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번역

동파전집(東坡前集) 권10(卷十) 시 77수

集賢堂 2024. 12. 21. 19:00
반응형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구일황루작(九日黃樓作)"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중양절(重陽節)에 황루(黃樓)에서 지은 시로, 작년의 홍수 피해를 회상하며 올해의 풍요로움을 대조하고, 흥겨운 분위기 속에서도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는 복합적인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주석은 시의 이해를 돕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주석 포함):

지난해 중양절은 말할 수 없었네. 남쪽 성에 한밤중에 천 개의 물거품이 일었네. 물은 성 아래를 뚫고 우레 같은 소리를 내고, 진흙은 성 위를 덮어 날리는 비처럼 미끄러웠네. 노란 국화와 흰 술은 찾는 이 없었고, 해 질 무렵 돌아와 신발과 양말을 씻었네. 어찌 다시 올해가 있을 줄 알았으랴, 술잔을 잡고 꽃을 마주하며 한 모금 마시네. 술이 묽고 여인들의 얼굴이 초라하다고 탓하지 마오, 진흙 속에 꽂힌 수많은 삽보다는 훨씬 나으니. 황루는 새로 지어져 벽이 아직 마르지 않았고, 청하는 이미 물이 줄고 서리가 처음으로 내렸네. 아침에 흰 이슬은 가랑비 같고, 남산은 천 길 절벽이 보이지 않네. 누각 앞은 문득 넓은 바다처럼 아득하고, 누각 아래에서는 빈 채찍 소리만 들리네. 엷은 추위가 사람에게 스며드니 늙음이 두려울 만하고, 뜨거운 술을 창자에 부으니 기운이 먼저 억눌리네. 안개가 걷히고 해가 뜨니 어촌이 보이고, 멀리 있는 물은 비늘처럼 반짝이고 산은 깎인 듯하네. 시인과 맹사가 용과 호랑이처럼 섞여 있네. (좌석에 삼십여 명의 이름난 선비들이 많았다.) 초나라 춤과 오나라 노래는 어지러이 흥겹네. 술 한 잔을 서로 권하니 그대는 사양하지 마오, 이 경치가 어찌 맑은 호수에서 배 띄우는 것과 다르리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작년의 홍수 피해와 올해의 풍요로움을 대비시키며, 현재의 즐거움 속에서도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는 시인의 복잡한 심경을 보여줍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6구: 작년의 홍수 피해 회상: 작년 중양절의 끔찍했던 홍수 피해를 생생하게 묘사하며 시작합니다. "지난해 중양절은 말할 수 없었네. 남쪽 성에 한밤중에 천 개의 물거품이 일었네(去年重陽不可說。南城夜半千漚發)"라는 구절은 작년의 상황이 매우 심각했음을 암시하며, 독자들의 궁금증을 유발합니다. 이어지는 구절들은 홍수의 참상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며, 당시의 절망적인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특히 "노란 국화와 흰 술은 찾는 이 없었고, 해 질 무렵 돌아와 신발과 양말을 씻었네(黃花白酒無人問。日暮歸來洗鞾韈)"라는 구절은 중양절의 풍습조차 지킬 수 없었던 당시의 암울한 분위기를 잘 보여줍니다.
  • 7-14구: 올해의 풍요와 감회: 올해의 풍요로운 상황을 묘사하며, 감회를 드러냅니다. "어찌 다시 올해가 있을 줄 알았으랴, 술잔을 잡고 꽃을 마주하며 한 모금 마시네(豈知還復有今年。把琖對花容一呷)"라는 구절은 작년의 상황과 대비되는 올해의 평화로운 모습에 대한 감격을 표현합니다. "황루는 새로 지어져 벽이 아직 마르지 않았고, 청하는 이미 물이 줄고 서리가 처음으로 내렸네(黃樓新成壁未乾。青河已落霜初殺)"라는 구절은 새로 지어진 황루와 가을의 풍경을 묘사하며, 현재의 상황을 더욱 부각시킵니다. "엷은 추위가 사람에게 스며드니 늙음이 두려울 만하고, 뜨거운 술을 창자에 부으니 기운이 먼저 억눌리네(薄寒中人老可畏。熱酒澆腸氣先壓)"라는 구절은 현재의 즐거움 속에서도 다가오는 늙음과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는 시인의 내면을 보여줍니다.
  • 15-18구: 흥겨운 분위기와 시의 마무리: 흥겨운 잔치 분위기를 묘사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안개가 걷히고 해가 뜨니 어촌이 보이고, 멀리 있는 물은 비늘처럼 반짝이고 산은 깎인 듯하네(煙消日出見漁村。遠水鱗鱗山齾齾)"라는 구절은 맑게 갠 날씨와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하며, 흥겨운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킵니다. "시인과 맹사가 용과 호랑이처럼 섞여 있네. (좌석에 삼십여 명의 이름난 선비들이 많았다.) 초나라 춤과 오나라 노래는 어지러이 흥겹네(詩人猛士雜龍虎。楚舞吳歌亂鵝鴨)"라는 구절은 잔치의 흥겨운 분위기를 생동감 넘치게 묘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술 한 잔을 서로 권하니 그대는 사양하지 마오, 이 경치가 어찌 맑은 호수에서 배 띄우는 것과 다르리오(一杯相屬君勿詞。此境何殊泛清霅)"라는 구절은 함께 술을 마시며 즐거움을 나누자는 권유로, 시를 마무리합니다. '청삽(清霅)'은 강 이름으로, 뱃놀이하기 좋은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시는 작년의 홍수 피해와 올해의 풍요로움을 대비시켜 현재의 즐거움을 더욱 부각하는 동시에, 인생의 무상함과 늙음에 대한 두려움 등 복합적인 감정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생생한 묘사와 감각적인 표현을 통해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마지막 구절에서 함께 즐거움을 나누자는 권유는 시의 분위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듭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태허이황루부견기작시위사(太虛以黃樓賦見寄作詩為謝)"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태허(太虛)라는 친구가 황루(黃樓)에 대한 부(賦)를 보내온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하며 지은 시입니다. 황루의 웅장함과 아름다움, 그리고 태허의 뛰어난 문장력을 칭찬하는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내가 황루 위에 있으니, 황루 시를 지으려 하였네. 갑자기 오랜 친구의 편지를 얻으니, 그 안에 황루의 사(詞)가 있었네. 황루는 높이가 십 장이고, 아래에는 오 장 높이의 깃발이 세워져 있네. 초나라의 산을 성으로 삼고, 사수를 못으로 삼았네. 내 시에는 뛰어난 구절이 없으니, 만 가지 경치가 교만하여 따르지 않네. 부인은 어찌 이리 묘한가, 우박이 우레와 망치처럼 흩어지네. 웅장한 사(詞)는 예와 지금을 섞었고, 그 안에 굴원과 송옥의 풍모가 있네. 남산에는 경석(磬石)이 많으니, 맑고 매끄럽기가 흐르는 기름과 같네. 붉은 밀랍으로 모각하니, 섬세하고 묘함이 털끝만큼도 어긋나지 않네. 아름다운 곳은 쉽게 알 수 없으니, 마땅히 오는 사람이 알 것이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황루의 웅장한 모습과 태허의 뛰어난 문장력을 칭찬하는 내용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황루의 웅장함과 시인의 겸손: 황루의 웅장한 모습과 자신의 시에 대한 겸손을 드러냅니다. "내가 황루 위에 있으니, 황루 시를 지으려 하였네. 갑자기 오랜 친구의 편지를 얻으니, 그 안에 황루의 사(詞)가 있었네(我在黃樓上。欲作黃樓詩。忽得故人書。中有黃樓詞)"라는 구절은 시를 짓게 된 계기를 설명하며, 태허의 부(賦)를 받게 된 것을 언급합니다. "황루는 높이가 십 장이고, 아래에는 오 장 높이의 깃발이 세워져 있네. 초나라의 산을 성으로 삼고, 사수를 못으로 삼았네(黃樓高十丈。下建五丈旗。楚山以為城。泗水以為池)"라는 구절은 황루의 웅장한 규모를 묘사하며, 그 주변의 자연환경까지 함께 언급하여 황루의 위엄을 더욱 강조합니다. "내 시에는 뛰어난 구절이 없으니, 만 가지 경치가 교만하여 따르지 않네(我詩無傑句。萬景驕莫隨)"라는 구절은 자신의 시를 겸손하게 낮추는 표현으로, 이어지는 태허의 문장에 대한 칭찬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 5-8구: 태허의 뛰어난 문장력 칭찬: 태허의 부(賦)에 담긴 뛰어난 문장력을 구체적으로 칭찬합니다. "부인은 어찌 이리 묘한가, 우박이 우레와 망치처럼 흩어지네(夫子獨何妙。雨雹散雷椎)"라는 구절은 태허의 문장을 우박이 흩어지는 모습에 비유하여 그 힘과 기세를 묘사합니다. "웅장한 사(詞)는 예와 지금을 섞었고, 그 안에 굴원과 송옥의 풍모가 있네(雄詞雜今古。中有屈宋姿)"라는 구절은 태허의 문장이 옛것과 새것을 아우르는 웅장함을 지녔으며, 굴원과 송옥과 같은 뛰어난 문인들의 풍모를 담고 있다고 극찬합니다. 굴원과 송옥은 중국 초나라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특히 굴원의 《이소(離騷)》는 중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입니다. 태허의 문장을 이들에 비견한 것은 최고의 찬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9-12구: 황루의 아름다움과 시의 마무리: 황루의 아름다움을 다시 한번 묘사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남산에는 경석(磬石)이 많으니, 맑고 매끄럽기가 흐르는 기름과 같네(南山多磬石。清滑如流脂)"라는 구절은 황루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묘사하며, 시각적인 이미지를 통해 독자들에게 황루의 아름다움을 전달합니다. "붉은 밀랍으로 모각하니, 섬세하고 묘함이 털끝만큼도 어긋나지 않네(朱蠟為摹刻。細妙分毫釐)"라는 구절은 태허의 문장이 매우 정교하고 섬세하게 쓰여졌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아름다운 곳은 쉽게 알 수 없으니, 마땅히 오는 사람이 알 것이네(佳處未易識。當有來者知)"라는 구절은 황루의 진정한 아름다움은 직접 와서 보아야 알 수 있다는 의미로, 후세 사람들이 황루를 찾아와 그 아름다움을 감상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태허의 문장의 깊이와 가치를 후세 사람들이 알아줄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이 시는 태허의 뛰어난 문장력에 대한 감탄과 황루의 아름다움에 대한 찬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유와 고사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있으며, 겸손과 칭찬이라는 대조적인 표현을 통해 시의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구일차운왕공(九日次韻王鞏)"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중양절(重陽節)에 왕공(王鞏)의 시에 차운(次韻, 상대방의 시 운자를 그대로 쓰거나 바꿔서 짓는 시)하여 화답한 시입니다. 술에 취해 잠들고 싶은 심정과, 친구와의 만남을 아쉬워하는 마음을 유쾌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나는 술에 취해 잠들고 싶으니 그대는 그만두시오. 이미 종사(從事)를 시켜 청주(青州)에 가게 하였소. 나의 귀밑 서리는 삼천 길이나 많고, 시의 법칙은 그대에게 백 가지 계책이나 뒤지오. 듣자 하니 낭군(郎君)은 동쪽 누각을 닫았다 하니, 잠시 늙은 나를 남쪽 누각에 머무르게 해 주시오. 서로 만났으니 바삐 돌아갈 필요 없소, 내일이면 국화도 나비도 시름에 잠길 것이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술에 취해 잠들고 싶은 솔직한 심정과, 친구와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마음을 유쾌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술 취해 잠들고 싶은 심정: 술에 취해 잠들고 싶은 솔직한 심정을 표현하며 시작합니다. "나는 술에 취해 잠들고 싶으니 그대는 그만두시오(我醉欲眠君罷休)"라는 첫 구절은 매우 직설적이고 솔직한 표현으로, 시의 분위기를 유쾌하게 만듭니다. "이미 종사(從事)를 시켜 청주(青州)에 가게 하였소(已教從事到青州)"라는 구절은 왕공의 종사가 청주에 갔다는 소식을 언급하는 것으로, 왕공이 곧 떠나야 할 상황임을 암시합니다. '종사(從事)'는 지방관의 부관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 3-4구: 겸손과 재치 있는 표현: 자신의 노쇠함과 시 재능의 부족을 겸손하게 표현하면서도, 재치 있는 표현을 사용하여 시의 재미를 더합니다. "나의 귀밑 서리는 삼천 길이나 많고, 시의 법칙은 그대에게 백 가지 계책이나 뒤지오(鬢霜饒我三千丈。詩律輸君一百籌)"라는 구절은 자신의 흰머리가 많음을 과장하여 표현하고, 시의 재능이 왕공보다 못하다고 겸손하게 말하는 내용입니다. '삼천 장(三千丈)'은 매우 긴 길이를 나타내는 과장법으로, 흰머리가 많음을 강조합니다. '백 가지 계책(一百籌)'은 많은 계책을 의미하며, 시의 재능이 뒤떨어짐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이러한 과장법과 비유는 시의 유쾌한 분위기를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 5-6구: 이별의 아쉬움과 권유: 왕공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며, 함께 더 머물 것을 권유합니다. "듣자 하니 낭군(郎君)은 동쪽 누각을 닫았다 하니, 잠시 늙은 나를 남쪽 누각에 머무르게 해 주시오(聞道郎君閉東閣。且容老子上南樓)"라는 구절은 왕공이 이미 떠날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암시하면서도, 함께 더 시간을 보내고 싶은 마음을 간곡하게 표현합니다. '동각(東閣)'은 손님을 머무르게 하는 동쪽의 누각을 의미하며, 왕공이 떠날 준비를 마쳤음을 나타냅니다. '남루(南樓)'는 주인이 머무는 남쪽의 누각을 의미하며, 함께 더 머물고 싶은 소식의 마음을 나타냅니다. "서로 만났으니 바삐 돌아갈 필요 없소, 내일이면 국화도 나비도 시름에 잠길 것이오(相逢不用忙歸去。明日黃花蝶也愁)"라는 마지막 구절은 이별의 아쉬움을 아름다운 시어로 표현하며,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중양절 다음 날 국화가 시들고 나비가 사라지는 모습을 묘사하며, 왕공이 떠나면 모든 것이 쓸쓸해질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황화(黃花)'는 국화를 의미하며, 중양절의 중요한 소재입니다.

이 시는 술에 취해 잠들고 싶은 솔직한 심정, 겸손과 재치가 어우러진 표현, 그리고 이별의 아쉬움을 아름다운 시어로 표현한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과장법과 비유, 그리고 자연물을 활용한 묘사는 시의 분위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으며, 독자들에게 깊은 공감과 감동을 전달합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송돈기(送頓起)"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친구 돈기(頓起)를 보내며 지은 송별시로, 만남의 어려움과 이별의 아쉬움, 그리고 돈기의 앞날을 축복하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나그네 길에서 서로 만나는 것은 어려우니, 즐거운 시간은 늘 부족하네. 떠나려 할 때 소매를 붙잡고, 시든 국화를 다시 감상하네. 아름다운 사람은 또한 무슨 생각을 할까, 처량하게 끊어지는 양관곡(陽關曲)이네. 술자리가 끝나도 차마 떠나지 못하고, 함께 한 치 촛불을 이어 밝히네. 붙잡아 두고 싶은 마음 끝이 없지만, 돌아갈 행차는 어쩔 수 없이 재촉하네. 태산(泰山)이 이미 눈앞에 있으니, 한번 가면 앞사람의 발자취를 잇겠지. 천문(天門)까지 사십 리이니, 밤에 해 뜨는 것을 볼 수 있겠네. 머리를 돌려 팽성(彭城)을 바라보니, 큰 바다에 떠 있는 한 알의 좁쌀이네. 옛 친구는 그 아래에 있으니, 속세에서 서로 부대끼겠지. 오직 황루(黃樓)의 시만이, 천 년 동안 기오(淇澳)와 짝하리. (돈기는 황루의 내력을 기록한 시가 있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이별의 아쉬움과 친구의 앞날을 축복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며,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6구: 이별의 아쉬움: 만남의 어려움과 이별의 안타까움을 애절하게 표현합니다. "나그네 길에서 서로 만나는 것은 어려우니, 즐거운 시간은 늘 부족하네(客路相逢難。為樂常不足)"라는 첫 두 구절은 만남의 소중함과 이별의 아쉬움을 간결하게 드러냅니다. "떠나려 할 때 소매를 붙잡고, 시든 국화를 다시 감상하네(臨行挽衫袖。更賞折殘菊)"라는 구절은 떠나려는 친구의 소매를 붙잡는 행위를 통해 이별의 안타까움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시든 국화를 감상하는 것은 가을의 쓸쓸한 분위기와 더불어 이별의 슬픔을 더합니다. "아름다운 사람은 또한 무슨 생각을 할까, 처량하게 끊어지는 양관곡(陽關曲)이네(佳人亦何念。淒斷陽關曲)"라는 구절은 이별의 노래인 양관곡을 인용하여 이별의 슬픔을 더욱 강조합니다. "술자리가 끝나도 차마 떠나지 못하고, 함께 한 치 촛불을 이어 밝히네(酒闌不忍去。共接一寸燭)"라는 구절은 술자리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차마 헤어지지 못하는 안타까운 심정을 묘사합니다. 촛불을 이어 밝히는 행위는 밤늦도록 이야기를 나누며 이별을 아쉬워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 7-10구: 돈기의 앞날 축복과 자신의 처지 대비: 돈기의 밝은 미래를 축복하는 동시에 자신의 처지를 대비하여 나타냅니다. "붙잡아 두고 싶은 마음 끝이 없지만, 돌아갈 행차는 어쩔 수 없이 재촉하네(留君終無窮。歸駕不免促)"라는 구절은 친구를 붙잡고 싶은 마음과 어쩔 수 없이 이별해야 하는 현실 사이의 갈등을 보여줍니다. "태산(泰山)이 이미 눈앞에 있으니, 한번 가면 앞사람의 발자취를 잇겠지(岱宗已在眼。一往繼前躅)"라는 구절은 돈기의 앞날이 밝을 것이라고 축복하는 내용입니다. 태산은 중국의 명산으로, 성공과 출세를 상징합니다. "천문(天門)까지 사십 리이니, 밤에 해 뜨는 것을 볼 수 있겠네(天門四十里。夜看扶桑浴)"라는 구절은 태산의 웅장한 경치를 묘사하며, 돈기의 앞날을 더욱 밝게 비춰줍니다. "머리를 돌려 팽성(彭城)을 바라보니, 큰 바다에 떠 있는 한 알의 좁쌀이네(回頭望彭城。大海浮一粟)"라는 구절은 돈기의 밝은 미래와 대비되는 자신의 초라한 처지를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팽성은 소식이 있던 곳으로, 광활한 바다에 떠 있는 좁쌀에 비유하여 자신의 존재가 미미함을 드러냅니다.
  • 11-12구: 돈기의 시에 대한 찬사: 돈기의 시를 칭찬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옛 친구는 그 아래에 있으니, 속세에서 서로 부대끼겠지(故人在其下。塵土相豗蹴)"라는 구절은 돈기가 떠난 후 자신은 여전히 속세에서 고생하며 지낼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오직 황루(黃樓)의 시만이, 천 년 동안 기오(淇澳)와 짝하리(惟有黃樓詩。千古配淇澳)"라는 구절은 돈기가 지은 황루에 대한 시를 극찬하는 내용입니다. '기오(淇澳)'는 《시경(詩經)》의 편명으로, 아름다운 풍경을 노래한 시로 유명합니다. 돈기의 시가 기오에 비견될 만큼 뛰어나다는 칭찬은 최고의 찬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주석 "돈기는 황루의 내력을 기록한 시가 있다(頓有詩。記黃樓本末)"는 이 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시는 이별의 아쉬움과 친구의 앞날을 축복하는 마음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물을 활용한 묘사와 비유를 통해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있으며,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전달합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송손면(送孫勉)"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손면(孫勉)을 보내며 지은 시로, 과거의 흉년과 도적의 창궐했던 상황을 회상하고, 손면의 뛰어난 재능과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주석은 시의 이해를 돕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주석 포함):

지난날 동무(東武)에서 벼슬을 그만두고, 일찍이 북해현(北海縣)을 지나갔었네. 흰 강은 눈 물결처럼 뒤집히고, 누런 흙은 찐 밀가루 같았네. 뽕나무와 삼은 동방에서 으뜸이나, 한 번 풍년이 들면 천하에 값이 싸지네. 이때는 흉년이 겹쳐, 늘 도적의 변란으로 고통받았네. 매번 아전들을 불쌍히 여겼으니, 들에서 자며 바람에 얼굴이 갈라졌네. 그대는 회남(淮南)의 뛰어난 인재이니, 문채가 금빛 대궐을 비추네. (그대는 일찍이 진사 시험에서 장원 급제하였다.) 어찌하여 이리 분주히 뛰어다니는가, 붓을 던지고 허리에 화살을 찼네. 다시 수염이 덥수룩한 장군에게 발탁되어, 호방한 시로 와서 전쟁을 독려하네. (그의 형 신로(莘老)가 시를 보내왔는데, 모두 전쟁에 대한 내용이었다.) 세 고을의 선비들을 직접 평가하니, 옥과 돌을 가릴 수 있었네. 그대가 사람을 잘 알아보는 것을 알고자 한다면, 버려진 자들조차 훌륭하다고 칭찬하네. 그대의 재능은 무엇이든 해내지 못할 것이 없으니, 모름지기 백 번이나 단련되기를 바라네. 내 시는 씹어볼 만하니, 이별의 술과 함께 삼키며 보내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손면의 앞날을 축복하는 내용과 함께, 과거의 힘든 시절을 회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6구: 과거의 힘든 시절 회상: 과거 흉년과 도적의 창궐했던 상황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지난날 동무(東武)에서 벼슬을 그만두고, 일찍이 북해현(北海縣)을 지나갔었네(昔年罷東武。曾過北海縣)"라는 구절은 과거 소식이 관직에서 물러나 북해현을 지나갔던 경험을 언급하며, 이어지는 내용의 배경을 설명합니다. "흰 강은 눈 물결처럼 뒤집히고, 누런 흙은 찐 밀가루 같았네(白河翻雪浪。黃土如烝麵)"라는 구절은 당시의 자연 풍경을 묘사하며, 흰 강물과 누런 흙의 대비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줍니다. "뽕나무와 삼은 동방에서 으뜸이나, 한 번 풍년이 들면 천하에 값이 싸지네(桑麻冠東方。一熟天下賤)"라는 구절은 풍년이 들어도 오히려 가격이 하락하는 당시의 경제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때는 흉년이 겹쳐, 늘 도적의 변란으로 고통받았네(是時累飢饉。常苦盜賊變)"라는 구절은 당시 백성들이 흉년과 도적 때문에 얼마나 고통받았는지를 보여줍니다. "매번 아전들을 불쌍히 여겼으니, 들에서 자며 바람에 얼굴이 갈라졌네(每憐追胥官。野宿風裂面)"라는 구절은 도적을 쫓는 아전들의 고생스러운 모습을 묘사하며, 당시 사회의 혼란스러움을 간접적으로 드러냅니다.
  • 7-10구: 손면의 뛰어난 재능 칭찬과 안타까움: 손면의 뛰어난 재능을 칭찬하면서도, 그가 문관의 길을 버리고 군인의 길을 택한 것을 안타까워합니다. "그대는 회남(淮南)의 뛰어난 인재이니, 문채가 금빛 대궐을 비추네(君為淮南秀。文采照金殿)"라는 구절은 손면의 뛰어난 재능을 칭찬하며, 그의 문장력이 조정에까지 빛날 정도라고 극찬합니다. 주석에서 언급된 것처럼, 손면은 과거 시험에서 장원 급제한 뛰어난 인재였습니다. "어찌하여 이리 분주히 뛰어다니는가, 붓을 던지고 허리에 화살을 찼네(胡為事奔走。投筆腰羽箭)"라는 구절은 손면이 문관의 길을 버리고 군인의 길을 택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합니다. "다시 수염이 덥수룩한 장군에게 발탁되어, 호방한 시로 와서 전쟁을 독려하네(更被髯將軍。豪篇來督戰)"라는 구절은 손면이 장군의 휘하에서 활약하며, 시를 통해 군사들을 격려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주석에서 언급된 것처럼, 손면의 형 신로가 보낸 시 역시 전쟁에 대한 내용이었다고 합니다.
  • 11-12구: 손면의 인품과 앞날 축복: 손면의 뛰어난 인품을 칭찬하고, 그의 앞날을 축복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세 고을의 선비들을 직접 평가하니, 옥과 돌을 가릴 수 있었네(親程三郡士。玉石不能衒)"라는 구절은 손면이 인재를 알아보는 뛰어난 안목을 가지고 있음을 칭찬합니다. "그대가 사람을 잘 알아보는 것을 알고자 한다면, 버려진 자들조차 훌륭하다고 칭찬하네(欲知君得人。失者亦稱善)"라는 구절은 손면이 사람을 너그럽게 대하는 인품을 칭찬하는 내용입니다. "그대의 재능은 무엇이든 해내지 못할 것이 없으니, 모름지기 백 번이나 단련되기를 바라네(君才無不可。要欲經百鍊)"라는 구절은 손면의 무궁한 가능성을 칭찬하며, 앞으로 더욱 성장하고 발전하기를 기원하는 내용입니다. 마지막으로 "내 시는 씹어볼 만하니, 이별의 술과 함께 삼키며 보내네(吾詩堪咀嚼。聊送別酒嚥)"라는 구절은 자신의 시가 음미할 가치가 있음을 겸손하게 표현하며, 이 시를 이별의 선물로 손면에게 전하는 의미를 담고 시를 마무리합니다.

이 시는 과거의 힘든 시절을 회상하는 내용과 손면의 뛰어난 재능과 인품을 칭찬하는 내용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습니다. 특히, 손면의 앞날을 축복하는 따뜻한 마음과 더불어, 혼란한 시대 속에서 각자의 길을 걸어야 하는 사람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보여주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이 시는 당나라 화가 이사훈(李思訓)이 그린 "장강절도도(長江絕島圖)"라는 그림을 보고 지은 시입니다. 그림 속 장강의 외딴 섬 풍경을 묘사하며, 자연의 웅장함과 인간사의 덧없음을 함께 노래하고 있습니다. 중국어가 아닌 한국어로 번역하고 분석 및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산은 푸르고 강은 아득하네. 큰 외로운 섬과 작은 외로운 섬이 강 가운데 있네. 깎아지른 벼랑에 길은 끊기고 원숭이와 새들은 떠나갔네. 오직 큰 나무만이 하늘을 찌를 듯 길게 뻗어 있네. 나그네 배는 어디에서 오는가, 노 젓는 노래가 강물 가운데서 높낮이로 울리네. 모래톱은 평평하고 바람은 부드러워 끝없이 이어져 보이지 않고, 외로운 섬은 오랫동안 배와 함께 오르내리네. 높이 솟은 두 봉우리는 안개 낀 여인의 쪽진 머리 같고, 새벽 거울에 새로 단장한 모습이네. 뱃속의 장사치들은 함부로 날뛰지 마오. 작은 외로운 섬의 여인은 재작년에 팽랑에게 시집갔다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그림 속 풍경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동시에, 인간사와 자연의 영원성을 대비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각 구절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1-2구: 장강의 웅장한 풍경: "산은 푸르고 강은 아득하네. 큰 외로운 섬과 작은 외로운 섬이 강 가운데 있네(山蒼蒼。江茫茫。大孤小孤江中央)"라는 구절은 광활한 장강의 풍경을 간결하면서도 웅장하게 묘사합니다. 푸른 산과 아득한 강, 그리고 강 가운데 우뚝 솟은 두 개의 섬은 그림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보여줍니다.
  • 3-4구: 고립된 섬의 모습: "깎아지른 벼랑에 길은 끊기고 원숭이와 새들은 떠나갔네. 오직 큰 나무만이 하늘을 찌를 듯 길게 뻗어 있네(崖崩路絕猿鳥去。惟有喬木攙天長)"라는 구절은 섬의 고립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깎아지른 벼랑과 끊어진 길은 인간의 접근이 어려운 험준한 지형을 나타내고, 원숭이와 새들이 떠난 것은 섬의 외로움을 강조합니다. 반면에 하늘을 찌를 듯 뻗은 큰 나무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굳건히 자라는 자연의 강인함을 보여줍니다.
  • 5-6구: 나그네 배의 모습: "나그네 배는 어디에서 오는가, 노 젓는 노래가 강물 가운데서 높낮이로 울리네(客舟何處來。棹歌中流聲抑揚)"라는 구절은 그림 속에 등장하는 나그네 배의 모습을 묘사합니다. 어디에서 오는지 모르는 나그네 배와 강물에 울려 퍼지는 노 젓는 노래는 그림에 생동감을 불어넣습니다.
  • 7-8구: 광활한 풍경과 외로운 섬: "모래톱은 평평하고 바람은 부드러워 끝없이 이어져 보이지 않고, 외로운 섬은 오랫동안 배와 함께 오르내리네(沙平風軟望不到。孤山久與船低昂)"라는 구절은 넓은 모래톱과 부드러운 바람을 통해 광활한 강 풍경을 묘사합니다. 끝없이 펼쳐진 풍경과 그 속에 오랫동안 배와 함께 떠 있는 외로운 섬은 자연의 영원성과 인간의 유한함을 대비시키는 듯합니다.
  • 9-10구: 섬의 아름다움과 인간사: "높이 솟은 두 봉우리는 안개 낀 여인의 쪽진 머리 같고, 새벽 거울에 새로 단장한 모습이네(峨峨兩煙鬟。曉鏡開新粧)"라는 구절은 섬의 두 봉우리를 안개에 싸인 여인의 쪽진 머리에 비유하여 아름답게 표현합니다. 새벽에 거울을 보며 새로 단장하는 여인의 모습은 섬의 아름다움을 더욱 부각시키는 동시에, 인간의 삶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11-12구: 인간사의 덧없음: "뱃속의 장사치들은 함부로 날뛰지 마오. 작은 외로운 섬의 여인은 재작년에 팽랑에게 시집갔다오(舟中賈客莫漫狂。小姑前年嫁彭郎)"라는 마지막 두 구절은 인간사의 덧없음을 암시합니다. 배 안의 장사치들에게 함부로 날뛰지 말라고 경고하는 것은 인생의 무상함을 깨달아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작은 외로운 섬의 여인이 이미 시집갔다는 이야기는 세월의 흐름과 인간사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특히, "재작년에 팽랑에게 시집갔다오"라는 구체적인 시간 언급은 시간의 흐름을 더욱 강조합니다.

이 시는 그림을 보고 지은 시이지만, 단순한 그림 묘사에 그치지 않고 자연의 웅장함과 인간사의 덧없음을 함께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섬의 모습을 여인의 모습에 비유하거나, 여인이 시집간 이야기를 통해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등, 시적인 상상력을 풍부하게 활용한 것이 특징입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운답왕공(次韻答王鞏)"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왕공(王鞏)의 시에 차운(次韻, 상대방의 시 운자를 그대로 쓰거나 바꿔서 짓는 시)하여 답한 시로, 속세를 벗어난 고결한 인품을 지닌 객(客)을 칭찬하고,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과 자신의 시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나에게 속세를 벗어난 객이 있으니, 얼굴은 옥의 꽃과 같네. 십 년 동안 속세의 티끌 속에 있었지만, 한 조각 얼음처럼 맑네. 갑자기 와서 나와 함께 노니, 솔직하게 진정한 마음을 보여주네. 나를 돌아보니 족히 연연할 것이 없지만, 이 산수의 맑음을 연연하네. 새로운 시는 탄알과 같아서, 손에서 떠나면 잠시도 멈추지 않네. 어제는 물고기를 놓아 돌려보냈더니, 옷과 수건에 부평초가 가득하네. 오늘은 조각배를 타고 떠나가니, 흰 술을 싣고 오정(烏程)으로 가네. 산 위에서는 달이 뜨는 것을 보고, 강길에서는 악어 우는 소리를 듣겠네. 아이의 노래를 짓지 마오, 창랑의 물에 내 갓끈을 씻으리. 내 시는 스스로 가히 부를 만하니, 그대는 노 젓는 노래를 부르시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고결한 인품을 지닌 객을 칭찬하고,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과 자신의 시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객의 고결한 인품 칭찬: 속세를 벗어난 고결한 인품을 지닌 객을 칭찬합니다. "나에게 속세를 벗어난 객이 있으니, 얼굴은 옥의 꽃과 같네(我有方外客。顏如瓊之英)"라는 구절은 객의 뛰어난 외모와 고결한 인품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방외(方外)'는 속세를 벗어난 곳을 의미하며, 객의 속세를 초탈한 면모를 나타냅니다. '경(瓊)'은 아름다운 옥을 의미하며, 객의 맑고 깨끗한 모습을 비유합니다. "십 년 동안 속세의 티끌 속에 있었지만, 한 조각 얼음처럼 맑네(十年塵土窟。一寸冰雪清)"라는 구절은 오랜 세월 속세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변치 않는 객의 맑은 인품을 강조합니다. "갑자기 와서 나와 함께 노니, 솔직하게 진정한 마음을 보여주네(朅來從我游。坦率見真情)"라는 구절은 객이 갑자기 찾아와 솔직한 마음을 보여준 것에 대한 기쁨을 표현합니다. "나를 돌아보니 족히 연연할 것이 없지만, 이 산수의 맑음을 연연하네(顧我無足戀。戀此山水清)"라는 구절은 속세의 부귀영화에는 미련이 없지만, 맑고 아름다운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드러냅니다.
  • 5-8구: 시 창작과 자연 친화적인 삶: 시 창작에 대한 열정과 자연 친화적인 삶을 묘사합니다. "새로운 시는 탄알과 같아서, 손에서 떠나면 잠시도 멈추지 않네(新詩如彈丸。脫手不蹔停)"라는 구절은 끊임없이 샘솟는 시 창작의 영감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어제는 물고기를 놓아 돌려보냈더니, 옷과 수건에 부평초가 가득하네(昨日放魚回。衣巾滿浮萍)"라는 구절은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소박한 삶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물고기를 놓아주는 행위는 자연에 대한 사랑과 배려를 나타내며, 옷과 수건에 부평초가 가득한 모습은 자연과 가까이 지내는 삶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오늘은 조각배를 타고 떠나가니, 흰 술을 싣고 오정(烏程)으로 가네(今日扁舟去。白酒載烏程)"라는 구절은 객이 배를 타고 떠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오정(烏程)'은 지명으로, 객의 목적지를 나타냅니다.
  • 9-12구: 자연에 귀의하고자 하는 마음과 시에 대한 자부심: 자연에 귀의하고자 하는 마음과 자신의 시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산 위에서는 달이 뜨는 것을 보고, 강길에서는 악어 우는 소리를 듣겠네(山頭見月出。江路聞鼉鳴)"라는 구절은 객이 여행 중에 마주할 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묘사합니다. "아이의 노래를 짓지 마오, 창랑의 물에 내 갓끈을 씻으리(莫作孺子歌。滄浪濯吾纓)"라는 구절은 속세에 미련을 두지 않고 자연에 귀의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현합니다. '유자(孺子)'는 아이를 의미하며, 세상일에 물들지 않은 순수한 마음을 뜻합니다. '창랑(滄浪)'은 강 이름으로, 《맹자(孟子)》에 나오는 고사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는다(滄浪之水清兮, 可以濯吾纓; 滄浪之水濁兮, 可以濯吾足)"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이 구절은 세상의 혼탁함에 물들지 않고 맑은 곳에서 살겠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내 시는 스스로 가히 부를 만하니, 그대는 노 젓는 노래를 부르시오(吾詩自堪唱。相子棹歌聲)"라는 구절은 자신의 시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며, 객에게는 노 젓는 노래를 부르라고 권유합니다. 이는 각자의 방식으로 자연을 즐기고 노래하자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고결한 인품을 지닌 객을 칭찬하고,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과 자신의 시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는 내용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습니다. 특히, 자연물을 활용한 묘사와 고사를 인용한 표현은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있으며,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장안도견시근시(張安道見示近詩)"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장안도(張安道)가 최근 지은 시를 보여준 것에 대한 화답시입니다. 시대의 변화와 인물의 쇠락을 안타까워하며, 고상한 음악과 이상적인 정치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주석은 시의 이해를 돕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주석 포함):

인물은 한 번 쇠락하면, 미묘한 말을 다시 찾기 어렵네. 간절했던 영가(永嘉) 말의 일들이, 다시 정시(正始)의 음악을 듣는 듯하네. 맑은 담론은 충분하지 못하고, 시대를 느끼는 마음은 더욱 깊네. 젊은 시절 기이한 뜻이 있었으니, 남풍금(南風琴)을 연주하려 하였네. 황폐한 숲에는 매미와 쓰르라미가 어지럽게 울고, 버려진 연못에는 개구리와 자라가 음란하게 우네. 드디어 두 귀를 막고자 하니, 글을 대할 때 다만 탄식할 뿐이네. 쓸쓸한 왕랑(王郎)의 아들이, 구산(緱山)의 북쪽에서 왔네. (그의 사위 왕공(王鞏)이 데려왔다.) 전하기를 부구백(浮丘伯)을 보았다 하니, 밝은 달빛 아래 피리를 불었다 하네. 남겨진 소리는 회수(淮水)와 사수(泗水)에 떨어지니, 교룡과 악어가 슬피 읊조리네. 원컨대 공정하게 왕의 법도를 바로잡아, 아름다운 음악을 다시 이어주기를 바라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시대의 변화와 인물의 쇠락을 안타까워하며, 고상한 음악과 이상적인 정치를 그리워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시대의 변화와 안타까움: 시대의 변화와 인물의 쇠락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합니다. "인물은 한 번 쇠락하면, 미묘한 말을 다시 찾기 어렵네(人物一衰謝。微言難重尋)"라는 구절은 시대가 변하고 인물이 쇠락하면 고상한 가르침이나 심오한 진리를 다시 찾기 어렵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간절했던 영가(永嘉) 말의 일들이, 다시 정시(正始)의 음악을 듣는 듯하네(殷勤永嘉末。復聞正始音)"라는 구절은 과거의 혼란했던 시대를 회상하며, 다시 고상한 음악을 듣는 듯한 느낌을 표현합니다. 영가(永嘉)는 서진(西晉) 말기의 혼란했던 시대를 가리키며, 정시(正始)는 삼국 시대 위(魏)나라의 시기로, 죽림칠현(竹林七賢)으로 대표되는 고상한 음악과 사상이 번성했던 시기입니다. "맑은 담론은 충분하지 못하고, 시대를 느끼는 마음은 더욱 깊네(清談未足多。感時意殊深)"라는 구절은 현실의 혼란함에 대한 안타까움과 시대에 대한 깊은 고민을 나타냅니다. "젊은 시절 기이한 뜻이 있었으니, 남풍금(南風琴)을 연주하려 하였네(少年有奇志。欲和南風琴)"라는 구절은 젊은 시절 이상적인 정치를 펼치고자 했던 포부를 회상합니다. 남풍금(南風琴)은 순임금(舜)이 지었다는 전설적인 악기로, 태평성대를 상징합니다.
  • 5-8구: 혼란한 현실과 은둔의 심정: 혼란한 현실에 대한 괴로움과 은둔하고자 하는 심정을 나타냅니다. "황폐한 숲에는 매미와 쓰르라미가 어지럽게 울고, 버려진 연못에는 개구리와 자라가 음란하게 우네(荒林蜩蚻亂。廢沼蛙黽滛)"라는 구절은 혼란한 현실을 자연의 혼란스러운 모습에 비유하여 묘사합니다. "드디어 두 귀를 막고자 하니, 글을 대할 때 다만 탄식할 뿐이네(遂欲掩兩耳。臨文但噫瘖)"라는 구절은 혼란한 현실에 괴로워하며 세상과 단절하고 싶은 심정을 표현합니다.
  • 9-12구: 고상한 인물과 이상적인 정치에 대한 그리움: 고상한 인물과 이상적인 정치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내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쓸쓸한 왕랑(王郎)의 아들이, 구산(緱山)의 북쪽에서 왔네(蕭然王郎子。來自緱山陰)"라는 구절은 왕랑의 아들을 소개하며, 그가 속세를 벗어난 고상한 인물임을 암시합니다. 주석에서 언급된 것처럼, 그는 왕공이 데려온 인물입니다. "전하기를 부구백(浮丘伯)을 보았다 하니, 밝은 달빛 아래 피리를 불었다 하네(云見浮丘伯。吹簫明月岑)"라는 구절은 왕랑의 아들이 신선 부구백을 만났다는 전설을 인용하여 그의 고상함을 더욱 부각시킵니다. 부구백은 전설 속의 신선으로, 고상한 인물을 상징합니다. "남겨진 소리는 회수(淮水)와 사수(泗水)에 떨어지니, 교룡과 악어가 슬피 읊조리네(遺聲落淮泗。蛟鼉為悲吟)"라는 구절은 왕랑의 아들이 남긴 고상한 음악이 주변에 큰 감동을 주었음을 표현합니다. "원컨대 공정하게 왕의 법도를 바로잡아, 아름다운 음악을 다시 이어주기를 바라네(願公正王度。祈招繼愔愔)"라는 마지막 구절은 혼란한 현실을 바로잡고 다시 태평성대를 이루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시를 마무리합니다. '왕도(王度)'는 왕의 법도, 즉 이상적인 정치를 의미하며, '음음(愔愔)'은 화평하고 아름다운 음악 소리를 의미합니다.

이 시는 시대의 변화와 인물의 쇠락에 대한 안타까움, 혼란한 현실에 대한 괴로움, 그리고 고상한 음악과 이상적인 정치에 대한 그리움을 복합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고사를 인용하고 자연물을 활용한 묘사는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있으며,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운왕공안부동범주(次韻王鞏顏復同泛舟)"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왕공(王鞏)과 안복(顏復)과 함께 배를 타고 놀았던 일을 회상하며 지은 시로, 함께 했던 즐거운 시간을 추억하고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는 내용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침랑(沈郎)은 맑고 여위어 옷을 제대로 입지 못한 듯하고, 변로(邊老)는 배가 불룩 나와 허리둘레가 열 아름이나 되네. 가볍게 산 위를 뛰어다니고, 흥겹게 소리치며 술 취해 배를 타고 돌아오네. 춤추는 허리는 눈처럼 희고 금비녀가 떨어지고, 막힘없는 말솜씨는 구름 같고 옥으로 만든 먼지떨이 같네. 옛날 전당(錢塘)에 있을 때도 바로 이러했는데, 고개를 돌려보니 사십이 년의 세월이 덧없이 흘렀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함께 했던 즐거운 시간을 회상하며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는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함께 했던 사람들의 모습: 함께 배를 탔던 사람들의 외형적인 특징을 익살스럽게 묘사합니다. "침랑(沈郎)은 맑고 여위어 옷을 제대로 입지 못한 듯하고, 변로(邊老)는 배가 불룩 나와 허리둘레가 열 아름이나 되네(沈郎清瘦不勝衣。邊老便便帶十圍)"라는 구절은 침랑의 마른 체형과 변로의 비만 체형을 대비시켜 보여줍니다. '침랑(沈郎)'은 남조(南朝) 시대의 문인 침약(沈約)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통 마른 체형의 미남자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쓰입니다. '변로(邊老)'는 변씨 성을 가진 노인을 가리키며, '편편(便便)'은 배가 나온 모양을 묘사하는 의태어입니다. '십위(十圍)'는 허리둘레가 매우 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묘사를 통해 당시 함께 했던 사람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습니다.
  • 3-4구: 즐거웠던 시간의 모습: 함께 했던 즐거운 시간의 모습을 생동감 넘치게 묘사합니다. "가볍게 산 위를 뛰어다니고, 흥겹게 소리치며 술 취해 배를 타고 돌아오네(躞蹀身輕山上走。讙呼舩重醉中歸)"라는 구절은 산을 뛰어다니며 즐거워하는 모습과 술에 취해 흥겹게 돌아오는 모습을 대비시켜 보여줍니다. '섭첩(躞蹀)'은 가볍게 걷는 모양을 묘사하는 의태어입니다. '훤호(讙呼)'는 큰 소리로 외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선중귀(舩重醉中歸)'는 배가 술에 취한 사람들로 가득 차서 무거워진 상태로 돌아오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묘사를 통해 당시 얼마나 즐거운 시간을 보냈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춤추는 허리는 눈처럼 희고 금비녀가 떨어지고, 막힘없는 말솜씨는 구름 같고 옥으로 만든 먼지떨이 같네(舞腰似雪金釵落。談辯如雲玉麈麾)"라는 구절은 흥겨운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는 묘사입니다. 춤추는 모습과 막힘없는 대화는 당시의 즐거운 분위기를 더욱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옥주휘(玉麈麾)'는 옥으로 만든 먼지떨이를 휘두르며 이야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막힘없는 웅변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 5-6구: 과거 회상과 세월의 무상함: 과거의 즐거웠던 시간을 회상하며 세월의 무상함을 느낍니다. "옛날 전당(錢塘)에 있을 때도 바로 이러했는데, 고개를 돌려보니 사십이 년의 세월이 덧없이 흘렀네(憶在錢塘正如此。回頭四十二年非)"라는 구절은 과거 전당(지금의 항저우)에서 보냈던 시간과 현재를 대비하며 세월의 흐름을 안타까워합니다. '전당(錢塘)'은 소식이 젊은 시절 관직 생활을 했던 곳입니다. '사십이 년 비(四十二年非)'는 사십이 년이라는 긴 시간이 덧없이 흘러갔음을 의미합니다. 이 구절을 통해 시인은 과거의 즐거웠던 시간이 이제는 추억으로만 남았음을 안타까워하고,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시는 과거의 즐거웠던 시간을 생생하게 묘사하면서도, 시간의 흐름과 인생의 무상함을 함께 느끼게 합니다. 특히, 익살스러운 묘사와 생동감 넘치는 표현은 시를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어 줍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운장십칠구일증자유(次韻張十七九日贈子由)"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장씨 집안의 17번째 아들(張十七)이 중양절(重陽節, 음력 9월 9일)에 지은 시에 차운(次韻, 상대방의 시 운자를 그대로 쓰거나 바꿔서 짓는 시)하여 동생 소철(蘇轍, 자는 子由)에게 준 시입니다. 어지러운 세상과 관직 생활의 고됨을 토로하면서도, 형제간의 우애와 미래에 대한 기대를 담고 있습니다. 주석은 시의 이해를 돕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주석 포함):

수많은 창과 긴 창이 울타리를 둘러싸고 있으니, 구일(九日, 중양절) 맑은 술잔을 어찌 다시 들 수 있으랴. (이날 남쪽 수도에서 칙사가 군대를 사열하였다.) 관청 일은 끝이 없으니 어느 날에나 마치려나, 국화는 믿음이 있어 나를 속이지 않네. 편안하고 즐거운 아름다운 집은 참으로 부럽지만, 함부로 속세의 갓끈을 묶을 수는 없네. 이 한가한 때를 기다려 모름지기 실컷 마셔야 하니, 훗날 긴 칼로 그대의 턱을 받치리라.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어지러운 세상과 관직 생활의 고됨을 토로하면서도, 형제간의 우애와 미래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어지러운 세상과 중양절의 안타까움: 어지러운 세상 때문에 중양절을 제대로 즐길 수 없는 안타까움을 표현합니다. "수많은 창과 긴 창이 울타리를 둘러싸고 있으니, 구일(九日, 중양절) 맑은 술잔을 어찌 다시 들 수 있으랴(千戈萬槊擁笓籬。九日清樽豈復持)"라는 구절은 당시의 어지러운 정세와 군사적인 긴장감을 나타냅니다. '천과만삭(千戈萬槊)'은 수많은 창과 긴 창을 의미하며, 전쟁의 분위기를 암시합니다. '비리(笓籬)'는 울타리를 의미하며, 군대가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중양절은 본래 높은 곳에 올라 술을 마시며 즐기는 날이지만, 이러한 상황 때문에 제대로 즐길 수 없음을 안타까워하는 내용입니다. 주석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날 남쪽 수도에서 칙사가 군대를 사열했기 때문에 더욱 엄중한 분위기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관청 일은 끝이 없으니 어느 날에나 마치려나, 국화는 믿음이 있어 나를 속이지 않네(官事無窮何日了。菊花有信不吾欺)"라는 구절은 끝없는 관청 일에 대한 고됨을 토로하면서도,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는 국화를 통해 위안을 얻고 있습니다. 국화는 중양절의 대표적인 상징물로, 시인에게 변치 않는 믿음을 주는 존재입니다.
  • 3-4구: 속세에 대한 초탈과 형제간의 우애: 속세의 부귀영화에 대한 초탈한 태도와 동생에 대한 깊은 우애를 보여줍니다. "편안하고 즐거운 아름다운 집은 참으로 부럽지만, 함부로 속세의 갓끈을 묶을 수는 없네(逍遙瓊館真堪羨。取次塵纓未可縻)"라는 구절은 편안한 삶에 대한 부러움을 표현하면서도, 속세의 명리에 얽매이지 않겠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경관(瓊館)'은 아름다운 집을 의미하며, 편안한 삶을 상징합니다. '진영(塵纓)'은 속세의 갓끈을 의미하며, 속세의 명리를 상징합니다. "이 한가한 때를 기다려 모름지기 실컷 마셔야 하니, 훗날 긴 칼로 그대의 턱을 받치리라(迨此暇時須痛飲。他年長劍拄君頤)"라는 구절은 잠시 주어진 한가한 시간을 이용하여 동생과 함께 술을 마시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싶어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장검주군이(長劍拄君頤)'는 훗날 공을 세워 높은 지위에 오른 동생의 턱을 칼로 받쳐 올리겠다는 의미로, 동생의 성공을 기원하는 형의 깊은 우애를 나타냅니다. 이는 《사기(史記)》의 '범저채옹(范雎蔡澤列傳)'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어려운 시절을 함께 보낸 친구가 후에 높은 벼슬에 오르자 다른 친구가 그를 축하하며 턱을 받쳐 올렸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시는 어지러운 세상과 고된 관직 생활 속에서도 형제간의 우애를 돈독히 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으려는 시인의 마음을 잘 보여줍니다. 특히, 고사를 인용한 마지막 구절은 형제애를 더욱 강조하는 효과를 줍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운왕공독면(次韻王鞏獨眠)"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왕공(王鞏)이 홀로 잠든 것을 차운(次韻, 상대방의 시 운자를 그대로 쓰거나 바꿔서 짓는 시)하여 쓴 시로, 외로운 밤의 정경과 벗을 그리워하는 마음, 그리고 세상의 덧없음을 느끼는 내용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거사의 몸과 마음은 마른 나무와 같고, 여관에서 홀로 자니 몸에 소름이 돋네. 누가 능히 서로 그리워하며 흰 옥을 다듬을 수 있을까, 약을 천 날이나 먹어 하룻밤을 보상하려 하네. 날씨는 차고 해는 짧아 은등불을 이어 밝히고, 그에게 가려 하니 수레바퀴 축이 빠졌네. 어떤 사람이 어긋나게 심어진 대나무를 끊어 불었나, 사수(泗水)는 아득히 넓고 오리 머리처럼 푸르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외로운 밤의 정경, 벗을 그리워하는 마음, 그리고 세상의 덧없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외로운 밤의 정경: 홀로 잠든 외로운 밤의 정경을 묘사합니다. "거사의 몸과 마음은 마른 나무와 같고, 여관에서 홀로 자니 몸에 소름이 돋네(居士身心如槁木。旅館孤眠體生粟)"라는 구절은 왕공의 외로운 처지를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고사(居士)'는 불교 용어로, 속세에 살면서 불도를 닦는 사람을 가리키지만, 여기서는 왕공의 처지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의미로 쓰였습니다. '고목(槁木)'은 마른 나무를 의미하며, 생기가 없고 외로운 상태를 비유합니다. '체생속(體生粟)'은 몸에 소름이 돋는다는 뜻으로, 추위와 외로움을 동시에 나타냅니다. "누가 능히 서로 그리워하며 흰 옥을 다듬을 수 있을까, 약을 천 날이나 먹어 하룻밤을 보상하려 하네(誰能相思琢白玉。服藥千朝償一宿)"라는 구절은 그리움의 깊이와 고독함을 강조합니다. '상사(相思)'는 서로 그리워한다는 뜻이며, '탁백옥(琢白玉)'은 흰 옥을 다듬는다는 뜻으로, 정성껏 그리워하는 마음을 비유합니다. '복약천조상일숙(服藥千朝償一宿)'은 오랜 시간 약을 먹어 하룻밤의 고통을 보상하려 한다는 뜻으로, 깊은 고독감을 해소하기 어려움을 나타냅니다.
  • 3-4구: 벗을 찾아가지 못하는 안타까움: 벗을 찾아가지 못하는 안타까움과 고독한 밤의 풍경을 묘사합니다. "날씨는 차고 해는 짧아 은등불을 이어 밝히고, 그에게 가려 하니 수레바퀴 축이 빠졌네(天寒日短銀燈續。欲往從之車脫軸)"라는 구절은 밤이 깊어가는 시간과 벗을 만나러 가지 못하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은등(銀燈)'은 은으로 만든 등불로, 밤의 어둠을 밝히는 도구입니다. '차탈축(車脫軸)'은 수레바퀴 축이 빠졌다는 뜻으로, 벗을 만나러 가지 못하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어떤 사람이 어긋나게 심어진 대나무를 끊어 불었나, 사수(泗水)는 아득히 넓고 오리 머리처럼 푸르네(何人吹斷參差竹。泗水茫茫鴨頭綠)"라는 구절은 고독한 밤의 풍경을 묘사하며, 슬픈 분위기를 더합니다. '참치죽(參差竹)'은 어긋나게 심어진 대나무로, 조화롭지 않고 어지러운 상황을 비유합니다. '압두록(鴨頭綠)'은 오리 머리처럼 푸른색으로, 사수의 푸른 물빛을 묘사합니다. 이 구절은 멀리 떨어져 있는 벗을 그리워하는 마음과 함께, 넓고 푸른 사수의 풍경을 통해 더욱 깊은 고독감을 느끼게 합니다.

이 시는 외로운 밤의 정경과 벗을 그리워하는 마음, 그리고 세상의 덧없음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유적인 표현과 자연 묘사를 통해 시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운왕공류별(次韻王鞏留別)"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왕공(王鞏)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며 지은 시로, 오랜 시간 떨어져 있었음에도 변치 않는 우정과 세상의 변화, 그리고 재회에 대한 기대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나라를 떠난 지 이미 팔 년, 옛 친구는 지금 누가 남아 있는가. 당시 교유했던 사람들 중에, 채극(蔡克) 같은 이는 헤아리지도 못했네. 어찌 나를 알아주는 이가 없겠는가, 좋은 벼슬은 이미 절반이나 차지했네. 다투어 동각(東閣)의 관리가 되려 하고, 북산(北山)으로 옮기는 것은 돌아보지 않네. 공자는 뛰어나게 홀로 서 있으니, 세상과는 자못 다르게 달리네. 천 리 먼 길을 마다하지 않고, 이 한 번의 기이한 만남을 이루었네. 아름다운 여인도 또한 가련하지만, 어찌 떡 만드는 스승을 생각하지 않을 수 있으랴. 함께 잠잘 사람이 없으니, 오직 침상을 받치는 거북이 있을 뿐이네. 그대가 돌아가서 누구와 함께, 문자를 나누며 즐거워할 것인가. 이 곡조를 가지고 장자(張子)에게 전하면, 한 번 웃음으로 턱이 빠질 듯하리라.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오랜 이별 후의 만남과 다시 찾아온 이별의 아쉬움, 그리고 변치 않는 우정과 미래의 재회를 기약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오랜 이별과 세상의 변화: 오랜 이별로 인해 주변 사람들이 많이 변했음을 안타까워합니다. "나라를 떠난 지 이미 팔 년, 옛 친구는 지금 누가 남아 있는가(去國已八年。故人今有誰)"라는 구절은 오랜 시간 동안 고향을 떠나 있었음을 나타내며, 그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암시합니다. "당시 교유했던 사람들 중에, 채극(蔡克) 같은 이는 헤아리지도 못했네(當時交游內。未數蔡克兒)"라는 구절은 과거 함께 교류했던 사람들 중 채극과 같은 뛰어난 인물은 이제 찾아보기 어렵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어찌 나를 알아주는 이가 없겠는가, 좋은 벼슬은 이미 절반이나 차지했네(豈無知我者。好爵半已縻)"라는 구절은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은 있지만, 그들 대부분이 높은 벼슬을 차지하여 속세의 영달에만 몰두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다투어 동각(東閣)의 관리가 되려 하고, 북산(北山)으로 옮기는 것은 돌아보지 않네(爭為東閣吏。不顧北山移)"라는 구절은 사람들이 높은 관직(동각)을 얻기 위해 경쟁하며, 은둔 생활(북산으로 옮기는 것)은 고려하지 않는 세태를 비판합니다. '동각(東閣)'은 궁궐의 동쪽에 있는 누각으로, 고위 관직을 상징합니다. '북산(北山)'은 은둔 생활을 의미합니다.
  • 5-8구: 왕공의 고고함과 만남의 소중함: 속세와 다른 왕공의 고고한 인품과 다시 만난 기쁨을 강조합니다. "공자는 뛰어나게 홀로 서 있으니, 세상과는 자못 다르게 달리네(公子表獨立。與世頗異馳)"라는 구절은 왕공의 뛰어난 인품과 속세와는 다른 고고한 태도를 칭찬합니다. "천 리 먼 길을 마다하지 않고, 이 한 번의 기이한 만남을 이루었네(不詞千里遠。成此一段奇)"라는 구절은 멀리 떨어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만난 것이 얼마나 귀한 인연인지 강조합니다. "아름다운 여인도 또한 가련하지만, 어찌 떡 만드는 스승을 생각하지 않을 수 있으랴(蛾眉亦可憐。無奈思餅師)"라는 구절은 속세의 즐거움에 빠져 있는 사람들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여인(蛾眉)도 좋지만, 떡 만드는 스승(餅師)을 그리워한다는 것은 외적인 화려함보다는 내면의 가치를 중시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함께 잠잘 사람이 없으니, 오직 침상을 받치는 거북이 있을 뿐이네(無人伴客寢。惟有支牀龜)"라는 구절은 왕공이 홀로 외롭게 지내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 9-12구: 이별의 아쉬움과 재회를 기약: 다시 찾아온 이별의 아쉬움을 표현하고, 미래의 재회를 기약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그대가 돌아가서 누구와 함께, 문자를 나누며 즐거워할 것인가(君歸與何人。文字相娛嬉)"라는 구절은 왕공이 떠난 후 함께 문자를 나누며 즐거워할 사람이 없음을 아쉬워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이 곡조를 가지고 장자(張子)에게 전하면, 한 번 웃음으로 턱이 빠질 듯하리라(持此調張子。一笑當脫頤)"라는 구절은 이 시를 장자에게 전하면 크게 웃을 것이라는 의미로, 유쾌하게 이별을 마무리하려는 의도를 보여줍니다. '장자(張子)'는 장안도(張安道)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시는 오랜 이별 후의 만남과 다시 찾아온 이별의 아쉬움을 통해 변치 않는 우정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속세의 영달을 추구하는 세태를 비판하고 고고한 인품을 칭찬하는 내용도 담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등운룡산(登雲龍山)"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술에 취한 채 운룡산에 올라 겪은 일을 자유분방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술에 취해 비틀거리며 산에 오르고, 돌을 베개 삼아 누워 하늘을 바라보는 모습, 그리고 노래를 부르며 사람들의 웃음을 자아내는 광경을 생동감 넘치게 그리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술에 취해 황무암 봉우리에 오르니, 온 봉우리에 흩어진 돌들이 마치 양 떼 같네. 봉우리 꼭대기에 술에 취해 쓰러지니 돌이 침대가 되고, 하늘의 흰 구름을 우러러보니 하늘이 아득하네. 노래 소리는 골짜기에 떨어지고 가을바람은 길고, 지나가는 사람들이 머리를 들어 동남쪽을 바라보네. 손뼉 치며 크게 웃으니 사또가 미쳤다 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술에 취한 상태에서 산에 올라 느낀 감흥과 주변 사람들의 반응을 솔직하고 유쾌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술 취한 채 산에 오르는 모습: 술에 취해 비틀거리며 산에 오르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술에 취해 황무암 봉우리에 오르니, 온 봉우리에 흩어진 돌들이 마치 양 떼 같네(醉中走上黃茆崗。滿崗亂石如羣羊)"라는 구절은 술에 취한 상태로 산에 오르는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황무암(黃茆崗)'은 운룡산의 한 봉우리 이름으로 추정됩니다. '난석(亂石)'은 흩어져 있는 돌들을 의미하며, '군양(羣羊)'은 양 떼를 의미합니다. 술에 취한 시인의 눈에는 흩어져 있는 돌들이 마치 양 떼처럼 보였던 것입니다. "봉우리 꼭대기에 술에 취해 쓰러지니 돌이 침대가 되고, 하늘의 흰 구름을 우러러보니 하늘이 아득하네(崗頭醉倒石作牀。仰看白雲天茫茫)"라는 구절은 술에 취해 봉우리 꼭대기에 쓰러져 돌을 베개 삼아 하늘을 바라보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망망(茫茫)'은 아득하고 넓은 모양을 나타냅니다. 술에 취해 하늘을 바라보는 시인의 눈에 하늘은 더욱 넓고 아득하게 느껴졌을 것입니다.
  • 3-4구: 노래 부르는 모습과 주변 사람들의 반응: 술에 취해 노래를 부르는 모습과 이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반응을 묘사합니다. "노래 소리는 골짜기에 떨어지고 가을바람은 길고, 지나가는 사람들이 머리를 들어 동남쪽을 바라보네(歌聲落谷秋風長。路人舉首東南望)"라는 구절은 술에 취해 부르는 노래 소리가 골짜기에 울려 퍼지고, 가을바람이 길게 불어오는 풍경을 묘사합니다. 지나가는 사람들이 시인이 있는 동남쪽을 바라보는 것은 그의 노래 소리를 듣고 그가 있는 곳을 확인하려는 행동으로 해석됩니다. "손뼉 치며 크게 웃으니 사또가 미쳤다 하네(拍手大笑使君狂)"라는 구절은 사람들이 시인의 행동을 보고 웃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사군(使君)'은 지방 장관을 가리키는 말로, 여기서는 시인 자신을 가리킵니다. 사람들은 술에 취해 노래를 부르고 쓰러져 있는 시인의 모습을 보고 그가 미쳤다고 생각하며 웃었던 것입니다.

이 시는 술에 취한 상태에서 산에 올라 느낀 감흥을 솔직하고 유쾌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유적인 표현과 생동감 넘치는 묘사를 통해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변 사람들의 반응을 통해 시인의 자유분방한 행동이 다소 파격적이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러한 행동을 통해 오히려 시인의 진솔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운승잠견증(次韻僧潛見贈)"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승려 잠(僧潛)이 지어준 시에 차운(次韻, 상대방의 시 운자를 그대로 쓰거나 바꿔서 짓는 시)하여 쓴 시로, 도인의 맑은 심성과 세속의 번잡함, 그리고 구도(求道)의 여정과 벗을 그리워하는 마음 등을 복합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도인의 가슴속은 맑은 거울과 같아, 만물의 생성과 소멸이 그 형상을 숨기지 못하네. 홀로 옛 절에 의지하여 가을 국화를 심으니, 시인과 함께 낙영(落英, 떨어진 꽃잎)을 먹으려 하네. 인간 세상 어디에 남북이 있겠는가, 어지러운 기러기 떼가 어찌 어둡게 날지 않겠는가. 문을 닫고 조용한 방 안 한 개의 선상(禪床)에 앉아 있으니, 머리 위로 세월만 부질없이 험준하게 흐르네. 올해 우연히 밖으로 나와 구법(求法)을 하니, 혜검(慧劍, 지혜의 칼)을 숫돌에 갈고자 하네. 구름 같은 승복을 새로 다듬으니 산수의 풍경이 나타나고, 서리 내린 수염을 깎지 않으니 아이들이 놀라네. 공후(公侯)가 알아보려 해도 얻을 수 없으니, 본래 저잣거리에 기대어 있어도 경국지색(傾國之色)은 없음을 아네. 가을바람이 꿈을 실어 회수(淮水)를 건너가니, 귤과 유자가 빈 뜰에 드리워진 모습을 상상하네. 옛 친구들은 각각 하늘 한 모퉁이에 있으니, 서로 바라보는 모습이 새벽의 별과 같네. 팽성(彭城)의 늙은 태수는 돌아볼 만한 것이 무엇이랴, 대추나무 숲과 뽕나무 밭에서 서로 맞이하네. 천 리 길도 황량한 주막이 멀다 하지 않으니, 두 발은 날쌔게 나는 원숭이처럼 가볍게 움직이려 하네. 여러 생 동안 지은 화려한 말은 다 닳지 않았으니, 오히려 완곡한 시인의 정이 남아 있네. 원숭이 울음과 학 울음은 본래 뜻이 없으니, 아래에 사람이 다니는 줄을 알지 못하네. 텅 빈 섬돌에 밤비는 저절로 맑고 깨끗하니, 누가 막아 가리고 외로운 사람의 울음을 막으랴. 나는 신선의 산에서 요초(瑤草, 신령한 풀)를 캐려 하니, 광주리를 기울여 앉아 어느 때에 채울지 탄식하네. 관청의 문서와 형벌 도구는 산더미처럼 쌓여 있으니, 차를 끓이고 밤을 구우며 밤길을 가는 것이 마땅하네. 마니주(摩尼珠, 여의주)를 빌려 흐린 물을 비추어, 함께 지는 달이 금쟁반을 기울이는 모습을 보리라.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승려 잠의 시에 화답한 것으로, 불교적인 색채와 함께 세속의 번잡함, 구도의 여정, 벗에 대한 그리움 등 다양한 감정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도인의 맑은 심성: 도인의 맑은 심성과 세속과의 대비를 보여줍니다. "도인의 가슴속은 맑은 거울과 같아, 만물의 생성과 소멸이 그 형상을 숨기지 못하네(道人胸中水鏡清。萬象起滅無逃形)"라는 구절은 도인의 맑고 투명한 심성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홀로 옛 절에 의지하여 가을 국화를 심으니, 시인과 함께 낙영(落英, 떨어진 꽃잎)을 먹으려 하네(獨依古寺種秋菊。要伴騷人飡落英)"라는 구절은 도인의 고고한 풍모와 시인과의 교류를 나타냅니다. "인간 세상 어디에 남북이 있겠는가, 어지러운 기러기 떼가 어찌 어둡게 날지 않겠는가(人間底處有南北。紛紛鴻雁何曾冥)"라는 구절은 세상의 분쟁과 혼란을 비판합니다. "문을 닫고 조용한 방 안 한 개의 선상(禪床)에 앉아 있으니, 머리 위로 세월만 부질없이 험준하게 흐르네(閉門坐穴一禪榻。頭上歲月空崢嶸)"라는 구절은 도인의 고요한 수행 생활과 세월의 흐름을 나타냅니다.
  • 5-8구: 구도의 여정과 세속과의 거리: 구도의 여정을 떠난 모습과 세속과의 거리를 보여줍니다. "올해 우연히 밖으로 나와 구법(求法)을 하니, 혜검(慧劍, 지혜의 칼)을 숫돌에 갈고자 하네(今年偶出為求法。欲與慧劍加礱硎)"라는 구절은 구도의 의지를 나타냅니다. "구름 같은 승복을 새로 다듬으니 산수의 풍경이 나타나고, 서리 내린 수염을 깎지 않으니 아이들이 놀라네(雲衲新磨山水出。霜髭不翦兒童驚)"라는 구절은 구도자의 외적인 모습을 묘사합니다. "공후(公侯)가 알아보려 해도 얻을 수 없으니, 본래 저잣거리에 기대어 있어도 경국지색(傾國之色)은 없음을 아네(公侯欲識不可得。故知倚市無傾城)"라는 구절은 세속적인 명예와는 거리가 먼 구도자의 삶을 나타냅니다.
  • 9-12구: 벗을 그리워하는 마음: 멀리 떨어진 벗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가을바람이 꿈을 실어 회수(淮水)를 건너가니, 귤과 유자가 빈 뜰에 드리워진 모습을 상상하네(秋風吹夢過淮水。想見橘柚垂空庭)"라는 구절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냅니다. "옛 친구들은 각각 하늘 한 모퉁이에 있으니, 서로 바라보는 모습이 새벽의 별과 같네(故人各在天一角。相望落落如晨星)"라는 구절은 멀리 떨어진 벗들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팽성(彭城)의 늙은 태수는 돌아볼 만한 것이 무엇이랴, 대추나무 숲과 뽕나무 밭에서 서로 맞이하네(彭城老守何足顧。棗林桑野相邀迎)"라는 구절은 세속적인 지위와는 상관없이 벗들과의 만남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천 리 길도 황량한 주막이 멀다 하지 않으니, 두 발은 날쌔게 나는 원숭이처럼 가볍게 움직이려 하네(千山不憚荒店遠。兩腳欲趁飛猱輕)"라는 구절은 벗을 만나기 위해 먼 길을 떠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 13-16구: 시인의 정과 세상의 무정함: 시인의 감성과 세상의 무정함을 대비시킵니다. "여러 생 동안 지은 화려한 말은 다 닳지 않았으니, 오히려 완곡한 시인의 정이 남아 있네(多生綺語磨不盡。尚有宛轉詩人情)"라는 구절은 시인의 끊임없는 창작 활동과 감성을 나타냅니다. "원숭이 울음과 학 울음은 본래 뜻이 없으니, 아래에 사람이 다니는 줄을 알지 못하네(猿吟鶴唳本無意。不知下有行人行)"라는 구절은 자연의 무심함과 인간 세상의 분주함을 대비시킵니다. "텅 빈 섬돌에 밤비는 저절로 맑고 깨끗하니, 누가 막아 가리고 외로운 사람의 울음을 막으랴(空堦夜雨自清絕。誰使掩抑啼孤惸)"라는 구절은 고독한 밤의 정경과 슬픔을 표현합니다.
  • 17구: 이상향에 대한 동경과 현실의 괴리: "나는 신선의 산에서 요초(瑤草, 신령한 풀)를 캐려 하니, 광주리를 기울여 앉아 어느 때에 채울지 탄식하네(我欲仙山掇瑤草。傾筐坐歎何時盈)"라는 구절은 이상향에 대한 동경과 현실의 괴리를 보여줍니다. '요초(瑤草)'는 신선 세계에 있다는 신령한 풀로, 불로장생의 상징입니다. 신선의 세계, 즉 이상적인 경지에 도달하고자 하는 시인의 염원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광주리를 기울여 앉아 어느 때에 채울지 탄식한다(傾筐坐歎何時盈)'라는 표현은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그 이상을 쉽게 이룰 수 없음을 암시합니다. 광주리가 채워지지 않는다는 것은 구도의 길이 멀고 험난함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 18구: 세속의 번잡함과 고된 여정: "관청의 문서와 형벌 도구는 산더미처럼 쌓여 있으니, 차를 끓이고 밤을 구우며 밤길을 가는 것이 마땅하네(簿書鞭朴書填委。煮茗燒栗宜宵征)"라는 구절은 세속의 번잡함과 고된 여정을 묘사합니다. '부서(簿書)'는 관청의 문서를, '편박(鞭朴)'은 형벌 도구를 의미하며, 시인이 속한 현실 세계의 고됨과 번잡함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차를 끓이고 밤을 구우며 밤길을 가는 것(煮茗燒栗宜宵征)'은 고된 여정을 이어가는 시인의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세속의 번잡함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를 내포하고 있다고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 19-20구: 이상적인 경지에 대한 염원과 달빛 아래의 교감: "마니주(摩尼珠, 여의주)를 빌려 흐린 물을 비추어, 함께 지는 달이 금쟁반을 기울이는 모습을 보리라(乞取摩尼照濁水。共看落月金盆傾)"라는 구절은 이상적인 경지에 대한 염원과 벗과의 교감을 나타냅니다. '마니주(摩尼珠)'는 모든 것을 비추는 신비한 구슬로, 지혜와 진리의 상징입니다. 흐린 물을 비춘다는 것은 진리를 통해 세속의 어지러움을 밝히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지는 달이 금쟁반을 기울이는 모습(落月金盆傾)'은 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묘사하는 동시에, 벗과 함께 이러한 풍경을 보며 교감하고 싶어 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특히, '함께 본다(共看)'는 표현은 단순히 풍경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도(道)를 함께 논하고 깨달음을 함께 나누고자 하는 깊은 우정을 의미합니다. 또한, 마지막 구절에서 달빛이라는 맑고 밝은 이미지를 사용하여 시 전체의 분위기를 정화하고 이상적인 경지를 향한 희망을 제시하는 효과를 줍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운잠사방어(次韻潛師放魚)"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잠사(潛師, 잠 스님)가 물고기를 놓아주는 행위를 보고 차운(次韻, 상대방의 시 운자를 그대로 쓰거나 바꿔서 짓는 시)하여 쓴 시로, 불교의 자비심과 생명 존중 사상을 찬양하면서도, 현실 정치의 폐단과 백성들의 고통을 우려하는 마음을 함께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법사께서 사수(泗水)에서 설법하시니, 무수한 하늘의 꽃이 먼지떨이(麈尾)를 따라 흩어지네. 깨끗한 업(業)을 서방(西方, 극락정토)에 심으라 권하시니, 꿈속에서 깨어나기를 기다리지 마오. 슬프다, 물고기가 결국 입으로 인해 화를 당하니, 지기(知幾)에 밝았던 목생(穆生)의 단술(醴)에도 멀리 미치지 못하네. 하물며 맹간(孟簡)이 노통(盧仝)을 대면한 때를 만났으니, 남의 자식을 속이는 자산(子產) 같은 이를 두려워하지 않네. 지친 백성들은 오히려 물고기 꼬리처럼 붉으니, 촘촘한 그물이 제거되지 않아 내 이마가 땀으로 젖네. 법사께는 옷 속에 보주(寶珠)가 있으니, 모래 진흙 바닥에서 애쓸 필요 없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방생(放生)이라는 불교적 행위를 통해 자비심을 찬양하는 동시에, 현실 정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백성들의 고통을 안타까워하는 복합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법사의 설법과 불교적 가르침: 잠 스님의 설법과 불교의 가르침을 찬양하는 내용입니다. "법사께서 사수(泗水)에서 설법하시니, 무수한 하늘의 꽃이 먼지떨이(麈尾)를 따라 흩어지네(法師說法臨泗水。無數天花隨麈尾)"라는 구절은 잠 스님의 설법 장면을 신성하고 아름답게 묘사합니다. '사수(泗水)'는 강의 이름이며, '천화(天花)'는 하늘에서 내리는 꽃으로, 부처의 설법을 찬양하는 상징적인 표현입니다. '주미(麈尾)'는 먼지떨이로, 설법하는 스님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깨끗한 업(業)을 서방(西方, 극락정토)에 심으라 권하시니, 꿈속에서 깨어나기를 기다리지 마오(勸將淨業種西方。莫待夢中呼起起)"라는 구절은 불교의 핵심 가르침인 인과응보와 정토 신앙을 간략하게 전달합니다. '정업(淨業)'은 깨끗한 행위를 의미하며, '서방(西方)'은 극락정토를 의미합니다. 꿈에서 깨어나라는 것은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나 깨달음을 얻으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3-5구: 방생의 의미와 현실 정치의 비판: 방생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현실 정치의 폐단을 비판하는 내용입니다. "슬프다, 물고기가 결국 입으로 인해 화를 당하니, 지기(知幾)에 밝았던 목생(穆生)의 단술(醴)에도 멀리 미치지 못하네(哀哉若魚竟坐口。遠愧知幾穆生醴)"라는 구절은 물고기가 입 때문에 잡히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목생의 고사를 인용하여 지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목생(穆生)'은 춘추시대 진(晉)나라의 현인으로, 술을 좋아했지만 지혜로 화를 피했다고 합니다. "하물며 맹간(孟簡)이 노통(盧仝)을 대면한 때를 만났으니, 남의 자식을 속이는 자산(子產) 같은 이를 두려워하지 않네(況逢孟簡對盧仝。不怕校人欺子產)"라는 구절은 당시 정치 상황의 혼란함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해석됩니다. 맹간과 노통은 당나라의 인물로, 혼란한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입니다. 자산은 춘추시대 정(鄭)나라의 정치가로, 백성을 속이는 정책을 폈다고 합니다. 이 구절은 당시 조정의 정치 상황이 혼란하고 백성을 속이는 관리가 많음을 비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친 백성들은 오히려 물고기 꼬리처럼 붉으니, 촘촘한 그물이 제거되지 않아 내 이마가 땀으로 젖네(疲民尚作魚尾赤。數罟未除吾顙泚)"라는 구절은 백성들의 고통을 물고기에 비유하여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어미적(魚尾赤)'은 물고기 꼬리가 붉다는 뜻으로, 고통받는 백성들의 모습을 비유합니다. '수고(數罟)'는 촘촘한 그물로, 백성들을 억압하는 가혹한 정치를 상징합니다. 시인은 이러한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이마에 땀이 젖는다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 6구: 법사의 고결함: 마지막으로 법사의 고결함을 다시 한번 찬양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법사께는 옷 속에 보주(寶珠)가 있으니, 모래 진흙 바닥에서 애쓸 필요 없네(法師自有衣中珠。不用辛苦沙泥底)"라는 구절은 법사의 내면에 이미 진리의 보주(寶珠)가 있으므로, 세속적인 노력이나 고생이 필요 없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법사의 고결한 인품과 깨달음을 찬양하는 표현으로 해석됩니다.

이 시는 방생이라는 불교적 행위를 통해 자비심을 찬양하는 동시에, 현실 정치의 폐단과 백성들의 고통을 우려하는 마음을 함께 담고 있습니다. 특히, 고사를 인용하고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여서교수장산인참료사동유희마대서서헌벽겸간안장도이수(與舒教授張山人參寥師同遊戲馬臺書西軒壁兼簡顏長道二首)" 중 첫 번째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서 교수, 장 산인, 참료 스님과 함께 마대(馬臺)에서 놀고 서헌(西軒) 벽에 쓴 시로, 안장도(顏長道)에게도 이 시를 부쳐 보낸다고 서문에 밝히고 있습니다. 풍경 묘사를 통해 여유로운 정취와 함께 벗들과의 교류를 즐기는 시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오래된 절 긴 회랑을 여러 마당 거쳐 가니, 이 서헌이 특히 나그네의 정을 위로하네. 초산(楚山)은 서쪽으로 끊어져 손님을 맞이하는 듯하고, 변수(汴水)는 남쪽에서 흘러와 일부러 성을 감싸네. 길은 옥으로 만든 갈고리처럼 굽어져 풀 향기에 묻히고, 숲에는 흰 학이 사라지고 옛 샘만 맑네. 담박한 유람으로 어찌 학교의 노인을 즐겁게 하랴, 앉아서 교외 들판에서 경쇠 두드리는 소리를 듣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풍경 묘사를 통해 여유로운 정취와 벗들과의 교류를 즐기는 시인의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네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서헌의 풍경과 나그네의 정: 오래된 절의 풍경과 서헌이 주는 편안함을 묘사합니다. "오래된 절 긴 회랑을 여러 마당 거쳐 가니, 이 서헌이 특히 나그네의 정을 위로하네(古寺長廊院院行。此軒偏慰旅人情)"라는 구절은 오래된 절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긴 회랑을 거쳐 서헌에 이르는 여정을 보여줍니다. '서헌(西軒)'은 서쪽에 있는 누각이나 집을 의미하며, 잠시 쉬어가는 공간으로 해석됩니다. "이 서헌이 특히 나그네의 정을 위로하네(此軒偏慰旅人情)"라는 구절은 서헌이 주는 편안함과 안락함을 강조합니다. 나그네의 지친 마음을 위로하는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지니는 것입니다.
  • 3-4구: 주변 산과 강의 풍경: 서헌 주변의 산과 강 풍경을 묘사합니다. "초산(楚山)은 서쪽으로 끊어져 손님을 맞이하는 듯하고, 변수(汴水)는 남쪽에서 흘러와 일부러 성을 감싸네(楚山西斷如迎客。汴水南來故遶城)"라는 구절은 초산과 변수의 특징적인 모습을 묘사합니다. '초산(楚山)'은 산 이름이며, 서쪽으로 끊어진 모습이 마치 손님을 맞이하는 듯하다고 표현했습니다. '변수(汴水)'는 강 이름이며, 남쪽에서 흘러와 성을 감싸는 모습이라고 묘사했습니다. 이러한 묘사를 통해 서헌 주변의 풍경이 아름답고 조화로움을 보여줍니다.
  • 5-6구: 옛 풍경의 변화와 변치 않는 자연: 과거의 풍경과 현재의 풍경을 대비하며 변치 않는 자연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길은 옥으로 만든 갈고리처럼 굽어져 풀 향기에 묻히고, 숲에는 흰 학이 사라지고 옛 샘만 맑네(路失玉鈎芳草合。林亡白鶴古泉清)"라는 구절은 과거에는 아름다운 길이 있었지만 지금은 풀에 묻혀 있고, 숲에는 흰 학이 사라졌지만 옛 샘은 여전히 맑게 흐른다는 의미입니다. '옥구(玉鈎)'는 옥으로 만든 갈고리로, 아름다운 길을 비유합니다. '방초합(芳草合)'은 풀 향기가 가득하다는 뜻으로, 길이 풀에 묻혀 있음을 나타냅니다. '망백학(亡白鶴)'은 흰 학이 사라졌다는 뜻으로, 과거의 아름다운 풍경이 사라졌음을 나타냅니다. '고천청(古泉清)'은 옛 샘이 맑다는 뜻으로, 변치 않는 자연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 7-8구: 유유자적한 삶과 벗들과의 교류: 담박한 유람을 통해 노인을 즐겁게 하고, 교외에서 들려오는 경쇠 소리를 듣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담박한 유람으로 어찌 학교의 노인을 즐겁게 하랴, 앉아서 교외 들판에서 경쇠 두드리는 소리를 듣네(淡游何以娛庠老。坐聽郊原琢磬聲)"라는 구절은 담박한 유람으로도 충분히 즐거움을 누릴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상로(庠老)'는 학교의 노인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함께 유람을 즐기는 벗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탁경성(琢磬聲)'은 경쇠를 두드리는 소리로, 은은하게 들려오는 소리를 통해 평화로운 분위기를 더합니다. 이 구절은 벗들과 함께 조용히 경쇠 소리를 들으며 유유자적한 시간을 보내는 시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시는 아름다운 풍경 묘사와 함께 벗들과의 교류를 즐기는 시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 과거와 현재의 풍경을 대비시키면서도 변치 않는 자연의 모습을 강조하고, 담박한 유람을 통해 얻는 즐거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여서교수장산인참료사동유희마대서서헌벽겸간안장도이수(與舒教授張山人參寥師同遊戲馬臺書西軒壁兼簡顏長道二首)" 중 두 번째 시입니다. 앞서 첫 번째 시를 분석해 드렸으므로, 이번에는 두 번째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분석하며, 두 시가 가지는 연관성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대나무 지팡이와 짚신을 신고 발길 닿는 대로 걸으니, 아래로 관도를 내려다보며 세상 인심을 보네. 날씨는 차가운데 콩과 곡식은 여전히 밭에 있고, 해 질 녘 소와 양은 저절로 성 안으로 들어가네. 술을 사서 오직 도연명(陶令)처럼 취하려 하고, 시 짓기는 누가 교연(皎然)처럼 맑을 수 있으랴. 다시 누추한 골목의 안부자(顏夫子, 안회)를 찾아, 그 미미한 말씀을 빌려 이 소리를 이어가려 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첫 번째 시와 마찬가지로 여유로운 정취를 묘사하면서도, 세상의 현실과 옛 성현을 기리는 마음을 함께 담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네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자유로운 행보와 세상의 모습: 대나무 지팡이와 짚신을 신고 자유롭게 걸으며 세상의 모습을 관찰하는 시인의 모습을 묘사합니다. "대나무 지팡이와 짚신을 신고 발길 닿는 대로 걸으니, 아래로 관도를 내려다보며 세상 인심을 보네(竹杖芒鞋取次行。下臨官道見人情)"라는 구절은 시인의 자유로운 행보를 보여줍니다. '죽장망혜(竹杖芒鞋)'는 대나무 지팡이와 짚신으로, 간편한 차림을 의미합니다. '취차행(取次行)'은 발길 닿는 대로 걷는다는 뜻입니다. '관도(官道)'는 큰 길을 의미하며, 시인은 높은 곳에서 아래의 세상을 내려다보고 있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세상의 인심, 즉 사람들의 삶과 모습을 관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날씨는 차가운데 콩과 곡식은 여전히 밭에 있고, 해 질 녘 소와 양은 저절로 성 안으로 들어가네(天寒菽粟猶栖畝。日莫牛羊自入城)"라는 구절은 농촌의 일상적인 풍경을 묘사합니다. 날씨가 차가워졌음에도 불구하고 곡식은 아직 수확되지 않았고, 해가 지자 소와 양은 자연스럽게 성 안으로 돌아가는 모습에서 평화로운 농촌의 풍경을 느낄 수 있습니다. 동시에, 추운 날씨에도 밭에 남아 있는 곡식에서 백성들의 고단한 삶을 엿볼 수 있습니다.
  • 3-4구: 옛 성현을 기리는 마음: 도연명과 교연을 언급하며 옛 성현을 기리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술을 사서 오직 도연명(陶令)처럼 취하려 하고, 시 짓기는 누가 교연(皎然)처럼 맑을 수 있으랴(沽酒獨教陶令醉。題詩誰似皎公清)"라는 구절은 도연명과 교연이라는 두 시인을 언급하며 그들의 풍류와 시풍을 기리는 내용입니다. '도령(陶令)'은 도연명을 가리키며, 그의 술을 즐기고 자연을 사랑하는 풍류를 흠모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교공(皎公)'은 당나라의 승려 시인 교연을 가리키며, 그의 맑고 깨끗한 시풍을 칭송하는 의미입니다. 이 구절을 통해 시인은 술과 시를 통해 옛 성현과 교감하고자 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다시 누추한 골목의 안부자(顏夫子, 안회)를 찾아, 그 미미한 말씀을 빌려 이 소리를 이어가려 하네(更尋陋巷顏夫子。乞取微言繼此聲)"라는 구절은 공자의 제자 안회(안연)를 찾아 그의 가르침을 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안부자(顏夫子)'는 안회를 존경하여 부르는 명칭입니다. 안회는 공자의 제자 중에서도 특히 덕이 높았던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언(微言)'은 심오한 가르침을 의미합니다. 시인은 안회의 가르침을 통해 자신의 시를 더욱 심오하게 만들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두 시의 연관성:

두 시는 모두 마대에서 벗들과 함께 유람하며 지은 시로, 자연 풍경을 묘사하면서도 각기 다른 주제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시는 서헌 주변의 풍경을 중심으로 여유로운 정취와 벗들과의 교류를 그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반면, 두 번째 시는 세상의 현실과 옛 성현을 기리는 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즉, 첫 번째 시는 **'눈에 보이는 풍경'**을, 두 번째 시는 **'마음속의 풍경'**을 그린다고 할 수 있습니다. 두 시를 함께 읽으면, 시인이 자연 속에서 얻는 즐거움과 함께 세상에 대한 깊은 사색과 옛 성현에 대한 존경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두 번째 시의 마지막 구절에서 안회를 언급하며 그의 가르침을 구하고자 하는 모습은, 시인이 단순한 유람을 넘어 삶의 의미와 가치를 탐구하는 태도를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등현시동년서원(滕縣時同年西園)"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등현(滕縣)에서 같은 해에 과거에 급제한 동년(同年)의 서원(西園)을 읊은 시로, 겉으로 드러나는 번영과 쇠락의 무상함 속에서 변치 않는 가치, 즉 덕(德)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원의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하며 주인의 고매한 인품을 칭송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사람들은 모두 느릅나무와 버드나무를 심어, 앉아서 십 무(畝)의 그늘을 기다리네. 나 홀로 소나무와 측백나무를 심으니, 이 한 조각 마음을 지키려 하네. 그대 보라, 마을 사람들 사이를, 성하고 쇠함이 날로 빠르게 변하는 것을. 나무는 심되 덕을 심지 않으니, 모였다 흩어짐이 나는 새와 같네. 늙어서 나는 알지 못하겠네, 그 뜻이 얼마나 깊은지. 사람을 알아보아 몇몇 선비를 얻으니, 의를 중히 여겨 천금을 잊네. 서원은 손수 일구어낸 곳, 귀한 나무들이 수많은 산봉우리처럼 모여 있네. 이 서릿발과 눈 속에서도 굳건한 뿌리를 기르니, 저 난새와 봉황의 울음소리를 기다리네. 연못은 흐르는 물을 얻어, 거북과 물고기가 저절로 뜨고 가라앉네. 그윽한 계수나무는 밤낮으로 자라, 흰 꽃이 푸른 옷깃에 어지럽게 흩어지네. 어찌 초목만 무성하겠는가, 자손들이 이미 숲을 이루었네. 한 아름으로 헤아릴 수 없으니, 마땅히 천 길 높이까지 솟아오르리라. 번후(樊侯)는 오동나무와 옻나무를 심었고, 수장(壽張)은 화려한 비녀로 부유해졌네. 나는 서원의 시를 지으니, 마을 사람들에게 경계로 삼게 하려 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4구: 변치 않는 가치의 중요성: 세상의 변화무쌍함과 대비하여 변치 않는 가치, 즉 덕(德)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사람들은 모두 느릅나무와 버드나무를 심어, 앉아서 십 무(畝)의 그늘을 기다리네(人皆種榆柳。坐待十畝陰)"라는 구절은 사람들이 당장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느릅나무와 버드나무는 빨리 자라 그늘을 만들기 때문에, 사람들이 단기적인 이익에만 집중하는 것을 빗댄 것입니다. 반면 "나 홀로 소나무와 측백나무를 심으니, 이 한 조각 마음을 지키려 하네(我獨種松柏。守此一寸心)"라는 구절은 시인 자신이 소나무와 측백나무처럼 변치 않는 가치를 추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냅니다. 소나무와 측백나무는 사계절 푸르름을 유지하는 나무로, 굳건한 의지와 절개를 상징합니다. "그대 보라, 마을 사람들 사이를, 성하고 쇠함이 날로 빠르게 변하는 것을(君看閭里間。盛衰日駸駸)"이라는 구절은 세상의 변화무쌍함을 직접적으로 지적하며, "나무는 심되 덕을 심지 않으니, 모였다 흩어짐이 나는 새와 같네(種木不種德。聚散如飛禽)"라는 구절을 통해 덕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5-12구: 서원의 아름다운 풍경과 주인의 고매한 인품: 서원의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하며 주인의 고매한 인품을 칭송합니다. "늙어서 나는 알지 못하겠네, 그 뜻이 얼마나 깊은지(老時吾不識。用意一何深)"라는 구절은 서원을 만든 주인의 깊은 뜻을 헤아리지 못하겠다는 겸손한 표현입니다. "사람을 알아보아 몇몇 선비를 얻으니, 의를 중히 여겨 천금을 잊네(知人得數士。重義忘千金)"라는 구절은 주인이 사람을 알아보는 안목과 의를 중시하는 고매한 인품을 칭송합니다. "서원은 손수 일구어낸 곳, 귀한 나무들이 수많은 산봉우리처럼 모여 있네(西園手所開。珍木來千岑)"라는 구절부터는 서원의 구체적인 풍경 묘사가 시작됩니다. '천잠(千岑)'은 수많은 산봉우리를 의미하며, 서원에 많은 나무들이 울창하게 자라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이 서릿발과 눈 속에서도 굳건한 뿌리를 기르니, 저 난새와 봉황의 울음소리를 기다리네(養此霜雪根。遲彼鸞鳳吟)"라는 구절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굳건하게 자라는 나무들의 모습을 통해 주인의 고결한 인품을 더욱 부각합니다. "연못은 흐르는 물을 얻어, 거북과 물고기가 저절로 뜨고 가라앉네(池塘得流水。龜魚自浮沈)"와 "그윽한 계수나무는 밤낮으로 자라, 흰 꽃이 푸른 옷깃에 어지럽게 흩어지네(幽桂日夜長。白花亂青衿)"라는 구절은 서원의 아름다운 풍경을 생동감 있게 묘사합니다. "어찌 초목만 무성하겠는가, 자손들이 이미 숲을 이루었네(豈獨富草木。子孫已成林)"라는 구절은 서원의 번창함이 단순히 초목에만 그치지 않고 자손들에게까지 이어질 것임을 암시합니다. "한 아름으로 헤아릴 수 없으니, 마땅히 천 길 높이까지 솟아오르리라(拱把不知數。會當出千尋)"라는 구절은 서원의 무궁한 발전 가능성을 예견하며 주인을 칭송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13-14구: 역사적 인물과의 비교와 교훈: 마지막으로 역사적 인물들을 언급하며 시의 주제를 다시 한번 강조하고, 마을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기 위해 이 시를 지었다고 밝힙니다. "번후(樊侯)는 오동나무와 옻나무를 심었고, 수장(壽張)은 화려한 비녀로 부유해졌네(樊侯種梓漆。壽張富華簪)"라는 구절은 과거의 인물들을 예로 들어 물질적인 풍요만을 추구하는 것은 일시적인 것에 불과함을 암시합니다. '번후(樊侯)'와 '수장(壽張)'은 과거 부를 축적한 인물들로 알려져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나는 서원의 시를 지으니, 마을 사람들에게 경계로 삼게 하려 하네(我作西園詩。以為里人箴)"라는 구절을 통해 시인은 이 시를 통해 마을 사람들에게 덕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고자 하는 목적을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이 시는 아름다운 풍경 묘사와 함께 역사적 고사를 적절히 활용하여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겉으로 드러나는 번영과 쇠락의 무상함 속에서 변치 않는 가치, 즉 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이 시의 핵심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운왕정로화장십칠구일견기(次韻王廷老和張十七九日見寄)"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왕정로(王廷老)와 장십칠(張十七)이 보내온 구일(九日, 중양절) 시에 차운(次韻, 상대방의 시 운자를 그대로 쓰거나 바꿔서 짓는 시)하여 쓴 시로, 노년의 쓸쓸함과 건강에 대한 염려, 그리고 벗과의 우정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리 맞은 잎새가 공중에 날리고 참새는 울타리를 쪼네. 누각에 오르니 힘겹게 붙잡고 의지하네. 꽃을 마주하고 술잔을 잡으니 아직 늙음을 달가워하지 않네. 얼굴에 기름 바르고 수염 물들이니 그저 스스로를 속이네. 일 없이도 그대가 술 마시는 것을 좋아하는 줄 아네. 많은 재능은 결국 세상일에 얽매일까 두렵네. 평소 술잔을 입에 대는 모습을 보시게, 마침내 쇠망치가 턱을 제어할 날이 있을 것이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노년의 정서와 벗에 대한 염려를 담고 있으며, 특히 술과 관련된 이미지를 통해 시상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네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가을 풍경과 노쇠한 모습: 중양절의 가을 풍경과 노쇠한 자신의 모습을 묘사합니다. "서리 맞은 잎새가 공중에 날리고 참새는 울타리를 쪼네(霜葉投空雀啅籬)"라는 구절은 차가운 가을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상엽(霜葉)'은 서리 맞은 잎새로, 가을의 쓸쓸함을 상징합니다. "누각에 오르니 힘겹게 붙잡고 의지하네(上樓筋力強扶持)"라는 구절은 노년으로 인해 체력이 약해진 자신의 모습을 솔직하게 드러냅니다. '근력(筋力)'은 힘을 의미하며, 누각에 오르는 것조차 힘겨워하는 모습에서 노쇠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 3-4구: 늙음을 부정하는 모습: 늙음을 인정하지 않고 애써 젊음을 유지하려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꽃을 마주하고 술잔을 잡으니 아직 늙음을 달가워하지 않네(對花把酒未甘老)"라는 구절은 중양절의 풍습인 등고(登高)와 음주를 통해 늙음을 잊으려 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대화(對花)'는 꽃을 마주한다는 뜻으로, 중양절에 국화를 감상하는 풍습을 의미합니다. '파주(把酒)'는 술잔을 잡는다는 뜻으로, 술을 마시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얼굴에 기름 바르고 수염 물들이니 그저 스스로를 속이네(膏面染須聊自欺)"라는 구절은 외모를 가꾸어 늙음을 감추려는 모습을 자조적으로 표현합니다. '고면(膏面)'은 얼굴에 기름을 바르는 것을 의미하며, '염수(染須)'는 수염을 물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행위가 결국 스스로를 속이는 것임을 알고 있지만, 늙음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는 인간의 보편적인 심리를 보여줍니다.
  • 5-6구: 벗에 대한 염려: 왕정로의 건강과 장십칠의 재능을 염려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일 없이도 그대가 술 마시는 것을 좋아하는 줄 아네(無事亦知君好飲)"라는 구절은 왕정로가 술을 좋아하는 것을 알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많은 재능은 결국 세상일에 얽매일까 두렵네(多才終恐世相縻)"라는 구절은 장십칠의 뛰어난 재능이 오히려 그를 세상의 번잡한 일에 얽매이게 할까 봐 걱정하는 마음을 드러냅니다. '세상사(世相縻)'는 세상일에 얽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 7구: 술에 대한 경계: 술을 과하게 마시는 것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습니다. "평소 술잔을 입에 대는 모습을 보시게, 마침내 쇠망치가 턱을 제어할 날이 있을 것이오(請看平日銜杯口。會有金椎為控頤)"라는 구절은 술을 지나치게 마시면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경고를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금추(金椎)'는 쇠망치로, 술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공이(控頤)'는 턱을 제어한다는 뜻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자유롭게 술을 마실 수 없게 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 구절은 벗의 건강을 염려하는 마음과 함께 술에 대한 경계를 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중양절이라는 배경 속에서 노년의 쓸쓸함과 건강에 대한 염려, 그리고 벗에 대한 우정을 진솔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술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시상을 전개하고,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운참료사기진태허삼절구,시진군거진사부득(次韻參寥師寄秦太虛三絕句,時秦君舉進士不得)"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참료 스님이 진태허(秦太虛)에게 보낸 세 수의 절구시에 차운(次韻, 상대방의 시 운자를 그대로 쓰거나 바꿔서 짓는 시)한 것으로, 당시 진태허가 진사(進士) 시험에 낙방한 상황을 안타까워하며 위로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첫 번째 수:

진랑(秦郎, 진태허)의 문장은 진실로 뛰어나니, 한 무제(漢武帝)가 허공에 의지하여 신선이 되려 했던 뜻과 같네. 어찌하여 가을이 와도 풀리지 않는가, 선정(禪定) 중에 시험 삼아 여러 하늘에 물어보게나.

두 번째 수:

한 마리 꼬리가 바람을 쫓으니 만 마리 발굽을 스치는 듯, 곤륜산(崑崙山)과 현포(玄圃)를 아침에 건너는 듯이 여기네. 돌아보니 세상에 백락(伯樂)이 없으니, 도리어 소금 실은 수레가 달빛 아래를 가는 것보다 낫다고 말하네.

세 번째 수:

얻고 잃음은 이미 오래전에 미미한 것임을 깨달았으니, 이러한 기상이 험준하다는 말을 들을 필요 없네. 어찌하여 오히려 참료 스님을 벗 삼지 않는가, 무수한 새로운 시가 기침과 침 속에서 이루어지네.

분석 및 설명:

이 세 수의 시는 진태허의 낙방을 안타까워하면서도 그의 재능을 칭찬하고 위로하며, 세속적인 성공에 집착하지 않고 도(道)를 추구하는 삶의 가치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각 수별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 첫 번째 수: 진태허의 뛰어난 문장력을 칭찬하며 그의 낙방을 안타까워하고 있습니다. "진랑(秦郎, 진태허)의 문장은 진실로 뛰어나니, 한 무제(漢武帝)가 허공에 의지하여 신선이 되려 했던 뜻과 같네(秦郎文字固超然。漢武憑虛意欲仙)"라는 구절은 진태허의 뛰어난 문장력을 높이 평가하며, 그의 재능이 속세의 시험에 얽매일 수준이 아님을 암시합니다. '한 무제(漢武帝)'는 신선 사상을 숭상했던 황제로, 그의 고사를 인용하여 진태허의 높은 이상을 비유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어찌하여 가을이 와도 풀리지 않는가, 선정(禪定) 중에 시험 삼아 여러 하늘에 물어보게나(底事秋來不得解。定中試與問諸天)"라는 구절은 진태허의 낙방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선정을 통해 하늘의 뜻을 물어보라는 권유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세속적인 시험 결과에 너무 좌우되지 말고, 내면의 성찰을 통해 해답을 찾으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수: 진태허의 뛰어난 재능을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세상의 인재 등용 제도의 부조리함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한 마리 꼬리가 바람을 쫓으니 만 마리 발굽을 스치는 듯, 곤륜산(崑崙山)과 현포(玄圃)를 아침에 건너는 듯이 여기네(一尾追風抹萬蹄。崑崙玄圃謂朝濟)"라는 구절은 진태허의 뛰어난 재능을 비유적으로 묘사합니다. '곤륜산(崑崙山)'과 '현포(玄圃)'는 신선들이 산다는 전설 속의 명산으로, 그의 재능이 매우 뛰어남을 강조합니다. "돌아보니 세상에 백락(伯樂)이 없으니, 도리어 소금 실은 수레가 달빛 아래를 가는 것보다 낫다고 말하네(回看世上無伯樂。却道鹽車勝月題)"라는 구절은 진태허의 재능을 알아보지 못하는 세상의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백락(伯樂, 준마를 감별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없는 세상을 비판합니다. '염거(鹽車)'는 소금 실은 수레로, 재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하찮은 일에 종사하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이 구절은 진태허의 재능이 세상에 제대로 알려지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는 동시에, 세속적인 성공에 연연하지 않고 자신의 가치를 지키라는 위로의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 세 번째 수: 세속적인 성공과 실패에 초연한 태도를 강조하며, 참료 스님과의 교류를 권유하고 있습니다. "얻고 잃음은 이미 오래전에 미미한 것임을 깨달았으니, 이러한 기상이 험준하다는 말을 들을 필요 없네(得喪秋毫久已冥。不須聞此氣崢嶸)"라는 구절은 세속적인 얻고 잃음에 너무 집착하지 말 것을 권유합니다. '추호(秋毫)'는 가을 짐승의 가는 털로, 아주 작은 것을 비유합니다. "어찌하여 오히려 참료 스님을 벗 삼지 않는가, 무수한 새로운 시가 기침과 침 속에서 이루어지네(何妨却伴參寥子。無數新詩咳唾成)"라는 구절은 참료 스님과 교류하며 시를 창작하는 즐거움을 누리라고 권유합니다. '해타(咳唾)'는 기침과 침으로, 아주 쉽게 시를 짓는 것을 비유합니다. 이 구절은 세속적인 성공에 좌절하지 않고, 정신적인 풍요를 추구하는 삶의 가치를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 세 수의 시는 진태허의 낙방이라는 안타까운 상황을 통해 세속적인 성공에 집착하지 않고 내면의 가치를 추구하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역사적 고사와 비유적인 표현을 적절히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여참료사행원중득황이순(與參寥師行園中得黃耳蕈)"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참료 스님과 함께 정원을 거닐다가 황이순(黃耳蕈, 노란색의 버섯)을 발견한 일을 읊은 시로, 쇠락한 정원의 모습과 그 속에서 발견한 작은 기쁨, 그리고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조화(造化)는 언제 모든 향기를 가져갔나, 법회(法會)의 재계(齋戒) 그릇은 오래도록 쓸쓸하네. 차가운 채소와 병든 싹을 누가 캘 수 있으랴, 낙엽 진 빈 밭은 반쯤 이미 황폐해졌네. 늙은 나무에서 갑자기 노란 귀 모양의 버섯이 돋아나니, 오랜 친구가 흰 생강까지 함께 보내왔네. 쓸쓸히 젓가락을 놓고 동남쪽으로 떠나가니, 다시 봄 산의 죽순과 고사리 나는 고향으로 들어가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쇠락한 정원의 풍경과 그 속에서 발견한 작은 기쁨을 대비시키면서,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은 시인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네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쇠락한 정원의 모습: 정원의 황폐한 모습을 묘사하며 쓸쓸한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조화(造化)는 언제 모든 향기를 가져갔나, 법회(法會)의 재계(齋戒) 그릇은 오래도록 쓸쓸하네(遣化何時取衆香。法筵齋鉢久淒涼)"라는 구절은 정원의 활기가 사라진 모습을 안타까워하는 표현입니다. '조화(造化)'는 자연의 조물주, 즉 자연의 힘을 의미합니다. '중향(衆香)'은 모든 향기로, 정원의 풍성했던 과거를 의미합니다. '법연(法筵)'은 법회, 즉 불교 행사를 의미하며, '재발(齋鉢)'은 스님들이 사용하는 식기입니다. 이 구절은 과거에는 법회가 열리고 향기가 가득했던 정원이 지금은 쓸쓸하게 변했음을 나타냅니다. "차가운 채소와 병든 싹을 누가 캘 수 있으랴, 낙엽 진 빈 밭은 반쯤 이미 황폐해졌네(寒蔬病甲誰能採。落葉空畦半已荒)"라는 구절은 정원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황폐해진 모습을 구체적으로 묘사합니다. '한소(寒蔬)'는 차가운 채소, 즉 겨울을 맞이한 채소를 의미하며, '병갑(病甲)'은 병든 싹을 의미합니다. '공휴(空畦)'는 빈 밭을 의미하며, 낙엽이 쌓여 있는 모습에서 황폐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 3-4구: 작은 기쁨과 옛 친구의 정: 황폐한 정원에서 발견한 버섯과 옛 친구의 선물을 통해 작은 기쁨을 느끼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늙은 나무에서 갑자기 노란 귀 모양의 버섯이 돋아나니, 오랜 친구가 흰 생강까지 함께 보내왔네(老楮忽生黃耳菌。故人兼致白牙薑)"라는 구절은 황폐한 정원에서 발견한 황이순(노란 귀 모양의 버섯)을 통해 작은 기쁨을 느끼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황이균(黃耳菌)'은 노란색의 버섯으로, 예상치 못한 곳에서 발견한 귀한 존재를 의미합니다. '고인(故人)'은 오랜 친구를 의미하며, '백아강(白牙薑)'은 흰 생강을 의미합니다. 친구가 보내온 생강은 단순한 선물을 넘어 따뜻한 마음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5-6구: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은 시인의 마음을 표현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쓸쓸히 젓가락을 놓고 동남쪽으로 떠나가니, 다시 봄 산의 죽순과 고사리 나는 고향으로 들어가네(蕭然放筯東南去。又入春山筍蕨鄉)"라는 구절은 속세를 떠나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은 시인의 마음을 나타냅니다. '소연(蕭然)'은 쓸쓸한 모양을 의미하며, '방저(放筯)'는 젓가락을 놓는다는 뜻으로, 식사를 마치고 떠날 준비를 하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춘산(春山)'은 봄 산을 의미하며, '순궐향(筍蕨鄉)'은 죽순과 고사리가 나는 고향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연 속에서 평화로운 삶을 살고 싶어 하는 시인의 이상향을 나타냅니다.

이 시는 황폐한 정원의 모습과 그 속에서 발견한 작은 기쁨을 대비시키면서,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은 시인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황이순과 생강이라는 구체적인 사물을 통해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백보홍이수병서(百步洪二首并敘)" 중 첫 번째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왕정국(王定國)이 팽성(彭城)에 있는 소식을 방문했을 때, 안장도(顏長道)와 반영경(盼英卿) 세 아들과 함께 사수(泗水)에서 배를 타고 유람한 일을 회상하며 지은 시입니다. 소식은 당시 일 때문에 함께 가지 못하고 황루(黃樓) 위에서 그들을 바라보며 이백(李白)이 죽은 후 세상에 이런 즐거움이 없었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이후 왕정국이 떠난 후 참료 스님과 다시 백보홍(百步洪)에 배를 띄우고 지난날의 유람을 추억하며 두 수의 시를 지었는데, 이 시는 그 중 첫 번째 시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길고 큰 물살이 쏟아져 떨어지니 물결이 솟아오르고, 가벼운 배는 남쪽으로 마치 북 던지듯 내려가네. 수군(水軍)의 외침에 물새와 기러기가 날아오르고, 어지러운 돌들은 한 줄로 서로 갈고 닦네. 마치 토끼가 달아나고 매가 내려앉는 듯, 준마(駿馬)가 천 길 벼랑 아래로 내닫는 듯하네. 끊어진 거문고 줄과 기둥에서 벗어난 활시위, 번개처럼 스쳐 지나가고 구슬이 연잎에서 구르는 듯하네. 사방의 산은 어지럽게 돌고 바람은 귓가를 스치니, 다만 물거품이 수많은 소용돌이를 일으키는 것만 보이네. 험난함 속에서 얻는 즐거움은 비록 한때의 쾌락이지만, 어찌 하백(河伯)이 가을 강을 자랑하는 것과 다르겠는가. 내 삶은 조화(造化)를 타고 밤낮으로 흘러가니, 앉아서 한 생각이 신라보다 더 멀리 가는 것을 깨닫네. 어지럽게 다투고 빼앗는 것은 술 취한 꿈속이니, 어찌 가시덤불 속에 구리 낙타가 묻힐 줄 믿겠는가. 깨어나 위아래를 살펴보니 천겁(千劫)을 잃은 듯, 다시 이 물을 보니 자못 구불구불하네. 그대 보라, 물가 푸른 바위 위에, 예부터 뱃사공이 댄 뱃자국이 벌집 같네. 다만 이 마음 머무는 곳이 없어야 하니, 조물주가 비록 빠르다 한들 나를 어찌하리오. 배를 돌려 말을 타고 각자 돌아가니, 많은 말을 지껄이는 것은 스승의 꾸지람을 받을 것이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백보홍의 험준한 물살을 생동감 넘치게 묘사하면서, 인생의 무상함과 초탈의 경지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네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6구: 백보홍의 격렬한 물살 묘사: 백보홍의 험준하고 격렬한 물살을 다양한 비유를 통해 생동감 넘치게 묘사합니다. "길고 큰 물살이 쏟아져 떨어지니 물결이 솟아오르고, 가벼운 배는 남쪽으로 마치 북 던지듯 내려가네(長洪斗落生跳波。輕舟南下如投梭)"라는 구절은 백보홍의 거센 물살과 빠른 배의 움직임을 간결하게 묘사합니다. '투사(投梭)'는 북을 던지는 것으로, 배의 빠른 속도를 비유합니다. 이후 이어지는 구절들은 이러한 격렬함을 더욱 구체적으로 묘사합니다. "수군(水軍)의 외침에 물새와 기러기가 날아오르고, 어지러운 돌들은 한 줄로 서로 갈고 닦네(水師絕叫鳥雁起。亂石一線爭磋磨)"라는 구절은 물살의 소리와 주변 풍경을 함께 묘사하여 현장감을 더합니다. "마치 토끼가 달아나고 매가 내려앉는 듯, 준마(駿馬)가 천 길 벼랑 아래로 내닫는 듯하네(有如兎走鷹隼落。駿馬下注千丈坡)"와 "끊어진 거문고 줄과 기둥에서 벗어난 활시위, 번개처럼 스쳐 지나가고 구슬이 연잎에서 구르는 듯하네(斷絃離柱箭脫手。飛電過隙珠翻荷)" 등의 비유는 물살의 빠르고 격렬한 움직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사방의 산은 어지럽게 돌고 바람은 귓가를 스치니, 다만 물거품이 수많은 소용돌이를 일으키는 것만 보이네(四山眩轉風掠耳。但見流沫生千渦)"라는 구절은 주변 풍경과 감각적인 묘사를 통해 당시의 상황을 더욱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험난함 속에서 얻는 즐거움은 비록 한때의 쾌락이지만, 어찌 하백(河伯)이 가을 강을 자랑하는 것과 다르겠는가(嶮中得樂雖一快。何異水伯夸秋河)"라는 구절은 이러한 험난함 속에서 느끼는 즐거움이 일시적인 것에 불과함을 깨닫고, 황하의 신인 하백이 자신의 강을 자랑하는 것을 비웃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 7-10구: 인생의 무상함과 깨달음: 격렬한 물살의 묘사에서 인생의 무상함과 깨달음으로 시상이 전환됩니다. "내 삶은 조화(造化)를 타고 밤낮으로 흘러가니, 앉아서 한 생각이 신라보다 더 멀리 가는 것을 깨닫네(我生乘化日夜逝。坐覺一念逾新羅)"라는 구절은 시간의 흐름과 인생의 무상함을 깨닫는 시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신라(新羅)'는 멀리 떨어진 나라를 의미하며, 시간의 흐름이 매우 빠름을 비유합니다. "어지럽게 다투고 빼앗는 것은 술 취한 꿈속이니, 어찌 가시덤불 속에 구리 낙타가 묻힐 줄 믿겠는가(紛紛爭奪醉夢裏。豈信荊棘埋銅駝)"라는 구절은 세속적인 욕망과 다툼의 허망함을 지적합니다. '동타(銅駝)'는 낙양(洛陽)의 궁궐 앞에 있던 구리 낙타상으로,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것을 의미합니다. 이 구절은 세상의 모든 것이 변하고 사라질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깨어나 위아래를 살펴보니 천겁(千劫)을 잃은 듯, 다시 이 물을 보니 자못 구불구불하네(覺來俯仰失千劫。回視此水殊委蛇)"라는 구절은 꿈에서 깨어난 듯 세상의 허망함을 깨닫고 다시 물을 보니 그 흐름이 예전과는 다르게 느껴진다는 의미입니다.
  • 11-14구: 초탈의 경지와 귀환: 과거의 흔적을 통해 역사의 흐름을 느끼고, 초탈의 경지를 노래하며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대 보라, 물가 푸른 바위 위에, 예부터 뱃사공이 댄 뱃자국이 벌집 같네(君看岸邊蒼石上。古來篙眼如蜂窠)"라는 구절은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지나갔음을 보여주는 흔적을 묘사합니다. '고안(篙眼)'은 뱃사공이 배를 댈 때 사용하는 뱃자국을 의미합니다. "다만 이 마음 머무는 곳이 없어야 하니, 조물주가 비록 빠르다 한들 나를 어찌하리오(但應此心無所住。造物雖駃如余何)"라는 구절은 모든 것에 집착하지 않는 초탈의 경지를 나타냅니다. '무소주(無所住)'는 마음에 아무것도 머무르지 않는다는 불교 용어로, 모든 것에 초연한 태도를 의미합니다. "배를 돌려 말을 타고 각자 돌아가니, 많은 말을 지껄이는 것은 스승의 꾸지람을 받을 것이네(回船上馬各歸去。多言嘵嘵師所呵)"라는 구절은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여주며,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하는 것을 경계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백보홍이수병서(百步洪二首并敘)" 중 두 번째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앞서 분석한 첫 번째 시와 마찬가지로 왕정국(王定國)과 함께 사수(泗水)에서 배를 타고 유람했던 일을 회상하며 지은 시입니다. 소식은 당시 함께하지 못했음을 안타까워하며, 이후 참료 스님과 다시 백보홍을 찾아 지난 일을 추억하며 이 시를 지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아름다운 여인은 끝내 가을 물결 같은 눈길을 돌리지 않고, 유여(幼輿)는 말을 하려다 베 짜는 북이 날아올까 염려하네. 가벼운 배로 물을 희롱하며 한바탕 웃음을 사니, 술 취한 중에 노를 저으며 어깨를 서로 부딪치네. 장안(長安)의 마을 협객들처럼, 담비 갖옷을 입고 밤에 연지 언덕을 달리는 것과는 다르네. 오로지 시구(詩句)로 포조(鮑照)와 사령운(謝靈運)에 비견하려 하니, 강을 건너 함께 가을 강 연꽃을 캐네. 시 속에서 무슨 말을 했는지 알지 못하지만, 다만 두 뺨에 옅은 소용돌이가 이는 것만 느끼네. 나는 그때 깃털 옷을 입고 황루(黃樓) 위에서, 직녀성(織女星)이 은하수를 비스듬히 건너는 것을 앉아서 보았네. 돌아오니 피리 소리가 온 산골짜기에 가득하고, 밝은 달이 금 술잔을 비추고 있었네. 어찌하여 나를 버리고 흙먼지 세상으로 들어갔는가, 시끄러운 무리들이 병든 늙은이를 속이네. 빈 방에서 늙고 병든 늙은이를 생각하지 않으니, 물러나 식사할 때 누가 함께 편안히 지낼까. 때가 되어 백보홍에 와서 옛 자취를 보니, 차마 신발 자국에 낀 푸른 이끼를 보겠는가. 시를 다 짓고 나니 저절로 두 줄기 눈물이 흐르네, 슬피 읊조리며 마주하는 것은 오직 양하(羊何)뿐이네. 아름다운 여인에게 비단 글씨를 부치려 하지만, 밤은 차고 손은 시려 아무도 따뜻하게 해 줄 사람이 없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함께 유람하지 못했던 아쉬움과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 그리고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시가 백보홍의 격렬한 물살을 중심으로 묘사했다면, 이 시는 함께했던 사람들과의 추억과 그들을 그리워하는 마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6구: 함께 유람했던 정경 회상: 함께 유람했던 당시의 즐거웠던 정경을 회상합니다. "아름다운 여인은 끝내 가을 물결 같은 눈길을 돌리지 않고, 유여(幼輿)는 말을 하려다 베 짜는 북이 날아올까 염려하네(佳人未肯回秋波。幼輿欲語防飛梭)"라는 구절은 유람 당시의 활기찬 분위기를 묘사합니다. '추파(秋波)'는 가을 물결 같은 눈길로, 아름다운 여인의 눈빛을 비유합니다. '유여(幼輿)'는 사람 이름으로, 말을 하려다 베 짜는 북에 맞을까 봐 조심하는 상황을 익살스럽게 표현합니다. "가벼운 배로 물을 희롱하며 한바탕 웃음을 사니, 술 취한 중에 노를 저으며 어깨를 서로 부딪치네(輕舟弄水買一笑。醉中蕩槳肩相磨)"라는 구절은 유람의 즐거웠던 순간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장안(長安)의 마을 협객들처럼, 담비 갖옷을 입고 밤에 연지 언덕을 달리는 것과는 다르네(不似長安閭里俠。貂裘夜走燕脂坡)"라는 구절은 자신들의 유람이 속세의 향락과는 다른 고상한 즐거움임을 강조합니다. "오로지 시구(詩句)로 포조(鮑照)와 사령운(謝靈運)에 비견하려 하니, 강을 건너 함께 가을 강 연꽃을 캐네(獨將詩句擬鮑謝。涉江共採秋江荷)"라는 구절은 함께 시를 짓고 풍류를 즐겼던 당시의 모습을 회상합니다. '포조(鮑照)'와 '사령운(謝靈運)'은 남조(南朝) 시대의 유명한 시인으로, 자신들의 시적 재능을 그들에 비견하는 표현입니다.
  • 7-10구: 함께하지 못했던 아쉬움과 그리움: 당시 함께하지 못했던 자신의 상황을 회상하며 아쉬움을 표현하고, 친구들을 그리워합니다. "나는 그때 깃털 옷을 입고 황루(黃樓) 위에서, 직녀성(織女星)이 은하수를 비스듬히 건너는 것을 앉아서 보았네(我時羽服黃樓上。坐見織女初斜河)"라는 구절은 당시 함께하지 못하고 홀로 황루 위에서 밤하늘을 바라보았던 자신의 모습을 묘사합니다. "돌아오니 피리 소리가 온 산골짜기에 가득하고, 밝은 달이 금 술잔을 비추고 있었네(歸來笛聲滿山谷。明月正照金叵羅)"라는 구절은 함께 돌아왔다면 누렸을 즐거움을 상상하며 아쉬움을 더합니다. "어찌하여 나를 버리고 흙먼지 세상으로 들어갔는가, 시끄러운 무리들이 병든 늙은이를 속이네(奈何捨我入塵土。擾擾毛羣欺臥駞)"라는 구절은 친구들이 세속으로 돌아간 것을 안타까워하며, 자신을 홀로 남겨둔 것에 대한 서운함을 표현합니다. "빈 방에서 늙고 병든 늙은이를 생각하지 않으니, 물러나 식사할 때 누가 함께 편안히 지낼까(不念空齋老病叟。退食誰與同委蛇)"라는 구절은 친구들이 없는 자신의 외로운 처지를 더욱 부각합니다.
  • 11-14구: 옛 자취에 대한 슬픔과 그리움: 다시 백보홍을 찾아 옛 자취를 보며 슬픔과 그리움을 느끼고,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때가 되어 백보홍에 와서 옛 자취를 보니, 차마 신발 자국에 낀 푸른 이끼를 보겠는가(時來洪上看遺跡。忍見屐齒青苔窠)"라는 구절은 지난날의 추억이 깃든 장소를 다시 찾았지만, 이제는 그 흔적만이 남아 있는 것을 보고 슬픔을 느끼는 시인의 마음을 나타냅니다. "시를 다 짓고 나니 저절로 두 줄기 눈물이 흐르네, 슬피 읊조리며 마주하는 것은 오직 양하(羊何)뿐이네(詩成不覺雙淚下。悲吟相對惟羊何)"라는 구절은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눈물을 흘리는 시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양하(羊何)'는 사람 이름으로, 슬픔을 함께 나눌 사람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아름다운 여인에게 비단 글씨를 부치려 하지만, 밤은 차고 손은 시려 아무도 따뜻하게 해 줄 사람이 없네(欲遣佳人寄錦字。夜寒手冷無人呵)"라는 구절은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이 시는 함께 유람하지 못했던 아쉬움과 친구들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날의 즐거웠던 기억과 현재의 외로운 상황을 대비시켜 슬픔과 그리움의 감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송참료사(送參寥師)"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참료 스님을 전송하며 지은 시로, 수행자의 삶과 시인의 삶, 그리고 그 둘의 조화에 대한 생각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참료 스님의 시적 재능을 높이 평가하면서, 불교의 수행과 시 창작이 서로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의 경지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스님은 고행과 공(空)을 배우시니, 온갖 생각이 이미 재처럼 식어 차갑네. 칼날 끝에는 오직 한 줄기 숨결만이 있고, 태워진 곡식에는 새로운 싹이 없네. 어찌하여 우리 무리를 쫓아, 문자로써 아름다움을 다투는가. 새로운 시는 옥과 눈처럼 맑고 깨끗하며, 내뱉는 말은 곧 맑고 날카롭네. 퇴지(退之, 한유韓愈)는 초서(草書)를 논하면서, 만사를 일찍이 버린 적이 없으니, 근심과 불평의 기운을, 오로지 붓 가는 대로 부쳤네. 자못 부처를 숭상하는 사람들을 이상하게 여기니, 몸을 언덕이나 우물처럼 여기네. 허물어져 담박함에 의탁하니, 누가 호방하고 용맹함을 떨치겠는가. 자세히 생각하니 그렇지 않네. 진정한 솜씨는 허황된 그림자가 아니네. 시어를 묘하게 하려면, 싫증 내지 않고 비우고 고요해야 하네. 고요하기 때문에 모든 움직임을 깨닫고, 비어 있기 때문에 만 가지 경계를 받아들이네. 세상을 겪으며 인간 세상을 거닐고, 몸을 살펴보며 구름 덮인 고개에 눕네. 짜고 신맛이 여러 좋은 것들과 섞여 있으니, 그 가운데 지극한 맛이 영원하네. 시의 법칙은 서로 방해하지 않으니, 이 말을 마땅히 다시 청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4구: 수행자의 삶과 시인의 삶: 수행자의 고독한 삶과 시인의 화려한 삶을 대비시키면서 시상을 시작합니다. "스님은 고행과 공(空)을 배우시니, 온갖 생각이 이미 재처럼 식어 차갑네(上人學苦空。百念已灰冷)"라는 구절은 수행자의 고독하고 엄격한 삶을 묘사합니다. '고공(苦空)'은 고행과 공(空)을 의미하는 불교 용어로, 세속적인 욕망을 버리고 진리를 추구하는 수행자의 삶을 나타냅니다. "칼날 끝에는 오직 한 줄기 숨결만이 있고, 태워진 곡식에는 새로운 싹이 없네(劔頭惟一吷。焦穀無新穎)"라는 구절은 수행자의 극단적인 절제와 고독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반면 "어찌하여 우리 무리를 쫓아, 문자로써 아름다움을 다투는가(胡為逐吾輩。文字爭蔚炳)"라는 구절은 시인들의 화려한 문학 활동을 나타냅니다. "새로운 시는 옥과 눈처럼 맑고 깨끗하며, 내뱉는 말은 곧 맑고 날카롭네(新詩如玉雪。出語便清警)"라는 구절은 참료 스님의 시적 재능을 칭찬하는 내용입니다.
  • 5-12구: 수행과 시 창작의 조화: 수행과 시 창작이 서로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의 경지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합니다. "퇴지(退之, 한유韓愈)는 초서(草書)를 논하면서, 만사를 일찍이 버린 적이 없으니, 근심과 불평의 기운을, 오로지 붓 가는 대로 부쳤네(退之論草書。萬事未嘗屏。憂愁不平氣。一寓筆所騁)"라는 구절은 한유의 예를 들어 세속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예술 창작의 중요한 동기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자못 부처를 숭상하는 사람들을 이상하게 여기니, 몸을 언덕이나 우물처럼 여기네(頗怪浮屠人。視身如丘井)"라는 구절은 일부 불교 수행자들이 지나치게 금욕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을 비판하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이어지는 구절에서 시인은 자신의 생각이 잘못되었음을 깨닫습니다. "자세히 생각하니 그렇지 않네. 진정한 솜씨는 허황된 그림자가 아니네(細思乃不然。真巧非幻影)"라는 구절은 수행을 통해 얻은 내면의 깊이가 시 창작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고요하기 때문에 모든 움직임을 깨닫고, 비어 있기 때문에 만 가지 경계를 받아들이네(靜故了羣動。空故納萬境)"라는 구절은 불교의 수행이 시 창작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세상을 겪으며 인간 세상을 거닐고, 몸을 살펴보며 구름 덮인 고개에 눕네(閱世走人間。觀身臥雲嶺)"라는 구절은 세상 경험과 내면 성찰 모두 시 창작에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 13-16구: 시의 궁극적인 경지: 수행과 시 창작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궁극적인 경지를 제시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짜고 신맛이 여러 좋은 것들과 섞여 있으니, 그 가운데 지극한 맛이 영원하네(醎酸雜衆好。中有至味永)"라는 구절은 인생의 다양한 경험이 시의 깊이를 더해준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지미(至味)'는 지극한 맛으로, 시의 궁극적인 경지를 비유합니다. "시의 법칙은 서로 방해하지 않으니, 이 말을 마땅히 다시 청하네(詩法不相妨。此語當更請)"라는 구절은 불교 수행과 시 창작이 서로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호 보완적인 관계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이 시는 수행자의 삶과 시인의 삶을 비교하면서, 불교의 수행이 시 창작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참료 스님의 시적 재능을 칭찬하면서, 수행과 예술의 조화로운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이 시의 핵심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야과서요문희작(夜過舒堯文戲作)"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밤에 서요문(舒堯文)의 집을 방문하여 지은 시로, 스승인 서요문의 고고한 풍모와 학문에 대한 열정을 묘사하고, 그의 문하에서 공부하는 제자들의 모습을 함께 그리고 있습니다. 특히, 추운 밤에도 학문에 정진하는 스승과 제자들의 모습을 대조적으로 보여주며, 서요문을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선생님 집 앞에는 서리 내린 달빛이 차갑고, 제자들은 서쪽과 동쪽 행랑에서 책 읽는 소리가 시끄럽네. 문을 밀고 방에 들어가니 책들이 종횡으로 흩어져 있고, 촛농 묻은 등롱은 운모처럼 빛나네. 선생님은 뼈가 맑아 잠자리에 드는 일이 적으시고, 긴 밤을 말없이 앉아 경고(更鼓) 소리를 세시네. 추위를 견디는 돌 벼루는 얼음이 얼 것 같고, 불을 쬐는 구리 병은 비 지나간 듯 식었네. 낭군(郎君, 서요문의 아들)이 나가려 하자 먼저 스스로를 칭찬하니, 자리에 함께 한 손님들은 옷깃을 여미며 누가 감히 업신여기겠는가. 내일 아침 완적(阮籍)이 아융(阿戎)을 찾아가면, 응당 왕희지(王羲之)가 회조(懷祖)를 부러워했던 것처럼 될 것이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밤에 서요문의 집을 방문한 시인의 시각에서 스승과 제자들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차가운 밤 풍경과 스승의 고고한 모습: 차가운 밤 풍경과 대비되는 스승 서요문의 고고한 풍모를 묘사합니다. "선생님 집 앞에는 서리 내린 달빛이 차갑고, 제자들은 서쪽과 동쪽 행랑에서 책 읽는 소리가 시끄럽네(先生堂前霜月苦。弟子讀書喧兩廡)"라는 구절은 차가운 밤의 분위기와 제자들이 공부하는 활기찬 소리를 대조적으로 보여줍니다. '상월(霜月)'은 서리 내린 달빛으로, 밤의 차가움을 강조합니다. '양무(兩廡)'는 서쪽과 동쪽 행랑으로, 제자들이 공부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문을 밀고 방에 들어가니 책들이 종횡으로 흩어져 있고, 촛농 묻은 등롱은 운모처럼 빛나네(推門入室書縱橫。蠟紙燈籠晃雲母)"라는 구절은 스승의 방 안 풍경을 묘사합니다. 책들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모습은 스승이 얼마나 많은 책을 읽고 연구하는지 보여줍니다. "선생님은 뼈가 맑아 잠자리에 드는 일이 적으시고, 긴 밤을 말없이 앉아 경고(更鼓) 소리를 세시네(先生骨清少眠臥。長夜默坐數更鼓)"라는 구절은 스승의 맑은 정신과 학문에 대한 열정을 나타냅니다. '골청(骨清)'은 뼈가 맑다는 뜻으로, 고고한 풍모를 비유합니다. '경고(更鼓)'는 밤 시간을 알리는 북소리로, 밤 늦도록 잠들지 않고 학문에 몰두하는 스승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추위를 견디는 돌 벼루는 얼음이 얼 것 같고, 불을 쬐는 구리 병은 비 지나간 듯 식었네(耐寒石硯欲生氷。得火銅缾如過雨)"라는 구절은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학문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는 스승의 모습을 강조합니다.
  • 5-6구: 스승의 위엄과 존경: 스승의 위엄과 그를 존경하는 사람들의 태도를 묘사합니다. "낭군(郎君, 서요문의 아들)이 나가려 하자 먼저 스스로를 칭찬하니, 자리에 함께 한 손님들은 옷깃을 여미며 누가 감히 업신여기겠는가(郎君欲出先自贊。坐客斂袵誰敢侮)"라는 구절은 스승의 높은 인품과 위엄을 보여주는 일화를 소개합니다. 스승의 아들조차 함부로 행동하지 못하고 스스로를 칭찬하는 모습에서 스승의 권위를 엿볼 수 있습니다. "내일 아침 완적(阮籍)이 아융(阿戎)을 찾아가면, 응당 왕희지(王羲之)가 회조(懷祖)를 부러워했던 것처럼 될 것이네(明朝阮籍過阿戎。應作羲之羨懷祖)"라는 구절은 스승을 고대의 현인에 비유하며 존경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완적(阮籍)'과 '아융(阿戎)'은 진(晉)나라의 유명한 인물로, 서로 교류하며 명성을 떨쳤습니다. '왕희지(王羲之)'와 '회조(懷祖)'는 서예가로 유명한 인물로, 왕희지가 자신의 조상인 회조를 존경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고사를 인용하여 스승 서요문을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 시는 차가운 밤 풍경과 스승의 고고한 풍모를 대비시키면서, 스승에 대한 존경심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고사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십월십오일관월황루석상차운(十月十五日觀月黃樓席上次韻)"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10월 15일에 황루(黃樓) 연회에서 달을 보며 지은 시로, 중추절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아름다운 달빛을 감상하며, 과거의 즐거웠던 기억을 회상하고 미래의 기약을 다짐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생의 덧없음을 대비시키면서, 현재의 즐거움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중추의 날씨와 그리 다르지 않으니, 붉은 비단으로 자리를 비출 필요 없네. 산 아래 흰 구름은 한 폭의 흰 비단처럼 가로놓여 있고, 물속의 밝은 달은 탑처럼 떠 있네. 짧은 배를 만들어 삼협(三峽)으로 돌아가지는 못했지만, 이미 가벼운 배를 타고 오호(五湖)에 배 띄울 것을 약속했네. 높이 올라 좋은 풍경을 감상하는 것이 어떠한지 물으니, 내년에도 다시 태수(使君)를 기억할지 모르겠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4구: 가을밤의 아름다운 풍경 묘사: 10월 15일 밤의 아름다운 풍경을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중추의 날씨와 그리 다르지 않으니, 붉은 비단으로 자리를 비출 필요 없네(中秋天氣未應殊。不用紅紗照坐隅)"라는 구절은 중추절이 지난 10월 15일이지만, 여전히 날씨가 좋고 달빛이 밝아 인위적인 조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아름다운 밤임을 나타냅니다. '홍사(紅紗)'는 붉은 비단으로 만든 등불 덮개를 의미하며, 인위적인 조명을 의미합니다. "산 아래 흰 구름은 한 폭의 흰 비단처럼 가로놓여 있고, 물속의 밝은 달은 탑처럼 떠 있네(山下白雲橫匹素。水中明月臥浮圖)"라는 구절은 밤의 풍경을 비유적으로 묘사합니다. '필소(匹素)'는 한 폭의 흰 비단으로, 흰 구름을 비유합니다. '부도(浮圖)'는 탑을 의미하며, 물에 비친 달의 모습을 비유합니다. 이러한 비유를 통해 밤의 풍경을 더욱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 5-8구: 과거의 회상과 미래의 기약: 과거의 즐거웠던 기억을 회상하고, 미래의 만남을 기약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짧은 배를 만들어 삼협(三峽)으로 돌아가지는 못했지만, 이미 가벼운 배를 타고 오호(五湖)에 배 띄울 것을 약속했네(未成短棹還三峽。已約輕舟泛五湖)"라는 구절은 과거에 삼협을 유람했던 기억을 떠올리면서, 앞으로 오호에서 다시 배를 타고 유람할 것을 약속하는 내용입니다. '삼협(三峽)'은 장강(長江)의 세 협곡으로, 험준한 자연 경관으로 유명합니다. '오호(五湖)'는 중국의 다섯 큰 호수로, 아름다운 풍경으로 유명합니다. 과거의 험준한 삼협 유람과 미래의 평화로운 오호 유람을 대비시켜, 앞으로 더욱 즐거운 시간을 보낼 것을 기대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높이 올라 좋은 풍경을 감상하는 것이 어떠한지 물으니, 내년에도 다시 태수(使君)를 기억할지 모르겠네(為問登臨好風景。明年還憶使君無)"라는 구절은 현재의 즐거움을 만끽하면서도, 미래에 다시 만날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인생의 덧없음을 느끼는 시인의 마음을 나타냅니다. '사군(使君)'은 태수를 의미하며, 함께 이 자리에 있는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미래에 다시 만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현재의 만남과 즐거움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시는 가을밤의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과거의 추억을 회상하고 미래를 기약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생의 덧없음을 대비시키면서, 현재의 즐거움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답왕정민(荅王定民)"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왕정민(王定民)의 시에 답하여 지은 시로, 왕정민의 뛰어난 서예와 시 재능을 칭찬하고, 그에게 황루(黃樓)에 대한 장초(章草) 시를 지어줄 것을 부탁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왕정민의 서예를 장욱(張旭)에 비견하고, 그의 시를 소순흠(蘇舜欽)에 비유하는 등, 고사를 활용하여 그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봉투를 여니 가지런히 은 낚싯바늘처럼 쓰여 있네. 편지 끝에 쓴 시는 더욱 힘차고 뛰어나네. 서예의 팔법(八法)은 예로부터 장사(長史, 장욱)를 으뜸으로 여겼는데, 오언시(五言詩)는 이제 다시 소주(蘇州, 소순흠)에 비견할 만하네. 필적은 유대사(留臺寺)에 남겨져 있고, 깃발 부대는 멀리 석구(石溝)까지 간 것을 알 수 있네. 쥐 수염 붓과 누에고치 종이를 부치고 싶으니, 부디 그대 장초로 황루를 노래해 주시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왕정민의 편지와 시에 대한 답신으로, 그의 재능을 칭찬하고 그에게 부탁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왕정민의 편지와 시에 대한 감탄: 왕정민의 정갈한 필체와 뛰어난 시적 재능에 대한 감탄을 표현합니다. "봉투를 여니 가지런히 은 낚싯바늘처럼 쓰여 있네(開緘弈弈滿銀鉤)"라는 구절은 왕정민의 필체를 은 낚싯바늘에 비유하여 섬세하고 정갈함을 나타냅니다. '역역(弈弈)'은 가지런한 모양을 나타내며, '은구(銀鉤)'는 은으로 만든 낚싯바늘로, 섬세하고 날카로운 필체를 비유합니다. "편지 끝에 쓴 시는 더욱 힘차고 뛰어나네(書尾題詩語更遒)"라는 구절은 편지 끝에 덧붙여 쓴 시가 더욱 뛰어나다고 칭찬하는 내용입니다. '구(遒)'는 굳세고 힘찬 것을 의미하며, 시의 힘찬 기운을 나타냅니다.
  • 3-4구: 왕정민의 서예와 시를 고인에 비유: 왕정민의 서예와 시를 과거의 명인에 비유하여 그의 뛰어난 재능을 더욱 부각합니다. "서예의 팔법(八法)은 예로부터 장사(長史, 장욱)를 으뜸으로 여겼는데, 오언시(五言詩)는 이제 다시 소주(蘇州, 소순흠)에 비견할 만하네(八法舊聞宗長史。五言今復擬蘇州)"라는 구절은 왕정민의 서예와 시를 각각 장욱과 소순흠에 비유하여 극찬하는 내용입니다. '팔법(八法)'은 서예의 기본 필법으로, 장욱은 당나라의 유명한 서예가로 특히 초서에 뛰어났습니다. '소주(蘇州)'는 북송의 시인 소순흠을 가리키며, 그의 오언시는 맑고 빼어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처럼 과거의 명인에 비유함으로써 왕정민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필적은 유대사(留臺寺)에 남겨져 있고, 깃발 부대는 멀리 석구(石溝)까지 간 것을 알 수 있네(筆蹤好在留臺寺。旗隊遙知到石溝)"라는 구절은 왕정민의 활동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그의 필적은 유대사에 남아 있고, 그의 영향력은 멀리 석구까지 미쳤음을 의미합니다.
  • 5-6구: 부탁과 기대: 왕정민에게 붓과 종이를 보내며 황루에 대한 장초 시를 지어줄 것을 부탁하고, 그에 대한 기대를 표현합니다. "쥐 수염 붓과 누에고치 종이를 부치고 싶으니, 부디 그대 장초로 황루를 노래해 주시오(欲寄鼠須并蠒紙。請君章草賦黃樓)"라는 구절은 왕정민에게 좋은 붓과 종이를 보내 시 창작을 격려하는 내용입니다. '서수(鼠須)'는 쥐 수염으로 만든 붓으로, 섬세한 필치를 표현하는 데 적합하다고 여겨졌습니다. '견지(蠒紙)'는 누에고치로 만든 종이로, 질이 좋은 종이를 의미합니다. '장초(章草)'는 초서의 한 종류로, 해서(楷書)의 필법이 남아 있는 비교적 정형화된 초서입니다. 왕정민에게 황루에 대한 장초 시를 지어달라고 부탁하는 것은 그의 뛰어난 서예와 시 재능을 모두 활용해 달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왕정민의 편지에 대한 답신으로, 그의 뛰어난 재능을 칭찬하고 그에게 부탁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고사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으며, 왕정민에 대한 소식의 존경과 기대를 엿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운왕정노퇴거견기이수(次韻王廷老退居見寄二首)"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왕정로(王廷老)가 은퇴 후 보낸 시에 화답하여 지은 두 수의 시입니다. 왕정로의 은퇴 생활을 부러워하면서도, 자신의 처지와 대비하여 인생의 무상함과 자연 속에서의 삶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시:

현대 한국어 번역:

물결에 이는 꽃잎과 떠도는 꽃을 구분하지 못하니, 돌아와서야 비로소 추운 겨울에도 변치 않는 사람을 알겠네. 돌아보니 스스로 풍파의 땅을 웃으니, 눈을 감고 애오라지 꿈과 같은 이 몸을 보네. 북쪽 창에는 이미 도연명(陶淵明)의 평상(平床)을 놓았고, 서풍에는 도리어 유량(庾亮)의 먼지를 피하네. 다시 짧은 머리를 긁으며 동남쪽을 바라보니, 시험 삼아 지금 누가 옛 두건을 쓰고 있는지 묻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왕정로의 은퇴 생활을 칭찬하며, 자신 또한 그러한 삶을 동경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1-2구: 세상의 변화와 변치 않는 사람: 세상의 변화 속에서 변치 않는 가치를 깨닫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물결에 이는 꽃잎과 떠도는 꽃을 구분하지 못하니, 돌아와서야 비로소 추운 겨울에도 변치 않는 사람을 알겠네(浪蘂浮花不辨春。歸來方識歲寒人)"라는 구절은 세상의 변화무쌍함을 '물결에 이는 꽃잎과 떠도는 꽃'에 비유하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변치 않는 사람의 가치를 '추운 겨울에도 변치 않는 사람'에 비유하여 대조적으로 표현합니다.
  • 3-4구: 과거에 대한 회상과 현재의 자조: 과거의 파란만장했던 삶을 회상하며 현재의 상황을 자조적으로 표현합니다. "돌아보니 스스로 풍파의 땅을 웃으니, 눈을 감고 애오라지 꿈과 같은 이 몸을 보네(回頭自笑風波地。閉眼聊觀夢幻身)"라는 구절은 과거의 험난했던 삶을 '풍파의 땅'에 비유하고, 현재의 상황을 '꿈과 같은 이 몸'으로 표현하여 인생의 무상함을 나타냅니다.
  • 5-6구: 은퇴 생활에 대한 동경: 도연명과 유량의 고사를 인용하여 은퇴 생활에 대한 동경을 표현합니다. "북쪽 창에는 이미 도연명(陶淵明)의 평상(平床)을 놓았고, 서풍에는 도리어 유량(庾亮)의 먼지를 피하네(北牗已安陶令榻。西風還避庾公塵)"라는 구절은 도연명의 소박한 은거 생활과 유량의 세속적인 명예를 대조하여, 왕정로의 은퇴 생활을 칭찬하고 자신 또한 그러한 삶을 동경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도연명은 은거하여 자연을 벗 삼은 시인으로 유명하며, 유량은 동진(東晉)의 권신으로 세속적인 명예를 추구했습니다.
  • 7-8구: 과거의 인물 회상과 현재의 외로움: 과거의 인물을 회상하며 현재의 외로움을 표현합니다. "다시 짧은 머리를 긁으며 동남쪽을 바라보니, 시험 삼아 지금 누가 옛 두건을 쓰고 있는지 묻네(更搔短髮東南望。試問今誰裹舊巾)"라는 구절은 과거의 지인들을 그리워하며 현재의 외로움을 느끼는 시인의 심정을 나타냅니다. '구건(舊巾)'은 옛 두건으로, 옛 친구나 지인을 상징합니다.

두 번째 시:

현대 한국어 번역:

과일을 접붙이고 꽃을 옮겨 심어 울타리를 보수하는 것을 보니, 허리에 낫을 차고 손에 도끼를 드는 것을 꺼리지 않네. 도읍의 새로운 소식은 항상 먼저 전해 듣고, 늙은 농부의 한가로운 이야기는 쉽게 속일 수 없네. 문을 닫고 술을 빚어 마을 잔치 술독을 여니, 소를 잡아 손님을 머물게 하여 밭 가는 일을 푸네. 어느 때 가냘픈 아름다움을 다시 볼 수 있을까, 오른손에는 술잔을 들고 왼손으로는 턱을 괴고 있는 모습을.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왕정로의 은퇴 생활의 구체적인 모습을 묘사하며, 그와의 즐거웠던 과거를 회상하고 있습니다.

  • 1-2구: 은퇴 생활의 소박한 모습: 은퇴 후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과일을 접붙이고 꽃을 옮겨 심어 울타리를 보수하는 것을 보니, 허리에 낫을 차고 손에 도끼를 드는 것을 꺼리지 않네(接果移花看補籬。腰鎌手斧不妨持)"라는 구절은 농사일을 직접 하는 왕정로의 소박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 3-4구: 세상 소식에 밝은 은퇴자: 세상 소식에 밝으면서도 농부들과 격의 없이 지내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도읍의 새로운 소식은 항상 먼저 전해 듣고, 늙은 농부의 한가로운 이야기는 쉽게 속일 수 없네(上都新事長先到。老圃閑談未易欺)"라는 구절은 은퇴 후에도 세상 돌아가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농부들과의 소통에도 능숙한 왕정로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 5-6구: 풍성한 환대와 과거의 추억: 손님을 후하게 대접하는 모습과 과거의 즐거웠던 기억을 회상합니다. "문을 닫고 술을 빚어 마을 잔치 술독을 여니, 소를 잡아 손님을 머물게 하여 밭 가는 일을 푸네(釀酒閉門開社罋。殺牛留客解耕縻)"라는 구절은 풍성한 환대를 베푸는 왕정로의 인품을 보여줍니다. '해경미(解耕縻)'는 밭 가는 일을 푼다는 뜻으로, 손님을 위해 모든 일을 멈추고 환대에 집중하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 7-8구: 다시 만나기를 기약하며 마무리: 과거 함께 술 마시며 즐거워했던 때를 회상하며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합니다. "어느 때 가냘픈 아름다움을 다시 볼 수 있을까, 오른손에는 술잔을 들고 왼손으로는 턱을 괴고 있는 모습을(何時得見攕攕玉。右手持盃左捧頤)"라는 구절은 과거 왕정로와 함께 술을 마시며 즐거워했던 모습을 회상하며,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는 내용으로 시를 마무리합니다. '섬섬옥(攕攕玉)'은 가냘픈 아름다움을 의미하며, 왕정로의 풍모를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이 두 수의 시는 왕정로의 은퇴 생활을 부러워하면서도, 자신의 처지와 대비하여 인생의 무상함과 자연 속에서의 삶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연명, 유량 등의 고사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안장도운송부췌(次顏長道韻送傅倅)"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안장도(顏長道)의 시에 차운(次韻)하여 부췌(傅倅)를 보내는 시입니다. 과거 함께 지냈던 시간들을 회상하며, 부췌의 앞날을 축복하고 이별의 아쉬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역사적 고사를 인용하여 부췌의 뛰어난 재능과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두 번이나 국화가 지는 것을 보며 떨어진 꽃잎을 쓸었네. 남산(南山)의 산사에 두루 이름을 새겼네. 종성(宗成)이 홀로 잠참(岑參)과 범성대(范成大)에게 의지한 것만이 아니고, 노(魯)나라와 위(衛)나라는 마땅히 형제와 같을 것이네. 지난해에는 구름과 파도가 변수(汴水)와 사수(泗水)에 떠 있었고, 그대와 나는 진흙으로 옷과 갓끈을 더럽혔네. 이제 이별의 술에 취한 말은 그만두고, 시험 삼아 쌍홍(雙洪)이 떨어진 후의 소리를 들어보세.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부췌를 보내는 자리에서 과거를 회상하고 미래를 축복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과거 함께 지냈던 시간 회상: 과거 함께 국화를 감상하고 남산의 사찰을 방문했던 추억을 회상합니다. "두 번이나 국화가 지는 것을 보며 떨어진 꽃잎을 쓸었네. 남산(南山)의 산사에 두루 이름을 새겼네(兩見黃花掃落英。南山山寺徧題名)"라는 구절은 함께했던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는 동시에, 함께 풍류를 즐겼던 과거를 회상하는 내용입니다. '황화(黃花)'는 국화를 의미하며, 가을의 정취를 나타냅니다. '낙영(落英)'은 떨어진 꽃잎으로, 시간의 흐름과 이별의 아쉬움을 암시합니다. 남산의 산사에 이름을 새겼다는 것은 함께했던 추억을 영원히 기억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3-4구: 부췌의 뛰어난 재능과 미래의 활약 기대: 역사적 고사를 인용하여 부췌의 뛰어난 재능을 칭찬하고,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하는 마음을 드러냅니다. "종성(宗成)이 홀로 잠참(岑參)과 범성대(范成大)에게 의지한 것만이 아니고, 노(魯)나라와 위(衛)나라는 마땅히 형제와 같을 것이네(宗成不獨依岑范。魯衛終當似弟兄)"라는 구절은 부췌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는 내용입니다. '종성(宗成)'은 당나라의 시인 잠참의 자(字)로, 그는 변방의 풍경을 묘사한 변새시(邊塞詩)로 유명합니다. 범성대는 남송의 시인으로, 전원시(田園詩)에 뛰어났습니다. 부췌가 이 두 시인처럼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노나라와 위나라처럼 형제처럼 화합하여 함께 발전할 것이라는 기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노나라와 위나라는 주(周)나라 시대의 제후국으로, 서로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 5-6구: 과거의 고생과 현재의 이별, 그리고 미래의 기약: 과거 함께 고생했던 기억을 떠올리며 현재의 이별을 아쉬워하고, 미래에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합니다. "지난해에는 구름과 파도가 변수(汴水)와 사수(泗水)에 떠 있었고, 그대와 나는 진흙으로 옷과 갓끈을 더럽혔네(去歲雲濤浮汴泗。與君泥土滿衣纓)"라는 구절은 과거 함께 고생했던 기억을 회상하는 내용입니다. '변사(汴泗)'는 변수와 사수로, 과거에 어려움을 겪었던 장소를 의미합니다. 진흙으로 옷과 갓끈을 더럽혔다는 것은 함께 고생했던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제 이별의 술에 취한 말은 그만두고, 시험 삼아 쌍홍(雙洪)이 떨어진 후의 소리를 들어보세(如今別酒休詞醉。試聽雙洪落後聲)"라는 구절은 이별의 아쉬움을 표현하면서도, 미래에 부췌가 큰 업적을 이룰 것을 기대하는 내용입니다. '쌍홍(雙洪)'은 두 개의 큰 물줄기로, 큰 업적이나 명성을 비유합니다. 쌍홍이 떨어진 후의 소리를 들어보자는 것은 부췌가 앞으로 큰 성공을 거둘 것을 기대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이 시는 과거 함께했던 추억을 회상하며 부췌의 앞날을 축복하는 내용으로, 고사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췌의 뛰어난 재능을 높이 평가하고 그의 밝은 미래를 기대하는 소식의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운룡산관소득운자(雲龍山觀燒得雲字)"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운룡산에서 불을 놓아 태우는 것을 보고 '운(雲)'이라는 글자를 얻어 지은 시로, 불의 강렬함과 파괴력, 그리고 그 이후의 변화를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자연 현상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풍부한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정(丁) 화신(火神)은 참으로 물의 아내이고, 한산(寒山)은 곧 불로 밭을 일구네. 서리가 내려 이미 죽었음을 알고, 집 문을 막고 처음 타는 소리를 듣네. 마른 섶이 바야흐로 빛나고, 돌을 치니 갑자기 기운이 자욱하네. 떨어진 불똥은 감천(甘泉)의 봉화 같고, 가로지른 연기는 초나라 변방의 기운 같네. 궁지에 몰린 뱀은 높은 나무에 오르고, 숨은 교룡은 뜬구름을 밟네. 놀라 날다가 떨어진 상한 기러기, 미쳐 날뛰다가 길을 잃은 어리석은 노루. 골짜기에 숨었던 매미와 제비가 놀라 일어나고, 산의 요괴는 규(夔)와 분(羵)으로 변해 달아나네. 들의 대나무는 슬픈 소리를 내며 터지고, 깊은 곳의 계수나무는 원통한 향기를 날리네. 슬픔은 가을 햇살에 비친 게와 같고, 시원함은 여름에 모기를 태우는 것과 같네. 불붙인 소가 연나라 진영으로 들어가고, 불 뿜는 코끼리가 오나라 군대로 달려드네. 무너지고 솟구치는 정형관(井陘關) 어귀, 만 마리 말이 모두 붉은 깃발을 휘날리네. 흔들리는 여산(驪山)의 그늘, 모든 비빈(妃嬪)들은 붉은 치마를 활짝 펼치네. 바야흐로 긴 바람을 따라 말려 올라가다가, 갑자기 깊은 계곡에 막혀 나뉘네. 나는 본래 산사람이라, 늘 보던 것이라 듣는 것만은 아니네. 우연히 두세 사람과 함께, 장은군(張隱君)을 찾아왔네. 그대의 집 또한 어찌 이리 변했는가, 만물의 형상이 아침 해가 저물 듯 변했네. 술잔을 잡고 날아가는 재를 보니, 빈 뜰에 어지럽게 떨어지네. 농사일이 시작되는 것을 보니, 밭두둑이 마치 무늬 놓은 비단 같네. 가랑비가 봄 싹을 틔우고, 모진 서리가 가을 곡식을 쓰러뜨리네. 비로소 한 번의 불길의 힘이, 여우와 토끼 무리를 깨끗이 씻어냈음을 알겠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불이 타오르는 모습부터 그 이후의 변화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8구: 불의 시작과 맹렬한 기세: 불이 시작되는 모습과 맹렬하게 타오르는 기세를 다양한 비유를 통해 표현합니다. "정(丁) 화신(火神)은 참으로 물의 아내이고, 한산(寒山)은 곧 불로 밭을 일구네(丁女真水妃。寒山便火耘)"라는 구절은 화신과 물의 관계를 비유적으로 표현하여 불의 신비로운 힘을 암시합니다. '한산(寒山)'은 겨울 산으로, 불을 놓아 밭을 일구는 행위를 묘사합니다. "떨어진 불똥은 감천(甘泉)의 봉화 같고, 가로지른 연기는 초나라 변방의 기운 같네(落點甘泉烽。橫煙楚塞氛)"라는 구절은 불의 기세를 더욱 강렬하게 표현하기 위해 봉화와 변방의 전쟁 상황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뱀과 교룡, 기러기와 노루, 매미와 제비 등 다양한 동물을 등장시켜 불길에 놀라 도망치는 모습을 생동감 넘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 9-12구: 불의 파괴력과 비극적인 상황: 불의 파괴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극적인 상황을 묘사합니다. "들의 대나무는 슬픈 소리를 내며 터지고, 깊은 곳의 계수나무는 원통한 향기를 날리네(野竹爆哀聲。幽桂飄冤芬)"라는 구절은 불에 타는 대나무와 계수나무의 모습을 통해 비극적인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애성(哀聲)'과 '원분(冤芬)'은 각각 슬픈 소리와 원통한 향기로, 불로 인해 발생하는 고통과 슬픔을 표현합니다. '화우입연루(火牛入燕壘)'와 '수이상분오군(燧象奔吳軍)'은 각각 불붙인 소가 연나라 진영으로 들어간 고사와 불 뿜는 코끼리가 오나라 군대로 달려든 고사를 인용하여 불의 파괴력을 더욱 강조합니다.
  • 13-16구: 불의 거대한 규모와 위력: 불의 거대한 규모와 위력을 역사적 사건과 미인에 비유하여 더욱 웅장하게 표현합니다. "무너지고 솟구치는 정형관(井陘關) 어귀, 만 마리 말이 모두 붉은 깃발을 휘날리네(崩騰井陘口。萬馬皆朱幩)"라는 구절은 정형관 전투의 격렬한 상황에 불길을 비유하여 그 규모를 웅장하게 표현합니다. "흔들리는 여산(驪山)의 그늘, 모든 비빈(妃嬪)들은 붉은 치마를 활짝 펼치네(搖曳驪山陰。諸姨爛紅裙)"라는 구절은 여산의 아름다운 풍경과 미인들의 화려한 모습에 불길을 비유하여 그 위력을 더욱 강렬하게 표현합니다.
  • 17-24구: 불 이후의 변화와 새로운 시작: 불이 지나간 후의 변화와 새로운 시작을 묘사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나는 본래 산사람이라, 늘 보던 것이라 듣는 것만은 아니네(我本山中人。習見匪獨聞)"라는 구절은 자연 현상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강조하며, 불이 지나간 후의 변화를 직접 목격했음을 나타냅니다. 장은군을 방문하여 그의 집과 주변 풍경이 불로 인해 변한 것을 보고, 술을 마시며 날아가는 재를 바라보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마지막으로, 농사일이 다시 시작되는 모습을 통해 불 이후의 새로운 시작을 암시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비로소 한 번의 불길의 힘이, 여우와 토끼 무리를 깨끗이 씻어냈음을 알겠네(始知一炬力。洗盡狐兎羣)"라는 구절은 불이 모든 것을 깨끗이 정화하는 힘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시는 불이라는 자연 현상을 통해 세상의 변화와 순환, 그리고 새로운 시작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비유와 역사적 고사를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으며, 소식의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엿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화전국박희설(和田國愽喜雪)"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화전국(和田國)의 박(愽)이라는 사람이 눈을 보고 기뻐하는 모습을 읊은 시입니다. 눈이 가져다주는 풍요로움과 그 의미를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백성을 걱정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농사와 관련된 비유를 사용하여 눈의 의미를 더욱 강조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구의 주석인 "[田有服不樂。]"은 원문에 함께 실린 주석으로, 이 시의 주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지난날 밤에는 달이 대낮 같았는데, 새벽이 오니 구름이 하늘을 덮었네. 밤중에 흰 눈이 날리니, 푸른 물결이 내년에 춤추겠네. 멸구(螟蟲)는 남긴 씨앗이 없을 것이고, 떠돌아다니던 백성들은 조금씩 땅을 차지하겠네. 풍년이 들었지만 그대는 즐거워하지 않으니, 종과 경쇠는 어느 때에 편찬될까. [밭에 복상(服喪) 중인 사람이 있어 즐거워하지 못한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눈이 가져다주는 풍요로움과 그 의미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면서도, 마지막 구에서 현실의 어려움을 언급하며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시의 흐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밤과 새벽의 대비, 그리고 눈의 시작: 밤의 밝음과 새벽의 어둠을 대비시키면서 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지난날 밤에는 달이 대낮 같았는데, 새벽이 오니 구름이 하늘을 덮었네(疇昔月如晝。曉來雲暗天)"라는 구절은 밝은 밤과 흐린 새벽의 대비를 통해 눈이 내리기 직전의 상황을 효과적으로 보여줍니다. "밤중에 흰 눈이 날리니, 푸른 물결이 내년에 춤추겠네(玉花飛半夜。翠浪舞明年)"라는 구절은 눈을 '옥꽃(玉花)'에 비유하여 아름답게 표현하고, 눈이 녹아 내년 농사에 도움이 될 것을 '푸른 물결(翠浪)'이 춤추는 것에 비유하여 풍요로움을 암시합니다.
  • 3-4구: 눈이 가져다주는 풍요로움: 눈이 농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구체적으로 언급합니다. "멸구(螟蟲)는 남긴 씨앗이 없을 것이고, 떠돌아다니던 백성들은 조금씩 땅을 차지하겠네(螟無遺種。流亡稍占田)"라는 구절은 눈이 해충을 없애고 유랑민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냅니다. '멸구(螟蟲)'는 벼의 해충으로, 눈이 이 해충의 번식을 막아줄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유망(流亡)'은 떠돌아다니는 백성들을 의미하며, 눈으로 인해 땅이 비옥해져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되면 이들이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냅니다. "풍년이 들었지만 그대는 즐거워하지 않으니, 종과 경쇠는 어느 때에 편찬될까(歲豐君不樂。鍾磬幾時編)"라는 구절은 풍년에도 불구하고 '그대(君)'가 즐거워하지 못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종경(鍾磬)'은 종과 경쇠로, 음악을 의미하며, 풍년을 맞아 음악을 연주하며 즐거워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현실을 나타냅니다.
  • 마지막 구 주석: 시의 주제를 명확히 함: 마지막 구의 주석인 "[田有服不樂。]"은 이 시의 주제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밭에 복상(服喪) 중인 사람이 있어 즐거워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풍년에도 불구하고 상을 당한 사람이 있어 진정으로 즐거워할 수 없는 현실을 나타냅니다. 즉, 눈이 가져다주는 풍요로움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슬픔이나 사회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모두가 함께 기뻐할 수 없는 상황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시는 눈이라는 자연 현상을 통해 풍요로움과 희망을 노래하면서도, 동시에 현실의 어려움과 슬픔을 함께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의 주석을 통해 시의 주제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으며, 소식의 시가 단순히 자연을 읊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현실 사회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기설무저천출성마상작증서요문(祈雪霧豬泉出城馬上作贈舒堯文)"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눈을 기원하며 무저천을 나와 성 밖에서 말 위에서 지어 서요문에게 주다'라는 제목으로, 눈을 기다리는 마음과 여정의 풍경, 그리고 친구에게 시를 지어주기를 권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자신의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을 대비시키면서, 눈을 통해 풍요로운 한 해를 기대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삼 년 동안 오(吳)나라와 월(越)나라를 돌아다니며, 겹겹의 산을 두루 밟았네. 아침에는 흰 구름을 따라 떠나고, 저녁에는 깃들이는 까마귀와 함께 돌아왔네. 훨훨 나는 모습은 나무에 붙은 원숭이와 같으니, 나는 걸음을 누가 능히 붙잡을 수 있으랴. 한 번 관리의 일에 얽매여, 늙도록 책상 앞에서 보냈네. 이번 여정은 또한 무슨 일인가, 애오라지 허리와 다리의 굳은 것을 풀고자 함이네. 넓고 넓은 성의 서남쪽, 어지러운 산들은 고리처럼 둘러 있네. 산 아래에는 시골집들이, 뽕나무와 가래나무가 개암나무와 섞여 있네. 해가 저물어 날씨는 따뜻하고, 사람과 소가 서로 마주 보며 한가롭네. 얇은 눈은 땅을 덮지 못하고, 보리 싹은 드물어 베어낼 만하네. 바라건대 그대가 호방한 시구를 지어, 해학으로 하늘의 인색함을 깨뜨리기를.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4구: 과거의 방랑 생활과 현재의 처지: 과거 자유롭게 떠돌아다니던 생활과 현재 관리로서의 답답한 처지를 대비시키고 있습니다. "삼 년 동안 오(吳)나라와 월(越)나라를 돌아다니며, 겹겹의 산을 두루 밟았네. 아침에는 흰 구름을 따라 떠나고, 저녁에는 깃들이는 까마귀와 함께 돌아왔네(三年走吳越。踏徧千重山。朝隨白雲去。莫與栖鴉還)"라는 구절은 과거 자유로운 방랑 생활을 묘사합니다. '오월(吳越)'은 중국 남동부의 지역으로, 소식이 과거 여러 곳을 여행했음을 나타냅니다. "훨훨 나는 모습은 나무에 붙은 원숭이와 같으니, 나는 걸음을 누가 능히 붙잡을 수 있으랴. 한 번 관리의 일에 얽매여, 늙도록 책상 앞에서 보냈네(翩如得木狖。飛步誰能攀。一為符竹累。坐老敲搒間)"라는 구절은 자유로운 과거와 달리 현재는 관리의 일에 얽매여 답답하게 지내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부죽(符竹)'은 관리의 신분을 나타내는 물건으로, 관리 생활을 의미합니다. '고방간(敲搒間)'은 책상 앞에서 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5-8구: 현재 여정의 목적과 주변 풍경 묘사: 현재의 여정이 단순히 몸의 건강을 위한 것임을 밝히고, 주변 풍경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번 여정은 또한 무슨 일인가, 애오라지 허리와 다리의 굳은 것을 풀고자 함이네. 넓고 넓은 성의 서남쪽, 어지러운 산들은 고리처럼 둘러 있네(此行亦何事。聊散腰腳頑。浩蕩城西南。亂山如玦環)"라는 구절은 현재 여정의 목적이 건강 회복임을 나타냅니다. "산 아래에는 시골집들이, 뽕나무와 가래나무가 개암나무와 섞여 있네. 해가 저물어 날씨는 따뜻하고, 사람과 소가 서로 마주 보며 한가롭네(山下野人家。桑柘雜榛菅。歲晏風日暖。人牛相對閑)"라는 구절은 여정 중 마주친 평화로운 시골 풍경을 묘사합니다. '세안(歲晏)'은 해가 저물어가는 때를 의미하며, 늦가을이나 초겨울의 계절을 나타냅니다.
  • 9-10구: 눈에 대한 기대와 친구에게 시를 권유: 눈이 내리지 않는 상황을 안타까워하며, 친구에게 시를 지어 풍요로운 한 해를 기원해 달라고 부탁하고 있습니다. "얇은 눈은 땅을 덮지 못하고, 보리 싹은 드물어 베어낼 만하네(薄雪不蓋土。麥苗稀可刪)"라는 구절은 눈이 충분히 내리지 않아 농사에 대한 걱정을 나타냅니다. '맥묘(麥苗)'는 보리 싹으로, 겨울철 농작물의 생육 상태를 나타냅니다. "바라건대 그대가 호방한 시구를 지어, 해학으로 하늘의 인색함을 깨뜨리기를(願君發豪句。嘲詼破天慳)"라는 구절은 친구 서요문에게 시를 지어 눈을 기원해 달라고 부탁하는 내용입니다. '조회(嘲詼)'는 해학, 풍자를 의미하며, 하늘의 인색함을 풍자하여 눈이 내리기를 기원하는 시를 지어달라는 의미입니다. '천간(天慳)'은 하늘의 인색함을 의미하며, 눈이 내리지 않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 시는 눈을 기다리는 마음과 여정의 풍경을 통해 풍요로운 한 해를 기대하는 소식의 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과거의 자유로운 생활과 현재의 답답한 처지를 대비시키고, 친구에게 시를 지어줄 것을 권유하는 내용을 통해 시인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운서요문기설무저천(次韻舒堯文祈雪霧豬泉)"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서요문(舒堯文)이 무저천(霧豬泉)에서 눈을 기원하는 시에 차운(次韻)한 작품입니다. 가뭄으로 고통받는 백성을 안타까워하며, 과거의 사례를 언급하고, 서요문에게 시를 통해 하늘에 기우제를 지내달라고 부탁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신화적 상상력과 역사적 고사를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길게 웃으니 뱀 의원이 한 치의 배를 가진 것을 비웃는 것 같고, 얼음을 물고 우박을 토하니 어느 때에 만족할까. 푸른 거위는 죄가 없으니 또한 가련하구나, 목을 베어 쟁반에 놓으니 감히 울지도 못하네. 어찌 알았으랴 샘물 아래에 돼지 용이 있음을, 베개를 베고 우레 수레를 타고 어두운 축을 밟고 있음을. 재작년에 태수(傅欽之)가 가뭄을 위해 기도하니, 빗방울이 사람을 따라 마치 콩을 뿌리는 듯했네. [부흠지가 이 샘에서 기도하여 비를 얻었다.] 태수는 나라로 돌아가고 용은 샘으로 돌아갔으니, 지금까지 사람들은 기원(淇園)의 푸름을 노래하네. 내 지금 또 다시 이 가뭄을 만나니, 차갑고도 가련한 백성들이 도랑에 있네. 다시 옛 자취를 찾아 신령한 샘에 나아가니, 모인 손님은 여전히 왕자연(王子淵)을 데리고 왔네. [흠지 때의 손님은 오직 서요문만 있었네.] 풀 속에서 태평성대의 노래를 보니, 새로운 가락과 묘한 말로 노인의 흰 머리를 위로하네. 새벽이 오니 샘 위로 동풍이 거세게 부니, 모름지기 얼음 구슬이 올라오고 늙은 교룡이 우네. 괴이한 시어로 용이 날아오르도록 하려 하니, 험한 운율은 내 능력을 헤아리지 않았네. 장차 쌓인 눈이 소를 두텁게 묻는 것을 보니, 누가 봄의 조물주와 함께 모든 겨울잠 자는 벌레를 깨울까. 이때 다시 그대의 시를 빌리니, 남은 힘으로 수레 덮개를 고치고 여전히 삿갓을 꿰매네. 붓을 휘둘러 종이에 떨어뜨리되 피곤하다 말하지 마오, 놀란 용이 다시 일어나 실의를 떨치리니.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가뭄을 해소하기 위해 서요문에게 시를 지어달라고 부탁하는 내용으로, 과거의 사례와 신화적 상상력을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가뭄의 심각성과 신화적 상상력: 가뭄의 심각성을 묘사하는 동시에, 샘물 아래에 용이 살고 있다는 신화적 상상력을 펼치고 있습니다. "길게 웃으니 뱀 의원이 한 치의 배를 가진 것을 비웃는 것 같고, 얼음을 물고 우박을 토하니 어느 때에 만족할까(長笑蛇醫一寸腹。銜冰吐雹何時足)"라는 구절은 가뭄의 극심함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어찌 알았으랴 샘물 아래에 돼지 용이 있음을, 베개를 베고 우레 수레를 타고 어두운 축을 밟고 있음을(豈知泉下有豬龍。臥枕雷車踏陰軸)"라는 구절은 샘물 아래에 용이 살고 있다는 신화적 상상력을 보여줍니다. '저룡(豬龍)'은 돼지 용으로, 무저천의 신령한 존재를 의미합니다.
  • 5-8구: 과거의 기우제 성공 사례와 현재의 어려움: 과거 태수 부흠지가 기우제를 지내 비를 얻었던 사례를 언급하며, 현재의 가뭄으로 고통받는 백성들의 상황을 안타까워하고 있습니다. "재작년에 태수(傅欽之)가 가뭄을 위해 기도하니, 빗방울이 사람을 따라 마치 콩을 뿌리는 듯했네(前年太守為旱請。雨點隨人如撒菽)"라는 구절은 과거의 성공 사례를 언급하며 현재의 상황과 대비시키고 있습니다. "내 지금 또 다시 이 가뭄을 만나니, 차갑고도 가련한 백성들이 도랑에 있네(我今又復罹此旱。凜凜疲民在溝瀆)"라는 구절은 가뭄으로 고통받는 백성들의 어려운 상황을 보여줍니다.
  • 9-12구: 서요문에게 시를 부탁하는 이유와 기대: 서요문에게 시를 지어 하늘에 기우제를 지내달라고 부탁하는 이유와 그에 대한 기대를 표현합니다. "다시 옛 자취를 찾아 신령한 샘에 나아가니, 모인 손님은 여전히 왕자연(王子淵)을 데리고 왔네(却尋舊跡叩神泉。坐客仍攜王子淵)"라는 구절은 과거 부흠지가 기우제를 지낼 때 함께했던 서요문을 다시 찾았음을 나타냅니다. "괴이한 시어로 용이 날아오르도록 하려 하니, 험한 운율은 내 능력을 헤아리지 않았네(怪詞欲逼龍飛起。嶮韻不量吾所及)"라는 구절은 서요문의 뛰어난 시 재능을 칭찬하며, 그의 시가 용을 감동시켜 비를 내리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냅니다.
  • 13-16구: 풍요로운 미래를 기원하며 시를 마무리: 눈이 내려 풍요로운 미래가 오기를 기원하며, 서요문에게 시를 완성해 줄 것을 다시 한번 부탁하고 있습니다. "장차 쌓인 눈이 소를 두텁게 묻는 것을 보니, 누가 봄의 조물주와 함께 모든 겨울잠 자는 벌레를 깨울까(行看積雪厚埋牛。誰與春工掀百蟄)"라는 구절은 눈이 많이 내려 풍요로운 한 해가 될 것을 기원하는 내용입니다. "붓을 휘둘러 종이에 떨어뜨리되 피곤하다 말하지 마오, 놀란 용이 다시 일어나 실의를 떨치리니(揮毫落紙勿言疲。驚龍再起震失匙)"라는 구절은 서요문에게 시를 완성해 줄 것을 다시 한번 간곡하게 부탁하는 내용으로, 그의 시가 용을 감동시켜 가뭄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이 시는 가뭄이라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신화적 상상력과 과거의 사례를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서요문의 시 재능에 대한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그의 시가 하늘을 감동시켜 비를 내리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석탄병인(石炭并引)"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석탄과 서문'이라는 제목으로, 팽성(彭城)에서 처음으로 석탄을 발견하게 된 경위와 그 효용을 읊은 시입니다. 특히, 과거 겨울의 어려움과 대비하여 석탄이 가져다 줄 따뜻함과 군수 물자 생산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서문에서는 석탄 발견의 배경과 목적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서문 번역:

팽성에는 예전부터 석탄이 없었다. 원풍 원년(1078년) 12월에 비로소 사람을 보내 주의 서남쪽, 백토진의 북쪽에서 찾아내게 되었다. 철을 제련하여 무기를 만드니, 날카로움이 예전보다 뛰어나다고 한다.

본문 번역: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재작년 비와 눈으로 행인들의 발길이 끊기고, 성안의 주민들은 찬 바람에 정강이가 갈라지는 것을. 젖은 장작 반 묶음을 이불과 함께 안고, 해가 저물도록 문을 두드려도 바꿀 곳이 없었네. 어찌 생각이나 했으랴 산속에 숨겨진 보물이 있을 줄, 널려 있는 모습은 검은 옥돌 만 대의 수레에 실린 탄 같네. 흐르는 기름과 튀는 액체를 아무도 알지 못했으니, 쏴아 하는 바람만이 저절로 흩어지네. 뿌리가 한번 뻗으니 끝없이 넓어지고, 만 명이 북을 치고 천 명이 구경하네. 진흙에 던지고 물을 뿌릴수록 더욱 밝아지니, 옥을 녹이고 금을 흐르게 하는 정련된 기운을 보겠네. 남산의 밤나무 숲은 점차 휴식을 취할 수 있고, 북산의 단단한 광석은 어찌 다시 힘들게 단련하랴. 그대를 위해 백 번 단련한 칼을 만드니, 큰 고래를 베어 만 조각으로 내려 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서문과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탄 발견의 의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 서문: 석탄 발견의 경위 설명: 팽성에서 석탄을 처음 발견하게 된 배경과 목적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철을 제련하여 무기를 만들기 위해 석탄을 찾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본문: 석탄의 효용과 기대: 본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4구: 과거 겨울의 어려움 묘사: 석탄이 발견되기 전 겨울의 추위로 인해 백성들이 겪었던 고통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재작년 비와 눈으로 행인들의 발길이 끊기고, 성안의 주민들은 찬 바람에 정강이가 갈라지는 것을(君不見前年雨雪行人斷。城中居民風裂骭)"이라는 구절은 과거 겨울의 혹독한 추위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젖은 장작으로 겨우 추위를 견뎌야 했던 백성들의 고통스러운 상황을 묘사하며, 석탄 발견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 5-8구: 석탄 발견의 놀라움과 풍부한 매장량: 산속에 숨겨져 있던 석탄이 발견된 것에 대한 놀라움과 그 풍부한 매장량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어찌 생각이나 했으랴 산속에 숨겨진 보물이 있을 줄, 널려 있는 모습은 검은 옥돌 만 대의 수레에 실린 탄 같네(豈料山中有遺寶。磊落如瑿萬車炭)"라는 구절은 석탄을 '숨겨진 보물'에 비유하여 그 가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석탄의 풍부한 매장량을 '만 대의 수레에 실린 탄'에 비유하여 놀라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9-12구: 석탄의 효용과 미래에 대한 기대: 석탄을 이용하여 철을 제련함으로써 얻게 될 효용과 미래에 대한 기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진흙에 던지고 물을 뿌릴수록 더욱 밝아지니, 옥을 녹이고 금을 흐르게 하는 정련된 기운을 보겠네(投泥潑水愈光明。爍玉流金見精悍)"라는 구절은 석탄의 높은 화력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남산의 밤나무 숲은 점차 휴식을 취할 수 있고, 북산의 단단한 광석은 어찌 다시 힘들게 단련하랴(南山栗林漸可息。北山頑鑛何勞鍛)"라는 구절은 석탄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제련 방식에서 발생했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냅니다. 마지막으로, "그대를 위해 백 번 단련한 칼을 만드니, 큰 고래를 베어 만 조각으로 내려 하네(為君鑄作百煉刀。要斬長鯨為萬段)"라는 구절은 석탄으로 만든 무기로 나라의 안녕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이 시는 석탄이라는 새로운 자원의 발견을 통해 백성들의 생활이 나아지고 군사력이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과거의 어려움과 대비하여 석탄의 효용을 강조하고 있으며, 소식의 현실에 대한 관심과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인일렵성남회자십인이신경일조과창급만인호위운식득조자(人日獵城南會者十人以身輕一鳥過槍急萬人呼為韻軾得鳥字)"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인일에 성 남쪽에서 사냥 모임을 가진 열 명 중 한 사람이 몸이 가벼워 새 한 마리가 총알보다 빠르게 지나가는 것을 보고 만인이 환호하여 운(韻)으로 삼으니, 소식이 ‘새 조(鳥)’ 자를 얻다'라는 제목으로, 사냥 모임의 흥취와 자신의 처지에 대한 회상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사냥의 역동적인 묘사와 함께, 영웅의 삶과 자신의 삶을 대비하며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아이들은 사또를 비웃으니, 근심과 분노는 늘 조용하네. 누가 흰 사슴 털로 만든 모자를 쓰고, 따로 금빛 안장을 얹은 준마를 탔는가. 동풍이 젖은 눈을 불어오니, 손이 차가워 맑은 새벽을 두려워하네. 갑자기 두 발의 화살을 쏘니, 서로 쫓는 작은 날벌레 같네. 활을 놓고 길게 휘파람 부니, 외로운 기러기가 높이 나는 것을 눈으로 쫓네. 시를 읊느라 채찍과 고삐를 잊으니, 말없이 머리를 절로 흔드네. 돌아와서도 여전히 거친 밥을 먹고, 소금과 된장에 미나리와 여뀌를 삶네. 어찌 뇌(雷) 장군과 같으랴, 두 눈은 매처럼 날카롭네. 젊은 나이에 이미 장수가 되었으니, 백 번 싸워도 뜻은 끝나지 않았네. 말 위에서 은 술병을 기울이니, 토끼를 잡아도 구울 겨를이 없었네. 젊은 시절 기이한 뜻을 품었으나, 불우한 운명에 온갖 근심이 감싸네. 고개를 돌려 영웅들을 보니, 늙어 죽은 이 이미 적지 않네. 청춘은 한바탕 꿈과 같고, 남은 해는 참으로 나는 새와 같네. 부디 매 사냥하는 대에 오르지 마오, 평생 유표(劉表)를 비웃었으니.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사냥 모임의 풍경과 자신의 회상을 교차시키며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사냥 모임의 시작과 역동적인 묘사: 사냥 모임의 분위기와 역동적인 장면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사또를 비웃으니, 근심과 분노는 늘 조용하네(兒童笑使君。憂慍長悄悄)"라는 구절은 자신의 처지를 간략하게 언급하며 시를 시작합니다. "동풍이 젖은 눈을 불어오니, 손이 차가워 맑은 새벽을 두려워하네(東風吹濕雪。手冷怯清曉)"라는 구절은 사냥이 시작되는 새벽의 차가운 날씨를 묘사합니다. 화살이 빠르게 날아가는 모습과 기러기가 높이 나는 모습을 통해 사냥의 역동적인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5-8구: 소박한 일상과 영웅의 모습 대비: 사냥 후의 소박한 일상과 과거 영웅들의 모습을 대비시키고 있습니다. "돌아와서도 여전히 거친 밥을 먹고, 소금과 된장에 미나리와 여뀌를 삶네(歸來仍脫粟。鹽豉煮芹蓼)"라는 구절은 사냥 후 소박한 식사를 하는 자신의 모습을 묘사합니다. "어찌 뇌(雷) 장군과 같으랴, 두 눈은 매처럼 날카롭네(何似雷將軍。兩眼霜鶻皎)"라는 구절부터는 과거 영웅들의 모습을 회상합니다. 뇌 장군은 용맹한 장수로, 그의 날카로운 눈빛을 통해 영웅의 기개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토끼를 잡을 정도로 용맹했던 영웅의 모습을 통해 자신의 소박한 일상과 대비시키고 있습니다.
  • 9-12구: 젊은 날의 포부와 현재의 회한: 젊은 날의 포부와 현재의 회한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젊은 시절 기이한 뜻을 품었으나, 불우한 운명에 온갖 근심이 감싸네(少年負奇志。蹭蹬百憂繞)"라는 구절은 젊은 시절의 포부를 회상하며, 현재의 불우한 처지를 안타까워하는 내용입니다. "고개를 돌려 영웅들을 보니, 늙어 죽은 이 이미 적지 않네(回首英雄人。老死已不少)"라는 구절은 과거 영웅들의 말로를 언급하며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는 내용입니다.
  • 13-16구: 인생의 무상함과 유표에 대한 비판: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며, 유표를 비판하는 것으로 시를 마무리합니다. "청춘은 한바탕 꿈과 같고, 남은 해는 참으로 나는 새와 같네(青春還一夢。餘年真過鳥)"라는 구절은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부디 매 사냥하는 대에 오르지 마오, 평생 유표(劉表)를 비웃었으니(莫上呼鷹臺。平生笑劉表)"라는 구절은 유표의 무능함을 비판하며, 자신은 그와 같은 삶을 살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는 것으로 시를 마무리합니다. 유표는 후한 말의 제후로, 우유부단하고 무능한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이 시는 사냥이라는 역동적인 장면과 함께, 영웅의 삶과 자신의 삶을 대비하며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에서 유표를 비판하며 자신의 가치관을 드러내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장관뇌승득과자대작(將官雷勝得過字代作)"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장관(將官) 뇌승(雷勝)이 ‘지날 과(過)’ 자를 운(韻)으로 얻어 시를 지어야 했으나, 대신 소식이 지어준 작품입니다. 전쟁의 긴박함과 영웅의 용맹함을 간결하게 묘사하면서도, 현재의 한가로운 사냥을 통해 잠시나마 시름을 잊는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오랑캐 기병이 하늘 가운데로 쳐들어오니, 급한 봉화가 밤새도록 이어지네. 짧은 칼로 적진을 꿰뚫으니, 피가 밍크 가죽옷을 더럽히네. 한 번 서울(輦轂)에 들어오니, 시름과 답답함에 오로지 눕고 싶을 뿐이네. 오늘 아침 공(公)을 따라 사냥하니, 조금이나마 하늘이 넓음을 느끼네. 한 쌍의 쇠 화살은, 쏘기도 전에 손에서 침을 뱉네. 흰 털 여우를 쏘아 죽이니, 허리에는 하나가 더 남아 있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전쟁의 긴박한 상황과 현재의 한가로운 사냥을 대비시키면서, 영웅의 용맹함과 현재의 심정을 간결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두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전쟁의 긴박함과 영웅의 용맹: 오랑캐의 침입과 그에 맞서는 영웅의 용맹함을 긴박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오랑캐 기병이 하늘 가운데로 쳐들어오니, 급한 봉화가 밤새도록 이어지네(胡騎入雲中。急烽連夜過)"라는 구절은 전쟁의 긴박한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호기(胡騎)’는 북방 오랑캐의 기병을 의미하며, 외적의 침입을 나타냅니다. ‘급봉(急烽)’은 급한 상황을 알리는 봉화로, 전쟁의 긴박함을 더합니다. "짧은 칼로 적진을 꿰뚫으니, 피가 밍크 가죽옷을 더럽히네(短刀穿虜陣。濺血貂裘涴)"라는 구절은 영웅의 용맹함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짧은 칼로 적진을 돌파하고 피를 흘리는 모습에서 영웅의 용맹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초구(貂裘)’는 밍크 가죽옷으로, 장군의 위엄을 나타내는 동시에 전쟁의 참혹함을 더욱 부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한 번 서울(輦轂)에 들어오니, 시름과 답답함에 오로지 눕고 싶을 뿐이네(一來輦轂下。愁悶惟欲臥)"라는 구절은 전쟁 이후의 피로와 시름을 나타냅니다. ‘연곡(輦轂)’은 천자의 수레바퀴 아래, 즉 서울을 의미합니다.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왔지만, 여전히 시름과 답답함에 휩싸여 있는 영웅의 내면을 보여줍니다.
  • 5-8구: 현재의 한가로운 사냥과 여유: 전쟁의 긴박함과 대비되는 현재의 한가로운 사냥을 묘사하며, 잠시나마 시름을 잊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오늘 아침 공(公)을 따라 사냥하니, 조금이나마 하늘이 넓음을 느끼네(今朝從公獵。稍覺天宇大)"라는 구절은 현재의 상황이 전쟁과는 달리 한가로운 사냥임을 나타냅니다. ‘공(公)’은 뇌승의 상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냥을 통해 잠시나마 시름을 잊고 자연의 광활함을 느끼는 영웅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한 쌍의 쇠 화살은, 쏘기도 전에 손에서 침을 뱉네(一雙鐵絲箭。未發手先唾)"라는 구절은 영웅의 뛰어난 사냥 실력을 간결하게 보여줍니다. 화살을 쏘기도 전에 침을 뱉는 모습에서 그의 자신감과 숙련된 솜씨를 엿볼 수 있습니다. "흰 털 여우를 쏘아 죽이니, 허리에는 하나가 더 남아 있네(射殺雪毛狐。腰間餘一箇)"라는 구절은 사냥의 결과를 보여주는 동시에, 여유로운 영웅의 모습을 나타냅니다. 여우를 쉽게 잡았고, 아직 화살이 하나 더 남아 있다는 점에서 그의 뛰어난 능력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이 시는 전쟁이라는 긴박한 상황과 현재의 한가로운 사냥을 대비시켜 영웅의 용맹함과 내면의 고뇌를 간결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간결하면서도 생동감 넘치는 묘사를 통해 시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대두사보월득인자(臺頭寺步月得人字)"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대두사에서 달을 보며 걷다가 ‘사람 인(人)’ 자를 운(韻)으로 얻다'라는 제목으로, 달밤의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하면서도, 조정(朝廷)에 대한 그리움과 지난날의 회한을 함께 담고 있습니다. 특히, 섬세한 묘사와 대조적인 이미지를 통해 시적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바람이 은하수를 불어 작은 구름을 쓸어내니, 신을 신고 뜰을 거니니 달빛이 사람을 따르네. 향로의 향기가 촉촉이 밤에 퍼지기 시작하고, 성긴 꽃 그림자는 봄을 흔들려 하네. 멀리 금궐(金闕)도 맑은 풍경이 같을 줄 짐작하고, 모직 덮개 씌운 수레가 어두운 먼지를 굴리는 모습이 상상되네. 머리를 돌이켜 지난날의 즐거웠던 일을 생각하니 참으로 꿈만 같고, 비녀 하나 꽂은 흰 머리에 검은 두건을 썼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달밤의 아름다운 풍경 묘사와 함께, 조정에 대한 그리움과 지난날의 회한을 대비시키고 있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달밤의 아름다운 풍경 묘사: 달밤의 청량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바람이 은하수를 불어 작은 구름을 쓸어내니, 신을 신고 뜰을 거니니 달빛이 사람을 따르네(風吹河漢掃微雲。步屧中庭月趁人)"라는 구절은 맑고 깨끗한 달밤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보여줍니다. ‘하한(河漢)’은 은하수를 의미하며, 밤하늘의 광활함을 나타냅니다. ‘보섭(步屧)’은 신을 신고 걷는 것을 의미하며, 한가로운 밤 산책의 모습을 나타냅니다. "향로의 향기가 촉촉이 밤에 퍼지기 시작하고, 성긴 꽃 그림자는 봄을 흔들려 하네(浥浥爐香初泛夜。離離花影欲搖春)"라는 구절은 후각과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달밤의 풍경을 더욱 풍성하게 묘사합니다. 향긋한 향기와 은은한 꽃 그림자는 시각과 후각을 동시에 자극하며, 밤의 정취를 더합니다.
  • 5-6구: 조정에 대한 그리움과 상상: 현재의 한가로운 풍경과 대비되는 조정의 모습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멀리 금궐(金闕)도 맑은 풍경이 같을 줄 짐작하고, 모직 덮개 씌운 수레가 어두운 먼지를 굴리는 모습이 상상되네(遙知金闕同清景。想見氈車輾暗塵)"라는 구절은 멀리 떨어진 조정의 모습을 상상하는 내용입니다. ‘금궐(金闕)’은 황제가 거처하는 궁궐을 의미하며, 조정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냅니다. ‘전차(氈車)’는 모직 덮개를 씌운 수레로, 고관대작들이 타는 수레를 의미하며, 조정의 분주한 모습을 상상하게 합니다. 현재 절에서 한가롭게 달을 감상하는 자신과 대비되는 조정의 모습은 그리움을 더욱 심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7-8구: 지난날의 회한과 현재의 모습: 지난날의 즐거웠던 때를 회상하며, 현재의 쓸쓸한 모습을 대비시키고 있습니다. "머리를 돌이켜 지난날의 즐거웠던 일을 생각하니 참으로 꿈만 같고, 비녀 하나 꽂은 흰 머리에 검은 두건을 썼네(回首舊游真是夢。一簪華髮岸綸巾)"라는 구절은 과거의 화려했던 시절을 회상하며, 현재의 초라한 모습을 대비시키는 내용입니다. ‘구유(舊游)’는 과거의 즐거웠던 일을 의미하며, 현재의 외로운 상황과 대비됩니다. ‘일잠화발(一簪華髮)’은 비녀 하나 꽂은 흰 머리를 의미하며, 늙고 쓸쓸한 현재의 모습을 나타냅니다. ‘안륜건(岸綸巾)’은 검은 두건으로, 은둔 생활을 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과거의 화려함과 현재의 초라함은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게 합니다.

이 시는 달밤의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조정에 대한 그리움과 지난날의 회한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조적인 이미지를 통해 시적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으며, 소식의 내면세계를 엿볼 수 있게 합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태두사송송희원(臺頭寺送宋希元)"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태두사에서 송희원을 보내며'라는 제목으로, 짧은 만남의 아쉬움과 작별의 슬픔, 그리고 앞으로의 기약과 서로의 포부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사를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만나 함께 지낸 것은 올해뿐이네. 남대(南臺)에서 이별하니 문득 슬퍼지네. 밤이 깊어 다시 금루곡(金縷曲)을 노래하니, 훗날 각궁편(角弓篇)을 잊지 마오. [이날 송 군과 함께 절에서 소나무를 심었다.] 삼 년 동안 동쪽 이웃의 여자를 돌아보지 않았고, 두 이랑의 밭을 비로소 성곽 바깥에서 구했네. 나는 돌아가 쉬고 싶지만 그대는 아직 안 되니, 무선(茂先)은 바야흐로 용천(龍泉)을 캐낼 것을 의논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짧은 만남의 아쉬움과 앞으로의 기약을 중심으로, 작별의 슬픔과 서로의 포부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서문에서 이날 송 군과 함께 절에서 소나무를 심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습니다. 네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짧은 만남의 아쉬움과 작별의 슬픔: 짧은 만남을 아쉬워하며, 이별의 슬픔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만나 함께 지낸 것은 올해뿐이네. 남대(南臺)에서 이별하니 문득 슬퍼지네(相從傾蓋只今年。送別南臺便黯然)"라는 구절은 짧은 만남의 아쉬움을 강조합니다. ‘경개(傾蓋)’는 수레의 덮개를 기울인다는 뜻으로, 길에서 우연히 만나는 것을 비유합니다. 짧은 만남이었지만 깊은 정이 들었음을 나타냅니다. ‘남대(南臺)’는 이별의 장소를 의미하며, 이별의 슬픔을 더욱 부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3-4구: 앞으로의 기약과 우정의 다짐: 이별의 슬픔을 뒤로하고, 앞으로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며 우정을 다짐하고 있습니다. "밤이 깊어 다시 금루곡(金縷曲)을 노래하니, 훗날 각궁편(角弓篇)을 잊지 마오(入夜更歌金縷曲。他時莫忘角弓篇)"라는 구절은 이별의 아쉬움을 달래며 우정을 다짐하는 내용입니다. ‘금루곡(金縷曲)’은 이별의 노래로, 아쉬움을 표현하는 동시에 우정을 다지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각궁편(角弓篇)’은 시경(詩經)의 시로, 친구와의 우정을 노래한 시입니다. 훗날 서로를 잊지 말자는 약속을 의미합니다. 서문에서 언급된 소나무를 함께 심었다는 사실은 이러한 기약을 더욱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 5-6구: 고사를 활용한 서로의 포부: 고사를 인용하여 서로의 포부를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삼 년 동안 동쪽 이웃의 여자를 돌아보지 않았고, 두 이랑의 밭을 비로소 성곽 바깥에서 구했네(三年不顧東鄰女。二頃方求負郭田)"라는 구절은 두 가지 고사를 인용하고 있습니다. ‘삼 년 불고 동린녀(三年不顧東鄰女)’는 맹자(孟子)의 ‘양혜왕 하(梁惠王 下)’에 나오는 이야기로, 집중하여 큰일을 이루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이경 방구 부곽전(二頃方求負郭田)’은 계자(季子)의 이야기로, 검소하게 생활하며 뜻을 이루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이 두 가지 고사를 통해 송희원의 높은 포부와 검소한 생활 태도를 동시에 드러내고 있습니다.
  • 7구: 서로 다른 길을 가는 아쉬움: 자신은 은퇴를 생각하고 있지만, 송희원은 아직 뜻을 펼쳐야 할 때임을 나타내며, 서로 다른 길을 가게 된 것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나는 돌아가 쉬고 싶지만 그대는 아직 안 되니, 무선(茂先)은 바야흐로 용천(龍泉)을 캐낼 것을 의논하네(我欲歸休君未可。茂先方議斸龍泉)"라는 구절은 자신과 송희원의 상황이 다름을 나타냅니다. 자신은 은퇴하여 쉬고 싶어 하지만, 송희원은 아직 뜻을 펼쳐야 할 때임을 나타냅니다. ‘무선(茂先)’은 조조(曹操)의 모사(謀士)인 만총(滿寵)의 자(字)로, 뛰어난 능력을 가진 인물을 비유합니다. ‘용천(龍泉)’은 명검(名劍)의 이름으로, 뛰어난 재능이나 큰 포부를 비유합니다. 송희원의 뛰어난 재능과 큰 포부를 암시하며, 앞으로 큰일을 해낼 것을 기대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시는 짧은 만남의 아쉬움과 이별의 슬픔을 표현하면서도, 앞으로의 기약과 서로의 포부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사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풍부하게 전달하고 있으며, 친구를 보내는 아쉬움과 앞날을 축복하는 마음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태두사송송희원(臺頭寺送宋希元)"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태두사에서 송희원을 보내며'라는 제목으로, 친구와의 짧은 만남을 아쉬워하며 이별을 슬퍼하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과거의 고사를 인용하여 친구의 높은 뜻과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하는 내용 또한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간결한 어조 속에 담긴 깊은 우정과 기대가 인상적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서로 만나 마음을 터놓은 것은 올해뿐이네. 남대(南臺)에서 이별하니 문득 슬퍼지네. 밤이 깊어 다시 금루곡(金縷曲)을 노래하니, 훗날 각궁편(角弓篇)을 잊지 마오. [이날 송 군과 함께 절에서 소나무를 심었다.] 삼 년 동안 동쪽 이웃의 여자를 돌아보지 않았고, [송나라의 왕을 인용함.] 두 이랑의 밭을 비로소 성곽 바깥에서 구했네. [계자를 인용함.] 나는 돌아가 쉬고 싶지만 그대는 아직 그러하면 안 되네. 무선(茂先)은 바야흐로 용천(龍泉)을 파낼 것을 의논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친구와의 이별을 아쉬워하며, 그의 앞날을 축복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짧은 만남과 이별의 슬픔: 친구와의 짧은 만남을 아쉬워하며 이별의 슬픔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서로 만나 마음을 터놓은 것은 올해뿐이네(相從傾蓋只今年)"라는 구절은 두 사람의 만남이 짧았음을 나타냅니다. ‘경개(傾蓋)’는 수레의 덮개를 기울여 서로 마주본다는 뜻으로, 처음 만남을 의미합니다. "남대(南臺)에서 이별하니 문득 슬퍼지네(送別南臺便黯然)"라는 구절은 이별의 장소와 슬픈 감정을 명확하게 드러냅니다.
  • 3-4구: 우정과 앞으로의 만남을 기약: 밤늦도록 함께 노래를 부르며 우정을 나누고, 훗날을 기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밤이 깊어 다시 금루곡(金縷曲)을 노래하니, 훗날 각궁편(角弓篇)을 잊지 마오(入夜更歌金縷曲。他時莫忘角弓篇)"라는 구절은 이별의 아쉬움을 달래며 우정을 나누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금루곡(金縷曲)’은 이별의 슬픔을 노래한 곡조로, 이별의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킵니다. ‘각궁편(角弓篇)’은 ‘시경(詩經)’의 시편 중 하나로, 친구와의 우정을 노래한 시입니다. 훗날에도 서로를 잊지 말자는 약속을 담고 있습니다. "이날 송 군과 함께 절에서 소나무를 심었다(是日與宋君同栽松寺中)"라는 주석은 두 사람의 우정을 상징하는 행위를 보여줍니다. 소나무는 변치 않는 절개를 상징하므로, 두 사람의 굳건한 우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5-6구: 과거 고사 인용과 친구의 높은 뜻 기대: 과거의 고사를 인용하여 친구의 높은 뜻과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삼 년 동안 동쪽 이웃의 여자를 돌아보지 않았고, 두 이랑의 밭을 비로소 성곽 바깥에서 구했네(三年不顧東鄰女。二頃方求負郭田)"라는 구절은 각각 송나라의 왕과 계자의 고사를 인용한 것입니다. ‘삼 년 불고 동린녀(三年不顧東鄰女)’는 송나라의 왕이 3년 동안 여색을 멀리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데 전념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송희원의 높은 이상과 의지를 나타냅니다. ‘이경 방구 부곽전(二頃方求負郭田)’은 계자가 작은 밭을 구하여 검소하게 살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송희원의 청렴하고 검소한 태도를 나타냅니다. "나는 돌아가 쉬고 싶지만 그대는 아직 그러하면 안 되네. 무선(茂先)은 바야흐로 용천(龍泉)을 파낼 것을 의논하네(我欲歸休君未可。茂先方議斸龍泉)"라는 구절은 자신은 은퇴를 생각하고 있지만, 송희원은 앞으로 큰 뜻을 펼쳐야 함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무선(茂先)’은 한나라 때의 인물인 경단을 가리키는 것으로, 뛰어난 능력을 가진 인물을 비유합니다. ‘용천(龍泉)’은 명검의 이름으로, 송희원의 뛰어난 재능과 앞으로의 활약을 비유합니다.

이 시는 친구와의 짧은 만남을 아쉬워하는 마음과 그의 밝은 미래를 축복하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과거의 고사를 인용하여 친구의 높은 뜻과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하는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간결한 어조 속에 담긴 깊은 우정과 기대는 독자에게 잔잔한 감동을 줍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종송득래자(種松得徠字)"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소나무를 심고 ‘올 래(徠)’ 자를 운(韻)으로 얻다'라는 제목으로, 여러 곳에 심은 소나무에 대한 애정과 기대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나무의 강인한 생명력과 오랜 수명을 찬양하며, 자신의 처지와 대비하여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는 내용 또한 담고 있습니다. 제시된 주석에 따르면, 이 시는 여러 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4번째 수는 회고당(懷古堂)에, 6번째 수는 석경원(石經院)에 심은 소나무를 읊은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서는 전체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해석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봄바람이 느릅나무 숲을 스치니, 어지러운 꽃잎이 날아 쌓이네. 황폐한 정원에 비가 한 번 지나가니, 가지런히 천만 그루가 자라네. 푸른 소나무는 심어도 잘 자라지 않으니, 백 그루를 심어 한 그루를 바라네. 한 그루만 있어도 이미 충분하니, 기상이 천 이랑의 회화나무를 누르네. 시골 사람은 쉽게 한 말의 곡식을 얻으니, 스스로 노(魯)나라 추래산(徂徠山)에서 왔다고 하네. 노나라 사람들은 귀한 줄 모르고, 만 집에서 푸른 석탄 연기를 날리네. 묶여서 같은 수레에 실려 왔으니, 어찌하여 왔는가. 눈물을 흘리며 그 묶음을 풀어주고, 맑은 샘물로 떠도는 먼지를 씻어주네. 가지는 상처 입고 잎은 여전히 힘겨워하니, 생기가 아직 돌아오려 하지 않네. 산의 스님은 늙어 아들이 없으니, 어린아이처럼 보살피네. 앉아서 용과 뱀이 꿈틀거리는 것을 기다리니, 맑은 그늘이 남대(南臺)에 가득하네. 외로운 뿌리는 산의 돌을 뚫고, 곧은 줄기는 바람과 우레를 헤치네. 내 지금 백일 동안 머무는 나그네이니, 이 천 년의 재목을 기르네. [당시 떠나기까지 백일이 채 남지 않았었다.] 복령(茯苓)은 소식이 없고, 두 귀밑머리는 밤낮으로 쇠하네. 예나 지금이나 잠깐 사이에 지나가는 것이니, 시를 지어 남은 슬픔을 부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소나무를 심고 가꾸는 과정을 통해 자연의 섭리와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6구: 소나무의 생명력과 가치: 봄의 풍경과 대비되는 소나무의 강인한 생명력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봄바람이 느릅나무 숲을 스치니, 어지러운 꽃잎이 날아 쌓이네. 황폐한 정원에 비가 한 번 지나가니, 가지런히 천만 그루가 자라네(春風吹榆林,亂英飛作堆。荒園一雨過。戢戢千萬栽)"라는 구절은 봄의 생동감 넘치는 풍경을 묘사하며 시를 시작합니다. 그러나 이어지는 구절에서 소나무는 쉽게 자라지 않는다고 언급하며, 소나무의 가치를 부각합니다. "푸른 소나무는 심어도 잘 자라지 않으니, 백 그루를 심어 한 그루를 바라네. 한 그루만 있어도 이미 충분하니, 기상이 천 이랑의 회화나무를 누르네(青松種不生。百株望一枚。一枚已有餘。氣壓千畝槐)"라는 구절은 소나무의 귀한 가치를 강조합니다. "시골 사람은 쉽게 한 말의 곡식을 얻으니, 스스로 노(魯)나라 추래산(徂徠山)에서 왔다고 하네. 노나라 사람들은 귀한 줄 모르고, 만 집에서 푸른 석탄 연기를 날리네(野人易斗粟。云自魯徂徠。魯人不知貴。萬竈飛青煤)"라는 구절은 소나무의 고향인 추래산을 언급하며, 사람들이 소나무의 진정한 가치를 모르고 함부로 사용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는 내용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7-12구: 소나무를 가꾸는 정성과 소나무의 강인함: 옮겨 심은 소나무를 정성껏 가꾸는 모습과, 역경 속에서도 굳건히 자라는 소나무의 강인함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묶여서 같은 수레에 실려 왔으니, 어찌하여 왔는가. 눈물을 흘리며 그 묶음을 풀어주고, 맑은 샘물로 떠도는 먼지를 씻어주네(束縛同一車。胡為乎來哉。泫然解其縛。清泉洗浮埃)"라는 구절은 옮겨 심어진 소나무의 고된 여정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며,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냅니다. "가지는 상처 입고 잎은 여전히 힘겨워하니, 생기가 아직 돌아오려 하지 않네. 산의 스님은 늙어 아들이 없으니, 어린아이처럼 보살피네(枝傷葉尚困。生意未肯回。山僧老無子。養護如嬰孩)"라는 구절은 소나무를 정성껏 보살피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앉아서 용과 뱀이 꿈틀거리는 것을 기다리니, 맑은 그늘이 남대(南臺)에 가득하네. 외로운 뿌리는 산의 돌을 뚫고, 곧은 줄기는 바람과 우레를 헤치네(坐待走龍蛇。清陰滿南臺。孤根裂山石。直榦排風雷)"라는 구절은 소나무의 강인한 생명력을 찬양하는 내용입니다.
  • 13-16구: 자신의 처지와 대비되는 소나무의 영원함: 오랜 세월을 살아가는 소나무와 대비되는 자신의 유한한 삶을 느끼며, 슬픔을 시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내 지금 백일 동안 머무는 나그네이니, 이 천 년의 재목을 기르네. 당시 떠나기까지 백일이 채 남지 않았었다."라는 구절은 소나무의 긴 수명과 대비되는 자신의 짧은 체류 기간을 나타내며, 인생의 유한함을 느끼는 내용입니다. "복령(茯苓)은 소식이 없고, 두 귀밑머리는 밤낮으로 쇠하네. 예나 지금이나 잠깐 사이에 지나가는 것이니, 시를 지어 남은 슬픔을 부치네(伏苓無消息。雙鬢日夜摧。今古一俛仰。作詩寄餘哀)"라는 구절은 자신의 늙고 병든 모습을 묘사하며, 인생의 무상함을 더욱 강조합니다. ‘복령(茯苓)’은 약재의 이름으로, 건강이 좋지 않음을 암시합니다.

이 시는 소나무라는 자연물을 통해 인생의 무상함과 영원함에 대한 사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소나무의 강인한 생명력과 대비되는 자신의 유한한 삶을 안타까워하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작시기왕진경홀억전년한식북성지유주필위차시(作詩寄王晉卿忽憶前年寒食北城之游走筆為此詩)"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왕진경(王晉卿)에게 시를 부치며 문득 재작년 한식날 북쪽 성의 유람을 생각하고 붓 가는 대로 이 시를 짓다'라는 제목으로, 과거 함께 즐겼던 한식날의 추억을 회상하며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화려했던 과거와 대비되는 현재의 쓸쓸함, 그리고 재회를 기약하는 마음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북쪽 성의 한식날은 연기와 불빛이 희미하고, 지는 꽃잎과 나비가 떼를 지어 날았네. 귀한 집 자제는 나가 놀며 돌아갈 줄 몰랐으니, 문 앞의 검은 말은 자금으로 장식한 고삐를 하고 있었네. 휘장을 친 장막 안에서 생황을 부니 연기가 자욱하고, 지나가는 사람은 머리를 들어 감히 쳐다보지 못했네. 문을 두드리는 미친 듯한 나그네를 그대는 막지 않았으니, 다시 경국지색의 미인을 푸른 휘장 밖으로 내보냈네. 늙은 선비의 눈에는 볼 것이 드무니, 그림을 보면 다만 주방(周昉)의 그림이 살찐 것만 같네. 이별한 후 봄 경치는 이미 두 번이나 시들었으니, 서쪽을 바라보아도 붉은 해가 둘러싸인 것을 볼 수 없네. 어느 때에 동산에서 고사리를 캐는 노래를 부르며, 술잔을 잡고 함께 금루의(金縷衣)를 들을까.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과거 한식날의 화려했던 추억과 현재의 쓸쓸함을 대비시키면서, 친구와의 재회를 기약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과거 한식날의 화려한 풍경: 과거 함께 했던 한식날의 화려하고 흥겨웠던 풍경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북쪽 성의 한식날은 연기와 불빛이 희미하고, 지는 꽃잎과 나비가 떼를 지어 날았네(北城寒食煙火微。落花胡蝶作團飛)"라는 구절은 한식날의 분위기를 묘사합니다. 한식은 불을 피우지 않는 날이므로 연기가 희미하다고 표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꽃잎이 지고 나비가 날아다니는 모습은 봄의 정취를 나타냅니다. "귀한 집 자제는 나가 놀며 돌아갈 줄 몰랐으니, 문 앞의 검은 말은 자금으로 장식한 고삐를 하고 있었네(王孫出游樂忘歸。門前騘馬紫金鞿)"라는 구절은 왕진경의 높은 신분과 화려한 생활을 보여줍니다. ‘왕손(王孫)’은 귀족 자제를 의미하며, ‘자금기(紫金鞿)’는 자색 금으로 장식한 고삐를 의미합니다. "휘장을 친 장막 안에서 생황을 부니 연기가 자욱하고, 지나가는 사람은 머리를 들어 감히 쳐다보지 못했네(吹笙帳底煙霏霏。行人舉頭誰敢睎)"라는 구절은 당시 연회의 화려함을 더욱 부각합니다. 휘장을 친 장막 안에서 생황을 부는 모습은 호화로운 연회를 연상시키며, 지나가는 사람들이 감히 쳐다보지 못할 정도였다는 표현은 당시의 위세를 보여줍니다. "문을 두드리는 미친 듯한 나그네를 그대는 막지 않았으니, 다시 경국지색의 미인을 푸른 휘장 밖으로 내보냈네(扣門狂客君不麾。更遣傾城出翠幃)"라는 구절은 왕진경의 호방한 성격을 보여줍니다. 문을 두드리는 나그네를 막지 않고, 미인까지 내보냈다는 것은 그의 관대함과 호탕함을 나타냅니다.
  • 5-6구: 현재의 쓸쓸함과 회상: 과거의 화려함과 대비되는 현재의 쓸쓸한 심정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늙은 선비의 눈에는 볼 것이 드무니, 그림을 보면 다만 주방(周昉)의 그림이 살찐 것만 같네(書生老眼省見稀。畫圖但覺周昉肥)"라는 구절은 자신의 늙고 쇠약해진 모습을 나타냅니다. ‘주방(周昉)’은 당나라의 유명한 화가로, 주로 미인도를 그렸습니다. 그림을 보고 살쪘다고 느낀다는 것은 당시의 화려한 풍경을 제대로 감상하지 못하는 자신의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별한 후 봄 경치는 이미 두 번이나 시들었으니, 서쪽을 바라보아도 붉은 해가 둘러싸인 것을 볼 수 없네(別來春物已再菲。西望不見紅日圍)"라는 구절은 이별 후 시간이 많이 흘렀음을 나타냅니다. 봄 경치가 두 번이나 시들었다는 것은 2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음을 의미하며, 친구와 오랫동안 만나지 못했음을 암시합니다. ‘홍일위(紅日圍)’는 붉은 해가 지는 것을 의미하며, 석양을 바라보며 친구를 그리워하는 심정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7-8구: 재회를 기약하는 마음: 친구와의 재회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어느 때에 동산에서 고사리를 캐는 노래를 부르며, 술잔을 잡고 함께 금루의(金縷衣)를 들을까(何時東山歌采薇。把琖一聽金縷衣)"라는 구절은 다시 만나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를 기약하는 내용입니다. ‘동산(東山)’은 은거하는 곳을 의미하며, ‘채미(采薇)’는 고사리를 캐는 것으로, 은둔 생활을 의미합니다. ‘금루의(金縷衣)’는 당나라 때의 가요로, 이별의 슬픔을 노래한 곡입니다. 다시 만나 함께 술을 마시며 이 노래를 듣자는 것은 이별의 슬픔을 함께 나누고,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과거의 화려했던 추억과 현재의 쓸쓸함을 대비시키면서, 친구와의 재회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섬세한 묘사와 과거의 고사를 활용하여 시적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蘇軾(소식)의 동파집에 실린 시, "설재(雪齋)항승법언작설산어재중"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설재(눈의 서재)[항주 스님 법언이 서재 안에 설산을 만들다]'라는 제목으로, 항주(杭州)의 스님 법언(法言)이 서재 안에 만든 설산을 보고 지은 시입니다. 현실의 번잡함과 더위를 잊고자 인공적으로 만든 설산의 시원함을 찬양하며, 꿈속에서 본 설경과 대비하여 현실의 고뇌를 잠시 잊고자 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아미산(蛾眉山) 서쪽의 눈이 천 리에 뻗쳐 있는 것을. 북쪽으로 성도(成都)를 바라보면 마치 우물 밑과 같네. 봄바람 백 일 동안 불어도 녹지 않으니, 오월(五月)의 행인은 마치 얼어붙은 개미와 같네. 분분한 세상 사람들이 다투는 가운데, 누가 법언 스님이 마치 찬공(贊公)과 같다고 믿겠는가. 인간 세상의 뜨거운 번뇌를 씻을 곳이 없으니, 그러므로 서쪽 서재를 향해 설산을 만들었네. 나는 꿈에 조각배를 타고 오월(吳越)에 갔으니, 긴 복도와 조용한 뜰에 등불이 달빛 같았네. 문을 열어도 사람과 소는 보이지 않고, 오직 텅 빈 뜰에 가득한 눈만 보이네. [법언 스님이 시를 보내왔는데, 숲 아래에서 한가로이 물소(水牯牛)를 본다고 하였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현실의 번잡함과 더위를 잊고자 만든 설산을 묘사하며, 꿈과 현실을 대비시켜 시적 의미를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설산의 장관과 현실의 고뇌: 아미산의 설경을 언급하며, 현실의 뜨거운 번뇌를 대비시키고 있습니다.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아미산 서쪽의 눈이 천 리에 뻗쳐 있는 것을. 북쪽으로 성도(成都)를 바라보면 마치 우물 밑과 같네(君不見蛾眉山西雪千里。北望城都如井底)"라는 구절은 아미산의 웅장한 설경을 묘사하며, 시의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봄바람 백 일 동안 불어도 녹지 않으니, 오월(五月)의 행인은 마치 얼어붙은 개미와 같네(春風百日吹不消。五月行人如凍蟻)"라는 구절은 눈의 차가움과 지속성을 강조하며, 현실의 더위와 대비시킵니다. "분분한 세상 사람들이 다투는 가운데, 누가 법언 스님이 마치 찬공(贊公)과 같다고 믿겠는가(紛紛市人爭奪中。誰信言公似贊公)"라는 구절은 세상 사람들의 번잡한 모습과 대비되는 법언 스님의 고고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찬공(贊公)’은 고승(高僧)으로, 법언 스님의 높은 덕을 비유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인간 세상의 뜨거운 번뇌를 씻을 곳이 없으니, 그러므로 서쪽 서재를 향해 설산을 만들었네(人間熱惱無處洗。故向西齋作雪峰)"라는 구절은 법언 스님이 설산을 만든 이유를 설명합니다. 현실의 번뇌를 씻고자 인공적으로 설산을 만들었다는 것은, 그의 고뇌와 염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6구: 꿈속의 설경과 현실의 대비: 꿈속에서 본 설경을 묘사하며, 현실과의 괴리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나는 꿈에 조각배를 타고 오월(吳越)에 갔으니, 긴 복도와 조용한 뜰에 등불이 달빛 같았네(我夢扁舟適吳越。長廊靜院燈如月)"라는 구절은 꿈속의 평화로운 풍경을 묘사합니다. "문을 열어도 사람과 소는 보이지 않고, 오직 텅 빈 뜰에 가득한 눈만 보이네(開門不見人與牛。惟見空庭滿山雪)"라는 구절은 꿈속에서 본 순수한 설경을 보여줍니다. 사람과 소가 없는 텅 빈 뜰에 눈만 가득하다는 것은, 현실의 번잡함에서 벗어난 이상적인 세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7구: 법언 스님의 시 인용: 법언 스님이 보낸 시의 내용을 언급하며, 시의 주제를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습니다. "법언 스님이 시를 보내왔는데, 숲 아래에서 한가로이 물소(水牯牛)를 본다고 하였네."라는 주석은 법언 스님의 시 내용을 인용하여, 그의 한가로운 삶과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소식이 묘사한 설산의 고요함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현실의 번잡함과 더위를 잊고자 만든 설산을 통해, 고요하고 순수한 세계를 갈망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꿈과 현실의 대비를 통해 시적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법언 스님의 시를 인용함으로써 시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이쌍도유자유자유유시차기운(以雙刀遺子由子由有詩次其韻)"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쌍칼을 자유(子由, 소철의 자)에게 주니 자유가 시를 지어 차운(次韻)하다'라는 제목으로, 형인 소식이 아우 소철에게 쌍칼을 선물로 주고, 소철이 그에 화답하여 시를 지은 것에 다시 화답하는 내용입니다. 칼이라는 사물을 통해 형제간의 우애와 서로를 아끼는 마음, 그리고 세상의 이치에 대한 깊은 사색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보검은 칼집 속에 있어 보이지 않고, 다만 용과 새가 새겨진 고리만 보이네. 어찌 일찍이 교룡(蛟龍)을 베었겠으며, 또한 아름다운 옥을 잘라보지도 못했네. 어찌하여 담을 넘는 도둑 같은 무리가, 그것을 보면 목덜미가 서늘해지겠는가. 내 칼은 너희에게 묻지 않으니, 부끄러움이 그 마음속에 있네. 이것을 생각하니 이에 스스로 간직하게 되니, 그것을 호랑이 가죽 무늬로 싸네. 맑고 고요함이 마치 오래된 우물과 같아, 한 해가 다 가도록 다시 물결치지 않네. 쓰일 곳이 없을까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쓰고자 하는 사람이 어려운 것이 걱정이네. 그것을 찰 사람이 그 사람이 아니라면, 칼집 속에서 저절로 탄식하네. 나는 늙어서 여러 사람에게 업신여김을 받으니, 여러 번 뜻밖의 일을 겪었네. 오직 왕현통(王玄通)만이, 섬돌 앞 뜰에 아름다운 난초를 심었네. 그대가 반드시 나중에 크게 될 줄 알기에, 그러므로 칼을 쓰는 데 편리한 것을 택했네. 개를 잡는 데 쓰이는 칼이 아니니, 한 해에 여섯, 일곱 번이나 닳아 없어지겠는가. 백 번이나 단련한 강철을 시험하고자 한다면, 모름지기 다시 진흙 속에서 단련해야 하네. 시를 지어 그 등에 새기니, 지혜로운 사람이 보기를 기다리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칼이라는 객관적인 사물을 통해 형제간의 우애와 세상의 이치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칼의 외형과 내면: 칼의 외형적인 모습과 그 속에 담긴 의미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보검은 칼집 속에 있어 보이지 않고, 다만 용과 새가 새겨진 고리만 보이네. 어찌 일찍이 교룡(蛟龍)을 베었겠으며, 또한 아름다운 옥을 잘라보지도 못했네(寶刀匣不見。但見龍雀鐶。何曾斬蛟蛇。亦未切琅玕)"라는 구절은 칼의 화려한 외형을 묘사하면서도, 아직 실전에 쓰이지 않은 칼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어찌하여 담을 넘는 도둑 같은 무리가, 그것을 보면 목덜미가 서늘해지겠는가. 내 칼은 너희에게 묻지 않으니, 부끄러움이 그 마음속에 있네(胡為穿窬輩。見之要領寒。吾刀不汝問。有愧在其肝)"라는 구절은 칼의 위엄을 보여주면서도, 함부로 쓰이지 않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이것을 생각하니 이에 스스로 간직하게 되니, 그것을 호랑이 가죽 무늬로 싸네. 맑고 고요함이 마치 오래된 우물과 같아, 한 해가 다 가도록 다시 물결치지 않네(念此乃自藏。包之虎皮斑。湛然如古井。終歲不復瀾)"라는 구절은 칼을 소중히 간직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칼의 내면적인 가치를 강조합니다.
  • 5-8구: 칼의 쓰임과 사람의 중요성: 칼의 쓰임은 칼 자체보다 사용하는 사람에게 달려 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쓰일 곳이 없을까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쓰고자 하는 사람이 어려운 것이 걱정이네. 그것을 찰 사람이 그 사람이 아니라면, 칼집 속에서 저절로 탄식하네(不憂無所用。憂在用者難。佩之非其人。匣中自長歎)"라는 구절은 칼의 가치를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나는 늙어서 여러 사람에게 업신여김을 받으니, 여러 번 뜻밖의 일을 겪었네. 오직 왕현통(王玄通)만이, 섬돌 앞 뜰에 아름다운 난초를 심었네(我老衆所易。屢遭非意干。惟有王玄通。階庭秀芳蘭)"라는 구절은 자신의 처지를 언급하며, 소철과 같은 뛰어난 인재를 아끼는 마음을 드러냅니다.
  • 9-12구: 소철에 대한 기대와 당부: 아우 소철에 대한 기대와 당부의 말을 전하고 있습니다. "그대가 반드시 나중에 크게 될 줄 알기에, 그러므로 칼을 쓰는 데 편리한 것을 택했네. 개를 잡는 데 쓰이는 칼이 아니니, 한 해에 여섯, 일곱 번이나 닳아 없어지겠는가(知子必後大。故擇刀所便。屠狗非不用。一歲六七刓)"라는 구절은 소철의 뛰어난 재능을 인정하며, 그에 걸맞은 칼을 선물한 이유를 설명합니다. "백 번이나 단련한 강철을 시험하고자 한다면, 모름지기 다시 진흙 속에서 단련해야 하네. 시를 지어 그 등에 새기니, 지혜로운 사람이 보기를 기다리네(欲試百鍊剛。要須更泥蟠。作詩銘其背。以待知者看)"라는 구절은 소철이 더욱 단련하여 큰 인물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으며, 이 시를 통해 후세에까지 그 의미가 전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이 시는 칼이라는 사물을 매개로 형제간의 깊은 우애와 서로를 격려하는 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인재의 중요성과 세상의 이치에 대한 깊은 사색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소철의 밝은 미래를 기대하며 시를 마무리하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유환산회자십인이춘수만사택하운다기봉위운득택자(游桓山會者十人以春水滿四澤夏雲多奇峰為韻得澤字)"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환산(桓山)에서 열 명이 모여 ‘봄 물은 모든 못에 가득하고 여름 구름은 기이한 봉우리에 많다’를 운으로 하여 ‘못 택(澤)’ 자를 얻다'라는 제목으로, 환산에서 열 명의 친구들과 함께 봄의 정취를 즐기며 느낀 감회를 읊은 시입니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미하고, 인생의 의미를 성찰하며, 친구들과의 우정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동쪽 들에서 봄을 찾고자 하였으나, 꾀꼬리 꽃의 흔적도 보지 못했네. 봄바람은 흐르는 물에 있으니, 오리와 기러기가 먼저 푸드덕거리네. 외로운 돛단배는 물결에 맡겨 흔들리니, 이 반 장대 푸른 물결을 희롱하네. 배를 환산 아래에 대고, 길게 휘파람 불며 가벼운 채찍을 정리하네. 돌굴 속에서 거문고를 타니, 그윽한 소리가 맑게 울리네. 저 샘물 아래 사람을 조문하니, 들불에 마른 고기가 재를 잃었네. 이 인간 세상을 깨달으니, 무엇이 진정한 집인가. 저녁에 백보 홍(百步洪)으로 돌아와, 큰 바위 위에 흩어져 앉았네. 부끄럽게도 나는 왕양(王襄)이 아니지만, 자연(子淵)은 기꺼이 손님을 맞아주네. 물가에 임하여 퉁소를 부니, 물에 비친 달이 쌍옥(雙玉)을 비추네. [왕씨 형제를 이름.] 이 즐거움은 진실로 영원히 썩지 않을 것이니, 머리를 돌리니 세월이 가로막혀 있네. 비스듬한 시내에서 놀던 것을 상상하니, 시를 지어 팽택(彭澤)을 이었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아름다운 자연 풍경 속에서 인생의 의미를 되새기고, 친구들과의 우정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6구: 봄 풍경과 유람의 즐거움: 봄의 정취를 찾아 환산으로 유람을 떠나는 여정과 그곳에서 느낀 즐거움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동쪽 들에서 봄을 찾고자 하였으나, 꾀꼬리 꽃의 흔적도 보지 못했네. 봄바람은 흐르는 물에 있으니, 오리와 기러기가 먼저 푸드덕거리네(東郊欲尋春。未見鷪花跡。春風在流水。鳬鴈先拍拍)"라는 구절은 봄을 찾아 나섰지만 아직 봄기운이 완연하지 않은 풍경을 묘사합니다. 그러나 곧이어 흐르는 물과 오리, 기러기의 모습에서 봄의 기운을 느끼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외로운 돛단배는 물결에 맡겨 흔들리니, 이 반 장대 푸른 물결을 희롱하네. 배를 환산 아래에 대고, 길게 휘파람 불며 가벼운 채찍을 정리하네(孤帆信溶漾。弄此半篙碧。艤舟桓山下。長嘯理輕策)"라는 구절은 배를 타고 유유자적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환산에 도착하여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돌굴 속에서 거문고를 타니, 그윽한 소리가 맑게 울리네. 저 샘물 아래 사람을 조문하니, 들불에 마른 고기가 재를 잃었네(彈琴石室中。幽響清磔磔。弔彼泉下人。野火失枯腊)"라는 구절은 자연 속에서 음악을 즐기고, 과거의 인물을 추모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들불에 마른 고기가 재를 잃었다’는 표현은 죽음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7-10구: 인생의 의미와 현재의 즐거움: 자연 속에서 인생의 의미를 성찰하고, 현재의 즐거움을 만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인간 세상을 깨달으니, 무엇이 진정한 집인가. 저녁에 백보 홍(百步洪)으로 돌아와, 큰 바위 위에 흩어져 앉았네(悟此人間世。何者為真宅。暮回百步洪。散坐洪上石)"라는 구절은 인생의 본질적인 의미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자연 속에서 진정한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부끄럽게도 나는 왕양(王襄)이 아니지만, 자연(子淵)은 기꺼이 손님을 맞아주네. 물가에 임하여 퉁소를 부니, 물에 비친 달이 쌍옥(雙玉)을 비추네. 왕씨 형제를 이름."라는 구절은 친구와의 우정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왕양과 자연의 고사를 인용하여, 친구의 따뜻한 환대에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물에 비친 달을 쌍옥에 비유한 것은 아름다운 풍경과 더불어 친구와의 우정을 더욱 부각하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11-12구: 영원한 우정과 미래에 대한 기대: 현재의 즐거움이 영원히 기억되기를 바라며, 미래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즐거움은 진실로 영원히 썩지 않을 것이니, 머리를 돌리니 세월이 가로막혀 있네. 비스듬한 시내에서 놀던 것을 상상하니, 시를 지어 팽택(彭澤)을 이었네(此歡真不朽。回首歲月隔。想象斜川游。作詩繼彭澤)"라는 구절은 현재의 즐거움이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합니다. ‘팽택(彭澤)’은 도연명의 고향으로, 자연 속에서 은거하며 시를 썼던 그의 삶을 기리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즉, 자신도 도연명처럼 자연을 벗하며 시를 쓰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아름다운 자연 풍경 속에서 인생의 의미를 성찰하고, 친구들과의 소중한 우정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과거의 고사를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마지막 부분에서 현재의 즐거움이 영원히 기억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며 시를 마무리하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대도사득사자대작(戴道士得四字代作)"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대도사(戴道士)가 네 글자를 얻어 대신 지어주다'라는 제목으로, 대도사라는 도사가 지은 네 글자를 바탕으로 소식이 시를 지어준 것으로 보입니다. 도사의 삶과 세상의 변화, 그리고 과거의 영광에 대한 회상과 현재의 고독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젊어서 강남(江南)에 살았고, 몸을 의탁하여 속세를 벗어난 선비가 되었네. 우연히 흰 구름을 따라 나서, 약을 팔며 팽성(彭城)에서 지냈네. 눈과 서리가 귀밑머리를 침범하고, 먼지가 관복 소매를 더럽혔네. 이 석 자 거문고에 의지하니, 그 속에 산수의 뜻이 있네. 오랑캐의 난리 이후로, 일곱 줄 거문고를 오랫동안 버렸네. 마음속으로 녹명삼장(鹿鳴三章)을 알지만, 오랑캐의 거문고 네 줄만 못하네. 사또께서는 홀로 옛것을 흠모하시니, 기호가 여러 사람과 다르네. 함께 환퇴(桓魋)의 궁궐을 조문하며, 맹상군(孟嘗君)의 눈물을 뿌리네. 돌아와 먼지 덮인 갑에 넣어 잠그니, 홀로 끊어진 거문고 줄을 마주하며 탄식하네. 이름을 돌벽 사이에 걸어두니, 적막한 천 년의 일이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도사의 삶을 통해 세상의 변화와 개인의 고독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도사의 과거와 현재: 도사의 젊은 시절과 현재의 모습을 대비하여 보여주고 있습니다. "젊어서 강남(江南)에 살았고, 몸을 의탁하여 속세를 벗어난 선비가 되었네. 우연히 흰 구름을 따라 나서, 약을 팔며 팽성(彭城)에서 지냈네(少小家江南。寄跡方外士。偶隨白雲出。賣藥彭城市)"라는 구절은 도사의 젊은 시절을 묘사하며, 속세를 떠나 도사가 된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줍니다. "눈과 서리가 귀밑머리를 침범하고, 먼지가 관복 소매를 더럽혔네. 이 석 자 거문고에 의지하니, 그 속에 산수의 뜻이 있네(雪霜侵鬢髮。塵上汙冠袂。賴此三尺桐。中有山水意)"라는 구절은 도사의 현재 모습을 묘사하며, 세월의 흐름과 고된 삶의 흔적을 보여줍니다. ‘석 자 거문고’는 도사의 유일한 위안이자 정신적인 지주임을 나타냅니다.
  • 5-8구: 세상의 변화와 과거의 회상: 오랑캐의 난리와 과거의 영광을 대비시키며, 현재의 상황을 안타까워하고 있습니다. "오랑캐의 난리 이후로, 일곱 줄 거문고를 오랫동안 버렸네. 마음속으로 녹명삼장(鹿鳴三章)을 알지만, 오랑캐의 거문고 네 줄만 못하네(自從夷夏亂。七絲久已棄。心知鹿鳴三。不及胡琴四)"라는 구절은 오랑캐의 침입으로 인해 전통적인 음악이 쇠퇴하고, 새로운 음악이 유행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는 내용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녹명삼장(鹿鳴三章)’은 시경(詩經)의 시로, 연회에서 부르던 음악입니다. "사또께서는 홀로 옛것을 흠모하시니, 기호가 여러 사람과 다르네. 함께 환퇴(桓魋)의 궁궐을 조문하며, 맹상군(孟嘗君)의 눈물을 뿌리네(使君獨慕古。嗜好與衆異。共弔桓魋宮。一灑孟嘗淚)"라는 구절은 사또가 옛것을 숭상하는 인물임을 보여주며, 함께 과거의 영광을 추억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환퇴(桓魋)’는 노나라의 권신으로, 그의 몰락을 통해 권력의 무상함을 나타냅니다. ‘맹상군(孟嘗君)’은 전국시대 제나라의 재상으로, 많은 식객을 거느렸던 인물입니다. 그의 눈물을 언급한 것은 과거의 영화가 사라진 것에 대한 슬픔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9-12구: 현재의 고독과 미래에 대한 암시: 현재의 고독한 상황을 묘사하며, 미래에 대한 암시를 남기고 있습니다. "돌아와 먼지 덮인 갑에 넣어 잠그니, 홀로 끊어진 거문고 줄을 마주하며 탄식하네. 이름을 돌벽 사이에 걸어두니, 적막한 천 년의 일이네(歸來鎖塵匣。獨對斷絃喟。挂名石壁間。寂寞千歲事)"라는 구절은 도사의 현재 상황을 보여줍니다. 거문고를 갑에 넣어 잠그고 끊어진 줄을 보며 탄식하는 모습은 그의 고독과 절망을 나타냅니다. 이름을 돌벽에 걸어둔다는 것은 후세에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자 하는 마음과 동시에, 역사의 흐름 속에서 개인의 존재가 얼마나 미미한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도사의 삶을 통해 세상의 변화와 개인의 고독, 그리고 과거의 영광에 대한 회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역사적 고사와 비유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마지막 구절에서 적막한 천 년의 일을 언급하며 시를 마무리하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차운전국박부부남경견기이절(次韻田國愽部夫南京見寄二絕)"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전국박(田國愽)의 부인이 남경(南京)에서 부쳐온 두 수의 시에 차운하다'라는 제목으로, 전국박의 부인이 남경에서 보내온 시에 소식이 화답한 시입니다. 시간의 흐름과 봄의 변화, 그리고 남편의 부재로 인한 아내의 그리움과 농촌 생활의 정경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첫 번째 시:

세월은 훨훨 내리막길의 수레바퀴처럼 흘러가니, 돌아오니 살구에는 이미 씨가 생겼네. 짙은 붉은 꽃잎은 동풍에 다 떨어지고, 버들솜과 느릅나무 돈잎은 봄이라 할 수 없네.

두 번째 시:

불은 식고 엿은 희멀겋고 살구 죽은 걸쭉하니, 푸른 치마와 흰 소매로 밭머리에 밥을 보내네. 대부는 먼 길을 떠나 집안사람의 원망을 사니, 응당 고향에 살며 마소유(馬少游)처럼 지내는 것을 부러워하리라.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두 수의 절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다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내용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첫 번째 시: 시간의 흐름과 봄의 변화: 시간의 흐름과 그에 따른 봄의 변화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세월은 훨훨 내리막길의 수레바퀴처럼 흘러가니, 돌아오니 살구에는 이미 씨가 생겼네(歲月翩翩下坂輪。歸來杏子已生仁)"라는 구절은 시간의 흐름을 빠르게 지나가는 수레바퀴에 비유하며, 살구에 씨가 생긴 것을 통해 계절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이는 전국박이 집을 떠난 지 꽤 오랜 시간이 흘렀음을 암시합니다. "짙은 붉은 꽃잎은 동풍에 다 떨어지고, 버들솜과 느릅나무 돈잎은 봄이라 할 수 없네(深紅落盡東風惡。柳絮榆錢不當春)"라는 구절은 봄의 화려함이 지나고 다소 쓸쓸한 풍경이 드리워진 모습을 묘사합니다. 붉은 꽃잎이 지고 버들솜과 느릅나무 잎이 날리는 것은 늦봄의 풍경을 나타내며, 이전의 화려했던 봄과는 다른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이는 전국박 부인의 기다림이 길어짐에 따른 안타까운 심정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시: 아내의 그리움과 농촌 생활: 남편의 부재로 인한 아내의 그리움과 농촌의 일상적인 풍경을 함께 보여주고 있습니다. "불은 식고 엿은 희멀겋고 살구 죽은 걸쭉하니, 푸른 치마와 흰 소매로 밭머리에 밥을 보내네(火冷餳稀杏粥稠。青裙縞袂餉田頭)"라는 구절은 농촌의 일상적인 모습을 묘사합니다. 불이 식고 엿이 희멀겋다는 것은 시간이 꽤 흘렀음을 의미하며, 살구 죽이 걸쭉하다는 것은 농번기의 바쁜 일상을 나타냅니다. 푸른 치마와 흰 소매는 농촌 아낙네의 전형적인 복장을 나타내며, 밭에서 일하는 남편에게 밥을 나르는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대부는 먼 길을 떠나 집안사람의 원망을 사니, 응당 고향에 살며 마소유(馬少游)처럼 지내는 것을 부러워하리라(大夫行役家人怨。應羨居鄉馬少游)"라는 구절은 남편의 부재로 인한 아내의 그리움을 직접적으로 드러냅니다. ‘대부(大夫)’는 남편 전국박을 가리키며, ‘마소유(馬少游)’는 한나라의 문인으로, 고향에서 편안하게 지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남편이 먼 길을 떠나 집안사람의 원망을 산다는 것은, 가족들이 남편을 그리워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동시에, 고향에서 편안하게 지내는 마소유를 부러워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이는 전국박 부인이 남편을 그리워하며 평범한 일상을 갈망하는 심정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시간의 흐름과 봄의 변화를 배경으로, 남편을 그리워하는 아내의 마음과 농촌의 일상적인 풍경을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상적인 소재들을 활용하여 시적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으며, 마지막 구절에서 마소유를 언급하며 부러움을 표현하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월야여객음주행화하(月夜與客飲酒杏花下)"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달밤에 손님과 함께 살구꽃 아래에서 술을 마시다'라는 제목으로, 달 밝은 밤에 손님과 함께 살구꽃 아래에서 술을 마시며 봄의 정취를 즐기는 모습을 그린 시입니다. 아름다운 풍경 묘사와 함께 술잔에 담긴 달빛을 마시는 낭만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살구꽃잎은 발을 스치며 남은 봄을 흩뿌리고, 밝은 달빛은 문으로 들어와 그윽한 사람을 찾네. 옷을 걷어 올리고 달빛을 거닐며 꽃 그림자를 밟으니, 맑고 밝음이 흐르는 물이 부평초를 머금은 듯하네. 꽃 사이에 술자리를 마련하니 맑은 향기가 피어나고, 다투어 긴 가지를 잡아당겨 향기로운 눈을 떨어뜨리네. 산성의 박한 술은 마시기에 부족하니, 그대에게 권하노니 차라리 잔 속의 달을 마시게나. 퉁소 소리 끊어진 달 밝은 가운데, 오직 달이 지고 술잔이 빌까 근심하네. 내일 아침 온 땅을 휩쓰는 모진 봄바람이 불면, 다만 푸른 잎만이 남은 붉은 꽃잎을 감싸 안은 것을 보리라.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달밤의 아름다운 풍경과 술자리에서 느끼는 즐거움과 아쉬움을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달밤과 살구꽃의 아름다운 풍경: 달밤과 살구꽃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살구꽃잎은 발을 스치며 남은 봄을 흩뿌리고, 밝은 달빛은 문으로 들어와 그윽한 사람을 찾네(杏花飛簾散餘春。明月入戶尋幽人)"라는 구절은 살구꽃잎이 바람에 흩날리는 모습과 달빛이 집 안으로 스며드는 모습을 감각적으로 표현하며, 시의 서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옷을 걷어 올리고 달빛을 거닐며 꽃 그림자를 밟으니, 맑고 밝음이 흐르는 물이 부평초를 머금은 듯하네(褰衣步月踏花影。炯如流水涵青蘋)"라는 구절은 달빛 아래에서 꽃 그림자를 밟으며 산책하는 낭만적인 모습을 묘사합니다. 맑게 흐르는 물에 부평초가 비치는 모습에 비유하여, 달빛과 꽃 그림자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풍경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5-8구: 술자리와 달빛: 살구꽃 아래에서 술을 마시며 달빛을 즐기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꽃 사이에 술자리를 마련하니 맑은 향기가 피어나고, 다투어 긴 가지를 잡아당겨 향기로운 눈을 떨어뜨리네(花間置酒清香發。爭挽長條落香雪)"라는 구절은 술자리에서 풍기는 향기와 꽃잎이 떨어지는 모습을 묘사하며, 흥겨운 분위기를 나타냅니다. "산성의 박한 술은 마시기에 부족하니, 그대에게 권하노니 차라리 잔 속의 달을 마시게나(山城薄酒不堪飲。勸君且吸盃中月)"라는 구절은 술잔에 비친 달빛을 마시라고 권하는 낭만적인 표현을 통해, 달밤의 아름다움을 더욱 강조합니다. 이는 단순한 음주를 넘어, 자연과 하나 되는 듯한 시적인 흥취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9-12구: 아쉬움과 봄의 끝자락: 즐거운 시간의 아쉬움과 봄의 끝자락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퉁소 소리 끊어진 달 밝은 가운데, 오직 달이 지고 술잔이 빌까 근심하네(洞蕭聲斷月明中。惟憂月落酒杯空)"라는 구절은 흥겨웠던 시간이 끝나가는 것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냅니다. 퉁소 소리가 끊기고 달이 지는 것은 밤이 깊어감을 의미하며, 술잔이 비는 것은 술자리가 끝나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내일 아침 온 땅을 휩쓰는 모진 봄바람이 불면, 다만 푸른 잎만이 남은 붉은 꽃잎을 감싸 안은 것을 보리라(明朝卷地春風惡。但見綠葉棲殘紅)"라는 구절은 곧 다가올 봄의 끝자락을 암시하며, 현재의 아름다운 순간이 곧 사라질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합니다. 모진 봄바람에 붉은 꽃잎이 지고 푸른 잎만 남는 것은 봄의 끝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이미지입니다.

이 시는 달밤의 아름다운 풍경과 술자리에서 느끼는 즐거움과 아쉬움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독자에게 낭만적인 정취를 전달합니다. 특히, 술잔에 비친 달빛을 마시는 표현과 봄의 끝자락에 대한 아쉬움을 노래한 마지막 구절이 인상적입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송촉인장사후부전시이수(送蜀人張師厚赴殿試二首)"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촉(蜀) 사람 장사후(張師厚)가 전시(殿試)에 나아가는 것을 보내다'라는 제목으로, 촉 지방 출신인 장사후가 과거의 최종 시험인 전시를 치르러 가는 것을 송별하며 지은 두 수의 시입니다. 장사후의 앞날을 축복하고 성공을 기원하는 마음과 함께, 고향을 떠나 벼슬길에 오르는 그의 여정을 응원하는 따뜻한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첫 번째 시: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 잊으니 어느덧 귀밑머리가 희끗해졌네. 좋은 일로 고향 사람들이 여전히 오가네. 끊어진 산줄기도 서쪽을 바라보는 눈을 가리지 못하니, 그대를 보내며 곧바로 초왕산(楚王山)을 지나가게 하네.

두 번째 시:

운룡산(雲龍山) 아래에서 봄옷을 입고, 방학정(放鶴亭) 앞에서 저무는 햇빛을 보내네. 온통 살구꽃이 삼십 리에 펼쳐져 있으니, 새 신랑 같은 그대, 가는 말은 나는 듯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두 수의 절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다른 시각에서 장사후를 보내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첫 번째 시: 고향과 벼슬길의 연결: 고향과 벼슬길을 연결하여 장사후의 여정을 격려하고 있습니다.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 잊으니 어느덧 귀밑머리가 희끗해졌네. 좋은 일로 고향 사람들이 여전히 오가네(忘歸不覺鬢毛斑。好事鄉人尚往還)"라는 구절은 화자 자신의 오랜 벼슬 생활을 회상하며, 고향 사람들이 과거 시험 등의 좋은 일로 여전히 오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장사후 역시 벼슬길에 나아가 성공할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끊어진 산줄기도 서쪽을 바라보는 눈을 가리지 못하니, 그대를 보내며 곧바로 초왕산(楚王山)을 지나가게 하네(斷嶺不遮西望眼。送君直過楚王山)"라는 구절은 고향인 촉 지방이 서쪽에 있음을 나타내며, 장사후가 고향을 떠나 벼슬길로 나아가는 여정을 묘사합니다. '초왕산(楚王山)'은 장사후가 과거 시험을 치르러 가는 길에 지나게 되는 산으로, 그의 여정을 상징하는 지명입니다. 끊어진 산줄기도 서쪽을 바라보는 눈을 가리지 못한다는 표현은 장사후의 앞길을 막을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시: 봄의 풍경과 장사후의 밝은 미래: 봄의 아름다운 풍경과 장사후의 밝은 미래를 연결하여 축복하고 있습니다. "운룡산(雲龍山) 아래에서 봄옷을 입고, 방학정(放鶴亭) 앞에서 저무는 햇빛을 보내네(雲龍山下試春衣。放鶴亭前送落暉)"라는 구절은 장사후가 새로운 봄옷을 입고 떠나는 모습을 묘사하며, 그의 새로운 시작을 축복합니다. '방학정(放鶴亭)'은 작별의 장소로, 저무는 햇빛은 석별의 아쉬움을 나타내는 동시에 새로운 시작을 향해 나아가는 장사후의 밝은 미래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온통 살구꽃이 삼십 리에 펼쳐져 있으니, 새 신랑 같은 그대, 가는 말은 나는 듯하네(一色杏花三十里。新郎君去馬如飛)"라는 구절은 아름다운 봄 풍경을 배경으로, 장사후의 활기찬 모습을 묘사합니다. '새 신랑'이라는 표현은 장사후의 젊음과 패기를 강조하며, 그의 앞날에 대한 밝은 기대를 나타냅니다. 말이 나는 듯하다는 표현은 장사후의 성공적인 벼슬길을 기원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고향을 떠나 벼슬길에 오르는 장사후를 송별하며, 그의 성공을 기원하는 따뜻한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첫 번째 시에서는 고향과 벼슬길을 연결하여 그의 여정을 격려하고, 두 번째 시에서는 봄의 아름다운 풍경과 장사후의 밝은 미래를 연결하여 축복하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특히, '새 신랑'이라는 표현과 말이 나는 듯하다는 표현을 통해 장사후의 젊음과 패기, 그리고 성공에 대한 기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재차운답전박부부환이수(再次韻荅田愽部夫還二首)"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다시 전국박(田愽)의 부인이 돌아온 것에 답하여 두 수를 차운하다'라는 제목으로, 이전에 전국박의 부인이 보낸 시에 화답한 데 이어, 이번에는 그녀가 돌아온 소식을 듣고 다시 화답한 두 수의 시입니다. 고된 여정을 마치고 돌아온 전국박 부부를 축하하며, 봄의 풍경과 함께 재회의 기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첫 번째 시:

서쪽 들판의 황토가 수레바퀴를 덮으니, 얼굴 가득 먼지를 쓰고 길 가는 사람들을 웃네. 이미 삼만 명의 부역꾼을 놓아주었으니, 쌓인 비로 하여금 남은 봄을 씻게 하리라.

두 번째 시:

가지 위의 꽃은 드물어지고 땅에는 무성하니, 차마 붉은 꽃가루가 담장 위로 떨어지는 것을 보겠네. 뛰어난 재능과 풍류를 아는 별가(別駕)는, 돌아와 서쪽 정원에서 촛불을 잡고 노니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두 수의 절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다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내용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첫 번째 시: 귀환의 여정과 봄의 회복: 전국박 부부의 귀환 여정과 봄의 풍경을 연결하여,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쪽 들판의 황토가 수레바퀴를 덮으니, 얼굴 가득 먼지를 쓰고 길 가는 사람들을 웃네(西郊黃土沒車輪。滿面風埃笑路人)"라는 구절은 귀환 여정의 고됨을 묘사합니다. 황토에 뒤덮인 수레바퀴와 먼지투성이의 얼굴은 긴 여정의 고생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길 가는 사람들을 웃는다'는 표현을 통해, 고생 끝에 고향에 돌아온 기쁨을 간접적으로 드러냅니다. "이미 삼만 명의 부역꾼을 놓아주었으니, 쌓인 비로 하여금 남은 봄을 씻게 하리라(已放役夫三萬指。從教積雨洗殘春)"라는 구절은 고된 부역이 끝나고 휴식을 취하게 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삼만 명의 부역꾼'은 많은 사람들의 노고를 상징하며, 이들을 놓아주었다는 것은 힘든 시기가 지나갔음을 의미합니다. '쌓인 비'는 모든 것을 깨끗하게 씻어내는 자연의 힘을 상징하며, 남은 봄을 씻어낸다는 표현은 이전의 고생을 잊고 새로운 시작을 맞이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 두 번째 시: 봄의 변화와 재회의 기쁨: 봄의 변화하는 풍경을 배경으로, 전국박 부부의 재회를 축하하고 있습니다. "가지 위의 꽃은 드물어지고 땅에는 무성하니, 차마 붉은 꽃가루가 담장 위로 떨어지는 것을 보겠네(枝上稀疏地上稠。忍看紅糝落墻頭)"라는 구절은 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묘사합니다. 가지 위의 꽃은 지고 땅에는 꽃잎이 쌓인 모습은 봄의 절정을 지나 늦봄으로 접어드는 시기를 나타냅니다. 떨어지는 꽃잎을 차마 볼 수 없다는 표현은 아름다운 것이 사라지는 것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내는 동시에, 새로운 만남에 대한 기대를 더욱 부각하는 효과를 줍니다. "뛰어난 재능과 풍류를 아는 별가(別駕)는, 돌아와 서쪽 정원에서 촛불을 잡고 노니네(風流別乘多才思。歸趁西園秉燭游)"라는 구절은 전국박의 귀환과 함께 시작될 즐거운 시간을 묘사합니다. '별가(別駕)'는 전국박의 관직을 가리키며, '풍류'와 '재능'을 겸비한 인물임을 나타냅니다. '서쪽 정원에서 촛불을 잡고 노닌다'는 표현은 밤늦도록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묘사하며, 재회의 기쁨을 만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시는 고된 여정을 마치고 돌아온 전국박 부부를 축하하며, 봄의 풍경과 함께 재회의 기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시에서는 귀환의 고됨과 그 이후의 휴식을 대비시키고, 두 번째 시에서는 봄의 변화하는 풍경을 배경으로 재회의 즐거움을 강조하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특히, '쌓인 비'가 남은 봄을 씻어낸다는 표현과 서쪽 정원에서 촛불을 잡고 노니는 모습을 통해, 새로운 시작과 즐거운 시간을 맞이하는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전국박견시석탄시유주검참녕신지구차운답지(田國愽見示石炭詩有鑄劍斬佞臣之句次韻荅之)"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전국박(田國愽)이 보여준 석탄시에 칼을 만들어 간신을 베겠다는 구절이 있어 차운하여 답하다'라는 제목으로, 전국박이 지은 석탄시에 담긴 뜻, 즉 석탄으로 칼을 만들어 간신을 베겠다는 뜻에 소식이 화답한 시입니다. 현실 정치에 대한 우려와 비판, 그리고 이상적인 정치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초나라 산의 철과 석탄은 모두 기이한 물건이니, 그대가 간사하고 사악한 무리를 베고자 함을 알겠네. 속루(屬鏤)는 눈이 없어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니, 초나라에서 어찌 무극(無極)을 베었겠는가. 옥천(玉川)의 미치도록 강직한 옛 백성은, 달을 구제하는 시를 지으니 그 말이 가장 진실하네. 천 리의 요사스러운 두꺼비와 한 치의 쇠붙이, 땅 위에는 부질없이 개미와 이 같은 신하를 근심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전국박의 뜻에 공감하면서도, 현실 정치의 어려움과 이상적인 정치에 대한 염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전국박의 뜻에 대한 공감: 전국박이 석탄으로 칼을 만들어 간신을 베겠다는 뜻에 공감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초나라 산의 철과 석탄은 모두 기이한 물건이니, 그대가 간사하고 사악한 무리를 베고자 함을 알겠네(楚山鐵炭皆奇物。知君欲斫姦邪窟)"라는 구절은 초나라의 철과 석탄이 좋은 칼을 만들 수 있는 재료임을 언급하며, 전국박의 뜻을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간사하고 사악한 무리(姦邪窟)'는 조정의 간신들을 가리키며, 이들을 베겠다는 전국박의 의지는 정의로운 것으로 여겨집니다. "속루(屬鏤)는 눈이 없어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니, 초나라에서 어찌 무극(無極)을 베었겠는가(屬鏤無眼不識人。楚國何曾斬無極)"라는 구절은 역사적 고사를 인용하여, 칼이 아무리 날카로워도 간신을 제대로 가려내어 처단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속루(屬鏤)'는 춘추시대 오나라의 명검으로, 오왕 합려가 간신을 베기 위해 만들었다고 전해집니다. '무극(無極)'은 전국시대 초나라의 간신으로, 충신 굴원을 모함하여 죽게 한 인물입니다. 속루가 눈이 없어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는 것은, 칼 자체로는 정의를 실현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무극이 처단되지 않은 사실은 현실 정치의 어려움을 보여줍니다.
  • 3-4구: 이상적인 정치에 대한 염원: 과거의 충신과 시인의 예를 들어, 이상적인 정치에 대한 염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옥천(玉川)의 미치도록 강직한 옛 백성은, 달을 구제하는 시를 지으니 그 말이 가장 진실하네(玉川狂直古遺民。救月裁詩語最真)"라는 구절은 당나라 시인 이하(李賀)를 가리킵니다. 이하의 호가 '옥천자(玉川子)'이며, 그는 시를 통해 현실 정치의 부조리를 비판하고 이상적인 세계를 노래했습니다. '달을 구제하는 시'는 이하의 시 중 달을 소재로 한 시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그의 시가 진실한 마음을 담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천 리의 요사스러운 두꺼비와 한 치의 쇠붙이, 땅 위에는 부질없이 개미와 이 같은 신하를 근심하네(千里妖蟇一寸鐵。地上空愁蟻蝨臣)"라는 구절은 현실 정치의 부패와 간신들의 횡포를 비판하며, 이상적인 정치가 실현되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합니다. '천 리의 요사스러운 두꺼비'는 멀리 떨어진 곳에서 권력을 농단하는 간신들을 비유하며, '한 치의 쇠붙이'는 칼을 의미합니다. 아무리 좋은 칼이 있어도 간신들을 제대로 처단하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개미와 이 같은 신하'라는 표현을 통해 간신들을 비하하고 있습니다.

이 시는 전국박의 뜻에 공감하면서도, 현실 정치의 어려움과 이상적인 정치에 대한 염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역사적 고사와 시인의 예를 적절히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마지막 구절에서 간신들을 비판하며 현실 정치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답군중동료하우(荅郡中同僚賀雨)"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군중(郡中)의 동료들이 비를 축하하는 것에 답하다'라는 제목으로, 오랫동안 가뭄과 기근에 시달리던 상황에서 단비가 내리자 동료들이 축하하는 것에 대해 소식이 답한 시입니다. 비를 기다리는 백성들의 고통과 비가 가져다주는 풍요로움, 그리고 기우제에 대한 소식의 생각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가뭄과 홍수가 십 년 동안이나 계속되었고, 기근과 전염병이 온 땅에 퍼졌네. 기이하고 궁핍함이 향하는 곳마다 심하니, 해마다 맑은 날씨와 비를 빌었네. 비록 나만을 위해 구한 것은 아니지만, 거듭 청하니 마침내 옛사람들에게 부끄럽네. 귀신도 나의 마음을 아는지, 노쇠하고 병들어 허리와 등까지 아프네. 어찌 남에게 절을 하였겠는가, 이러한 뜻을 어찌 허락하지 않겠는가. 짙은 구름이 이미 처량하게 모여들고, 가랑비가 먼저 주춧돌을 적시네. 쓸쓸하게 그치다가 다시 내리니, 앉아서 삼경(三更)까지 듣네. 날이 밝으니 관리들이 모이고, 진흙이 신발에 가득하네. 성에 올라 보리를 바라보니, 푸른 물결이 바람에 날려 춤추네. 나의 어진 벗들이여, 웅장한 시로 새로운 말을 다투는 것이 부끄럽네. 그대들은 큰 풍년의 해를 보라, 비와 바람이 열에 열다섯을 차지하네. 천지는 본래 공이 없으니, 기도는 어찌 족히 셀 수 있겠는가. 황하를 건너도 국경에 들어가지 않으니, 어찌 황충과 호랑이가 없는 것과 같겠는가. 하물며 흰 거위를 형벌하는 것은, 하책이니 그대들은 취하지 마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오랜 가뭄 끝에 내린 비에 대한 기쁨과 함께, 기우제에 대한 소식의 생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가뭄과 백성들의 고통: 오랜 가뭄으로 인한 백성들의 고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가뭄과 홍수가 십 년 동안이나 계속되었고, 기근과 전염병이 온 땅에 퍼졌네. 기이하고 궁핍함이 향하는 곳마다 심하니, 해마다 맑은 날씨와 비를 빌었네(水旱行十年。飢疫徧九土。奇窮所向惡。歲歲祈晴雨)"라는 구절은 오랜 가뭄과 그로 인한 폐해를 구체적으로 보여줍니다. "비록 나만을 위해 구한 것은 아니지만, 거듭 청하니 마침내 옛사람들에게 부끄럽네. 귀신도 나의 마음을 아는지, 노쇠하고 병들어 허리와 등까지 아프네(雖非為已求。重請終愧古。鬼神亦知我。老病入腰膂)"라는 구절은 비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면서도, 기우제를 지내는 것에 대한 겸손한 태도를 보입니다.
  • 5-8구: 단비의 내림과 기쁨: 기다리던 비가 내리는 모습과 그에 대한 기쁨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어찌 남에게 절을 하였겠는가, 이러한 뜻을 어찌 허락하지 않겠는가. 짙은 구름이 이미 처량하게 모여들고, 가랑비가 먼저 주춧돌을 적시네(何曾拜向人。此意難不許。重雲淒已合。微潤先流礎)"라는 구절은 간절한 기도가 하늘에 닿았음을 암시하며, 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쓸쓸하게 그치다가 다시 내리니, 앉아서 삼경(三更)까지 듣네. 날이 밝으니 관리들이 모이고, 진흙이 신발에 가득하네(蕭蕭止還作。坐聽及三鼓。天明將吏集。泥土滿靴屨)"라는 구절은 밤새 내린 비와 아침의 풍경을 묘사하며, 비로 인해 활기를 되찾은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 9-12구: 풍요로운 풍경과 동료들에 대한 겸손: 비로 인해 풍요로워진 풍경과 동료들의 시에 대한 겸손한 태도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성에 올라 보리를 바라보니, 푸른 물결이 바람에 날려 춤추네. 나의 어진 벗들이여, 웅장한 시로 새로운 말을 다투는 것이 부끄럽네(登城望麰麥。綠浪風掀舞。愧我賢友生。雄篇鬬新語)"라는 구절은 비 이후 풍성하게 자란 보리밭의 모습을 묘사하며, 풍요로운 미래를 기대하게 합니다. 동료들의 뛰어난 시에 비해 자신의 시가 부족함을 겸손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 13-16구: 기우제에 대한 소신과 간언: 기우제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밝히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칠 것을 간언하고 있습니다. "그대들은 큰 풍년의 해를 보라, 비와 바람이 열에 열다섯을 차지하네. 천지는 본래 공이 없으니, 기도는 어찌 족히 셀 수 있겠는가(君看大熟歲。風雨占十五。天地本無功。祈禳何足數)"라는 구절은 자연의 이치에 따라 비가 내리는 것이지, 인간의 기도로 되는 것이 아니라는 소신의 드러냅니다. "황하를 건너도 국경에 들어가지 않으니, 어찌 황충과 호랑이가 없는 것과 같겠는가. 하물며 흰 거위를 형벌하는 것은, 하책이니 그대들은 취하지 마오(渡河不入境。豈若無蝗虎。而況刑白鵝。下策君勿取)"라는 구절은 백성을 괴롭히는 일체의 행위를 비판하며, 특히 기우제에 흰 거위를 제물로 바치는 미신적인 행위를 강하게 비판합니다. '황하를 건너도 국경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은 백성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흰 거위를 형벌한다'는 것은 미신적인 행위를 비판하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시는 오랜 가뭄 끝에 내린 비에 대한 기쁨과 함께, 기우제에 대한 소식의 생각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자연의 이치를 존중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쳐야 한다는 그의 신념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부분에서 미신적인 행위를 비판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간언하는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파서주왕남경마상주필기자유오수(罷徐州往南京馬上走筆寄子由五首)" 중 첫 번째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서주(徐州)에서 파직되어 남경(南京)으로 가는 말 위에서 붓 가는 대로 적어 자유(子由, 소철의 자)에게 부치다'라는 제목의 다섯 수 연작시 중 첫 번째 시입니다. 서주 백성들과의 이별의 아쉬움, 자신의 처지에 대한 담담한 심정, 그리고 세상사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관리와 백성들은 붙잡고 매달리지 마시오. 음악 소리도 처량하게 흐느끼지 마시오. 내 삶은 잠시 머무르는 것과 같으니, 어찌 유독 이 이별만을 슬퍼하겠는가. 이별은 어디에나 있는 것이고, 슬픔과 번뇌는 사랑으로 인해 맺어지는 것이라. 나는 본래 은혜를 베푼 것이 없으니, 이 눈물은 누구를 위해 흘리는 것인가. 어지러운 세상일은 아이들 장난과 같고, 채찍과 형벌은 가혹하게 행해지네. 길가에 있는 한 쌍의 돌사람은, 몇 번이나 태수의 머리털이 뽑히는 것을 보았을까. 만약 안다면 마땅히 웃음을 터뜨릴 것이니, 손뼉을 치며 갓끈을 끊으리라.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갑작스러운 파직으로 서주를 떠나게 된 소식의 복잡한 심경을 담담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이별에 대한 담담한 태도: 서주 백성들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면서도, 이별 자체에 대한 담담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관리와 백성들은 붙잡고 매달리지 마시오. 음악 소리도 처량하게 흐느끼지 마시오(吏民莫扳援。歌管莫悽咽)"라는 구절은 떠나는 자신을 붙잡으려는 백성들을 만류하는 모습에서, 오히려 그들을 배려하는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내 삶은 잠시 머무르는 것과 같으니, 어찌 유독 이 이별만을 슬퍼하겠는가(吾生如寄耳。寧獨為此別)"라는 구절은 인생의 무상함을 깨닫고, 이별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별은 어디에나 있는 것이고, 슬픔과 번뇌는 사랑으로 인해 맺어지는 것이라. 나는 본래 은혜를 베푼 것이 없으니, 이 눈물은 누구를 위해 흘리는 것인가(別離隨處有。悲惱緣愛結。而我本無恩。此涕誰為設)"라는 구절은 이별의 보편성을 강조하며, 자신은 백성들에게 특별한 은혜를 베푼 것이 없으므로 슬퍼할 필요가 없다고 말합니다. 이는 겸손한 표현인 동시에, 정치적인 상황으로 인해 억울하게 떠나게 된 자신의 심정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5-6구: 세상사의 무상함과 정치 현실의 냉혹함: 세상사의 무상함과 정치 현실의 냉혹함을 비판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어지러운 세상일은 아이들 장난과 같고, 채찍과 형벌은 가혹하게 행해지네(紛紛等兒戲。鞭𩍐遭割截)"라는 구절은 세상사가 예측할 수 없이 변하는 것을 아이들의 장난에 비유하며, 정치 현실의 냉혹함을 '채찍과 형벌'이라는 단어를 통해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鞭𩍐(편箠)'는 형벌 도구를 의미하며, '割截(할절)'은 가혹한 형벌을 의미합니다. 이는 당시 정치 상황의 혼란과 부패를 비판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7-8구: 역사의 반복과 초월적인 태도: 역사의 반복성과 그 속에서 초월적인 태도를 취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길가에 있는 한 쌍의 돌사람은, 몇 번이나 태수의 머리털이 뽑히는 것을 보았을까(道邊雙石人。幾見太守發)"라는 구절은 길가에 있는 돌사람을 통해 역사의 반복성을 암시합니다. '태수의 머리털이 뽑히는 것'은 관직에서 쫓겨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과거에도 수많은 관리들이 비슷한 일을 겪었음을 나타냅니다. "만약 안다면 마땅히 웃음을 터뜨릴 것이니, 손뼉을 치며 갓끈을 끊으리라(有知當解笑。撫掌冠纓絕)"라는 구절은 역사의 무상함을 깨닫고 초월적인 태도를 취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모든 것이 덧없음을 안다면 웃음을 터뜨리며 모든 것을 초월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갓끈을 끊는다'는 것은 속세를 떠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시는 파직이라는 개인적인 불행을 통해 인생의 무상함과 정치 현실의 냉혹함을 통찰하고 있으며, 그러한 상황 속에서 초연함을 유지하려는 소식의 내면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내 삶은 잠시 머무르는 것과 같으니', '어지러운 세상일은 아이들 장난과 같고', '만약 안다면 마땅히 웃음을 터뜨릴 것이니' 등의 표현을 통해, 세상사에 초연한 그의 철학을 엿볼 수 있습니다.

 

蘇軾(소식)의 동파집에 실린 시, "파서주왕남경마상주필기자유오수(罷徐州往南京馬上走筆寄子由五首)" 중 두 번째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서주(徐州)에서 파직되어 남경(南京)으로 가는 말 위에서 붓 가는 대로 적어 자유(子由, 소철의 자)에게 부치다'라는 제목의 다섯 수 연작시 중 두 번째 시입니다. 서주 백성들의 환송과 그에 대한 겸손한 태도, 그리고 자신의 불운한 처지에 대한 담담한 심정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어르신들은 어디에서 오셨는가, 꽃가지는 길게 붉게 늘어져 있네. 술잔을 씻어 말 앞에 꿇어앉아, 사군(使君, 태수)께 장수를 비네. 재작년에는 사군이 없어서, 물고기와 자라가 아이들로 변했었네. 채찍을 들어 어르신들께 사례하니, 바로 내가 가난하기 때문이네. 가난한 사람의 운명은 사나워서, 가는 곳마다 재앙과 흉함을 부르네. 물이 온 것은 내 잘못이 아니고, 떠나가는 것 또한 내 공이 아니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서주 백성들의 환송에 대한 감회와 자신의 처지에 대한 담담한 인식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백성들의 환송과 감격: 떠나는 자신을 환송하는 서주 백성들의 모습에 대한 감격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어르신들은 어디에서 오셨는가, 꽃가지는 길게 붉게 늘어져 있네(父老何自來。花枝裊長紅)"라는 구절은 많은 백성들이 자신을 환송하기 위해 모여든 모습과, 그들이 들고 있는 붉은 꽃가지를 묘사하며, 이별의 분위기를 고조시킵니다. "술잔을 씻어 말 앞에 꿇어앉아, 사군(使君, 태수)께 장수를 비네(洗琖拜馬前。請壽使君公)"라는 구절은 백성들이 술잔을 준비하여 자신의 장수를 비는 모습에서, 그들의 진심 어린 존경과 사랑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사군(使君)'은 태수를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 3-4구: 과거의 재난과 자신의 역할에 대한 겸손: 과거 서주에 닥쳤던 재난을 언급하며, 자신의 역할에 대해 겸손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재작년에는 사군이 없어서, 물고기와 자라가 아이들로 변했었네(前年無使君。魚鼈化兒童)"라는 구절은 재작년에 서주에 큰 수해가 있었음을 암시합니다. 물고기와 자라가 아이들로 변했다는 표현은 당시의 심각한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채찍을 들어 어르신들께 사례하니, 바로 내가 가난하기 때문이네(舉鞭謝父老。正坐使君窮)"라는 구절은 백성들의 환대에 감사하면서도, 자신이 가난하기 때문에 제대로 보답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합니다. '채찍을 들어 사례한다'는 것은 말 위에서 간단히 인사를 하는 모습을 의미하며, 겸손한 태도를 나타냅니다. '내가 가난하기 때문'이라는 표현은 물질적인 보답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겸손한 표현인 동시에, 정치적인 상황으로 인해 곤궁에 처하게 된 자신의 상황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5-6구: 자신의 불운에 대한 담담한 인식: 자신의 불운한 처지에 대해 담담하게 인식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가난한 사람의 운명은 사나워서, 가는 곳마다 재앙과 흉함을 부르네(窮人命分惡。所向招災凶)"라는 구절은 자신의 불운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듯한 체념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물이 온 것은 내 잘못이 아니고, 떠나가는 것 또한 내 공이 아니네(水來非吾過。去亦非吾功)"라는 구절은 과거 서주에 닥쳤던 수해와 현재 자신이 파직되어 떠나는 것이 자신의 능력이나 잘못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는 억울하게 파직된 자신의 심정을 담담하게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백성들의 따뜻한 환송에 감격하면서도, 자신의 불운한 처지를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소식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 과거의 재난을 언급하며 자신의 역할을 겸손하게 표현하는 부분과, 자신의 불운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듯한 체념적인 태도를 보이는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물이 온 것은 내 잘못이 아니고, 떠나가는 것 또한 내 공이 아니네'라는 구절은 억울하게 파직된 자신의 심정을 간결하게 드러내는 핵심적인 구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에 실린 시, "파서주왕남경마상주필기자유오수(罷徐州往南京馬上走筆寄子由五首)" 중 세 번째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서주(徐州)에서 파직되어 남경(南京)으로 가는 말 위에서 붓 가는 대로 적어 자유(子由, 소철의 자)에게 부치다'라는 제목의 다섯 수 연작시 중 세 번째 시입니다. 서주를 떠나 남경으로 향하는 여정과 그 과정에서 느끼는 감회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 풍경을 통해 이별의 아쉬움과 앞으로의 여정에 대한 기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옛 변수(汴水)는 서쪽에서부터 흘러와, 나를 맞이하여 남경으로 향하네. 동쪽으로 흘러 회수(淮水)와 사수(泗水)로 들어가, 나를 동남쪽으로 보내네. 잠시 이별했다가 다시 만나니, 여전히 남은 정이 있네. 봄비가 잔물결을 불리니, 하룻밤 사이에 팽성(彭城, 서주의 옛 이름)에 이르렀네. 나를 지나 황루(黃樓) 아래로 가니, 붉은 난간이 날아갈 듯한 지붕을 비추네. 가련하구나, 홍상석(洪上石)이여, 누가 달빛 아래의 소리를 들을까.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여정을 묘사하면서 이별의 아쉬움과 새로운 여정에 대한 기대를 함께 표현하고 있습니다.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여정의 시작과 방향: 변수를 따라 남경으로 향하는 여정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옛 변수(汴水)는 서쪽에서부터 흘러와, 나를 맞이하여 남경으로 향하네. 동쪽으로 흘러 회수(淮水)와 사수(泗水)로 들어가, 나를 동남쪽으로 보내네(古汴從西來。迎我向南京。東流入淮泗。送我東南行)"라는 구절은 변수의 흐름을 따라 여정의 방향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변수는 서쪽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흘러 회수와 사수로 합류하는데, 소식은 이 물길을 따라 남경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묘사는 자연스럽게 여정의 시작과 방향을 나타내는 동시에, 자연의 흐름에 몸을 맡기는 듯한 소식의 심정을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잠시 이별했다가 다시 만나니, 여전히 남은 정이 있네. 봄비가 잔물결을 불리니, 하룻밤 사이에 팽성(彭城, 서주의 옛 이름)에 이르렀네(蹔別還復見。依然有餘情。春雨漲微波。一夜到彭城)"라는 구절은 서주와의 이별을 아쉬워하면서도,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잠시 이별했다가 다시 만난다'는 표현은 이별의 슬픔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여전히 남은 정이 있다'는 표현은 서주에 대한 애정을 드러냅니다. 봄비로 인해 불어난 물결을 따라 하룻밤 사이에 팽성에 도착했다는 묘사는 여정의 순조로움을 나타내는 동시에, 새로운 시작에 대한 기대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3-4구: 서주의 풍경과 아쉬움: 서주의 풍경을 회상하며 이별의 아쉬움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나를 지나 황루(黃樓) 아래로 가니, 붉은 난간이 날아갈 듯한 지붕을 비추네(過我黃樓下。朱欄照飛甍)"라는 구절은 서주의 명소인 황루의 아름다운 모습을 묘사합니다. 황루는 서주를 상징하는 건축물로, 이 구절은 서주에 대한 소식의 애착을 보여줍니다. "가련하구나, 홍상석(洪上石)이여, 누가 달빛 아래의 소리를 들을까(可憐洪上石。誰聽月中聲)"라는 구절은 홍상석이라는 바위를 언급하며, 과거에 그곳에서 즐겼던 추억을 회상하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달빛 아래의 소리'는 홍상석 주변의 자연 풍경이나 그곳에서 나누었던 이야기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구절은 서주와의 이별에 대한 아쉬움을 더욱 깊게 만듭니다. '가련하다'는 표현은 떠나가는 자신과 남겨진 홍상석 모두를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변수를 따라 남경으로 향하는 여정을 묘사하면서, 서주와의 이별에 대한 아쉬움과 새로운 여정에 대한 기대를 함께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 풍경을 통해 이러한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으며, 마지막 구절에서 홍상석을 언급하며 이별의 아쉬움을 심화시키는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 중 《파서주왕남경마상주필기자유오수(罷徐州往南京馬上走筆寄子由五首)》의 네 번째 시입니다. 서주(徐州)에서 파직되어 남경(南京)으로 가는 도중, 과거 남경에서의 경험을 회상하며 세월의 흐름과 세상사의 변화를 느끼는 심정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재작년에 남경을 지나갈 때, 보리는 늙고 앵두는 익었었는데, 지금 옛 놀던 곳에 다시 오니, 앵두와 보리가 반은 누렇고 반은 푸르네. 세월은 마치 하룻밤과 같고, 세상일은 몇 번이나 뒤집혔던가. 푸른 옷의 늙은 종사(從事)는, 편안히 앉아 넓적다리에 살이 붙었네. 잇달아 세 고을의 태수를 지냈으니, 맞이하고 보내는 것이 수레바퀴 도는 것과 같네. 언제 귀농할지 결정할까, 전원 생활할 곳은 이미 점찍어 두었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과거와 현재를 대비하여 시간의 흐름과 세상의 변화를 강조하고, 관직 생활에 대한 회의와 귀향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시간의 흐름과 변화된 풍경: 과거와 현재의 남경 풍경을 대비하여 시간의 흐름을 나타냅니다. "재작년에 남경을 지나갈 때, 보리는 늙고 앵두는 익었었는데, 지금 옛 놀던 곳에 다시 오니, 앵두와 보리가 반은 누렇고 반은 푸르네(前年過南京。麥老櫻桃熟。今來舊遊處。櫻麥半黃綠)"라는 구절은 과거에는 보리가 완전히 익고 앵두가 빨갛게 익은 풍경이었지만, 현재는 보리가 반쯤 누렇고 앵두도 덜 익은 상태임을 보여줍니다. 같은 장소이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풍경이 변한 것을 묘사하며, 시간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나타냅니다.
  • 3-4구: 세월의 무상함과 자신의 처지: 세월의 무상함과 자신의 변화된 처지를 자조적으로 표현합니다. "세월은 마치 하룻밤과 같고, 세상일은 몇 번이나 뒤집혔던가(歲月如宿昔。人事幾反覆)"라는 구절은 시간이 덧없이 흘러감을 탄식하고, 세상일이 예측할 수 없이 변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푸른 옷의 늙은 종사(從事)는, 편안히 앉아 넓적다리에 살이 붙었네(青衫老從事。坐穩生髀肉)"라는 구절은 자신을 '푸른 옷의 늙은 종사'라고 칭하며, 낮은 관직에 오래 머물러 있음을 자조적으로 표현합니다. '푸른 옷'은 하급 관리의 옷을 의미하며, '넓적다리에 살이 붙었다'는 것은 편안하게 지내며 세월을 보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는 관직 생활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5-6구: 관직 생활의 허무함과 귀향의 의지: 여러 고을의 태수를 지낸 경험을 회상하며 관직 생활의 허무함을 느끼고, 귀향의 의지를 드러냅니다. "잇달아 세 고을의 태수를 지냈으니, 맞이하고 보내는 것이 수레바퀴 도는 것과 같네(聯翩閱三守。迎送如轉轂)"라는 구절은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며 태수를 지냈지만, 결국 덧없는 일의 반복이었음을 나타냅니다. '맞이하고 보내는 것이 수레바퀴 도는 것 같다'는 표현은 관직 생활의 허무함을 효과적으로 드러냅니다. "언제 귀농할지 결정할까, 전원 생활할 곳은 이미 점찍어 두었네(歸耕何時決。田舍我已卜)"라는 구절은 관직에서 물러나 농사를 지으며 살고 싶은 마음을 강하게 드러냅니다. '전원 생활할 곳은 이미 점찍어 두었다'는 표현은 귀향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줍니다.

이 시는 과거와 현재의 대비를 통해 시간의 흐름과 세상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관직 생활에 대한 회의와 귀향의 의지를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자조적인 표현과 대비되는 귀향의 의지를 통해, 복잡한 심경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 중 《파서주왕남경마상주필기자유오수(罷徐州往南京馬上走筆寄子由五首)》의 다섯 번째 시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서주(徐州)에서 파직되어 남경(南京)으로 가는 도중, 앞으로의 거취와 귀향에 대한 생각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농촌 생활에 대한 동경과 현실적인 어려움, 그리고 역사적 인물을 통해 자신의 심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밭을 어디로 정할까, 석불산 남쪽 길로 가야지. 아래에는 너의 집 앞 내(爾家川)가 있고, 수많은 밭에는 벼와 기장을 심었네. 산에서 솟는 샘물은 용의 기운을 담고, 평지에는 기름진 흙이 흐르네. 옛날에는 밭 한 이랑에 금 한 냥이었지만, 지금은 도망치는 백성이 되려 하네. 이제 장신구와 인끈을 풀고, 칼을 팔아 농기구를 사리라. 고향을 어찌 그리워하지 않겠는가, 폐허가 된 집에는 잡초만 무성하네. 다만 두려운 것은 동향(桐鄉) 사람들이, 오래도록 중경(仲卿)의 무덤을 제사 지내는 것이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귀향에 대한 의지와 현실적인 어려움, 그리고 역사적 인물을 통해 자신의 심정을 복합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4구: 농촌 생활에 대한 동경과 현실: 귀향하여 농사를 짓고 싶은 마음과 당시 농촌의 어려운 현실을 대비하여 보여줍니다. "밭을 어디로 정할까, 석불산 남쪽 길로 가야지. 아래에는 너의 집 앞 내(爾家川)가 있고, 수많은 밭에는 벼와 기장을 심었네(卜田向何許。石佛山南路。下有爾家川。千畦種秔稌)"라는 구절은 구체적인 지명과 농작물을 언급하며 농촌 생활에 대한 동경을 나타냅니다. '너의 집 앞 내'는 소철의 집 근처에 있는 내를 의미하며, 소식은 소철과 함께 고향에서 농사를 짓고 싶어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산에서 솟는 샘물은 용의 기운을 담고, 평지에는 기름진 흙이 흐르네(山泉宅龍蜃。平地走膏乳)"라는 구절은 농촌의 풍요로운 자연환경을 묘사하며, 농촌 생활에 대한 이상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옛날에는 밭 한 이랑에 금 한 냥이었지만, 지금은 도망치는 백성이 되려 하네(異時畝一金。近欲為逃戶)"라는 구절은 과거에는 땅값이 매우 비쌌지만, 현재는 백성들이 살기 어려워 도망치는 상황임을 나타냅니다. 이는 당시 사회의 불안정한 상황과 농민들의 고통을 보여주는 동시에, 소식 자신이 처한 상황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5-6구: 관직 생활의 청산과 귀향의 결심: 관직 생활을 청산하고 귀향하겠다는 결심을 구체적으로 표현합니다. "이제 장신구와 인끈을 풀고, 칼을 팔아 농기구를 사리라(逝將解簪紱。賣劔買牛具)"라는 구절은 관직을 그만두고 농사를 짓기 위해 필요한 물건들을 준비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장신구와 인끈'은 관직을 상징하며, '칼'은 무력을 상징합니다. 이를 팔아 '농기구'를 사겠다는 것은 관직 생활을 완전히 청산하고 농부로 살겠다는 결심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 7-8구: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역사적 인물을 통한 심정 표현: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는 동시에, 역사적 인물을 통해 자신의 심정을 간접적으로 드러냅니다. "고향을 어찌 그리워하지 않겠는가, 폐허가 된 집에는 잡초만 무성하네(故山豈不懷。廢宅生蒿櫓)"라는 구절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만, 폐허가 된 집의 모습을 통해 현실적인 어려움도 함께 보여줍니다. "다만 두려운 것은 동향(桐鄉) 사람들이, 오래도록 중경(仲卿)의 무덤을 제사 지내는 것이네(便恐桐鄉人。長祠仲卿墓)"라는 구절은 한나라 때의 인물인 유중경(劉仲卿)의 고사를 인용하여 자신의 심정을 표현합니다. 유중경은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인물로, 그의 고사는 억울함과 비통함을 상징합니다. 소식은 유중경의 고사를 통해 자신 또한 억울하게 파직된 상황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고향 사람들이 자신을 유중경처럼 기억할까 두려워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농촌 생활에 대한 동경과 현실적인 어려움, 그리고 역사적 인물을 통해 자신의 심정을 복합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유중경의 고사를 인용하여 억울함과 불안감을 표현하는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이 조구장(曹九章)에게 받은 시에 화답한 시입니다.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중요한 내용에 대한 분석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이 시는 조구장의 시에 화답하며, 자신의 인생관과 조구장과의 우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거원(蘧瑗)은 내가 스승으로 삼을 만한 사람이 아님을 알았네. 흘러가는 세월은 이미 손안의 산가지와 같네. 정평(正平)은 오직 문거(文舉)만을 따르려 했고, 중산(中散)은 어찌 효니(孝尼)를 아끼지 않았겠는가. 칼을 팔아 소를 사서 진정 늙으려 하고, 돈을 얻어 술을 사는 것을 더욱 의심하지 않네. 닭과 돼지를 다른 날 함께 잡아 사귈 것이니, 응당 천 편의 창화시(唱和詩)가 있으리라.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역사적 인물들을 인용하며 자신의 인생관과 조구장과의 우정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인생의 깨달음과 세월의 흐름: 인생에 대한 깨달음과 덧없이 흘러가는 세월을 표현합니다. "거원(蘧瑗)은 내가 스승으로 삼을 만한 사람이 아님을 알았네(蘧瑗知非我所師)"라는 구절은 춘추시대 위(衛)나라의 현인인 거원을 언급하며, 그를 스승으로 삼지 않겠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거원은 혼란한 세상을 피해 은둔한 인물로, 소식은 거원처럼 세상을 등지는 것이 자신의 길이 아님을 밝히고 있습니다. "흘러가는 세월은 이미 손안의 산가지와 같네(流年已似手中蓍)"라는 구절은 흘러가는 세월을 손안의 산가지에 비유하여, 인생의 예측 불가능성과 덧없음을 나타냅니다. 산가지는 점을 칠 때 사용하는 도구로, 인생이 점괘처럼 예측하기 어렵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3-4구: 역사적 인물을 통한 자기 표현: 역사적 인물들을 인용하여 자신의 뜻을 간접적으로 표현합니다. "정평(正平)은 오직 문거(文舉)만을 따르려 했고(正平獨肯從文舉)"라는 구절은 후한(後漢)의 인물인 정평과 공융(孔融)의 고사를 인용합니다. 정평은 공융을 존경하여 그를 따랐다고 합니다. 이 고사를 통해 소식은 조구장을 존경하고 따르는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중산(中散)은 어찌 효니(孝尼)를 아끼지 않았겠는가(中散何曾靳孝尼)"라는 구절은 진(晉)나라의 죽림칠현(竹林七賢) 중 한 명인 완적(阮籍)과 그의 조카인 완효(阮孝)의 고사를 인용합니다. 완적은 조카인 완효를 매우 아꼈다고 합니다. 이 고사를 통해 소식은 조구장에 대한 깊은 애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중산'은 완적의 관직명인 '중산대부(中散大夫)'를 줄여 쓴 것입니다.
  • 5-6구: 은퇴 후의 삶과 우정의 지속: 은퇴 후의 삶과 조구장과의 변치 않는 우정을 약속합니다. "칼을 팔아 소를 사서 진정 늙으려 하고, 돈을 얻어 술을 사는 것을 더욱 의심하지 않네(賣劔買牛真欲老。得錢沽酒更無疑)"라는 구절은 관직에서 물러나 농사를 지으며 술을 마시며 늙어가겠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이는 은퇴 후의 소박한 삶에 대한 소망을 표현한 것입니다. "닭과 돼지를 다른 날 함께 잡아 사귈 것이니, 응당 천 편의 창화시(唱和詩)가 있으리라(雞豚異日為同社。應有千篇唱和詩)"라는 구절은 조구장과 함께 술을 마시며 시를 주고받을 것을 약속합니다. '닭과 돼지를 함께 잡아 사귄다'는 것은 친한 친구끼리 모여 술을 마시는 것을 의미하며, '창화시'는 시를 주고받으며 화답하는 시를 의미합니다. 이는 조구장과의 변치 않는 우정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 시는 역사적 인물들의 고사를 인용하여 자신의 뜻을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조구장에 대한 존경과 우정을 진솔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함께 술을 마시며 시를 주고받을 것을 약속하는 부분은 두 사람의 깊은 우정을 잘 보여줍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서사주손경산서헌(書泗州孫景山西軒)"입니다. 사주(泗州) 손경산(孫景山)의 서쪽 누각에 쓴 시로, 석양 아래 외로운 탑의 모습과 병든 몸을 둘러싼 푸른 산의 풍경을 묘사하며, 손경산의 인품을 칭송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지는 해는 외로운 탑을 밝게 비추고, 푸른 산은 병든 몸을 감싸 안네. 그대가 서쪽을 바라보는 것을 아노니, 탑 속의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으리.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간결한 구절 속에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두 구절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구: 석양과 고독한 탑, 병든 몸: 저녁 해가 외로운 탑을 비추는 풍경과 병든 몸을 둘러싼 푸른 산의 모습을 묘사합니다. "지는 해는 외로운 탑을 밝게 비추고, 푸른 산은 병든 몸을 감싸 안네(落日明孤塔。青山繞病身)"라는 구절은 석양 아래 홀로 서 있는 탑의 고독한 모습과, 시인의 병든 몸을 감싸 안은 듯한 푸른 산의 풍경을 대비시켜 보여줍니다. '외로운 탑(孤塔)'은 세상과 단절된 고독한 존재를 상징하는 동시에, 손경산의 고고한 인품을 비유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병든 몸(病身)'은 소식 자신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동시에, 세상의 혼탁함 속에서 고통받는 지식인의 모습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푸른 산이 병든 몸을 감싸 안는 모습은 자연이 인간을 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동시에, 손경산의 넓은 마음과 덕을 비유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 2구: 손경산의 인품에 대한 칭송: 손경산이 서쪽을 바라보는 모습에서 그의 고고한 인품을 발견하고 칭송합니다. "그대가 서쪽을 바라보는 것을 아노니, 탑 속의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으리(知君向西望。不愧塔中人)"라는 구절은 손경산이 서쪽을 바라보는 행위를 통해 그의 내면을 엿보고 있습니다. '서쪽'은 불교에서 서방정토(西方淨土)를 의미하며, 속세를 떠나 깨달음을 추구하는 곳으로 여겨집니다. '탑 속의 사람'은 탑에 머무르며 도를 닦는 승려를 의미하며, 세속적인 욕망을 초월한 고고한 인품을 상징합니다. 따라서 이 구절은 손경산이 서쪽을 바라보는 행위를 통해 세속적인 욕망을 초월한 고고한 인품을 지닌 사람임을 칭송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부끄럽지 않으리'라는 표현은 손경산의 인품이 탑 속의 수행자에게도 뒤지지 않을 만큼 고결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시는 석양 아래 외로운 탑과 푸른 산의 풍경을 통해 손경산의 고고한 인품을 칭송하고 있습니다. 특히, '외로운 탑'과 '탑 속의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통해 손경산의 세속을 초월한 고결한 인품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또한, '병든 몸'과 '푸른 산'의 대비를 통해 자연의 포용력과 손경산의 넓은 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과회삼수증경산겸기자유(過淮三首贈景山兼寄子由)"입니다. 회수(淮水)를 지나면서 경산(景山)에게 주는 세 수의 시로, 겸하여 자유(子由, 소철)에게도 부치는 시입니다. 회수를 오가며 느낀 감회와 친구들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자신의 심정을 담고 있습니다. 세 수의 시를 각각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고 분석 및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제1수:

현대 한국어 번역:

좋구나, 긴 회수 물이여. 십 년 동안 세 번이나 오가네. 공명은 정말 이미 끝났고, 돌아갈 계획 또한 아득하네. 오늘 바람은 나그네를 가엾이 여기고, 평소에는 파도가 언덕을 만들었네. 저녁 늦게 홍택구(洪澤口)에 이르니, 밧줄 소리가 우레와 같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회수를 오가며 느낀 감회와 자신의 처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1-2구: 회수에 대한 감회와 자신의 처지: 회수를 오가는 감회와 공명을 이루지 못한 자신의 처지를 나타냅니다. "좋구나, 긴 회수 물이여. 십 년 동안 세 번이나 오가네(好在長淮水。十年三往來)"라는 구절은 회수에 대한 감탄과 함께 지난 세월을 회상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공명은 정말 이미 끝났고, 돌아갈 계획 또한 아득하네(功名真已矣。歸計亦悠哉)"라는 구절은 공명을 이루지 못한 자신의 상황과 앞으로의 거취가 불확실함을 나타냅니다.
  • 3-4구: 여정의 고단함과 자연의 위력: 여정의 고단함과 자연의 위력을 묘사합니다. "오늘 바람은 나그네를 가엾이 여기고, 평소에는 파도가 언덕을 만들었네(今日風憐客。平時浪作堆)"라는 구절은 바람이 나그네를 안쓰럽게 여기는 듯한 상황을 묘사하며, 여정의 고단함을 강조합니다. "저녁 늦게 홍택구(洪澤口)에 이르니, 밧줄 소리가 우레와 같네(晚來洪澤口。捍索響如雷)"라는 구절은 홍택구의 험난한 모습과 밧줄 소리를 통해 자연의 위력을 나타냅니다.

제2수:

현대 한국어 번역:

회를 지나니 산이 점점 아름다워지고, 소나무와 잣나무 또한 푸르네. 무성하게 우거진 곳에 외로운 절이 숨어 있고, 맑고 차가운 샘물이 졸졸 흐르네. 옛 친구는 진정 관리로서 은둔하고 있네, 작은 난간은 바위 비탈에 붙어 있네. 다시 임회(臨淮)의 저잣거리를 바라보니, 봄바람에 웃음소리가 전해지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회수를 지나며 본 풍경과 친구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1-2구: 아름다운 풍경 묘사: 회수를 지나며 본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합니다. "회를 지나니 산이 점점 아름다워지고, 소나무와 잣나무 또한 푸르네(過淮山漸好。松檜亦蒼然)"라는 구절은 회수를 지나면서 보이는 산과 나무의 아름다운 모습을 묘사합니다. "무성하게 우거진 곳에 외로운 절이 숨어 있고, 맑고 차가운 샘물이 졸졸 흐르네(藹藹藏孤寺。泠泠出細泉)"라는 구절은 숲 속에 숨어 있는 절과 맑은 샘물의 모습을 묘사하며, 평화로운 분위기를 나타냅니다.
  • 3-4구: 친구에 대한 그리움: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옛 친구는 진정 관리로서 은둔하고 있네, 작은 난간은 바위 비탈에 붙어 있네(故人真吏隱。小檻帶巖偏)"라는 구절은 친구가 관리로서 은둔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그의 고고한 인품을 칭송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시 임회(臨淮)의 저잣거리를 바라보니, 봄바람에 웃음소리가 전해지네(却望臨淮市。東風語笑傳)"라는 구절은 임회의 번화한 모습과 사람들의 웃음소리를 묘사하며, 친구와 함께했던 즐거운 시간을 회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제3수:

현대 한국어 번역:

머리를 돌려 수양(濉陽)의 관사(官舍)를 생각하니, 문서가 높이 쌓여 사람을 덮을 정도였네. 어느 때에 동백(桐柏)의 물로, 유량(庾亮)의 티끌을 씻어낼까. 이제부터 점점 더 좋은 경지에 이르겠지만, 홀로 노니는 마음은 더욱 슬프네. 그대가 시 백 편을 지어, 절서(浙西)의 봄을 써 주기를 기다리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과거의 관직 생활을 회상하며 자신의 슬픈 심정을 토로하고, 친구에게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 1-2구: 과거 관직 생활에 대한 회상과 현재의 심정: 과거의 바쁜 관직 생활을 회상하며 현재의 슬픈 심정을 나타냅니다. "머리를 돌려 수양(濉陽)의 관사(官舍)를 생각하니, 문서가 높이 쌓여 사람을 덮을 정도였네(回首濉陽幕。簿書高沒人)"라는 구절은 과거의 바쁜 관직 생활을 회상하며, 문서에 파묻혀 지냈던 고된 시간을 나타냅니다. "어느 때에 동백(桐柏)의 물로, 유량(庾亮)의 티끌을 씻어낼까(何時桐柏水。一洗庾公塵)"라는 구절은 진(晉)나라의 명신인 유량의 고사를 인용하여 자신의 심정을 표현합니다. 유량은 동백산에서 은거하며 속세의 티끌을 씻었다고 합니다. 소식은 유량의 고사를 통해 자신 또한 속세의 번거로움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3-4구: 앞으로의 여정과 친구에 대한 기대: 앞으로의 여정에 대한 기대와 친구에 대한 기대를 나타냅니다. "이제부터 점점 더 좋은 경지에 이르겠지만, 홀로 노니는 마음은 더욱 슬프네(此去漸佳境。獨游長慘神)"라는 구절은 앞으로의 여정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면서도, 홀로 떠나는 슬픈 마음을 동시에 표현합니다. "그대가 시 백 편을 지어, 절서(浙西)의 봄을 써 주기를 기다리네(待君詩百首。來寫浙西春)"라는 구절은 친구에게 시를 지어줄 것을 부탁하며, 앞으로의 만남을 기약하고 있습니다.

이 세 수의 시는 회수를 오가며 느낀 다양한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연 풍경 묘사와 역사적 고사 인용을 통해 시의 의미를 풍부하게 하고 있으며, 친구에 대한 그리움과 앞으로의 만남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주중야기(舟中夜起)"입니다. 배 안에서 밤에 일어나 느낀 감회를 묘사한 시로, 밤의 정경과 고독한 심정, 그리고 인생의 무상함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미풍이 쓸쓸히 마름과 부들을 스치고, 문을 열고 보니 비 내린 뒤 달빛이 호수에 가득하네. 뱃사람과 물새는 함께 꿈을 꾸고, 큰 물고기는 놀라 달아나니 마치 달아나는 여우와 같네. 밤이 깊으니 사람과 사물은 서로 상관하지 않고, 나 홀로 그림자와 함께 즐기네. 어두운 물결은 물가에서 일어 차가운 지렁이를 애도하고, 지는 달은 버드나무에 걸려 거미줄을 바라보네. 이 생애는 허둥지둥 근심 속에, 맑은 경치를 눈앞에 지나가는 순간이로다. 닭이 울고 종이 울리니 온갖 새들 흩어지고, 뱃머리에서 북을 치며 다시 서로 부르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밤의 정경 묘사, 고독한 심정, 인생의 무상함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4구: 밤의 정경 묘사: 배 안에서 바라본 밤의 풍경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미풍이 쓸쓸히 마름과 부들을 스치고, 문을 열고 보니 비 내린 뒤 달빛이 호수에 가득하네(微風蕭蕭吹菰蒲。開門看雨月滿湖)"라는 구절은 미풍, 마름, 부들, 달빛, 호수 등 감각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밤의 서정적인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뱃사람과 물새는 함께 꿈을 꾸고, 큰 물고기는 놀라 달아나니 마치 달아나는 여우와 같네(舟人水鳥兩同夢。大魚驚竄如奔狐)"라는 구절은 정적인 풍경 속에서 갑자기 움직이는 물고기를 포착하여 밤의 생동감을 더합니다. '달아나는 여우(奔狐)'라는 비유는 물고기의 빠른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묘사합니다.
  • 5-6구: 고독한 심정: 깊은 밤 홀로 깨어 있는 화자의 고독한 심정을 드러냅니다. "밤이 깊으니 사람과 사물은 서로 상관하지 않고, 나 홀로 그림자와 함께 즐기네(夜深人物不相管。我獨形影相嬉娛)"라는 구절은 주변의 모든 것이 잠든 고요한 밤, 홀로 깨어 있는 화자의 고독을 강조합니다. '그림자와 함께 즐긴다(形影相嬉娛)'는 표현은 화자의 외로움을 더욱 부각합니다. "어두운 물결은 물가에서 일어 차가운 지렁이를 애도하고, 지는 달은 버드나무에 걸려 거미줄을 바라보네(暗潮生渚弔寒蚓。落月挂柳看懸蛛)"라는 구절은 어두운 물결, 차가운 지렁이, 지는 달, 버드나무, 거미줄 등의 이미지를 통해 밤의 음산하고 쓸쓸한 분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화자의 고독한 심정을 반영합니다.
  • 7-8구: 인생의 무상함: 근심 가득한 인생과 덧없이 지나가는 맑은 경치를 대비시키며 인생의 무상함을 탄식합니다. "이 생애는 허둥지둥 근심 속에, 맑은 경치를 눈앞에 지나가는 순간이로다(此生忽忽憂患裏。清境過眼能須臾)"라는 구절은 근심과 걱정으로 가득한 인생과 눈앞에 스쳐 지나가는 아름다운 경치를 대비시켜 인생의 덧없음을 강조합니다. '눈앞에 지나가는 순간(過眼能須臾)'이라는 표현은 아름다운 순간조차 붙잡을 수 없는 인생의 무상함을 효과적으로 나타냅니다. "닭이 울고 종이 울리니 온갖 새들 흩어지고, 뱃머리에서 북을 치며 다시 서로 부르네(雞鳴鍾動百鳥散。船頭擊鼓還相呼)"라는 구절은 새벽이 오면서 모든 것이 다시 활기를 띠는 모습을 묘사하며, 밤의 고독과 대조를 이룹니다. '북을 치며 다시 서로 부른다(擊鼓還相呼)'는 표현은 새로운 하루의 시작을 알리는 동시에, 인생의 순환적인 흐름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밤의 정경 묘사를 통해 화자의 고독한 심정과 인생의 무상함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섬세한 묘사와 비유를 통해 시의 분위기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유혜산병서(遊惠山并敘)"입니다. 과거 전당(錢塘)의 부관(倅)으로 있을 때 무석(無錫)을 오가며 혜산(惠山)을 자주 찾았었는데, 5년 후 다시 호주(湖州)의 관리로 부임하여 고우(高郵)의 진태허(秦太虛), 항주(杭州)의 승려 참요(參寥)와 함께 혜산을 방문하고 지은 시입니다. 당나라 처사 왕무릉(王武陵), 두군(竇羣), 주숙(朱宿)의 시를 감상하고 그 운을 따라 각자 세 수씩 지었다고 서문에 밝히고 있습니다. 제시된 시는 그중 첫 번째 시입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옛날 꿈속처럼 5년이 지나갔고, 깨어나 보니 두 귀밑머리가 희끗하네. 다시 흙먼지 묻은 발로, 이란당(漪瀾堂)에 이르렀네. 머리 숙여 소나무와 계수나무 그림자를 엿보고, 머리 들어 기러기와 학이 나는 것을 바라보네. 맑고 밝은 기운이 간과 폐 사이에 가득 차, 이미 얼음과 옥 같은 빛을 이루었네. 텅 비고 밝은 가운데 형상이 있고, 맑고 깨끗함에서 저절로 향기가 나네. 다시 세속으로 돌아가지만, 영원히 세속을 잊으리.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시간의 흐름, 혜산의 아름다운 풍경, 그리고 세속을 초월하고자 하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 1-2구: 시간의 흐름과 재방문: 과거와 현재를 대비하며 혜산을 다시 찾은 감회를 나타냅니다. "옛날 꿈속처럼 5년이 지나갔고, 깨어나 보니 두 귀밑머리가 희끗하네(夢裏五年過。覺來雙鬢蒼)"라는 구절은 지난 5년의 세월을 꿈에 비유하며 시간의 흐름을 강조합니다. 흰머리가 된 자신의 모습을 통해 세월의 무상함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다시 흙먼지 묻은 발로, 이란당(漪瀾堂)에 이르렀네(還將塵土足。一步漪瀾堂)"라는 구절은 다시 혜산을 찾았음을 나타냅니다. '흙먼지 묻은 발'은 세속의 여정을 나타내는 동시에, 혜산이라는 속세를 벗어난 공간과의 대비를 부각합니다. 이란당은 혜산에 있는 정자로, 다시 이곳에 왔음을 명시적으로 보여줍니다.
  • 3-6구: 혜산의 풍경 묘사와 심경의 변화: 혜산의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하며 심경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머리 숙여 소나무와 계수나무 그림자를 엿보고, 머리 들어 기러기와 학이 나는 것을 바라보네(俯窺松桂影。仰見鴻鶴翔)"라는 구절은 혜산의 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묘사합니다. 소나무와 계수나무는 고고한 이미지를, 기러기와 학은 속세를 벗어난 이미지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풍경을 통해 화자의 마음이 맑아지는 것을 암시합니다. "맑고 밝은 기운이 간과 폐 사이에 가득 차, 이미 얼음과 옥 같은 빛을 이루었네(炯然肝肺間。已作冰玉光)"라는 구절은 혜산의 맑은 기운을 받아 심신이 정화되는 경험을 표현합니다. '얼음과 옥 같은 빛'은 맑고 깨끗한 심경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 7-8구: 세속과의 관계 설정: 혜산에서 느낀 깨달음을 바탕으로 세속과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텅 비고 밝은 가운데 형상이 있고, 맑고 깨끗함에서 저절로 향기가 나네(虛明中有色。清凈自生香)"라는 구절은 도가(道家)의 사상을 반영하는 표현으로, 텅 비어 있는 가운데 진리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혜산의 맑은 기운 속에서 깨달음을 얻었음을 나타냅니다. "다시 세속으로 돌아가지만, 영원히 세속을 잊으리(還從世俗去。永與世俗忘)"라는 구절은 세속으로 돌아가지만 마음만은 세속에 물들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현합니다. 이는 혜산에서의 경험을 통해 세속적인 욕망을 초월하겠다는 다짐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혜산을 다시 방문한 감회를 서정적으로 표현하며, 아름다운 풍경 묘사와 심경의 변화를 통해 세속을 초월하고자 하는 화자의 마음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세속으로 돌아가지만 세속을 잊겠다는 역설적인 표현은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유혜산병서(遊惠山并敘)" 중 두 번째 시입니다. 앞선 설명과 같이, 과거 전당의 부관으로 있을 때 자주 찾았던 혜산을 5년 만에 다시 방문하여 지은 시입니다. 이 시는 함께 여행한 친구들을 칭찬하고, 옛일을 회상하며, 부정한 세태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엷은 구름은 산을 가리지 않고, 성긴 비는 사람을 적시지 않네. 쓸쓸한 솔밭 길은 미끄럽고, 짚신은 새것처럼 깨끗하네. 아름답구나, 나의 두세 벗이여. 맑고 깨끗하여 티끌 하나 없네. 훌륭한 유람이 어찌 예전과 다르랴. 맑은 시구는 여전히 속세를 초월했네. 옛일을 슬퍼하며 옛 역사를 애도하고, 간신을 질책하며 《소민(小旻)》을 노래하네. 슬프다, 부풍(扶風)의 사람이여. 차마 소부(巢父)와 허유(許由)와 이웃할 수 없었네. (이는 두군(竇羣)을 가리킨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함께 한 친구들에 대한 칭찬, 옛일 회상과 현재의 유람 비교, 그리고 부정한 세태에 대한 비판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2구: 혜산의 풍경 묘사: 혜산의 맑고 깨끗한 풍경을 묘사하며 시를 시작합니다. "엷은 구름은 산을 가리지 않고, 성긴 비는 사람을 적시지 않네(薄雲不遮山。疏雨不濕人)"라는 구절은 맑은 날씨를 묘사하며, 혜산의 깨끗한 분위기를 강조합니다. "쓸쓸한 솔밭 길은 미끄럽고, 짚신은 새것처럼 깨끗하네(蕭蕭松徑滑。策策芒鞋新)"라는 구절은 혜산의 산길을 걷는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미끄러운 솔밭 길'과 '새 짚신'의 이미지는 혜산의 자연 속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 3-4구: 함께 한 친구들에 대한 칭찬과 유람의 즐거움: 함께 여행한 친구들을 칭찬하고 현재의 유람이 과거와 다르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아름답구나, 나의 두세 벗이여. 맑고 깨끗하여 티끌 하나 없네(嘉我二三子。皎然無淄磷)"라는 구절은 함께 여행한 친구들의 맑고 깨끗한 인품을 칭찬합니다. '티끌 하나 없다(無淄磷)'는 표현은 그들의 고결함을 강조합니다. "훌륭한 유람이 어찌 예전과 다르랴. 맑은 시구는 여전히 속세를 초월했네(勝游豈殊昔。清句仍絕塵)"라는 구절은 현재의 유람이 과거와 마찬가지로 즐겁고 의미 있음을 나타냅니다. '속세를 초월한 맑은 시구(清句仍絕塵)'라는 표현은 친구들과 함께 나눈 시가 여전히 맑고 고결함을 의미합니다.
  • 5-8구: 옛일 회상과 부정한 세태에 대한 비판: 옛일을 회상하며 부정한 세태를 비판하고, 두군을 안타까워합니다. "옛일을 슬퍼하며 옛 역사를 애도하고, 간신을 질책하며 《소민(小旻)》을 노래하네(弔古泣舊史。疾讒歌小旻)"라는 구절은 과거의 역사를 돌아보며 간신들의 횡포를 비판합니다. 《소민》은 《시경(詩經)》의 편명으로, 백성들의 고통을 노래한 시입니다. 이를 인용하여 당시의 부정한 현실을 비판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슬프다, 부풍(扶風)의 사람이여. 차마 소부(巢父)와 허유(許由)와 이웃할 수 없었네. (이는 두군(竇羣)을 가리킨다.)(哀哉扶風子。難與巢許鄰。[謂竇羣。])"라는 구절은 당나라 시인 두군을 안타까워하는 내용입니다. 소부와 허유는 요(堯) 임금이 왕위를 물려주려 하자 이를 거절하고 은거한 고대의 현인입니다. 두군은 간신들의 모함으로 인해 뜻을 펼치지 못하고 불우하게 살았는데, 소식은 그를 소부와 허유에 비견되는 현인으로 여겼지만 불행한 삶을 살았던 것을 안타까워하는 것입니다.

이 시는 혜산의 맑은 풍경 묘사, 친구들에 대한 칭찬, 옛일 회상과 함께 부정한 세태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두군을 안타까워하는 부분은 소식의 비판적인 시각과 함께 인간적인 연민을 보여줍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유혜산병서(遊惠山并敘)" 중 세 번째 시입니다.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과거 전당의 부관으로 있을 때 자주 찾았던 혜산을 5년 만에 다시 방문하여 지은 시입니다. 이 시는 혜산에서 차를 마시는 풍경을 묘사하며, 물질적인 욕망을 초월한 삶의 가치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돌을 쳐 불을 일으켜 산의 샘물을 끓이고, 숲 그늘을 피해 차를 달이네. 밝은 창가에서 자줏빛 잔을 기울이니, 색과 맛이 모두 뛰어나게 훌륭하네. 내 삶은 먹고 자는 것일 뿐, 한 번 배부르니 만 가지 생각이 사라지네. 자못 옥천자(玉川子, 노동)를 비웃으니, 배고픔을 참으며 삼백 달이나 시를 지었네. 어찌 이 산속 사람과 같으랴, 잠에서 깨어나니 산꽃이 피어 있네. 한 잔의 차를 누구와 함께 나눌까, 문밖에는 찾아오는 발자국조차 없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혜산에서 차를 마시는 풍경 묘사, 물질적 욕망에 대한 초월, 그리고 고요한 삶의 가치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2구: 차를 달이는 과정과 맛: 혜산에서 차를 달이는 과정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차의 맛을 극찬합니다. "돌을 쳐 불을 일으켜 산의 샘물을 끓이고, 숲 그늘을 피해 차를 달이네(敲火發山泉。烹茶避林樾)"라는 구절은 차를 준비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묘사합니다. '돌을 쳐 불을 일으키고', '숲 그늘을 피해'라는 표현은 자연 속에서 차를 즐기는 운치를 더합니다. "밝은 창가에서 자줏빛 잔을 기울이니, 색과 맛이 모두 뛰어나게 훌륭하네(明牎傾紫琖。色味兩奇絕)"라는 구절은 차의 색과 맛을 극찬합니다. '자줏빛 잔(紫琖)'은 고급스러운 찻잔을 의미하며, 차의 향과 색, 그리고 맛이 모두 훌륭함을 나타냅니다.
  • 3-4구: 물질적 욕망에 대한 초월: 물질적인 욕망에 집착하는 삶을 비판하고, 배부름으로써 모든 욕망이 사라진다는 생각을 표현합니다. "내 삶은 먹고 자는 것일 뿐, 한 번 배부르니 만 가지 생각이 사라지네(吾生眠食耳。一飽萬想滅)"라는 구절은 단순한 삶의 모습을 나타냅니다. '한 번 배부르니 만 가지 생각이 사라진다'는 표현은 물질적인 욕망에 대한 초월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못 옥천자(玉川子, 노동)를 비웃으니, 배고픔을 참으며 삼백 달이나 시를 지었네(頗笑玉川子。飢弄三百月)"라는 구절은 당나라 시인 노동(盧仝)을 비웃는 내용입니다. 노동은 차를 매우 좋아하여 배고픔을 참으면서까지 차에 대한 시를 지었다고 합니다. 소식은 이러한 노동의 행위를 비판하며, 물질적인 것에 집착하는 삶을 비판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5-6구: 고요한 삶의 가치: 산속에서 조용히 차를 마시는 삶의 가치를 노래합니다. "어찌 이 산속 사람과 같으랴, 잠에서 깨어나니 산꽃이 피어 있네(豈如山中人。睡起山花發)"라는 구절은 세속의 번잡함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조용히 살아가는 삶의 가치를 보여줍니다. '잠에서 깨어나니 산꽃이 피어 있다'는 표현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함께하는 평화로운 삶을 나타냅니다. "한 잔의 차를 누구와 함께 나눌까, 문밖에는 찾아오는 발자국조차 없네(一甌誰與共,門外無來轍)"라는 구절은 홀로 차를 마시는 고요한 상황을 묘사합니다. 이는 외로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세속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시간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혜산에서 차를 마시는 풍경을 통해 물질적인 욕망을 초월하고 고요한 삶의 가치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 노동을 비판하는 부분과 홀로 차를 마시는 상황을 묘사한 부분은 소식의 독특한 시각을 보여줍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증혜산승혜표(贈惠山僧惠表)"입니다. 혜산의 승려 혜표(惠表)에게 주는 시로, 오랜 유랑 생활과 혜표와의 재회, 그리고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아가는 삶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온 세상을 두루 돌아다녔지만 뜻은 아직 다하지 않았는데, 마음 가는 곳마다 사람들을 편안하게 하려 하네. 산속의 노승은 여전히 그곳에 있지만, 책상 위의 《능엄경(楞嚴經)》은 이미 보지 않네. 베개에 기대니 떨어지는 꽃잎 몇 조각 남아 있고, 문을 닫으니 새로 돋은 대나무가 저절로 천 그루나 되네. 손님이 왔다가 차를 마시고 나니 텅 비어 아무것도 없고, 노귤(盧橘)과 양매(楊梅)는 아직 신맛을 띠고 있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오랜 유랑 생활, 혜표와의 재회와 변화, 그리고 자연 속 소박한 삶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2구: 오랜 유랑 생활과 이상: 오랜 유랑 생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상을 추구하는 화자의 모습을 나타냅니다. "온 세상을 두루 돌아다녔지만 뜻은 아직 다하지 않았는데(行徧天涯意未闌)"라는 구절은 오랜 유랑 생활을 나타냅니다. '온 세상(天涯)'이라는 표현은 화자의 여정이 매우 길었음을 강조합니다. "마음 가는 곳마다 사람들을 편안하게 하려 하네(將心到處遣人安)"라는 구절은 화자의 이상을 나타냅니다. 이는 단순히 유랑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을 편안하게 하고자 하는 뜻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3-4구: 혜표와의 재회와 변화: 오랜만에 만난 혜표의 변화된 모습을 묘사합니다. "산속의 노승은 여전히 그곳에 있지만, 책상 위의 《능엄경(楞嚴經)》은 이미 보지 않네(山中老宿依然在。案上楞嚴已不看)"라는 구절은 혜표가 여전히 그곳에 있지만, 이전과는 달라졌음을 나타냅니다. '《능엄경》을 보지 않는다'는 것은 이전에는 불경 공부에 힘썼지만, 이제는 다른 방식으로 수행하거나 생활하고 있음을 암시합니다. 이는 시간이 흐르면서 사람의 가치관이나 생활 방식이 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부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5-8구: 자연 속 소박한 삶: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아가는 삶의 모습을 묘사합니다. "베개에 기대니 떨어지는 꽃잎 몇 조각 남아 있고, 문을 닫으니 새로 돋은 대나무가 저절로 천 그루나 되네(欹枕落花餘幾片。閉門新竹自千竿)"라는 구절은 자연 속에서 한가롭게 지내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떨어지는 꽃잎', '새로 돋은 대나무' 등의 이미지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나타냅니다. "손님이 왔다가 차를 마시고 나니 텅 비어 아무것도 없고, 노귤(盧橘)과 양매(楊梅)는 아직 신맛을 띠고 있네(客來茶罷空無有。盧橘楊梅尚帶酸)"라는 구절은 소박한 생활상을 보여줍니다. 손님이 왔지만 대접할 것은 차와 과일뿐이며, 그마저도 신맛이 나는 과일뿐임을 나타냅니다. 이는 물질적인 풍요보다는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아가는 삶의 가치를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텅 비어 아무것도 없다(空無有)'는 표현은 물질적인 소유에 집착하지 않는 삶의 태도를 보여주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오랜 유랑 생활과 혜표와의 재회를 통해 변화와 무상함을 보여주고,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아가는 삶의 모습을 제시합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물질적인 것에 집착하지 않는 소탈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증전도인(贈錢道人)"입니다. 전도인(錢道人)에게 주는 시로, 경솔한 약속에 대한 경계와 무위(無爲)의 삶에 대한 찬양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선비가 책만 믿으면, 세상일을 여전히 제멋대로 헤아리네. 자신의 감당할 바를 헤아리지 않고, 가벼이 천균(千鈞)의 약속을 내뱉네. 당시에는 한때의 쾌의(快意)였지만, 일이 지나고 나면 남는 것은 후회뿐이네. 어느 몇 고을의 쇠를 녹여, 이 하나의 큰 잘못을 만들었는지 알지 못하네. 내 삶은 근심과 걱정을 겪으며, 항상 죄악을 더할까 두려워하네. 조용히 관찰하니 자못 기쁘니, 발을 얕게 들여 오히려 물러설 여지가 있네. 하물며 전 선생은, 만사를 처음부터 만들지 않으니, 서로 만나 무슨 말을 더 하랴. 병도 없고 약도 없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경솔한 약속에 대한 경계, 자신의 삶에 대한 반성, 그리고 무위의 삶에 대한 찬양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2구: 경솔한 약속에 대한 경계: 책만 믿고 세상일을 제대로 헤아리지 못하여 경솔하게 약속하는 행위를 비판합니다. "선비가 책만 믿으면, 세상일을 여전히 제멋대로 헤아리네(書生若信書。世事仍臆度)"라는 구절은 책에만 치우쳐 현실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선비의 모습을 지적합니다. "자신의 감당할 바를 헤아리지 않고, 가벼이 천균(千鈞)의 약속을 내뱉네(不量力所負。輕出千鈞諾)"라는 구절은 자신의 능력은 고려하지 않고 함부로 큰 약속을 하는 행위를 비판합니다. '천균의 약속'은 매우 무거운 약속, 즉 지키기 어려운 약속을 의미합니다.
  • 3-4구: 경솔한 행동의 결과와 후회: 경솔한 행동의 결과는 후회로 이어진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당시에는 한때의 쾌의(快意)였지만, 일이 지나고 나면 남는 것은 후회뿐이네(當時一快意。事過有餘怍)"라는 구절은 순간의 감정에 휩싸여 한 행동이 결국 후회를 남긴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어느 몇 고을의 쇠를 녹여, 이 하나의 큰 잘못을 만들었는지 알지 못하네(不知幾州鐵。鑄此一大錯)"라는 구절은 잘못된 약속으로 인해 얼마나 큰 폐해가 발생했는지 알 수 없다는 탄식을 나타냅니다. '몇 고을의 쇠를 녹여'라는 과장된 표현은 잘못의 심각성을 강조합니다.
  • 5-8구: 자신의 삶에 대한 반성과 무위의 삶에 대한 찬양: 자신의 삶을 반성하며 무위의 삶을 살아가는 전도인을 찬양합니다. "내 삶은 근심과 걱정을 겪으며, 항상 죄악을 더할까 두려워하네(我生涉憂患。常恐長罪惡)"라는 구절은 자신의 삶이 근심과 걱정으로 가득 차 있음을 고백합니다. "조용히 관찰하니 자못 기쁘니, 발을 얕게 들여 오히려 물러설 여지가 있네(靜觀殊可喜。腳淺猶容却)"라는 구절은 신중하게 행동함으로써 잘못을 저지르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하물며 전 선생은, 만사를 처음부터 만들지 않으니, 서로 만나 무슨 말을 더 하랴. 병도 없고 약도 없네(而況錢夫子。萬事初不作。相逢更何言。無病亦無藥)"라는 구절은 무위의 삶을 살아가는 전도인을 찬양합니다. '만사를 처음부터 만들지 않는다(萬事初不作)'는 것은 억지로 일을 만들거나 관여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도가(道家)의 무위 사상을 나타냅니다. '병도 없고 약도 없다(無病亦無藥)'는 것은 마음이 평화롭고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는 삶을 살아가는 전도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시는 경솔한 약속에 대한 경계, 자신의 삶에 대한 반성, 그리고 무위의 삶에 대한 찬양을 통해 삶의 지혜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전도인의 무위의 삶을 통해 진정한 평화와 자유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여진태허참요회우송강이관언장서안중적지분운득풍자이수(與秦太虛參寥會于松江而關彥長徐安中適至分韻得風字二首)" 중 첫 번째 시입니다. 진태허(秦太虛), 참요(參寥)와 송강(松江)에서 만나기로 했는데, 마침 관언장(關彥長)과 서안중(徐安中)도 도착하여 '풍(風)'자를 운자로 하여 시를 두 수 지었는데, 그 중 첫 번째 시입니다. 송강에서 친구들과의 만남과 그 감회를 읊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오(吳)나라와 월(越)나라의 계곡과 산의 흥취가 아직 다하지 않았는데, 또 쇠약한 몸을 이끌고 수홍(垂虹)을 지나네. 넓고 아득함은 예로부터 동남쪽 물의 특징이고, 손님을 보내는 오늘은 서북풍이네. 뛰어난 경치에 이르니 저절로 천 리 먼 것을 잊고, 훌륭한 유람은 다시 다섯 사람이 함께하기 어렵네. 뱃사람은 머무를 뜻이 없으니, 비스듬한 해가 넓은 물결을 붉게 물들이는 것을 보려 하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여정의 지속, 풍경 묘사, 만남의 의미, 그리고 미래에 대한 기대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2구: 여정의 지속과 건강 상태: 오월 지역의 풍경 감상이 계속되고 있지만, 화자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오(吳)나라와 월(越)나라의 계곡과 산의 흥취가 아직 다하지 않았는데(吳越溪山興未窮)"라는 구절은 화자가 오월 지역의 풍경을 오랫동안 즐기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흥취가 다하지 않았다(興未窮)'는 표현은 풍경에 대한 화자의 깊은 감흥을 나타냅니다. "또 쇠약한 몸을 이끌고 수홍(垂虹)을 지나네(又扶衰病過垂虹)"라는 구절은 화자의 건강이 좋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쇠약한 몸(衰病)'이라는 표현은 화자가 질병이나 노쇠로 인해 힘든 상태임을 암시합니다. 수홍은 송강에 있는 다리로, 여정의 한 지점을 나타냅니다.
  • 3-4구: 풍경 묘사와 이별의 암시: 넓은 물의 풍경을 묘사하며 이별을 암시합니다. "넓고 아득함은 예로부터 동남쪽 물의 특징이고(浮夭自古東南水)"라는 구절은 동남쪽 물의 특징을 묘사합니다. '넓고 아득함(浮夭)'은 넓은 물의 광활한 모습을 나타냅니다. "손님을 보내는 오늘은 서북풍이네(送客今朝西北風)"라는 구절은 이별을 암시합니다. 서북풍은 떠나는 사람을 배웅하는 바람으로 여겨졌습니다.
  • 5-6구: 만남의 의미와 아쉬움: 친구들과의 만남이 매우 의미 있지만, 다시 함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아쉬움을 나타냅니다. "뛰어난 경치에 이르니 저절로 천 리 먼 것을 잊고(絕境自忘千里遠)"라는 구절은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잠시 시름을 잊었음을 나타냅니다. '뛰어난 경치(絕境)'는 매우 아름다운 풍경을 의미합니다. "훌륭한 유람은 다시 다섯 사람이 함께하기 어렵네(勝游難復五人同)"라는 구절은 함께한 친구들과 다시 만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아쉬움을 나타냅니다.
  • 7-8구: 미래에 대한 기대: 뱃사람의 여정에 빗대어 앞으로의 여정과 미래에 대한 기대를 표현합니다. "뱃사람은 머무를 뜻이 없으니, 비스듬한 해가 넓은 물결을 붉게 물들이는 것을 보려 하네(舟師不會留連意。擬看斜陽萬頃紅)"라는 구절은 뱃사람이 멈추지 않고 계속 나아가는 것처럼, 화자 또한 앞으로 나아갈 것임을 나타냅니다. '비스듬한 해가 넓은 물결을 붉게 물들이는 것(斜陽萬頃紅)'은 저녁 노을이 아름답게 물든 풍경을 의미하며, 앞으로 펼쳐질 아름다운 미래에 대한 기대를 암시합니다.

이 시는 친구들과의 만남을 통해 잠시 시름을 잊었지만, 곧 이별해야 하는 아쉬움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구절에서 미래에 대한 기대를 보여주며 시를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특히, 풍경 묘사를 통해 화자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여진태허참요회우송강이관언장서안중적지분운득풍자이수(與秦太虛參寥會于松江而關彥長徐安中適至分韻得風字二首)" 중 두 번째 시입니다.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진태허(秦太虛), 참요(參寥)와 송강(松江)에서 만나기로 했는데, 마침 관언장(關彥長)과 서안중(徐安中)도 도착하여 '풍(風)'자를 운자로 하여 지은 두 수의 시 중 두 번째 시입니다. 이 시는 시인으로서의 고뇌, 자연 속에서의 삶, 그리고 친구들과의 만남을 그리고 있습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두 사람은 시 때문에 더욱 궁핍해졌으니, 인간 세상에는 긴 무지개를 토해낼 곳이 없네. 평생토록 잠을 푹 자니 강에 비가 이어지고, 온종일 배는 비스듬히 뭍을 가르는 바람에 놓여 있네. 사람들은 내가 근래 세 번이나 좌천된 것에 익숙해졌다고 비웃지만, 하늘이 우리에게 술 한 통을 함께 하도록 하셨네. 그대가 오래도록 서로를 그리워하는 글을 쓰려 함을 아오니, 은쟁반에 담긴 붉은 꼬리 곰팡이(석류)를 더 보내네.

분석 및 설명:

이 시는 시인으로서의 고뇌, 자연 속의 삶, 친구들과의 만남과 우정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1-2구: 시인으로서의 고뇌: 시 때문에 궁핍해진 현실과 세상에 대한 울분을 토로하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나타냅니다. "두 사람은 시 때문에 더욱 궁핍해졌으니(二子緣詩老更窮)"라는 구절은 시를 쓰는 일로 인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두 사람'은 시인 자신과 친구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간 세상에는 긴 무지개를 토해낼 곳이 없네(人間無處吐長虹)"라는 구절은 세상에 대한 울분이나 웅대한 포부를 펼칠 곳이 없다는 안타까움을 표현합니다. '긴 무지개(長虹)'는 웅대한 기상이나 포부를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 3-4구: 자연 속에서의 삶: 자연 속에서 편안하게 지내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평생토록 잠을 푹 자니 강에 비가 이어지고(平生睡足連江雨)"라는 구절은 자연 속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강에 비가 이어진다(連江雨)'는 표현은 자연의 풍요로움을 나타내는 동시에, 화자의 평화로운 심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온종일 배는 비스듬히 뭍을 가르는 바람에 놓여 있네(盡日舟橫擘岸風)"라는 구절은 배가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을 묘사하며, 자연에 몸을 맡긴 채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 5-8구: 친구들과의 만남과 우정: 세 번의 좌천에도 불구하고 친구들과의 만남을 통해 위로를 받고, 오랜 우정을 기약합니다. "사람들은 내가 근래 세 번이나 좌천된 것에 익숙해졌다고 비웃지만(人笑年來三黜慣)"라는 구절은 자신의 잦은 좌천에 대한 세간의 비웃음을 언급합니다. "하늘이 우리에게 술 한 통을 함께 하도록 하셨네(天教我輩一樽同)"라는 구절은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친구들과 함께 술을 마시며 위로받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는 역경 속에서 더욱 빛나는 우정을 보여줍니다. "그대가 오래도록 서로를 그리워하는 글을 쓰려 함을 아오니, 은쟁반에 담긴 붉은 꼬리 곰팡이(석류)를 더 보내네(知君欲寫長相憶,更送銀盤尾鬣紅)"라는 구절은 친구가 자신들과의 만남을 시로 남기려 함을 알고, 석류를 선물하며 오랜 우정을 기원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붉은 꼬리 곰팡이(尾鬣紅)'는 석류를 가리키는 것으로, 붉은색은 정열과 그리움을 상징합니다.

이 시는 시인으로서의 고뇌와 좌절, 자연 속에서의 위안, 그리고 친구들과의 끈끈한 우정을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에서 석류를 선물하며 우정을 기약하는 장면은 깊은 감동을 줍니다.

 

이 시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에 실린 "차운관령송어(次韻關令送魚)"입니다. 관령(關令), 즉 벼슬아치가 보낸 생선을 받고 그에 대한 감사를 표현한 시입니다. ‘차운(次韻)’은 상대방의 시에 운자를 맞추어 화답하는 형식을 말합니다.

현대 한국어 번역:

그물을 들어 올리자 놀라 외치며 큰 물고기를 얻었네. 탐스러운 침이 흐르는 것을 참기 어렵네. 다시 맨발에 긴 수염의 노인에게 부탁하여, 서풍을 따라 열 폭이나 되는 포구로 왔네.

분석 및 설명:

이 짧은 시는 생선을 받은 상황 묘사와 감사 표현이라는 두 가지 핵심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1-2구: 큰 물고기를 얻은 기쁨과 탐스러운 모습 묘사: 큰 물고기를 잡은 기쁨과 그 먹음직스러운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그물을 들어 올리자 놀라 외치며 큰 물고기를 얻었네(舉網驚呼得巨魚)"라는 구절은 큰 물고기를 잡았을 때의 놀라움과 기쁨을 표현합니다. '놀라 외치다(驚呼)'라는 표현은 그 크기에 대한 놀라움을 강조합니다. "탐스러운 침이 흐르는 것을 참기 어렵네(饞涎不易忍流酥)"라는 구절은 물고기의 먹음직스러운 모습을 묘사합니다. '탐스러운 침(饞涎)'과 '흐르는 기름(流酥)'이라는 표현은 물고기가 얼마나 신선하고 맛있어 보이는지를 나타냅니다. 특히 '流酥'는 물고기의 기름기가 마치 녹은 버터처럼 보이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매우 탐스럽게 보이는 모습을 효과적으로 나타냅니다.
  • 3-4구: 생선을 보내준 이에 대한 감사 표현: 생선을 보내준 사람에 대한 감사를 간접적으로 표현합니다. "다시 맨발에 긴 수염의 노인에게 부탁하여(更煩赤腳長須老)"라는 구절은 생선을 전달한 사람을 묘사합니다. '맨발에 긴 수염의 노인(赤腳長須老)'은 하인을 완곡하게 표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면서도 전달자의 모습을 간략하게 보여줍니다. "서풍을 따라 열 폭이나 되는 포구로 왔네(來趁西風十幅浦)"라는 구절은 생선이 먼 곳에서 왔음을 나타냅니다. '서풍(西風)'은 가을바람으로, 수확의 계절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열 폭이나 되는 포구(十幅浦)'는 넓은 포구를 의미하며, 생선이 먼 곳에서 왔음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생선을 보내준 사람의 정성에 대한 감사를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시는 짧지만 생선을 받은 상황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보내준 사람에 대한 감사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流酥'와 같은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물고기의 탐스러운 모습을 더욱 강조하고 있으며, '赤腳長須老'와 '十幅浦'와 같은 표현을 통해 감사의 마음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반응형