 소를 잡아 집에서 빚은 술로 누르시게. 그대와 술을 마시며 자세히 논문을 논하고, 술이 거나해지면 옛일을 강가에서 찾으리라. 중모(仲謀, 손권)와 공근(公瑾, 주유)은 다시 조문할 필요 없고, 한 잔 술을 파신(波神)과 영렬한 그대(오자서)에게 바치리라. (항주의 오자서 사당은 영렬왕으로 봉해졌다.)

전반적인 주제: 이 시는 왕제만의 풍족한 생활과 오자서의 고난을 대비시키면서, 역사의 흥망성쇠와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또한, 친구를 향한 우정과 함께 술을 마시며 옛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구절별 분석:

  • 1-2구: 왕제만의 풍족한 생활 묘사: 왕제만의 풍족한 생활을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여 묘사합니다. "그대의 집 논은 서쪽 촉 땅에서 으뜸이니, 옥을 찧고 구슬을 흩뿌리듯 삼만 섬이나 되네(君家稻田冠西蜀,擣玉揚珠三萬斛)"라는 구절은 왕제만이 매우 부유한 사람임을 나타냅니다. '서촉(西蜀)'은 중국 서쪽의 촉 땅을 의미하며, 예로부터 물산이 풍부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도옥양주(擣玉揚珠)'는 옥을 찧고 구슬을 흩뿌리는 것을 의미하며, 곡식이 매우 풍족함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삼만 섬(三萬斛)'은 매우 많은 양의 곡식을 의미하며, 왕제만의 부유함을 강조합니다.
  • 3-4구: 호화로운 생활 묘사: 왕제만이 강가에 지은 집의 호화로운 모습을 묘사합니다. "강물 흐름을 막아 서재를 세우니, 푸른 기와 붉은 난간이 산골짜기를 비추네(塞江流枺起書樓,碧瓦朱欄照山谷)"라는 구절은 왕제만이 매우 호화로운 생활을 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새강유말(塞江流枺)'은 강물 흐름을 막는다는 뜻으로, 강가에 집을 지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루(書樓)'는 서재를 의미합니다. '벽와주란(碧瓦朱欄)'은 푸른 기와와 붉은 난간을 의미하며, 집이 화려하게 지어졌음을 나타냅니다.
  • 5-6구: 방탕한 생활 묘사: 왕제만이 재산을 아끼지 않고 즐기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집안의 재산을 기울여 즐거움을 취하니 운명을 논하지 않고, 황금을 다 써 버리기를 촛불 돌리듯 하네. 오직 옛 책 백 수레만 남아, 배에 싣고 형강(荊江) 물굽이로 들어가네(傾家取樂不論命,散盡黃金如轉燭。惟餘舊書一百車,方舟載入荊江曲)"라는 구절은 왕제만이 재산을 아끼지 않고 방탕하게 생활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경가취락(傾家取樂)'은 집안의 재산을 기울여 즐거움을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산진황금여전촉(散盡黃金如轉燭)'은 황금을 다 써 버리기를 촛불 돌리듯 한다는 뜻으로, 돈을 매우 헤프게 쓰는 것을 비유합니다. '구서일백거(舊書一百車)'는 옛 책 백 수레를 의미하며, 많은 책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형강(荊江)'은 장강(長江)의 일부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 7-8구: 오자서와 대비: 왕제만이 있는 곳이 오자서와 관련된 곳임을 언급하며, 역사의 대비를 보여줍니다. "강 위의 푸른 산 또한 무엇이 있으랴, 오주를 멀리서 바라보니 유랑보가 있네(江上青山亦何有,伍洲遙望劉郎藪)"라는 구절은 왕제만이 풍족하게 사는 곳이 오자서가 망명길에 올랐던 곳과 마주보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역사의 아이러니를 보여줍니다. '오주(伍洲)'는 오자서가 오나라로 망명할 때 건넜던 강을 의미합니다. '유랑보(劉郎藪)'는 왕제만이 머무르고 있는 곳을 의미합니다. 오자서는 나라를 잃고 망명하는 고난을 겪었지만, 왕제만은 풍족한 생활을 누리고 있는 상황을 대비시켜 역사의 무상함을 드러냅니다.
  • 9-12구: 친구와의 만남과 회포: 친구와 술을 마시며 옛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마음을 표현합니다. "내일 한식날에 마땅히 그대를 찾아가, 밭 가는 소를 잡아 직접 담근 술을 마시도록 청하겠네. 그대와 술을 마시며 자세히 논문을 하고, 술이 거나해지면 옛일을 강가에서 찾아보리라. 중모(仲謀)와 공근(公瑾)은 조문할 필요 없으니, 파도 신에게 영렬한 그대를 술 한 잔 바치리(明朝寒食當過君,請殺耕牛壓私酒。與君飲酒細論文,酒酣訪古江之濆。仲謀公瑾不須弔,一酹波神英烈君)"라는 구절은 친구와 만나 술을 마시며 회포를 풀고 싶은 마음을 나타냅니다. '한식(寒食)'은 동지 이후 105일째 되는 날로, 조상의 묘를 찾아 제사를 지내는 날입니다. '경우(耕牛)'는 밭 가는 소를 의미하며, 술안주를 마련하기 위해 소를 잡겠다는 표현입니다. '사주(私酒)'는 직접 담근 술을 의미합니다. '논문(論文)'은 학문이나 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모(仲謀)'는 손권(孫權)의 자이고, '공근(公瑾)'은 주유(周瑜)의 자입니다. 이들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영웅들입니다. '파신(波神)'은 강의 신을 의미합니다. '영렬군(英烈君)'은 오자서를 가리키며, 항주에 있는 오자서 사당에서 그를 영렬왕으로 봉한 것을 언급한 것입니다. 오나라의 영웅들을 조문할 필요 없이 오자서에게 술을 바치겠다는 것은, 오자서의 영령을 위로하고 그의 충절을 기리는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전체적인 분석:

이 시는 왕제만의 풍족한 생활과 오자서의 고난을 대비시키면서, 역사의 흥망성쇠와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왕제만의 풍족한 생활을 과장된 표현으로 묘사한 부분, 오자서와 왕제만의 상황을 대비시킨 부분, 그리고 마지막에 친구와 술을 마시며 회포를 풀고 싶은 마음을 표현한 부분은 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역사적 인물과 현재의 인물을 대비시켜 시상을 전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친구에 대한 우정과 함께 역사에 대한 깊은 사유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제공해주신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두기 유 무창 이 도미화 보살천 견향 이수(杜沂遊武昌以酴醿花菩薩泉見餉二首)" 중 첫 번째 시입니다. 이 시는 두기(杜沂)가 무창(武昌)을 유람하며 도미화(酴醿花, 장미의 일종)와 보살천(菩薩泉)을 보내온 것에 대해 쓴 시입니다. 도미화의 아름다움과 그에 얽힌 역사적 배경을 묘사하며,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도미화는 봄을 다투지 않고, 고요히 가장 늦게 피어나네. 푸른 교룡이 옥 같은 뼈를 움직이는 듯하고, 깃털로 만든 덮개가 구슬 장막을 덮은 듯하네. 화려하게 꾸미지 않아도 이미 빼어나고, 바람이 없어도 향기가 저절로 멀리 퍼지네. 처량한 오나라의 궁궐에는, 붉은 연지가 옛 동산에 묻혀 있네. 지금까지 희미한 달밤에는, 생황과 피리 소리가 끊어진 험준한 산에서 들려오네. 남은 아름다움이 이 꽃에 들어 있으니, 천 년이 지나도 오히려 맑고 아름답네. 그대가 불러도 돌아오지 않는 것이 이상하니, 정녕 꽃에 마음을 빼앗겼기 때문이리라. 어젯밤의 심한 비바람에, 꽃이 다 졌으니 그대는 응당 돌아왔으리라.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도미화의 아름다움과 역사적 배경, 그리고 친구에 대한 그리움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구절을 자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 도미화의 아름다움 묘사 (1~4구): 시의 초반부는 도미화의 아름다움을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도미화는 봄을 다투지 않고, 고요히 가장 늦게 피어나네(酴醿不爭春,寂寞開最晚。)"라는 구절은 도미화가 다른 꽃들과 달리 늦게 피어나는 특징을 나타냅니다. "푸른 교룡이 옥 같은 뼈를 움직이는 듯하고, 깃털로 만든 덮개가 구슬 장막을 덮은 듯하네(青蛟走玉骨,羽蓋蒙珠幰。)"라는 구절은 도미화의 아름다움을 신화적인 이미지로 비유하여 표현합니다. "화려하게 꾸미지 않아도 이미 빼어나고, 바람이 없어도 향기가 저절로 멀리 퍼지네(不妝豔已絕,無風香自遠。)"라는 구절은 도미화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과 은은한 향기를 강조합니다.
  • 역사적 배경과 도미화 (5~8구): 이 부분에서는 도미화와 관련된 역사적 배경을 언급합니다. "처량한 오나라의 궁궐에는, 붉은 연지가 옛 동산에 묻혀 있네(淒涼吳宮闕,紅粉埋故苑。)"라는 구절은 오나라의 흥망성쇠를 회고하며, 옛 궁궐 터에 남아 있는 도미화를 통해 역사의 무상함을 느끼게 합니다. "지금까지 희미한 달밤에는, 생황과 피리 소리가 끊어진 험준한 산에서 들려오네(至今微月夜,笙簫來絕巘。)"라는 구절은 옛 궁궐에서 들리던 음악 소리가 이제는 들리지 않는다는 것을 표현하며, 역사의 흐름을 강조합니다. "남은 아름다움이 이 꽃에 들어 있으니, 천 년이 지나도 오히려 맑고 아름답네(餘妍入此花,千載尚清婉。)"라는 구절은 도미화가 과거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친구에 대한 그리움과 염려 (9~10구): 시의 마지막 부분은 친구에 대한 그리움과 염려를 표현합니다. "그대가 불러도 돌아오지 않는 것이 이상하니, 정녕 꽃에 마음을 빼앗겼기 때문이리라(怪君呼不歸,定為花所挽。)"라는 구절은 친구가 꽃의 아름다움에 빠져 돌아오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시인의 마음을 나타냅니다. "어젯밤의 심한 비바람에, 꽃이 다 졌으니 그대는 응당 돌아왔으리라(昨宵雷雨惡,花盡君應返。)"라는 구절은 밤사이의 비바람으로 꽃이 졌으니 친구가 돌아왔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이는 친구를 걱정하는 마음과 함께, 어서 돌아오기를 바라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도미화라는 소재를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과 역사의 흐름, 그리고 친구에 대한 그리움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미화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부분과 역사적 배경을 언급하는 부분, 그리고 친구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는 부분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시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제공해주신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두기 유 무창 이 도미화 보살천 견향 이수(杜沂遊武昌以酴醿花菩薩泉見餉二首)" 중 두 번째 시입니다. 앞 시에서 도미화에 대해 노래했다면, 이 시에서는 두기가 함께 보낸 보살천(菩薩泉)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맑은 샘물을 의인화하여 고결한 인품에 비유하고,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그대는 서산(西山) 꼭대기에, 예로부터 흰 샘물이 흐른다고 말하네. 위로는 천 마리 소의 젖과 같고, 아래로는 만 섬의 납이 있네. 혜산(惠山)의 맛에 부끄럽지 않지만, 다만 육자(陸子) 같은 현인이 없네. 바라건대 그대가 그 이름을 드날려, 바라건대 문자에 의탁하여 전하게 하소서. 차가운 샘물을 고결한 선비에 비유하니, 맑고 흐림이 그 근원에 있네. 내 마음을 아프게 하지 않으니, 샘물에게는 근심할 바가 아니네. 아, 나는 본래 무엇이 있었던가, 헛된 이름이 공연히 나를 얽매네. 자류(子柳)와 자사(子思)를 보지 못하니, 남은 어리석음으로 시내와 산을 더럽히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맑은 샘물인 보살천을 의인화하여 고결한 인품에 비유하고, 자신의 처지를 겸손하게 돌아보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각 구절을 자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 샘물의 근원과 맛 (1~4구): 시의 초반부는 샘물의 근원과 맛을 묘사하며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그대는 서산 꼭대기에, 예로부터 흰 샘물이 흐른다고 말하네(君言西山頂,自古流白泉。)"라는 구절은 샘물의 유래를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위로는 천 마리 소의 젖과 같고, 아래로는 만 섬의 납이 있네(上為千牛乳,下有萬石鉛。)"라는 구절은 샘물의 풍부함과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젖"은 샘물의 풍부함을, "납"은 샘물의 차가움과 깨끗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혜산의 맛에 부끄럽지 않지만, 다만 육자 같은 현인이 없네(不愧惠山味,但無陸子賢。)"라는 구절은 중국의 명천인 혜산천에 비견될 만큼 좋은 물이지만, 그 물을 제대로 감상하고 이름을 드높일 만한 육우(陸羽)와 같은 현인이 없음을 아쉬워합니다. 육우는 다성(茶聖)으로 불리는 인물로, 좋은 물을 감별하는 데 뛰어났습니다. "바라건대 그대가 그 이름을 드날려, 바라건대 문자에 의탁하여 전하게 하소서(願君揚其名,庶託文字傳。)"라는 구절은 두기가 이 샘물의 가치를 세상에 알려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 샘물과 인품의 비유 및 시인의 자성 (5~8구): 이 부분에서는 샘물을 고결한 인품에 비유하고,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는 내용이 나타납니다. "차가운 샘물을 고결한 선비에 비유하니, 맑고 흐림이 그 근원에 있네(寒泉比吉士,清濁在其源。)"라는 구절은 샘물의 맑고 흐림이 근원에 달려 있듯이, 사람의 인품 또한 근본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내 마음을 아프게 하지 않으니, 샘물에게는 근심할 바가 아니네(不食我心惻,於泉非所患。)"라는 구절은 샘물 자체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강조합니다. "아, 나는 본래 무엇이 있었던가, 헛된 이름이 공연히 나를 얽매네(嗟我本何有,虛名空自纏。)"라는 구절은 자신의 부족함을 자각하고, 헛된 명예에 얽매여 있음을 한탄하는 내용입니다. "자류와 자사를 보지 못하니, 남은 어리석음으로 시내와 산을 더럽히네(不見子柳子,餘愚汙溪山。)"라는 구절은 공자의 제자인 자류와 자사를 언급하며, 그들처럼 뛰어난 인물이 되지 못하고 어리석게 세월을 보내고 있음을 자책하는 내용입니다.

이 시는 맑은 샘물인 보살천을 소재로 하여 고결한 인품과 자신의 부족함을 대조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샘물의 맑고 흐림을 사람의 본성에 비유하는 부분과 자신의 처지를 겸손하게 돌아보는 부분은 시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냅니다.

 

제공해주신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진계상 자기정 견방 군중 급 구주 제 호 쟁 욕 요 치지 희 작 진 맹공 시 일수(陳季常自岐亭見訪郡中及舊州諸豪爭欲邀致之戲作陳孟公詩一首)"입니다. 이 시는 진계상(陳季常)이 기정(岐亭)에서 군중(郡中)을 방문했을 때, 옛 고을의 여러 호걸들이 다투어 그를 초청하려 하자, 이를 희롱하며 진맹공(陳孟公)을 읊은 시입니다. 진계상의 호탕한 성격과 인기를 익살스럽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맹공(孟公, 진계상)은 술 마시기를 좋아하여 어찌 말술을 논하랴, 취한 뒤에는 문을 닫고 손님이 가는 것을 막네. 한가로이 좌아(左阿)의 군(君)을 지나는 것은 괜찮으니, 온갖 귀양살이 끝에 마침내 어진 태수가 되었네. 늙어서 마을에 살며 스스로 떠돌아다니니, 웃으며 백송(伯松)에게 무슨 괴로운 마음이 있는지 묻네. 갑자기 술을 싣고 누추한 골목에서 오니, 양웅(揚雄)이 지은 주잠(酒箴)을 좋아하기 때문이네. 장안의 부자들이 한 번 만나기를 구하니, 천금을 주어도 그대는 웃으며 침을 뱉네. 네 집에서 어찌 맹공을 모시겠는가, 예로부터 오직 진경좌(陳驚座)만 알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진계상의 호탕한 성격과 인기를 익살스럽게 묘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각 구절을 자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 진계상의 주량과 호방함 (1~4구): 시의 초반부는 진계상의 주량과 호방한 성격을 익살스럽게 묘사합니다. "맹공은 술 마시기를 좋아하여 어찌 말술을 논하랴, 취한 뒤에는 문을 닫고 손님이 가는 것을 막네(孟公好飲寧論斗,醉後關門防客走。)"라는 구절은 그의 엄청난 주량을 과장하여 표현하고, 술에 취하면 손님을 붙잡아 두는 그의 독특한 행동을 묘사합니다. "한가로이 좌아의 군을 지나는 것은 괜찮으니, 온갖 귀양살이 끝에 마침내 어진 태수가 되었네(不妨閑過左阿君,百謫終為賢太守。)"라는 구절은 그가 여러 번 귀양을 갔지만 결국 어진 태수가 되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그의 파란만장한 삶을 암시합니다. "늙어서 마을에 살며 스스로 떠돌아다니니, 웃으며 백송에게 무슨 괴로운 마음이 있는지 묻네(老居閭里自浮湛,笑問伯松何苦心。)"라는 구절은 그가 은거하며 자유롭게 지내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갑자기 술을 싣고 누추한 골목에서 오니, 양웅이 지은 주잠을 좋아하기 때문이네(忽然載酒從陋巷,為愛揚雄作酒箴。)"라는 구절은 그가 술을 좋아하고, 양웅의 주잠을 즐겨 읽는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그의 풍류적인 면모를 부각합니다.
  • 진계상의 인기와 특별함 (5~8구): 이 부분에서는 진계상의 높은 인기를 익살스럽게 표현합니다. "장안의 부자들이 한 번 만나기를 구하니, 천금을 주어도 그대는 웃으며 침을 뱉네(長安富兒求一過,千金壽君君笑唾。)"라는 구절은 그를 만나기 위해 많은 부자들이 애쓰지만, 그는 그들의 제안을 거절한다는 내용을 과장하여 표현하며 그의 높은 인기를 보여줍니다. "네 집에서 어찌 맹공을 모시겠는가, 예로부터 오직 진경좌만 알았네(汝家安得客孟公,從來只識陳驚座。)"라는 구절은 여러 사람들이 그를 초청하려 하지만, 그는 아무나 만나는 사람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진경좌(陳驚座)"는 진계상의 별칭으로, 그가 연회에서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재주가 있었음을 나타냅니다.

이 시는 진계상의 호탕한 성격과 높은 인기를 익살스럽게 묘사하는 데 성공하고 있습니다. 과장된 표현과 유머를 사용하여 시의 분위기를 유쾌하게 만들고 있으며,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진경좌"라는 별칭을 사용하여 시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